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laksjdtjdh

전자기학 솔루션 (김세윤 3판)

advertisement
“전자기학(개정판)” 연습문제 풀이집
-2
[ 투자율 ] ⋅[ 자계 ] = ( m⋅kg⋅s
⋅A
-2
= kg⋅s
-2
)⋅( m
-1
⋅A )
-1
⋅A
= [ 자속밀도 ]
제 2 장 연습문제 풀이
문제 2-4 표 2-2와 2-3으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 유전율 ] ⋅[ 전계 ]
2
문제 2-1 표2-3으로부터 유전율과 투자율을 기본단위로 나타내면
[ 유전율 ] = m
-3
⋅kg
-1
4
⋅s ⋅A
-2
[ 투자율 ] = m⋅kg⋅s
⋅A
=m
2
[ 투자율 ] ⋅[ 자계 ]
(m
-3
⋅kg
-1
4
2
-2
⋅s ⋅A )⋅( m⋅kg⋅s
⋅A
-2
)
m
-1
4
2
-3
⋅s ⋅A )⋅( m⋅kg⋅s
-1
-2
2
-2
⋅kg⋅s
÷
3
) (m )
0
2
⋅kg ⋅s ⋅A
-2
= ( m⋅kg⋅s
⋅A
-1
-2
0
2
-2
-2
)⋅( m
-1
⋅A )
⋅kg⋅s
= ( m ⋅kg⋅s
1
-2
2
=m
1
=
⋅kg
= [ 단위부피당 에너지 밀도 ]
-2
=
-3
= ( m ⋅kg⋅s
이다. 따라서 유전율과 투자율을 곱한 값의 역수에 제곱근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1
[ 유전율 ] ⋅[ 투자율 ]
= (m
÷
3
) (m )
= [ 단위부피당 에너지 밀도 ]
-1
= m⋅s
= [ 속도 ]
문제 2-5 표 2-2와 2-3으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m kg s
A
÷m
전계 ÷ 자계
문제 2-2 표2-3으로부터 유전율과 전계를 기본단위로 나타내면
[ 유전율 ] = m
-3
⋅kg
-1
4
⋅s ⋅A
[
]
[
] = (
⋅
-3
⋅
-1
-3
⋅A
-2
⋅
2
= m ⋅kg⋅s
2
) (
-1
⋅A )
= [ 저항 ]
-3
[ 전계 ] = m⋅kg⋅s
-1
⋅A
[ 전압 ]
이다. 따라서 유전율과 전계를 곱한 값의 단위는 다음과 같다.
[ 유전율 ] ⋅[ 전계 ] = ( m
=m
-3
⋅kg
-1
4
2
[ 자계 ] = m
2
-3
] = ( m ⋅kg⋅s
⋅A
-1
)
⋅A
-3
= m ⋅kg⋅s
-3
⋅s ⋅A )⋅( m⋅kg⋅s
⋅A
-1
÷
) A
-2
= [ 저항 ]
-2
⋅s⋅A
문제 2-3 표2-3으로부터 투자율과 자계를 기본단위로 나타내면
-2
[
2
= [ 전속밀도 ]
[ 투자율 ] = m⋅kg⋅s
÷ 전류
⋅A
문제 2-6 표 2-5를 이용하여 평균속력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m
μm
v
m s
ns
× s
=
0.4
200
=
0.4 10
-6
200 10
-9
= 2
/
-2
-1
⋅A
이다. 따라서 유전율과 전계를 곱한 값의 단위는 표 2-2에서 다음과 같다.
문제 2-7 표 2-5에서 주파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f
GHz
× Hz
문제 2-8 표 2-5와 2-2를 이용하여 입자가 받는 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2.45
= 2.45 10
9
F = [ 전하량 ] ⋅[ 전계 ] = ( 20 μC )⋅( 0.6 MV/m )
2
⋅A
-1
)
2
×
= ( 20 10
-6
×
6
C )⋅( 0.6 10 V/m )
=6
으로,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A× B × C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B× C
x̂ ŷ
ẑ × x̂ ŷ ẑ
x̂× ŷ ẑ
ŷ× x̂ ẑ
ẑ× x̂ ŷ
= 12 C V/ m
= 12 N
문제 2-9 (a) A B
x̂ - 4 ŷ + 12 ẑ ) + ( x̂ + ŷ - 2 ẑ ) = 4 x̂ - 3 ŷ + 10 ẑ
(b) A - B = ( 3 x̂ - 4 ŷ + 12 ẑ ) - ( x̂ + ŷ - 2 ẑ ) = 2 x̂ - 5 ŷ + 14 ẑ
(c) A + 3 B = ( 3 x̂ - 4 ŷ + 12 ẑ ) + 3( x̂ + ŷ - 2 ẑ ) = 6 x̂ - ŷ + 6 ẑ
(d) | A | = 3 + ( - 4) + 12 = 169 = 13
+
문제 2-10
2
2
A ⋅ B = ( 2 x̂ + 3 ŷ - ẑ )⋅( x̂ + ŷ - 2 ẑ ) = 2 + 3 + 2 = 7
(b) B ⋅ A = ( x̂ + ŷ - 2 ẑ )⋅( 2 x̂ + 3 ŷ - ẑ ) = 2 + 3 + 2 = 7
(c) A × B = ( 2 x̂ + 3 ŷ - ẑ )× ( x̂ + ŷ - 2 ẑ )
= 2 x̂× ( x̂ + ŷ - 2 ẑ ) + 3 ŷ× ( x̂ + ŷ - 2 ẑ ) - ẑ × ( x̂ + ŷ - 2 ẑ )
= 2 ( ẑ + 2 ŷ ) + 3 ( - ẑ - 2 x̂ ) - ( ŷ - x̂ )
= - 5 x̂ + 3 ŷ - ẑ
(d) B × A = ( x̂ + ŷ - 2 ẑ )× ( 2 x̂ + 3 ŷ - ẑ )
(a)
(
)
= (6
+ 24
+ 21
) (3
-
+2
)
=6
(-
+2
) + 24
(3
+2
) + 21
(3
-
)
ẑ - 2 ŷ ) + 24 ( - 3 ẑ + 2 x̂ ) + 21 ( 3 ŷ + x̂ )
= 69 x̂ + 51 ŷ - 78 ẑ
= 6 (-
= (3
2
x̂ + 24 ŷ + 21 ẑ
문제 2-12 AB
= ( 1 - 3)
AC = ( 4 - 3)
x̂ + ( 3 - ( - 1)) ŷ + ( 3 - ( - 6)) ẑ = - 2 x̂ + 4 ŷ + 9 ẑ
x̂ + ( - 1 - ( - 1)) ŷ + ( - 9 - ( - 6)) ẑ = x̂ - 3 ẑ
따라서 삼각형 ABC의 면적 S 는 위의 두 벡터를 외적한 값의 절대값의 반으로 다음과 같다.
x̂ + 4 ŷ + 9 ẑ )×( x̂ - 3 ẑ ) |
S=
1
| (-2
2
=
1
|-2
2
=
1
|-2(3
2
=
1
| - 12
2
=
1
2
x̂×( 2 x̂ + 3 ŷ - ẑ ) + ŷ×( 2 x̂ + 3 ŷ - ẑ ) - 2 ẑ×( 2 x̂ + 3 ŷ - ẑ )
= ( 3 ẑ + ŷ ) + ( - 2 ẑ - x̂ ) - 2 ( 2 ŷ - 3 x̂ )
= 5 x̂ - 3 ŷ + ẑ
x̂× ( x̂ - 3 ẑ ) + 4 ŷ× ( x̂ - 3 ẑ ) + 9 ẑ× ( x̂ - 3 ẑ ) |
ŷ ) + 4( - ẑ - 3 x̂ ) + 9× ( ŷ ) |
x̂ + 3 ŷ - 4 ẑ |
=
문제 2-11 (a) A B× C 에서 먼저 B× C 를 구하면
B× C
x̂ ŷ ẑ × x̂ ŷ ẑ
x̂× x̂ ŷ ẑ ŷ × x̂ ŷ
⋅(
)
= (2
+3
-4
=2
(3
-
) (3
-
+2
)
(3
-
ẑ ) - 4 ẑ× ( 3 x̂ - ŷ + 2 ẑ )
= 2 ( - ẑ - 2 ŷ ) + 3 ( - 3 ẑ + 2 x̂ ) - 4 ( 3 ŷ + x̂ )
= 2 x̂ - 16 ŷ - 11 ẑ
으로, 앞의 결과를 이용하여 A⋅( B× C )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 B× C ) = ( 5 x̂ - 3 ŷ + 2 ẑ )⋅( 2 x̂ - 16 ŷ - 11 ẑ )
+2
)+ 3
+2
= 5⋅2 - 3 ⋅( - 16) + 2⋅( - 11)
= 36
(b)
A× B× C 에서 먼저 A× B 를 구하면
A × B = ( 5 x̂ - 3 ŷ + 2 ẑ )× ( 2 x̂ + 3 ŷ - 4 ẑ )
= 5 x̂× ( 2 x̂+ 3 ŷ - 4 ẑ ) - 3 ŷ× ( 2 x̂ + 3 ŷ - 4 ẑ ) + 2 ẑ × ( 2 x̂ + 3 ŷ - 4 ẑ )
= 5 ( 3 ẑ + 4 ŷ ) - 3 ( - 2 ẑ - 4 x̂ ) + 2 ( 2 ŷ - 3 x̂ )
2
2
( - 12) + 3 + ( - 4)
= 6.5 cm
2
2
문제 2-13 두 벡터가 수직할 경우 두 벡터의 내적이 0이어야 한다. 따라서
A ⋅ B = ( 10 x̂ - 6 ŷ + 4 ẑ )⋅( 3 x̂ + ŷ - α ẑ ) = 30 - 6 - 4 α = 24 - 4α = 0
을 만족해야 하므로 α
문제 2-14 벡터 B
=2
=6
이다.
x̂ - 3 ŷ - ẑ 에 평행한 성분벡터 A t 는
A t = α ( 2 x̂ - 3 ŷ - ẑ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성분벡터 A n 은
A n = A - A t = ( 2 - 2α ) x̂ + ( - 11 + 3α) ŷ + ( - 5 + α) ẑ
이다. 그런데 성분벡터 A n 은 벡터 B 에 수직해야 하므로
B⋅ A n = [ 2 x̂ - 3 ŷ - ẑ ]⋅[ ( 2 - 2α ) x̂ + ( - 11 + 3α) ŷ + ( - 5 + α) ẑ ]
 sin θ cos φ
 Br 
 B  =  cos θ cos φ
 θ 
 - sin φ
 Bφ 
= 2⋅( 2 - 2α ) - 3⋅( - 11 + 3α ) - ( - 5 + α )
sin θ sin φ
cos θ
  Bx
0


