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김서영

anatomy

advertisement
인체생리학 정리본
- 혈액 -
ⓑ 비과립구
단구
림프구
monocyte
lymphocyte
큰포식세포로 변화
특이적 면역에 관여
혈액의 기능
운반
산소, 이산화탄소
조절
체온, 이온, pH
방어
출혈 차단, 외부 방어
형태
혈액의 특징
온도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점성
물보다 점성, 응집력이
체온보다 높다.
강하다.
pH
혈액은 약염기성이다.
특징
혈장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
Albumin
삼투압 조절
Globulin
항체
fibrinogen
혈액 응고
혈장과 혈청
혈장
혈액응고인자 O
혈청
혈액응고인자 X
적혈구 ( erythrocyte )
1) 적혈구의 구조
유연성 증가
양오목원반형태
표면적 증가
( 혈액순환 용이 )
( 기체 운반 용이 )
미토콘드리아 X
삼투 변화에 강함
혈소판 ( Platelet )
포도당으로 혐기성 대사를 하기 때문
2) 혈소판의 기능 ⇨ 심한 출혈 발생 시 혈액 응고에 사용
2) 적혈구의 생성 과정
적혈구 이상
1) 혈소판의 생성 과정 ⇨ 적색 골수에 존재하는 거대핵세포의 세포질 조각
산소운반 X
저산소증 발생
EPO 생성
적혈구 생성
지혈 과정
ⓐ < 혈관 단계 > 혈관의 축소 ( vascular spasm, 혈관연축 )
+ EPO ( erythropoietin ) - 적혈구 형성 인자
ⓑ < 혈소판 단계 > 노출된 아교섬유에 혈소판 부착 ⇨ 혈소판 마개 ( platelet plug ) 형성
혈색소 ( hemoglobin, Hb )
1) 혈색소 구조
ⓒ < 응고 단계 > 섬유소원 fibrinogen ⇨ 섬유소 fibrin ⇨ 섬유소얼기 fibrin net-work ⇨ 피떡
헴 ( heme )
산소운반
( blood clot ) 발생
글로빈 ( globin )
이산화탄소 운반
ⓓ < 응고 단계 경로 >
2) 혈색소 재순환
특징
외인경로
조직에서 응고 발생
공통경로
섬유소원 > 섬유소
내인경로
혈소판 응고 발생
ⓐ 대식세포에서 아미노산, 헴으로 분리
ⓑ 헴에서 Fe2+ 분리, 트랜스페린이 Fe2+ 운반 ⇨ 적혈구 생산 시 사용
+ 외인경로와 내인경로가 발생하면 공통경로 발생
ⓒ 헴이 빌리루빈으로 변화하여 대소변으로 배출
ⓔ < 피떡 제거 단계 > 피떡 수축 ⇨ 손상 혈관 재건 ⇨ 섬유소용해로 인한 피떡 용해 ⇨ 지혈
ABO 혈액형
혈액형
항원
항체
A형
A 항원
anti-B
B형
B 항원
anti-A
AB형
A,B 항원
-
O형
anti-A,B
+ 조직플라스미노겐활성제 ( plasminogen activator, t-PA ) > 플라스민 ( plasmin ) / 피떡 분해
- 심장 심장의 순환
+ ( 동일 항원 + 동일 항체 ⇨ 응집반응 ⇨ 용혈 )
Rh 혈액형
+
Rh
Rh-
Rh 항원 O / Rh 항체 X
Rh 항원 X / Rh 항체 O
백혈구 ( leucocyte )
1) 백혈구의 특징
ⓐ 아메바 운동 ⓑ 혈관 누출 ⓒ 양성화학물질쏠림 발생 ⓓ 호중구, 호산구 포식작용
2) 백혈구의 종류
ⓐ 과립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neutrophil
eosinophil
basophil
형태
특징
허파순환
탈산화혈액 ( 파란 )
3~5엽
2엽
2엽
중성
산성
염기성
동맥
정맥
온몸순환
산화혈액 ( 빨강 )
심장에서 혈액이 나가는 혈관 / 산소 ↑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오는 혈관 / 산소 ↓
