언어 분석

advertisement
철학통론
Introduction to Philosophy
by Dr. D. Suh
(University of Seoul)
몸과 마음(13)
• 언어(language)
- 철학적 방법론으로서의 언어 분석
ex) ‘선(goodness)’이란 무엇인가?
‘선’이라는 단어의 의미 분석
• 의미(meaning)
- P. Grice: 어떤 단어의 의미는 화자(話者)가 그 단어를
발화(發話)함으로써 전달하고자 의도하는 것
- Grice 견해의 수정: 어떤 단어의 의미는 언어공동체 전
체의 의도와 언어행위에 의해 결정
몸과 마음(14)
• 의미 지시론(reference theory of
meaning)
- 어떤 낱말의 의미는 그 낱말이 지
시하는 대상
• G. Frege의 반박
지시체(reference)와
뜻(sense)의 구별. 뜻이 지
시체를 결정
- sense: 특정 단어로 하여금 지시대상을 가
• 단어
‘춘원’
(word)
• 뜻
<무정>
(sense) 이라는
소설을
쓴 작가
의호
리킬 수 있게 해주는 속성들의 집합. 公的인
속성이어야 함
ex)
① 춘원은 춘원이다.
② 춘원은 이광수이다.
- ①은 필연적 참. 그런데 지시가 곧 의미라면 ②
도 필연적 참이어야 하나 실제 ②는 개연적 참(춘원
이 이광수가 아닐 가능성 있음). 그렇다면 지시가
의미가 되려면(‘춘원’과 ‘이광수’가 동일 인물을 지
시하려면, 지시를 고정시켜 주는 어떤 뜻(sense)이
있어야 함
의미는 지시체가 아니다.
• 지시체
(reference)
‘이광수’
일제강점
기 ‘카야마
미츠로’로
창씨개명
후 청년들
에게 학병
을 권유한
조선의 대
표적인 친
일 문인
몸과 마음(15)
• Frege에 대한 비판
① 사람마다 sense(지시체를 연결시켜
주는 지시체의 속성 집합)가 서로 다를
수 있다.(상호주관성≠객관성) → 의미
공유 불가
② sense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ex) ‘고양이’에 대해 알려진 수많은 지
식 가운데 어떤 것이 ‘고양이’의 sense
인가 ? 또 모든 sense를 망라할 수 있
는가?
③ 동일한 sense를 지닌 두 단어라 하
더라도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H. Putnam의 사고 실험)
뜻이 지시대상을 결정할
수 없다.
의미는 언어공동체의 역사에
의해 결정
• Putnam의 사고 실험
(야옹이와 고양이는 서로 다른 종이라고 가정)
• 단어
• sense
• 지시
대상
‘야옹이’
‘고양이’
동일한 방식으
로 개념화
동일한
sense
호랑이
고양이
몸과 마음(16)
• 자유의지(free will)
“By Liberty, then, we can only mean a power of acting or not act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s of the will; that is, if we choose to remain
at rest, we may; if we choose to move, we also may. Now this hypothetical
liberty is universally allowed to belong to everyone who is not prisoner
and in chain. Here, then, is no subject of dispute.”
(D. Hume,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몸과 마음(17)
• 자유의지의 문제
- Religion and science both call into question the very notion of free will, implying that our choices are
predetermined by factors beyond our control. So is our sense of free will an illusion?
초기 교부들
자유의지 부정. 자유의지는 신의 전지전능성과 충돌
Augustinus
신의 은총과 구원을 수용하는 문제만은 자유의지
Th. Aquinas
신은 전지하지만 피조물의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 어떤 예정도 없다.
16세기 종교개혁가들(루터, 칼뱅)
` 자유의지 부정. 신의 은총과 구원의 예정설 주장
17세기 이후 근대과학의 기계론적 철학(과학적 결정론)
인간의 행동은 육체에 의존하므로 인간의 선택은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