  Bz 
- sin θ 
  B y 
cos θ sin φ
cos φ
= 42 - 14 α
= 0
인데, 위의 식을 만족하려면 α
A n 은 각각 다음과 같다.
=3
이어야 한다. 따라서 평행하는 성분벡터 A t 와 수직하는 성분벡터
5 cos θ
- 5 sin θ

2
2

sin φ
cos φ

r sin θ
r sin θ

A n = A - A t = ( 2 - 6 ) x̂ + ( - 11 + 9) ŷ + ( - 5 + 3) ẑ = - 4 x̂ - 2 ŷ - 2 ẑ
=
+
2
+3
x̂ + ( ρ sin φ) ŷ + 3 ẑ 와 같으므로 이를 식 (2.15)
2
= ρ cos φ
 cos φ
 Aρ 
 A  =  - sin φ
 φ 

0
 Az 
 cos φ
= 
 - sin φ

0
sin θ sin φ
sin φ





= 
 - 5 sin θ

1

r sin θ
에 대입하







문제 2-16 (a) 식 (2.16)을 이용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0   Ax
cos φ 0 
  A y 


0
1   Az 
sin φ
5 cos θ

cos θ





= 

A t = 3 ( 2 x̂ - 3 ŷ - ẑ ) = 6 x̂ - 9 ŷ - 3 ẑ
문제 2-15 (a) A x x̂ y ŷ ẑ
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in φ

 r sin θ
 

cos φ
cos θ sin φ - sin θ 
  r sin θ

cos φ
0

5
 sin θ cos φ
= 
 cos θ cos φ
 - sin φ
 cos φ
 Ax
 A y  =  sin φ


 0
 Az 
- sin φ
 cos φ
- sin φ
ρ cos φ 
cos φ 0 
  ρ 2 sin 2φ 

0
1 
3
0 
0
  A φ 

0   z cos φ 
0
  ρ sin φ 
2
cos φ
0

1   Az 
0
= 
 sin φ

0   Aρ 
cos φ
1 
0
2
 z cos φ - ρ
2
sin
2

4ρ
φ 
 ( z + ρ ) sin φ cos φ 
= 
2
2


ρ cos φ + ρ sin φ
 - ρ sin φ cos φ + ρ 2 sin 2φ cos φ 
= 




3
그런데
z = r cos θ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
=
2
2
r sin θ sin φ
2
2
r sin θ
sin φ
r sin θ
2
2
φ
x̂ - rcos
ŷ + 5 ẑ
sin θ
인데, 위의 결과를 식 (2.17)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os φ =
,
x
ρ
2
, ρ=
x +y
2
이므로 이들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A = ( x x+zy - y ) x̂ + ( xxyz
+ xy ) ŷ + 4 x + y ẑ
+y
2
2
2
θ cos φ
x̂ - r sin
ŷ + 5 ẑ
r sin θ
y
ρ
이어서 벡터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 x +y y x̂ - x +x y ŷ + 5 ẑ
2
sin φ =


4ρ
2

x z
2 
 x2 + y 2 - y 





 Ax
 A y  =  2xyz 2 + xy 
 x + y






 Az 
 4 x2 + y 2 
 ρ ( cos 2φ + ρ sin 3φ ) 
 ρ sin φ cos φ ( ρ sin φ - 1) 
= 


3
(b) x = r sin θ cos φ , y = r sin θ sin φ ,
2


3
(b)
2
2
2
2
2
식 (2.18)을 이용하면
 sin θ cos φ
 Bx
 B y  =  sin θ sin φ



cos θ
 Bz 
cos θ cos φ
 sin θ cos φ
cos θ cos φ
= 
 sin θ sin φ

cos θ
cos θ sin φ
- sin θ
- sin φ   B r 
cos φ
0
  B 
  θ 
  Bφ 
2

r
  0 


  sin θ 
- sin φ  
cos θ sin φ
cos φ
- sin θ
0
2
 r 2 sin θ cos φ - sin θ sin φ 
 r sin θ sin φ - sin θ cos φ 
= 
2




2
r cos θ
와 같다. 그런데 구좌표계와 직각좌표계 간에는
z
x
y
z 의 관계가 있으므로 이들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θ
, r
r
좌표계로 각 성분들을 나타낼 수 있다.
cos
=
=
2
+
 r x- y 