인체생리학 정리본
심장벽의 표면 구조
심장바깥막
장막심장막의 벽쪽층
심장속막
장막심장막의 내장쪽층
심장 끝
apex of heart, 위쪽
ⓐ
ⓑ
ⓓ
ⓔ
ⓒ
+ 심장의 속막과 바깥막은 이중막으로 안에는 공기가 차 있어 충격에서 심장을 보호하는 역할 담당
심장 판막 ( heart valve )
1) 심장 판막의 기능 ⇨ 심장이 수축할 때 혈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역류하는 것 방지
심전도 ( electrocardiogram )
2) 심장 판막의 종류
의의
종류
기능
방실판막
삼첨판, 이첨판
심실에서 심방으로의
반달판막
대동맥판막, 허파동맥판막
동맥에서 심실로의
혈액 역류 방지
혈액 역류 방지
종류
기록
P파
심장의 전기적 변화를 기록한 것
QRS 복합체
T파
P wave
심방의 탈분극
QRS complex
심실의 탈분극
T wave
심실의 재분극
형태
모양
심장주기 ( cardiac cycle )
관상동맥 ( coronary artery )
기능
심장근조직의 혈류 유지
심방 수축기
심실 수축기 1기
심실 수축기 2기
심실 확장기 전기
심실 확장기 후기
심방 수축 ⇨ 심실이 혈액으로 채워짐
심실압 > 심방압 ⇨ 방실판막 닫힘
심실압 > 동맥압 ⇨ 반달판막 열림, 혈액이 동맥으로 나감
심실압 < 동맥압 ⇨ 반달판막 닫힘
심실압 < 심방압 ⇨ 방실판막 열림,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로 흐름
형태
심장뼈대 ( cardiac skeleton )
기능
심장 판막 고정, 심방과 심실의 근육 조직 분리
심장의 활동전위
1) 심장근세포의 활동전위 과정
ⓐ < 빠른 탈분극 > Na⁺의 빠른 유입
ⓑ < 정점 지속 > Ca²⁺의 유입 ( 세포외액애서 유입 )
ⓒ < 재분극 > K⁺ 손실 ( 칼륨통로 닫힘으로 인해 )
심장 박동
1) 심장동력학과 심장박출량
2) 심장과 골격근의 활동전위 차이
심장
골격근
심장동력학
심장박출량
일회박출량
심장이 수축하는 동안 발생하는 움직임과 힘
1회 박동으로 심실에서 방출된 혈액의 양
말초조직에 도달한 혈류의 양
2) 심장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심장의 수축 자극 전달
ⓐ 굴심방결절에서 자극 발생 ⇨ 심방 활성화
ⓑ 자극이 표면을 따라 방실결절 도달
ⓒ 방실다발에 도착하며 심방 수축 시작
ⓓ 자극이 다발갈래로 이동하여 심장속막밑가지에 도달
ⓔ 자극을 심실 전체에 전달, 이때부터 심방 수축 완료 ⇨ 심실 수축 시작
ⓐ < 혈액량반사 > 다른 조직에서 혈액이 부족해지면 혈액량반사로 심장박동수 증가
ⓑ < 자율신경분포 > 교감신경계 ⇨ 수축력 향상 / 부교감신경계 ⇨ 수축력 감소
ⓒ < 호르몬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갑상샘 호르몬, 글루카곤 ⇨ 수축력 향상
+ 교감신경계 < epinephrine, norepinephrine > 부교감신경계 < acetylcholine >
인체생리학 정리본
모세혈관을 통한 물질의 이동
- 혈관과 순환 ⓐ 세동맥 ⇨ 모세혈관으로 체액이 이동
혈관벽의 구조
속막
중간막
아교질 + 탄력섬유 ⇨
내피 + 바닥막 + 탄력섬유
민무늬근조직
ⓑ 모세혈관정수압 > 조직 세포의 삼투압 ⇨ 모세혈관 > 조직 세포로 체액 여과
바깥막
아교섬유 + 주변의 섬유
ⓒ 모세혈관정수압 = 조직 세포의 삼투압 ⇨ 물질이동 X
ⓓ 모세혈관정수압 < 조직 세포의 삼투압 ⇨ 조직 세포 > 모세혈관으로 체액 흡수
ⓔ 재흡수된 체액이 세정맥으로 이동
