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7] Bradford Assay Bradford reagent는 염색제 포함된 강산 용액, 실험복&장갑 착용. Bradford Assay Cuvette 사용 시 빛이 지나가는 투명한 well 만지지 않도록 주의 ✌✊🖐 일단 측정 순서부터 정합시다 1. E tube에 standard sample 농도 별 5가지, unknown protein sample 준비. **Bradford reagent는 가장 마지막에, 앞 조 측정 시작할 때** B 1 2 3 4 5 1 mL 9.0 uL 8.0 uL 7.0 uL 5.5 uL 4.0 uL 0 uL Standard Protein (2 mg/mL) × 1.0 uL 2.0 uL 3.0 uL 4.5 uL 6.0 uL Unknown 10 uL Bradford Reagent × 990 uL 990 uL 990 uL 990 uL 990 uL 990 uL 3DW Unknown (6) 2. 실온 & 빛 차단 상태로 5 min inverting 3. 7개 각각 cuvette에 1 mL 전부 옮겨 담고 4. 1~5번 595 nm 흡광도 측정, 기록 ⇒ calibration curve 5. 6번 595 nm 흡광도 측정, 기록 6. 측정된 흡광도가 calibration curve 바깥에서 나오면, 범위 안으로 들어오도록 희석해서 다시 측정 On your table : bradford reagent On the front table : cuvettes To the bin : tips, tubes, samples, gloves Reagents & Apparatus - purified protein solution, MBP, 3DW Bradford reagent(Coomassie Brilliant Blue G-250, ethanol, phosphoric acid) - microtube, micro pipette, spectrometer, cuvette Results - Standard protein으로부터 얻은 calibration curve 도시 ⇒ 일차식 - 측정한 흡광도 값을 일차식에 대입해 미지 시료에 포함된 protein 농도(mg/mL) 계산 Discussion - Bradford assay 원리; Coomassie brilliant blue G-250, Beer-Larmbert law, 적용 가능 농도 범위 등 - Bradford reagent에 포함된 phosphoric acid의 역할은? - 높은 순도로 정제한 target protein sampl과 소량의 불순물 단백질이 섞여있는 target protein sample의 농도 측정 결과가 모두 1.00 mg/mL일 때 어떤 sample의 농도값이 target protein 농도의 참값에 더 가까울까? Target protein의 절대량이 다른 sample에서 같은 농도가 계산된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