r 


 Bx


 B y  =  r y - x  =



r 

 Bz 


rz
문제 2-17 w
e
1
ε
2
=
E ․ E = 12 100×10
×
= 5 10
-5
-6
[ 20
2
J/ m
= 0.11
y
sin θ sin φ =
r
2
+
2
=
⌠⌡ ⌠⌡ A r
2
=
⌠⌡ ⌠⌡ r
2π
⋅
x
sin θ cos φ =
,
r
2
문제 2-20 ⌠○⌡ A d s ⌠⌡ ⌠⌡ A r
=
π
0
,
2π
같이 직각
π
0
π
0
0
sin θ ) r
(2
=2 3 ⋅
⌠⌡ ⌠⌡
× ×
⌠⌡
×
2π
3
0
= 108 π ⋅
2
+ ( - 30) + ( - 30 ) ]
= 54 π
sin
π
0
θ-
x̂ - 30 ŷ - 30 ẑ )⋅( 20 x̂ - 30 ŷ - 30 ẑ )
2
π
0
= 2 27 2π ⋅
( 20
sin θ dθ dφ
2
=
2
θ dθ dφ
1 - cos 2θ
2
= 10 ( 12 ρ̂ - 4 φ̂ + 27
= 12 ρ̂ ( 4 ρ̂ + 5 φ̂ - 9
= 12 ( 5
1
sin 2θ
2
π
∣0
2
2
문제 2-21 ⌠○⌡ A d l ⌠⌡ A dρ ρ̂
ẑ )×10
-6
( 4 ρ̂ + 5 φ̂ - 9
L
ẑ )
ẑ
W/ m
76 W/ m
2
=
= ( - 400
= 0.14
/
2
θ=
φ= 0
-6
/
=
2
(3 ρ sin
⌠⌡
-1
-2
3
) = 0.18
/
0
⋅
⋅( - d ρ ) ( - ρ̂ )∣ φ = π +
⌠⌡ ρ
π
2
φ )d ρ ∣ φ = 0 +
(3 ρ sin
0
(
2
φ ) dρ∣ φ = π +
π
2
∣ρ= 2
⌠⌡ A ρ
⋅ ( - d φ ) ( - φ̂ )∣ ρ = 1
sin φ ) ρ dφ∣ ρ = 2
⌠⌡ ρ
0
π
3
0
π
(
2
sin φ ) ρ dφ ∣ ρ = 1
0
= 16 - 2
= 14
2
2
x
= 0.045 W/m
2
문제 2-22 (a)
∇ V1 =
∂V 1
∂x
x̂ + ∂∂Vy ŷ + ∂∂Vz ẑ
1
1
x̂ + ∂∂y ŷ + ∂∂z ẑ ]( 5x -10x z + 5yz + 6 )
= ( 10 x- 10 z ) x̂ + 5y ŷ + ( - 10 z + 5 y ) ẑ
= 10( x- z ) x̂ + 5y ŷ - 5( 2x- y ) ẑ
∂V
x̂ + ∂∂Vy ŷ + ∂∂Vz ẑ
(b) ∇ V =
∂x
= [
° ° 에서 x 방향 성분의 전력밀도 P 는 앞의 두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
〫
-2
⌠⌡ A ρ dφ φ̂
π
∣φ = 0 +
= 0 - 2 cos φ ∣ 0 + 0 - 1 cos φ ∣ π
( 2, 30 , 60 )
⋅ cos 60
1
+
P x = P r sin θ cos φ + P θ cos θ cos φ - P φ sin φ
〫
⌠⌡
2
x
P x = 0.14⋅ sin 30
⌠⌡ A
+
이다.
) ( 450 10
⋅
1
-1
문제 2-19 먼저 구좌표계에서 전력밀도를 구하면
P E ×H
× θ̂
r̂ W m
φ̂ ×
W m , P
P
W m 임을 알 수 있다.
으로 P
이러한 전력밀도를 직각좌표계로 변환
할 경우의 x̂ 방향의 성분인 P 는 식(2.18)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결국 점 P
다.
=
ẑ ) - 4 φ̂× ( 4 ρ̂ + 5 φ̂ - 9 ẑ ) +27 ẑ× ( 4 ρ̂ + 5 φ̂ - 9 ẑ )
=- 99 ρ̂ + 216 φ̂ + 76
r
⋅
ẑ + 9 φ̂ ) - 4( - 4 ẑ - 9 ρ̂ ) +27( 4 φ̂ - 5 ρ̂ )
따라서 ẑ 방향의 전력밀도는
dθ
3
6
×
r =3
sin θ dθ dφ ∣ r = 3
2
문제 2-18 P E × H
r̂ ∣
sin θ dθ dφ ∣ r = 3
r
0
2π
 ( x2 + y 2+ z 2 ) x - y 
1
 ( x2 + y 2+ z 2 ) y - x 