+ 모세혈관정수압 ( CHP ) / 혈액 삼투압 ( BOP )
혈관의 종류
1) 동맥
탄력형동맥 (대)
중간막 ⇨ 탄력섬유
근육형동맥 (중형)
중간막 ⇨ 민무늬근
세동맥
중간막 ⇨ 민무늬근세포
급격한 혈압 변화 방지
골격근, 내부에 혈액 분배
국소적인 혈관 지름 변화
대정맥
탄력섬유 + 아교섬유
중형정맥
탄력섬유 + 민무늬근
세정맥
민무늬근세포로 구성
혈압 조절
골격근, 내부에 혈액 분배
국소적인 혈관 지름 변화
2) 정맥
순환 조절
1) 자동조절
모세혈관이전조임근
혈관확장제 ( vasodilator )
혈관수축제 ( vasoconstrictor )
국소적인 혈류 조절
모세혈관이전조임근의 이완 촉진
모세혈관이전조임근의 수축 유발
3) 모세혈관
2) 신경기전
내피세포와 바닥막으로 구성, 적혈구와 지름 유사, 물질 교환 발생
모세혈관이전조임근
동정맥연결
수축 ⇨ 지름 좁아져 혈류 감소
세동맥과 세정맥을 모세혈관 없이 연결
이완 ⇨ 지름 넓어져 혈류 증가
소통
분배
이동
방어
모세혈관의 기능
혈장과 사이질액 사이의 소통 유지
영양분, 호르몬, 기체 등을 조직으로 분배
불용성지질과 조직 단백질 이동 도움
질병에 대한 면역 인자들에게 독소와 화학 자극제 전달
ⓐ 압력수용기반사 ( 목동맥팽대 / 대동맥활 / 오른심방의 벽 )
· 혈압 상승 ⇨ 심장촉진중추 억제 ⇨ 혈관운동중추 억제 = 심장박출량 감소 + 말초혈관 확장
· 혈압 감소 ⇨ 심장촉진증추 활성 ⇨ 혈관운동중추 활성 = 심장박출량 증가 + 말초혈관 수축
ⓑ 화학수용기반사 ( 목동맥토리 / 대동맥토리 / 숨뇌 표면 )
· pH나 혈장 O₂가 떨어지고 CO₂가 올라가면 활성화
· 심장촉진중추, 혈관운동중추 자극 ⇨ 동맥압 상승 ⇨ 혈류 증가 ⇨ 호흡수 증가
혈류에 영향을 주는 인자
압력
압력기울기가 압력의 크기보다 중요
혈관저항
혈액과 혈관벽의 마찰
점성
점성으로 인한 압력 방해
소용돌이흐름
저항 증가로 혈액 속도 ⇩
저항
+ 압력과 저항은 상호작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조절
혈압 ( cardiovascular pressure )
1) 순환압 ( circulatory pressure )
대동맥의 시작 부분과 오른심방의 입구에서 생기는 가장 큰 압력기울기
에피네프린 ( E )
노르에피네프린
심장박출량과 말초혈관수축 자극 ⇨ 순환계 조절
( NE )
항이뇨호르몬 ( ADH )
안지오텐신 Ⅱ
알도스테론
적혈구형성인자
심방나트륨이뇨펩티드
( ANP )
혈액량 부족 ⇨ 콩팥에서 물을 보존 ⇨ 소변 배출 X
말초혈관 수축 ⇨ 혈압 상승
심장박출량 증가 + 혈압 상승 + ADH와 알도스테론 분비 자극
나트륨이온 보존, 칼륨이온 소실 ⇨ 물이 소모되는 것 제한
적혈구의 생산 자극 ⇨ 혈액량 증가, 혈액의 산소운반용량 향상
혈압 증가 ⇨ ANP 분비 ⇨ 혈액량과 혈압 감소
혈압 감소
2) 동맥압 ( arterial pressure )
수축기압
확장기압
맥압
맥박
3) 내분비기전
혈압 상승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ADH,
심실수축기 동안 측정된 최고 혈압
심실확장기 끝의 최저 혈압
수축기압과 확장기압의 차이
심장박동 시 압력의 진동
안지오텐신Ⅱ, 알도스테론, 적혈구형성인자
심방나트륨이뇨펩티드
운동과 순환계통
운동 ⇨ 혈관 확장 ⇨ 혈류 증가 ⇨ 정맥환류 증가 ⇨ 호흡수 증가 ⇨ 심장박출량 증가
3 ) 정맥압 ( venous pressure )
+ 심장박출량 증가 원인 ⓐ 심실 신장에 확장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 ( 프랭크-스탈링 원리 )
ⓑ 심방 확장에 대한 반사적인 반응
정맥압을 향상시키는 요인
근육 압박
호흡펌프
정맥 주변 골격근이 수축 ⇨ 정맥 압박
날숨을 통해 가슴안 압력 증가 ⇨ 대정맥 압박
출혈과 순환계통
+ 혈액 소실과 혈압 감소를 응고반응으로 막지 못하면 순환계통이 조정
4) 모세혈관압 ( capillary pressure )
모세혈관을 통한 물질의 이동 요인
확산
여과
재흡수
이온이나 분자가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
용액이 구멍이 있는 막을 지나면서 용질이 제거
삼투로 인하여 발생
혈압 상승
혈압 감소 ⇨ 목동맥반사와 대동맥반사 ⇨ 심장박출량 증가
(단기)
혈액량 회복
정맥환류 증가 ⇨ 말초혈관 수축
사이질액에서 모세혈관으로 체액 회수 ⇨ ADH + 알도스테론 ⇨
(장기)
콩팥에서 체액이 여과되지 않게 재흡수 촉진 ⇨ 혈액량 감소 방지
인체생리학 정리본
허파순환
1) 허파순환의 의의
허파세동맥의 허파꽈리를 둘러싼 모세혈관망에서 기체교환이 발생
2) 허파순환 기체교환 순서
허파동맥에서 산소가 소모된 혈액이 허파로 이동 ⇨ 허파꽈리의 모세혈관에서 기체교환 발생 ⇨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세정맥에서 허파정맥으로 이동 ⇨ 왼심방으로 이동하여 허파순환 종료
체동맥
척추동맥
오른온목동맥
빗장밑동맥
right common
vertebral
팔머리동맥
carotid
겨드랑동맥
brachiocephalic
subclavian
axillary
trunk
오름대동맥
위팔동맥
노동맥
자동맥
오금동맥
ascending aorta
brachial
radial
ulnar
popliteal
뒤정강동맥
종아리동맥
발등동맥
앞정강동맥
넙다리동맥
posterior tibial
fibular
dorsalis pedis
anterior tibial
femoral
깊은넙다리동맥
바깥엉덩동맥
속엉덩동맥
온엉덩동맥
허리동맥
deep femoral
external iliac
internal iliac
common iliac
lumbar
콩팥동맥
복강동맥
내림대동맥
대동맥활
왼온목동맥
renal
celiac trunk
descending aorta
aortic arch
간문맥계통
간문맥계통 특징
1) 소화기관과 연결되어 간으로 가는 혈관, 소화계통에서 흡수한 영양분을 간으로 전달
2) 일반 순환계 혈액과 직접 섞이지 않는다
left common
carotid
오른노동맥
오른자동맥
아래팔, 노쪽에 혈액 공급
아래팔, 자쪽에 혈액 공급
체정맥
척추정맥
바깥목정맥
속목정맥
오금정맥
vertebral
external jugular
internal jugular
popliteal
종아리정맥
fibular
앞정강정맥
뒤정강정맥
넙다리정맥
깊은넙다리정맥
바깥엉덩정맥
anterior tibial
posterior tibial
femoral
deep femoral
external iliac
속엉덩정맥
온엉덩정맥
허리정맥
아래대정맥
internal iliac
common iliac
lumbar
inferior vena cava
+ 자세한 위치는 P 398 ~ P 399 참고해서 외우기
간정맥
간문맥
hepatic
hepatic portal
목과 뇌 동맥
태아와 모체의 순환계
1) 온목동맥 ( common carotid )
1) 배아의 허파
배아의 허파는 찌그러진 상태로 호흡기능을 하지 않고, 배아의 소화관도 소화기능을 하지 않음
바깥목동맥
속목동맥
external carotid
internal carotid
2) 태반
모체와 태아의 순환계통이 맞닿아 있는 구조물, 배아에게 영양분과 호흡이 확산되어 공급됨
3) 태아 순환