2
2
2 
2
2
2
x +y + z 

(x +y + z ) z
⋅
0
∂
∂x
2
2
2
2
2
x̂ + ∂∂y ŷ + ∂∂z ẑ ]( e
sin 2 z )
= 3e
sin 2 z x̂ - 5 e
sin 2 z ŷ + 2 e
∂V
∂V
1 ∂V
ẑ
(c) ∇ V =
ρ̂ +
φ̂ +
∂ρ
∂z
ρ ∂φ
= [
∂
∂x
( 3x - 5y)
( 3x - 5 y)
( 3x - 5 y)
3
3
2
=
( 3 x - 5 y)
cos 2 z
ẑ
= 13 (
3
3
= [
∂
∂ρ
1
ρ̂ +
∂
∂φ
ρ
φ̂ +
2
2
2
= 2 ( z - 1) sin φ ρ̂ + 2 ( z - 1) cos φ φ̂ + 4ρ z sin φ
(d)
∇ V4 =
∂V 4
ρ̂ +
∂ρ
∂
= [
∂ρ
ρ̂ +
∂
∂ρ
ρ̂ +
= [
∇ V5 =
∂V 4
ρ
∂φ
1
ρ
1
ρ
5
= 2ρ cos φ ln
(e)
1
φ̂ +
∂z
φ̂ +
∂
∂z
ẑ ] ρ cos φ ln 5z
∂
∂φ
φ̂ +
∂
∂z
ẑ ] ρ cos φ ( ln 5 - ln z )
2
5
z
φ̂ -
5
∂r
ρ2
z
cos φ
문제 2-24 먼저 P
ẑ
∂
∂r
6
∇V =
= -
= -
r̂ + r
3 sin
r
θ
4
3 sin
r
2
4
∂
∂θ
θ
1
θ̂ +
r sin θ
∂
∂φ
φ̂ ] (
sin
2
3
r
으로 점 P
θ )
r̂ + 2 sin rθ cos θ θ̂
2
= - 5x e
=
4
x̂ + ∂∂Ty ŷ + ∂∂Tz ẑ
∂
2
2
( 2 x z - 3 yz - z )
∂x
2
∇T ( 1,- 4, 1) = 4
2
∂
2
2
( 2 x z - 3yz - z )
∂z
문제 2-25 (a)
2
25
의 기울기를 구하면
x̂+ ∂∂y ( - 5x e + 4yz ) ŷ + ∂∂z ( - 5x e + 4yz ) ẑ
2
2y
2
2
2y
2
ẑ
x̂ - 3 ŷ + 12 ẑ
2
에서의 기울기를 구하면
2y
2
에서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x̂ - 124 ŷ
( - 4, 0.3 )⋅
1x
=
= ( 40
- 124
)⋅( 0.8
- 0.6
) = 32
1y
∂
2
( x - 2yz ) ∂x
1z
∂
2
3y +
∂y
∂
2
2( xy - z )
∂z
= 2 x - 6y - 4 z
2
( 1, - 4, 1)
x̂ + ( - 10x e + 4z ) ŷ + 8yz ẑ
A 1 = ∂∂Ax + ∂∂Ay + ∂∂Az
∇⋅
x̂ - 3z ŷ + ( 2x - 3y - 2z ) ẑ
으로,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점 P
2y
( - 4, 0, 3)
=∇
x̂ + ∂∂y ( 2x z - 3yz - z ) ŷ
+
= 4xz
+ 4y z
2
그런데 이미 예제 2-6-3에 이와 유사한 문제를 어떻게 푸는 가를 보였다. 다시 한번 여기서 반복하면 임
의의 스칼라 함수에 대해 한 점에서 특정방향으로의 변화율은 그 점에서의 기울기와 특정방향을 나타내는
단위벡터와의 내적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원점 방향으로의 변화율을 △V 라고 할 경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V
n̂
x̂
ŷ
x̂
ẑ
r̂ + sinr 2 θ θ̂
∂T
∂x
2y
∂
2
2y
2
( - 5 x e + 4 yz )
∂x
∇V( - 4, 0, 3 ) = 40
문제 2-23 식 (2.37)에 주어진 직각좌표계에서의 기울기 공식을 이용하면
∇ T ( x, y, z ) =
2
6
4
2
x̂ + ( 0 - 0) ŷ + ( 0 - 3) ẑ = 4 x̂ - 3 ẑ = 0.8 x̂ - 0.6 ẑ
2
= - 10xe
1
2
x̂ - 133 ŷ + 12
ẑ )
13
4
13
( 0 - ( - 4)) + ( 0 - 0) + ( 0 - 3)
6
∂
= [
∂r
2
n 0 를 구하면
에서 원점방향의 단위벡터 ˆ
( 0 - ( - 4))
이다. 그리고 V
2
6
2
= 13
( - 4, 0, 3)
n0=
ˆ
5
1
∂
r̂ + 1r ∂∂θ θ̂ + r sin
φ̂ ] ( r sin θ sin φ )
θ ∂φ
= 2r sin θ sin φ r̂ + r cos θ sin φ θ̂ + r cos φ φ̂
∂V
∂V
1
r̂ + 1r ∂∂Vθ θ̂ + r sin
(f) ∇ V =
φ̂
∂r
θ ∂φ
= [
x̂ - 3 ŷ + 12 ẑ
4 + ( - 3) + 12
2
∂V
1
r̂ + 1r ∂∂Vθ θ̂ + r sin
φ̂
θ ∂φ
∂V 5
4
n̂ = 134 x̂ - 133 ŷ + 12
ẑ
13
△T
∂
∂φ
ρ̂ - ρ sin φ ln
z
ẑ
ẑ
∂V 4
2
와 같다. 따라서 가장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방향 n̂ 과 그때의 온도 변화율 △T 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ẑ ] 2ρ ( z - 1) sin φ
∂
∂z
2
4 + ( - 3) + 12
(b)
∇⋅
A 2 = ∂∂Ax + ∂∂Ay + ∂∂Az
2x
2y
2z
∂
2 sin ( y - z ) +
∂y
2
∂
x y
( 3 ln
)
∂z
z
=
∂
3x
e ∂x
=
∂
∂
∂
3x
e -2
sin ( y - z ) + 3
( 2 ln x + ln y - ln z )
∂x
∂y
∂z
= 3e
(c)
3x
3φ
1
∂
2
( ρ ⋅ρ z cos φ ) +
∂ρ
ρ
2
2
∇⋅
A4 = ρ
1
=
2
- 4z
1
∂z
∂
∂
- 4z
3
2
(ρe
sin φ ) +
( ρ cos φ - 2ρ )
∂φ
∂z
cos θ
2
r
r sin θ
∂
2
( 2r sin θ )
∂φ
∂
3
r ∂r
r sin θ
2
= 3 cos θ -
r
2
1
2
∇⋅
=
6φ
6θ
1
r
∂
sin
2
(r ⋅
∂r
2
1
+
r sin θ
θ cos φ
r
)+
2
1
r sin θ
2
r sin
2
sin
φ dφ dz ∣ ρ = 2
2
sin
2
1
sin 2φ
2
2π
∣0
2
∂
cos φ
(
sin θ )
2
∂θ
r sin θ
1
z
∂
3
2
( ρ ⋅ρ sin φ )
∂ρ
ρ
1
ρ
3
2
( 4 ρ sin
2
φ)
2
φ
⌠
⌠⌡ ⌠⌡ ⌠⌡ ρ φ ρ dρ dφ dz
(c) ⌡ ▽ D dv
⌠⌡ ⌠⌡ ρ φ dρ dφ
2π
2
0
1
5
⋅
=
0
2π
=5
∂
sin φ
(
)
∂φ
r sin θ
2
0
1
4
3
4
2
= 5 ρ ∣ 1⋅
2
(4
⌠⌡
2π
2
4
θ
2
sin
)
2
sin
1- cos 2φ
dφ
2
0
cos φ
=
4
0
∣ρ=2
1- cos 2φ
dφ
2
0
= 4ρ sin
V
=
2π
0
φ
=
3
5
2π
⋅
0
⌠⌡ ⌠⌡ ρ
0
)∣ z = 0
2π
5
0
5
∣ρ= 1 +
(-
ρ
cos θ
2
2
D = ρ1 ∂∂ρ ( ρ D ) + 1ρ ∂∂Dφ + ∂∂Dz
∂
2
sin θ
∂θ
6r
2π
⋅
sin φ dφ
0
φ-
(b)
2
sin
0
2π
2
1
= 75 π
∂A
1
∂
1
A 6 = r1 ∂∂r ( r A ) + r sin