ⓐ 태반 ⓑ 탯줄 ( 배꼽정맥 ) ⓒ 간 ⓓ 우심방 - 좌심방 ( 타원구멍으로 연결 ) ⓔ 심실
ⓕ 좌심방 ( 태반 호흡 ) ⓖ 대정맥 ⓗ 탯줄 ⓘ 태반
4) 출생 시 순환 변화
동맥관 민무늬근 수축 ⇨ 허파동맥, 대동맥 분리 ⇨ 왼심방 압력 ↑ ⇨ 판막판이 타원구멍 닫음
2) 뇌 동맥
속목동맥
중간대뇌동맥
internal carotid
middle cerebral
뒤대뇌동맥
뇌바닥동맥
척추동맥
basilar
vertebral
posterior
cerebral
3) 대뇌동맥고리 ( cerebral arterial circle )
앞교통동맥
anterior
communicating
앞대뇌동맥
anterior cerebral
뒤교통동맥
posterior
communicating
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 대뇌동맥고리는 좌반구와 우반구를 연결
- 림프계통과 면역 + 팔오금중간정맥 ( median cubital ) ⇨ 채혈에 주로 사용됨
면역 ( Immunity )
면역
특이적면역 = 후천면역
감염과 질병에 대항하는 능력
비특이적면역 = 선천면역
인체생리학 정리본
림프계통
편도
tonsil
가슴샘
thymus
지라
spleen
T cell
세포매개면역
막창자꼬리
appendix
B cell
체액면역, 항체매개면역
후천면역의 특성
ⓐ 특이성 ⇨ 특정 항원에 의해 특이 방어기전 활성화 ( 항원인지로 인한 특이성 발생 )
ⓑ 다양성 ⇨ 항원에 결합하는 수용체가 각각 다르고 항체의 구조도 제각각임
ⓒ 기억 ⇨ memory cell을 통한 면역 기억 활성화
ⓔ 관용 ⇨ 특정 항원에 대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음 ( = 면역관용 )
T cell 면역
1) T cell 종류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cell
도움 T 세포
helper T cell
기억 T 세포
memory T cell
억제 T 세포
regulatory T cell
2) 세포독성 T 세포
· 세포매개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Class Ⅰ MHC에 결합한 항원에 노출되면 활성화, CD8 존재
· 표적세포를 파괴하는 방법
ⓐ 퍼포린 분비 ⇨ 표적세포의 세포막 파괴
1) 림프계통의 기능
ⓑ 사이토카인 분비 ⇨ 세포자멸사 자극
ⓒ 림프독소 분비 ⇨ 세포대사 파괴
ⓐ 림프구의 생산, 유지, 분배
ⓑ 말초조직의 조직액을 순환계통으로 운반
· 세포독성 T 세포 활성화
ⓒ 조직에서 생성된 호르몬, 영양소, 노폐물을 혈액으로 운반
ⓐ Class Ⅰ MHC 항원을 인식 ⇨ ‘ 항원인식 ’
2) 림프관 ( lymphatic vessel )
ⓑ 항원인식을 통해 활성 세포독성 T 세포와 비활성 기억 T 세포 생성
말초조직에서 정맥계통으로 림프 운반, 판막 존재
+ MHC ⇨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주조직적합성복합체 ( 감염된 숙주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 )
3) 림프구 ( lymphocyte )
세포매개면역
T cell
(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직접 공격 )
항체매개면역
B cell
( 형질세포로 분화하여 항체 생산 )
면역감시
NK cell
( 말초조직 감시 = 면역감시 )
4) 림프구 형성
적골수 ⇨ 혈구모세포 ⇨ 림프줄기세포 ⇨ NK cell, B cell 생성 ⇨ 말초조직
⇨ 가슴샘 ⇨ 림프줄기세포 ⇨ T cell ⇨ 말초조직
림프조직 ( lymphatic tissue )
림프조직
성긴결합조직 + 림프구
림프소절
섬유피막이 없는 림프조직 덩어리
3) 도움 T 세포
림프기관 ( lymphoid organ )
· Class Ⅱ MHC에 결합한 항원에 노출되면 활성화, CH4 maker 존재
림프절
가슴샘
비장
lymph node
섬유피막으로 둘러싸임
thymus
사이토신 분비
Spleen
비정상 혈구 제거
· 도움 T 세포의 활성화
ⓐ 불활성화 B 세포 ⇨ 항원과 결합 ⇨ 감작된 B 세포와 도움 T 세포 결합 ⇨ B 세포 활성화
ⓑ 감작된 B 세포 ⇨ 비활성 기억 B 세포로 분화
비특이적방어
몰리적 장벽
병원체
포식세포
세포파편과
면역감시
NK cell가
열
조직대사와
접근·침입 방지
병원체를 제거
비정상세포 파괴
방어활동 촉진
도움체계통
세포를 파괴, 항체 작용
염증반응
비만세포가 히스타민
인터페론
감염세포가 분비, 주변
도움, 염증 촉진
분비해서 염증 발생
정상 세포 보호
염증반응 ( inflammation )
1) 염증 부위에 혈류 증가
2) 포식세포 활성화
3)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4) 도움체 활성화
5) 응고기전에 의한 염증 부위 격리
6) 국소적인 온도 상승
4) 기억 T 세포
7) 적응방어 활성화
· 활성화된 세포독성 T 세포가 생성될 때 일부 비활성화 상태로 생성
면역의 종류
후천면역 ( 능동면역 )
자연
인공유도
수동면역
자연획득
인공유도
획득면역
수동면역
항원 노출
시 활성화
능동면역
질병 예방
목적의 항원
투여
모체의
항체가 전달
수동면역
감염에
대항하는
항체 투여
선천면역
· 같은 항원에 노출 시 세포독성 T 세포와 도움 T 세포로 분화하여 빠르고 강한 면역 반응 유발
5) 억제 T 세포
위험에 노출되거나 항체가
만들어진 적 없음
· Class Ⅰ MHC 항원 노출에 의해 생성되며 CD8 maker 소지
· T세포와 B세포의 반응을 억제하여 면역반응이 너무 심하게 일어나는 것을 제한
인체생리학 정리본
B cell 면역
1) 항원노출에 대한 B 세포의 반응
호흡계통의 기능
1) 넓은 면적의 기체교환면을 통해 공기와 혈액의 기체를 교환
2) 공기를 허파의 기체교환면으로 들여보내거나, 몸 밖으로 내보냄
ⓐ < 민감화 > 항원이 B 세포의 항체와 결합하여 세포내이입에 의해 B 세포 안으로
유입된 후 Class Ⅱ MHC 단백질에 결합하여 세포로 운반되는 것
3) 기체교환면의 탈수와 온도변화를 방지하고, 병원체의 침입을 막음
4) 소리를 내어 말, 노래 등의 신호음을 만들 수 있음
5) 코안의 후각수용기에서 후각을 감지하도록 도움
ⓑ < 활성화 > MHC와 도움 T 세포로 인해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면 활성화가 촉진
호흡계통의 구성
ⓒ < 분열 > 사이토카인의 분비로 인해 B 세포 분열 시작
ⓓ < 분화 > 분열을 통해 형질세포와 기억 B 세포로 분화
상부호흡계통
하부호흡계통
후두,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코, 코안, 코곁굴, 인두
작은세기관지, 허파꽈리
항체의 구조
항체의 기능
ⓐ < 중화 > 세균 독소와 결합하여 세포에 부착하지 못하게 함
ⓑ < 침전 > 항원과 결합하여 복합체 만들었을 때 ( 결집력 ↓ )
호흡계통의 구조
1) 코안과 인두의 시상단면
ⓒ < 응집 > 큰 복합체 형성 ( 결집력 ↑ )
ⓓ < 도움체 활성화 > 도움체와 결합하여 항원 파괴
ⓔ < 포식세포 유인 > 항원항체복합체의 경우 큰포식세포 유인