(A
sin θ ) +
r sin θ
∂φ
θ ∂θ
2
⌠⌡
= 75
∂
sin θ
(⋅ sin θ )
∂θ
r
1
r sin θ
4
0
4
⌠⌡
= 75
5φ
1
2π
0
= 15⋅5
5θ
∂
2
( r ⋅r cos θ ) +
∂r
2
r
=
∇⋅
∂φ
3
5r
+
(f)
+
0
⌠⌡ ⌠⌡ ρ φ dφ dz
⌠⌡ ⌠⌡ φ dφ dz
= (2 - 1 )
∂A 4z
2π
∣z = 5 +
( - ρ̂ )∣ ρ = 1 +
⋅
0
5
2
=
0
= -
cos φ
2
2π
5
∂A
1
∂
1
A 5 = r1 ∂∂r ( r A ) + r sin
(A
sin θ ) +
r sin θ
∂φ
θ ∂θ
∇⋅
⋅
1
4
∂A 4φ
⌠⌡ ⌠⌡ D ρ dρ dφ ẑ
⌠⌡ ⌠⌡ D ρ dφ dz ρ̂
2
0
+
∂z
∂
2
2
( - ρ z sin φ )
∂z
∂
4z sin φ
1
(ρ⋅
)+
∂ρ
ρ
ρ
ρ
= e
=
φ
∂
1
( ρ A 4ρ ) +
∂ρ
ρ
1
∂A 3z
+
⋅
2
= 2 z cos φ - ρ sin
(e)
S
3ρ
=
(d)
2π
z
A 3 = 1ρ ∂∂ρ ( ρ A ) + 1ρ ∂∂Aφ
∇⋅
문제 2-27 (a) ⌠○⌡ D d s ⌠⌡ ⌠⌡ D ρ dρ dφ ẑ
⌠⌡ ⌠⌡ D ρ dφ dz
3
- 2 cos ( y - z ) -
φ-
4
= 5 ( 2 - 1 )⋅
1
sin 2φ
2
2π
∣0
2
= 75 π
문제 2-26 직접 정육면체의 표면을 따라 면적분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보다는 발산을 구한 다음 이에 대한 체적적분
을 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먼저 벡터 C 의 발산을 구하면
∇⋅
C = ∂∂Cx + ∂∂Cy + ∂∂Cz = ∂∂x 2x + ∂∂Cy 3y + ∂∂Cz 4z = 4x + 7
x
y
z
y
2
과 같다. 따라서 총 선속 Φ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x
C dxdydz
Φ
1
=
0
1
0
1
0
1
(∇⋅
)
=
0
1
1
0
0
2
( 4 + 7 ) dxdydz
= ( 2x + 7x
1
)∣ 0⋅1⋅1
z
앞의 (a)와 (c)의 결과로부터 ○⌠⌡ D d s ⌠⌡
발산 정리가 성립한다.
(d)
S
=
V
∇⋅
문제 2-28 (a) ○⌠⌡ E d s ⌠⌡ ⌠⌡ E r θ dθ dφ r̂
⌠⌡ ⌠⌡ E r θ dθ dφ
2π
S
⋅
=
0
π
⋅
0
2
2π
+
⌠⌡ ⌠⌡ r
2π
=
0
0
π
0
4
3
4
= 45⋅4π
sin
2
⋅r
2
⋅
2
sin
(-
sin θ dθ dφ∣ r = 2 -
⌠⌡ ⌠⌡
2π
0
D dv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r = 2
π
0
= 3( 2 - 1 )⋅
=9
⋅
π
0
sin θ dθ dφ
r̂ )∣
r =1
⌠⌡ ⌠⌡ r
2π
0
π
0
3
2
⋅r
2
sin θ dθ dφ ∣ r = 1
= 180 π
(b)
∇⋅
E= r
1
=
∂
2
(r Er) +
∂r
2
1
+
=
1
r
1
r sin θ
∂
2
2
( r ⋅3r ) +
∂r
2
r
2
1
r sin θ
1
r sin θ
2
2π
⋅
=
2π
=
0
π
2
1
π
0
=
=
4
r
+
( -45 cos θ +
2π
0
( 90 +
= ( 90 φ +
2
1
3
⋅r sin θ cos φ
r sin θ
2
cos θ + r
r
cos φ ) r
5
sin θ dr dθ dφ
=
2
=
cos φ )∣ 1 sin θ dθ dφ
5
15
31
cos θ sin θ +
sin θ cos φ ) dθ dφ
2
5
=
15
31
2
π
sin θ cos θ cos φ )∣ 0 dφ
4
5
=
62
cos φ ) dφ
5
2ρ
∂
∂
(ρ
)+
∂ρ
∂ρ
ρ
1
ρ
1
ρ
2
(ρ
2
2
+z )
=
V
⋅
=
3
2
2
(ρ + z )
4ρ - 4z
2
3
2ρ + 2z
2
2
2
3
2
2
(ρ + z )
3
2
2
(ρ + z )
2
+ 6z
2
2
(ρ + z )
문제 2-29 (a)
∂
2
∇ V1 = [
∂x
∂
(b) ∇ 2 V 2 = [
2
∂
+
∂y
2
∂x
2
∂
+
2
2
2
∂y
2
+
2
2
+
=
2
∂
∂z
3
2
∂
2
2
2
2
2
] ( x +y + z )
1
2
r
2
+z )
sin
(r
∂
∂r
[
2
2
2
2
2
= ( 2 x - y - z )⋅ (x + y + z )
2
2
2
2
2
2
2
2
2
2
2
2
2
2
-
(c) ∇ V 3 = [
1
ρ
-
5
2
r
2
1
∂
ρ2
∂φ
2
+
∂
2
∂z
2
]
ln ρ
2
sin φ
2
(f) ∇ 2 V 6 =
2
2
3
]
2
3
2
2
∂
∂r
2
cos φ
r
3
3
cos φ
=
=
∂
∂
(ρ
)+
∂ρ
∂ρ
θ cos φ
cos φ
r
3
cos φ
=
5
2
=0
2
5
2
8z
2
(ρ + z )
2
∂
∂r
2
r
=
+ ( - x - y + 2 z )⋅ (x + y + z )
2
2
=0+
+ ( - x + 2 y - z )⋅ (x + y + z )
= 0⋅ ( x + y + z )
sin
1
2
-
+
2
r
3
sin θ
2
) + sin1 θ ∂∂θ ( sin θ ∂∂θ ) + sin1 θ ∂∂φ ] sin θr cos φ
∂
∂r
θ cos φ
r
3
5
2
2
3
(r
2
∂
∂r
2
3
2
1
∂
3
∂φ
r
2
cos φ
∂
φ
( sin θ⋅2 sin θ cos θ )
( r ⋅ -r 1 ) + r cos
sin θ ∂θ
2
2
3
1
r
3
∂
( - sin φ )
∂φ
( 4 sin θ cos 2θ - 2 sin 3θ ) +
2
2
( 4 cos θ - 2 sin θ ) 2
2
∂
φ
) 1r + r cos
( sin θ ∂∂θ ) sin θ
sin θ ∂θ
+
2
2
(ρ + z )
2
(ρ
] x y z = 6xy z + 2 x z
2
∂z
2
-2
]+ [
2
- 2ρ
+
2
- 2 ρ + 6z
]+
2
2
3
2
(ρ + z )
2
3
ρ2 + z2
∂
- 2z
[
]
2
2 2
∂z
(ρ + z )
+
2
φ)
1
]
2
∂z
]+0+
2
2
∂
+
2
8ρ
+
2
4ρ - 4ρ z
[
∂
∂φ
2
- 4ρ
[
2
1
(ρ + z )
(ρ + z )
=
(e) ∇ 2 V 5 =
2
∂
( 2 sin φ cos φ )
∂φ
ρ2
- 2ρ
∂
[ρ
∂ρ
2
○⌡ E d s ⌠⌡ ▽ E dv 임을 알 수 있다. 즉, 이 경우 발 산정리
(d) 앞의 (a)와 (b)의 결과로부터 ⌠
가 성립됨을 의미한다.
( sin
∂
( sin 2φ )
∂φ
2
2
= 180π
⋅
1
1
2
cos 2φ
ρ2
ρ
2
∂
∂φ
2 cos 2φ
2
ln ρ
=
62
2π
sin φ )∣ 0
5
S
ln ρ
2ρ
ln ρ
=
(d) ∇ 2 V 4 = [
2
∂
1
ln ρ
(ρ
)+
2
∂ρ
ρ
2ρ
ρ
=0+
sin θ dr dθ dφ
cos θ +
2π
0
2
4
2
(45 sin θ +
0
∂
2
( r sin θ⋅ sin θ )
∂θ
∂
∂
ln ρ