ⓕ < 포식작용 증강 > 병원체+항체+도움체 단백질 = 포식작용 활성화 ( = 옵소닌화 )
ⓖ < 염증 촉진 > 염증을 통해 감염이 다른 조직으로 퍼지는 것 늦춰줌
항원 노출에 대한 일차반응과 이차반응
2) 후두와 성대의 구조
면역계통의 호르몬
인터루킨
인터페론
종양괴사인자 ( TNF )
포식세포조절인자
집락자극인자 ( CSF )
면역계통에서 가장 다양한 화학전령물질
주위 세포들의 바이러스 저항력 상승시켜 전파 늦춤
암의 성장을 늦추고 일부 암세포 죽임
포식세포의 활성 조절, 특이방어와 비특이방어 제어
골수의 혈액세포 생성 촉진, 림프구 생성 촉진
3) 기관의 구조
면역질환
1) 자가면역질환
자신의 정상 세포와 조직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것
2) 면역결핍질환
면역계통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았거나 어떤 이유로 면역반응이 차단된 상태
3) 알레르기
항원에 대해 지나치게 강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것, 즉시과민과 지연과민이 존재
- 호흡계통 + < 기관연골 > 기관이 오그라들거나 팽창하지 않게 유지
인체생리학 정리본
기관지의 구조
허파환기
허파부피와 허파용량
일회호흡량
일회 호흡 시
공기 부피
최소잔기량
허파가 오그라
온허파용량
들숨예비량 +
들었을 때
최소잔기량
남은 공기 부피
폐활량
들숨예비량 +
잔기량
숨을 최대로
날숨예비량 +
내쉰 후 남은
일회호흡량
공기 부피
허파꽈리의 구조
1형허파꽈리세포
단층편평상피
2형허파꽈리세포
표면활성제 분비
꽈리큰포식세포
큰포식세포 = 먼지세포
허파의 구조
오른허파
위엽 / 중간엽 / 아래엽
왼허파
위엽 / 아래엽
산소운반
Hb + O₂ ó HbO₂
이산화탄소 운반
1) 혈장에 의한 운반 ⇨ 혈장에 녹아서 운반
2) 혈색소와 결합하여 운반 ⇨ Hb + CO₂
3) 탄산을 형성하여 운반 ⇨ CO₂ + H₂O = H₂CO₃ ( 탄산 )
+ 탄산의 경우 H⁺ + HCO₃⁻로 분해되고 Cl⁻가 체내로 들어와 서로 교체되고 CO₂가 배출될 때 다시 맞교환
외호흡
1) 외호흡 ⇨ 세포외액과 대기 사이에서 산소, 이산화탄소 교환
2) 외호흡의 과정
ⓐ < 허파환기 > 허파로 공기가 들어오거나 허파의 공기가 밖으로 배출
ⓓ < 기체확산 > 혈액공기장벽을 통해 허파꽈리와 모세혈관 기체교환 발생
내호흡
호흡의 조절
1) 내호흡 ⇨ 세포들이 산소 흡수, 이산화탄소 배출
1) 국소 호흡조절
2) 내호흡의 과정
말초조직의 활성 증가 ⇨ Po₂ 낮아짐, Pco₂ 높아짐 ⇨ 산소 공급 + 이산화탄소 제거량 증가
ⓐ < 기체운반 > 혈류를 따라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2) 뇌 호흡중추 조절
수의, 불수의조절 다 가능, 불수의호흡중추 ⇨ 호흡근육 조절 ⇨ 호흡수, 호흡깊이 변화
순응도
3) 반사 호흡조절
< 순응도 > 허파의 탄력성과 팽창능력 ( 슨응도가 좋을수록 허파가 건강 )
ⓐ 기계수용기 반사 ⓑ 화학수용기 반사
인체생리학 정리본
4) 호흡의 기본 조절 기전
< DRG > dorsal respiratory group 등쪽호흡그룹
< VRG > ventral respiratory group 배쪽호흡그룹
5) 고위중추의 호흡 조절
ⓐ 고위중추 구성 요소
대뇌겉질
둘레계통
시상하부
ⓑ 호흡조절 기전
고위중추 ⇨ 다리뇌 ⇨ 숨뇌 ⇨ 호흡조절
출생 시 호흡 변화
출생 시 가로막과 바깥갈비사이근의 수축으로 첫 숨을 들이마시고 날숨 발생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