(ρ
ln ρ ) +
2
∂ρ
∂ρ
2ρ
sin φ
=
=
+2
π
0
⌠⌡
⌠⌡
(3
0
∇⋅
(12
⌠⌡ ⌠⌡ r
⌠⌡ ⌠⌡
2π
=
2
1
0
2π
=
π
0
0
∂φ
cos φ
⌠⌡ ▽ E dv ⌠⌡ ⌠⌡ ⌠⌡ E r
⌠⌡ ⌠⌡ ⌠⌡ r r
V
∂E φ
1
r sin θ
∂
3
( r sin θ sin φ )
∂φ
= 12r + 2r cos θ + r
(c)
∂
( E θ sin θ ) +
∂θ
1
2
⋅2r sin θ cos θ +
r sin θ
3
⋅12r +
2
sin φ
2ρ
=
1
r
3
(- cos φ )
cos φ
r
3
2
( 4 cos θ - 2 sin θ - 1 )
( 3 cos 2θ - 3 sin 2θ )
3 cos 2θ cos φ
r
1
r
2
[
∂
∂r
3
(r
2
∂
∂r
2
) + sin1 θ ∂∂θ ( sin θ ∂∂θ ) + sin1 θ ∂∂φ ]r sin θ cos φ
2
2
2
=
sin
2
θ cos φ
(r
∂
∂r
2
r
φ ∂
)r + r cos
( sin θ ∂∂θ ) sin θ
sin θ ∂θ
∂
∂r
2
2
+
=
=
=
문제 2-30
sin
2
θ cos φ
r
cos φ
2
⋅( 4 cos
r
cos φ
⋅2r +
2
r sin θ
1
=
(r
∂
∂r
2
r
∂
r
∂φ
cos φ
2
⋅( 4 sin θ cos
1
=
2
θ - 2 sin 3θ ) +
1
r
⋅( - cos φ )
∂
(-n r -n+1)
∂r
2
r
1
=
θ - 1)
( - n ( - n + 1) r
2
r
r
∂
2
2
∂x
+
2
∂
2
∂y
2
+
∂
2
∂z
∂
( 2 xy + yz ) +
∂x
2
2
따라서 n
3
] ( x y + xyz + α y )
∂
2
2
( x + xz + 3 α y ) +
∂y
문제 2-33
∂
( xy )
∂z
-n-2
또는 이면 만족된다.
=0
1
× B 1 [ By
(a) ∇
∂
=
=
= 2 y + 6α y
1z
-
∂
∂B 1y
∂z
] x̂+ [ ∂z - ∂x ] ŷ + [ ∂x - ∂y ] ẑ
∂B 1x
3
1
3
2
=
=
1
ρ
× B 2 [ By ] x̂ [
(b) ∇
∂
=
∂
∂
(ρ
)+
∂ρ
∂ρ
2
1
∂
ρ2
∂φ
+
2
∂
2
∂z
2
2z
∂
∂
∂
(ρ
( cos 2φ ) + 0
ρ m ) + 2 ρ m - 2z
2
∂ρ
∂ρ
∂φ
ρ
2 z cos 2φ
2 z cos 2φ
ρ
2
(m
2
3
2
m-2
1
y
2
= 4,
=
∂B 3z
1
∂φ
= -2
)
∂z
∂
∂θ
( sin θ
∂
∂θ
1
2
n
) + sin θ ∂φ ] ( r
∂
2
∂B 3z
(d) ∇
=
)
=
∂( ρ B 3φ )
∂ρ
2
2
× B 4 [ Bz ] φ̂
2
1
∂B 3ρ
] ρ̂ + [ ∂z - ∂ρ ] φ̂ + 1ρ [
[ ρ1 ∂∂φ ( z ) - ∂∂z ( - sinρ φ ) ] ρ̂
∂
4ρ
∂
2
1
+
sin θ
x̂ - ∂∂x ( 2 ln x + ln y - ln z ) ŷ
[ ∂∂z ( 1 +1 ρ ) - ∂∂ρ ( z ) ] φ̂
2
2
[ ∂∂ρ ρ ( - sinρ φ ) - ∂∂φ ( 1 +1 ρ ) ] ẑ
2
1
ρ
2
=0
또는 이어야 한다.
2
2
∂B 3φ
-
+
=
∂
∂r
x̂ - ∂∂x ( ln xz y ) ŷ
+
즉m
] ŷ
x̂ - 2x ŷ
z cos 2 φ
2
∂x
∂
( 2 ln x + ln y - ln z )
∂y
ρ m - 1 ) + 2 ρ m - 2 z ( - 4 cos 2φ )
위의 식을 항상 만족하기 위해서는 m
(r
[ ∂∂x ( - 3 y ) - ∂∂y ( x -2x ) ] ẑ
=
×B 3 [ ρ
(c) ∇
= 0
2
+
2
∂
xy
( ln
)
∂y
z
=
∂
∂
m
m-2
(m ρ ) + 2 ρ
z
( - 2 sin 2φ )
∂ρ
∂φ
ρ
∂
W( r , θ, φ ) = 2 [
∂r
r
[ ∂∂z ( x - 2x ) - ∂∂x 2( z + 3z ) ] ŷ
∂B 2z
+ -
∂
m
] ( 2ρ z cos 2 φ )
2
2 z cos 2φ
= 2 (m - 4 )ρ
1
+
=
=
=
∂B 1x
=0
이다.
2
∇ V ( ρ , φ, z ) = [
∂B 1y
2
= 0
= -
∂B 1 z
[ ∂∂y 2( z + 3z ) - ∂∂z ( - 3 y ) ] x̂
1
+ α)y
3
= 6(
문제 2-32
)
=0
=
문제 2-31
-n
⋅( 2 cos 2 θ + 1)
∇ U( x, y, z ) = [
따라서 α
)
2
1
= n ( n - 1) r
cos φ
∂
-n
r
∂r
2
+
∂
z sin
(
∂z
ρ
2z sin
ρ
2
φ
1
ρ
2
[ - ∂φ ] ẑ
φ )
∂B 4ρ
φ̂ 2
φ̂ -
1
ρ
z sin 2 φ
ρ2
2
∂
z sin
(
∂φ
ρ
ẑ
2
φ )
ẑ
-
∂B 3ρ
∂φ
] ẑ
×B 5
(e) ∇
r sin θ
∂θ
] r̂ + 1r [ -
×B 6
∇
1
r
∂( r B 5θ )
∂r
] φ̂
r
∂
2
( r sin θ )
∂r
∂B 6r
[ sin1 θ
=
=
2
sin θ
r
2
φ
⋅
φ
⋅
1
1
) φ̂
+
φ
3
(2 sin θ cos θ ) φ̂
=0+
3
⌠⌡
2
θ̂ -
3
sin 2θ sin φ
3
r
2
⋅
0
⋅( - d ρ ) ( - ρ̂ )∣
3
3 cos φ dφ +
π
φ̂
Stokes
π
π
0
⋅
S
⌠⌡ D ρ dφ φ̂
∣φ= 0 +
2
sin θ sin 2φ
r
r
2
=
2
sin
( 2 sin φ cos φ ) θ̂ -
3
2
r
=
3
∂
sin θ sin
(
2
∂θ
r
1
) θ̂ -
⋅
L
문제 2-35 (a) ○⌠⌡ D d l ⌠⌡ D dρ ρ̂
⌠⌡ D
∂B 6r
∂
sin θ sin
(
2
∂φ
r
1
r sin θ
1
∣0
앞의 (a)와 (c)의 결과는 ⌠○⌡ C d l ⌠⌡ ▽× C d s 임을 보여준다. 즉, 이 경우
정리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L
=
3
3
(d)
] φ̂
] θ̂ + 1r [ - ∂θ ] φ̂
∂φ
x
= -3⋅
= -1
r̂ - 2 cos θ θ̂ + 2 sin θ φ̂
cos 2θ
sin θ
=
[
1
+
(f)
] θ̂ + 1r [
∂r
2
r sin θ
=
∂( r B 5φ )
[ ∂∂θ ( r cos θ sin θ ) ] r̂ + 1r [ - ∂∂r ( r cos θ ) ] θ̂
1
=
∂( B 5φ sin θ )
[
1
=
⌠⌡ ρ
5
⌠⌡ D
0
φ=
1
3
∣ρ= 3
sin
π +
2
π
⋅( - ρ dφ ) ( - φ̂ )∣ ρ = 1
2
π d +
ρ
2
⌠⌡
0
π
cos φ dφ
2
5 2 1
ρ ∣3
2
2
= ( 27 - 1) sin φ∣ 0 +
= 26 - 20
문제 2-34 (a) ⌠○⌡ C d l ⌠⌡ C dx x̂
1
L
⋅
=
⋅
0
⌠⌡ C dy ŷ
⌠⌡ C
dx
=6
1
∣y= 0 +
⋅
0
∣ x= 1
0
+
=0+
⌠⌡
1
0
2
(- 1 - 2y )
2y
= -(y +
3
3
⋅( - 2
1
) (-
x̂ - 12 ŷ )∣
2
(b)
1
▽× D [ ρ
[
y= x
2
2x
3
1
)∣ 0 + ( -
3
0
)∣ 1
=
∂
z
∂
∂
y
∂
∂
-
y
+
∂
∂
-
x
∂
=
∂
x
∂
-
∂
ẑ
⌠⌡ ▽× C d s ⌠⌡ ⌠⌡ × C dy dx ẑ
⌠⌡ ⌠⌡ x ẑ dy dx ẑ
=
0
0
1
=
ρ [ ∂ρ
1
2
+
2
+2
2
∂
∂
)) -
y
-
∂
(
∂
∂
0
∇
=
3
0
1
-
∂D ρ
∂φ
] ẑ
∂
2
( ρ ⋅ρ cos φ ) -
∂
5 ρ sin φ
∂φ
] ẑ
ẑ
(∇
) ⋅ ρ dρ dφ
ẑ
π
2
x
=
∂
0
3
= (ρ -
3
1
[ ( 3 - 5 ) cos φ ] ρ dρ dφ
5 2
ρ )∣ 31⋅
2
⌠⌡
0
π
cos φ dφ
π
2
= 6⋅ sin φ ∣ 0
)
ẑ
= 6
위의 (a)와 (c)의 결과는 ⌠○⌡ D d l ⌠⌡ ▽× D d s 임을 보여준다. 즉, 이 경우
가 성립한다.
(d)
⋅
L
⋅
=
S
⋅
x
0
(- 3
⌠⌡ x dx
1
= -3
⋅
∂ρ
ẑ
⌠⌡ ▽× D d s ⌠⌡ ⌠⌡ × D
⌠⌡ ⌠⌡ ρ
S
∂( ρ D φ )
] ρ̂ + [ ∂∂z 5 ρ sin φ ] φ̂
[ 3ρ cos φ - 5 ρ cos φ ]
2
(c)
x
1
⋅
z
∂
∂
(- (
∂
=- 3x
S
ρ
∂D z
π
= [ - 2x - x]
(c)
1
= ( 3ρ - 5 ) cos φ
= -1
=
∂
ρ 2 cos φ
∂z
∂D ρ
] ρ̂ + [ ∂z - ∂ρ ] φ̂ + ρ1 [
+
벡터 C 에 대한 직각좌표계의 회전은 식(2.64)에 주어진 것처럼 다음과 같은데
× C [ Cy Cz ] x̂ [ Cz Cx ] ŷ [ Cx Cy ] ẑ
여기서 벡터 C 는 x̂ 와 ŷ 의 성분만 있으며, 또한 x 와 y 만의 함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 C [ Cx Cy ] ẑ [ x x y
xy ] ẑ
y
∇
∂z
2
(b)
=
∂D φ
-
1
2
2
= -(1 +
) - ()
3
3
∇
∂φ
= -
ŷ⋅ dy ŷ + ⌠
⌡ ( x x̂ - 3x ŷ )⋅dx ( x̂ + ŷ )
0
∂D z
1
=
0
2
)⋅
문제 2-36
(a)
∇⋅
A = ∂∂Ax + ∂∂Ay + ∂∂Az
x
y
z
=
∂
2xy ∂x
∂
2
y = 2 y - 2y = 0
∂y
Stokes
정리
× A [ Ay
∇
∂
=
z
-
∂
] x̂+ [ ∂z - ∂x ] ŷ + [ ∂x - ∂y ] ẑ
∂A y
∂A x
∂z
∂A z
∂A y
∂A x
= [ - c - ( - 6) ]
[ ∂∂x ( - y ) - ∂∂y ( 2xy ) ] ẑ
이므로, a
2
=
= - 2x
(b)
이므로, 벡터 A 는 무발산계이면서 회전계이다.
∇⋅
(b)
× B [ By
∇
∂
=
z
-
∂
[
=
2
] x̂+ [ ∂z - ∂x ] ŷ + [ ∂x - ∂y ] ẑ
∂B y
∂z
∂
∂
2
2z (-y )
∂y
∂z
∂B x
∂B z
] x̂+ [
∂
∂
2
x 2z
∂z
∂x
+
[
∂B y
∂B x
×A [ ρ
∇
] ẑ
이므로, 벡터 B 는 발산계이면서 비회전계이다.
∇⋅
C = ρ1 ∂∂ρ ( ρ C ) + 1ρ ∂∂Cφ + ∂∂Cz
φ
∂
sin φ
1
(ρ⋅
)+
∂ρ
ρ
ρ2
1
ρ
×C [
∇
=
ρ
∂A z
∂φ
-
∂A z
ρ
2
cos φ
=-
- -
ρ3
∂A ρ
∂A z
] ρ̂ + [ ∂z - ∂ρ ] φ̂ + ρ1 [
∂A φ
⋅(
) =
1
∂
∂ρ
ρ
+
∂C ρ
∂z
∂( ρ A φ )
∂ρ
-
∂A ρ
∂φ
] ẑ
∂A ρ
∂A z
∂A φ
∂A ρ
φ
∂( ρ C φ )
∂ρ
-
] ẑ
∂φ
∂C ρ
=
∂A φ
∂ 1
∂z ρ
∂A ρ
∂A z
∂A φ
2
2
∂A ρ
[ A + ρ ∂ρ - ∂φ ]
φ
2
2
φ
z
+
2
cos φ
∂A z
[ ρ ( 1ρ ∂φ - ∂z )] + ρ1 ∂∂φ [ ∂z - ∂ρ ]
[ ∂ A - ∂∂Az - ρ ∂∂zA∂ρ ] + ρ1 [ ∂∂z A∂φ - ∂∂ρA∂φ ]
ρ ∂φ ∂ρ
1
∂
sin φ
φ
)(
) ] ẑ
[ ∂∂ρ ( ρ ⋅ cos
∂φ
ρ
ρ
1
∂A φ
[ 1ρ ∂φ - ∂z ] ρ̂ + [ ∂z - ∂ρ ] φ̂ + 1ρ [ A + ρ ∂ρ - ∂φ ] ẑ
▽ ▽× A
∂
cos φ
(
)
∂φ
ρ2
] ρ̂ + [ ∂z ] φ̂ + ρ1 [
∂z
-
=
1
3
∂C φ
=2+0+d =0
이다.
= -2
2 sin φ
= -
∂A z
이다. 여기에 발산을 취하면 다음을 증명할 수 있다.
z
ρ
=
=
=
=0
(c)
이다.
A = ∂x + ∂y + ∂z
∇⋅
∂A y
문제 2-38 먼저 임의의 3 차원 벡터 함수 A 에 대한 회전을 구하면
] ŷ
∂
∂
2
2
(-y )x
∂x
∂y
= 3 , b = -4 , c = 6
∂A x
이므로, d
B = ∂∂x x - ∂∂y y + ∂∂z 2z = 2 x - 2y - 2
2
x̂+ [ a - 3] ŷ + [ b - ( - 4) ] ẑ
= 0
1
ρ
φ
2
ρ
z
2
[ ∂∂Az + ρ ∂∂ρA∂z - ∂∂φA∂z ]
φ
φ
ρ
=0
ρ2
이므로, 벡터 C 는 발산계이면서 회전계이다.
(d)
∇⋅
∂D
1
∂
1
D = r1 ∂∂r ( r D ) + r sin
( D sin θ ) +
r sin θ
∂φ
θ ∂θ
=
=
×D
∇
φ
2
=
1
∂
1
2
(r ⋅
)
∂r
r
2
r
θ
r
2
∂D r
=
2
2
2
2
2
= 0
∂D r
[ sin1 θ ∂φ ] θ̂ + 1r [ - ∂θ ] φ̂
r
1
1
r sin θ
∂
1
1
(
) θ̂ ∂φ
r
r
따라서 벡터 A 가 무발산계가 되기 위해서 α
∂
1
(
) φ̂
∂θ
r
∂
∂
z
-
∂A y
∂z
∂A z
,
)
1
∂V
A = ∇ V = ∂∂Vr r̂ + 1r ∂∂Vθ θ̂ + r sin
φ̂
θ ∂φ
] x̂+ [ ∂z - ∂x ] ŷ + [ ∂x - ∂y ] ẑ
∂A x
= - 14
이어야 한다.
문제 2-40 먼저 구좌표계에서 임의의 스칼라 함수 V r θ φ 에 대한 기울기를 벡터 A 라고 두면
( ,
× A [ Ay
∇
2
= ( 14 + α )xy
이므로, 벡터 D 는 발산계이면서 비회전계이다.
(a)
A = ∂∂x ( 5x y + 3y z ) + ∂∂y ( 2xy - x z ) + ∂∂z ( αxyz + 2x y )
2
=0
문제 2-37
∇⋅
= 10xy + 4xy + α xy
1
r
=
문제 2-39
∂A y
∂A x
와 같다. 여기에 회전을 추가로 취하면
×
×A
∇ (∇V) = ∇
=
+
∂( A φ sin θ )
[
1
r sin θ
∂θ
∂A r
[ sin1 θ ∂φ -
1
r
∂A θ
-
∂φ
제 3 장 연습문제 풀이
] r̂
∂( r A φ )
∂r
] θ̂ + 1r [
∂( r A θ )
∂r
-
∂A r
∂θ
이다. 여기서 r̂ , θ̂ , φ̂ 성분들을 각각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 A φ sin θ )
∂θ
∂A θ
-
∂φ
=
2
∂ V
1
∂φ ∂θ
r
1
r
r' = 3 x̂ + 5 ŷ - 3 ẑ , r = 7 x̂ + 2 ŷ + 9 ẑ 이므로 R = r - r' = 4 x̂ - 3 ŷ + 12 ẑ 이
문제 3-1
R=
1
∂V
1 ∂V
sin θ )
∂(
)
r sin θ ∂φ
r ∂θ
∂θ
∂φ
∂(
=
] φ̂
2
2
1
sin θ
∂A r
∂φ
-
∂( r A φ )
∂r
F = 4 πQεqR R = ( 169 10 1 )⋅( 13 10 )
-3
3
1
sin θ
=
1
sin θ
∂ V
∂r ∂φ
1
r sin θ
∂r
1
sin θ
2
∂ V
∂φ ∂r
③
∂( r A θ )
∂r
-
∂A r
∂θ
=
r
∂r
2
=
∂ V
∂θ ∂r
∂(
-
=
-3
3
+ 12
)
x̂ - 3 ŷ + 12 ẑ )
x̂ - 27 ŷ + 108 ẑ N
+6
1
= 12
+3
=
-
+7
1
∂ V
∂r ∂θ
=0
따라서 임의의 3 차원 스칼라 함수 V 에 대해 항상 ▽× ▽ V
(
)=0
(a)
2
3
ŷ + 4 ẑ + Q 4 ŷ - 3 ẑ ]
| 4 ŷ - 3 ẑ |
ŷ + 4 ẑ |
ŷ
ẑ + 4Q ŷ - 3Q ẑ ]
1
[ 12
4πε
=
1
- 36 + 48
[
3
4πε
5
=
1
4 πε
-3
3
( 4 Q - 36)
3
5
125
- 36
ŷ⋅ F ( 1, 3, 4) = 41πε 4Q125
=0
=
36
= 9
4
μC
이어야 한다.
- 3Q
ẑ⋅ F ( 1, 3, 4) = 41πε 48125
=0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Q
문제 3-3 (a)
=
48
= 16
3
식(3.8)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3
ŷ + ( 48 - 3Q ) ẑ
ŷ 성분의 힘이 없을 경우에는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Q
(b) ẑ 성분의 힘이 없을 경우에는
3
|-3
=
이 만족된다.
2
+4
F ( r ) = F ( 1, 3, 4) = 41πε Q rr --rr 1 + 41πε Q rr --rr 2
|
|
1|
2|
∂V
)
∂r
∂θ
2
-
)⋅13
x̂ ŷ ẑ 에 점전하 Q Q μC
점 r 1 x̂ ŷ 에 Q
μC 인 점전하가 있고, 점 r 2
가 있을 경우 점 r x̂ ŷ ẑ 에 있는 단위전하에 미치는 힘 F 는 식(3.1)로부터 다음과 같이 두
힘의 합으로 표시해야 한다.
=
=0
∂V
)
∂θ
10
36
∂V
)
∂φ
문제 3-2
1
⋅(
= 9⋅( 4
= 36
=
∂( r
4
-6
-9
2
∂ V
∂θ ∂φ
∂V
∂(
)
∂( r
∂r
∂φ
2
이다. 따라서 식(3.1)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
×
(4 x̂ ŷ
ẑ
×
π
π
며
4 + ( - 3) + 12 = 13
=0
②
2
μC
이어야 한다.
=
23#
연습문제
0-r n
E ( 0, 0, 0 ) = 41πε ∑ Q 0r n|
|
2
n
n=1
1
1
36π
=
4 π⋅ (
×
10
3
×
[ ( 30 10
-9
)
-9
3
)⋅
ŷ + ( 40 ×10 )⋅ - 3 ẑ ]
-9
3
3
3
(b)
10
3
0- r 3
ŷ + 40 ẑ = 41πε Q 0r 3|
|
3
1
1
36π
=
4π⋅(
×
10
3
= 50 nC
의 위치를 r 3 라고 하면
3
×
⋅( 50 10
-9
)
-9
)⋅
-r 3
|
r 3|
3
r 3|
ρ
|
dt ρ̂
3
ρ 2 + t2 |
tan
⇒ θ 의 적분구간
[ 0 , ∞]
π ]
[ 0,
2
② dt ρ θ dθ
③ ρ t ρ θ
와 같이 바꾸어야 하므로 이를 정리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
sec
2
2
+
2
=
sec
ρ
⌠
E ( ρ, φ, z ) = 2πε
⌡
l
-r 3
= 450⋅
|
∞
0
이 된다. 왜냐하면 우변의 첫 번째 항의 피적분함수는 우함수이기 때문이고, 두 번째 항의 피적분함수는
기함수이기 때문이다. 위의 최종식에서 t ρ θ 로 치환할 경우
① t 의 적분구간
원점에서의 전계가 0 이 되도록 만드는 추가되는 점전하 Q
- 30
2 πε 0
=
ŷ - 409 ẑ ]
= 30 ŷ - 40 ẑ V/m
= 9⋅[
3
⌠
⌡
ρl
=
2
ρ
ρ sec 2θ dθ ρ̂
ρ 3 sec 3θ
0
0
ŷ + 45 ẑ ) = 450
r 3)
r ⋅( - ˆ
3
5
|
3|
2
으로 다음의 두 식을 얻을 수 있다.
→
| r |
450
50 =
-
3
5
3
ŷ + 45 ẑ = - ˆ
r3 →
따라서 r 3 는
450
=3
50
= 50 nC
3
ˆ
r 3 = 35
ŷ - 45 ẑ
문제 3-5 (a) Q =
의 위치는 P
( 0,
3
⌠
⌡ ρ dz ⌠
⌡
4
=
l
0
=
9
12
, )
5
5
이어야 한다.
(b) Q =
( , , )=
l
4 πε 0
1
4πε
ρl
4 πε 0
(
l
L
⌠
⌡
)
∞
-∞
|
r - r' |
3
ρ ρ̂ + ( z - z' )
|
ẑ dz'
ρ + ( z - z' ) |
|
ρ 2 + t2 |
+
l
4 πε 0
-6
2π
2
0
cos θ dθ ρ̂
π
ρl
2
sin θ∣ 0
ρl
2 π ε0ρ
×
3
2
0
2πε 0 ρ
-6
dz = ( z - 2 z ) 10
2π
⋅
2π
0
∣ρ= 1+
s
0
= 2
(6
2
(6
10
0
∞
-∞
|
ρ 2 + t2 |
0
×
π×
×
2
= 2 π⋅ ( 3 z
= 24π 10
-3
= 30
-3
(c) Q =
= -
3
×
2
(3 z - 2) 10
ρ̂
V/m
4
×
3
ρ̂
∣ 0 = 56 10
10
10
10
-3
-3
-3
0
⋅
2π
)⋅ ∣ ρ = 1
+
+2
2
0
×
4
2π
0
π
2
0
0
⋅r
v
2
0
3
10
10
-3
(12
)∣ 0 + 2π⋅ ( 3 ρ
×
∣z= 2+
s
0
1
)
+ 6 π 10
⌠
⌡ ⌠
⌡⌠
⌡ρ
2π
1
-6
μC
1
0
-3
(6
2
1
⋅
s
0
0
-3
)⋅ ∣ z = 2
10
)
1
)∣ 0
-3
= 30π mC
2 3
2
∞
-∞
1
d θ ρ̂
sec θ
⌠
⌠
⌠
⌡⌠
⌡ ρ ρ dφ dz
⌡ ⌠
⌡ ρ ρ dρ dφ
⌡ ⌠
⌡ ρ ρ dρ dφ
⌠
⌠
dφ dz
dρ dφ
ρ
ρ
⌡⌠
⌡ ρ z×
⌡ ⌠
⌡ ρ z×
⌠ z× dz π ⌠
π⌡
⌡ ρ × dρ
2
=
/
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z z ' t 로 변수치환하고, 각각의 성분으로 나누면
ρ
ρ
t
ρ
⌠
⌠⌡
Eρφz
dt ρ̂
dt ẑ
⌡
-
2
0
= 56
문제 3-4 자유공간에서 z 축을 따라 선전하밀도 ρ C m가 균일하게 분포할 경우 주변의 전계는 φ 에 대해 변화
가 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식(3.9)로부터
r - r' dl
⌠
Eρφz Eρ z
⌡ ρ r'
l
4
0
2
( , 0, ) =
⌠
⌡
=
r 3 = | r 3| ˆ
r 3 = 3⋅( 35 ŷ - 45 ẑ ) = 95 ŷ - 125 ẑ
( , , )=
ρl
2πε 0 ρ
π
=
=
r 3| =
|
2
이다. 그러므로 점전하 Q
⌠
⌡
3
을 만족해야 한다. 위의 식의 좌변과 우변 모두를 크기와 단위벡터의 곱으로 나타내면
50⋅( -
ρl
2 πε 0 ρ
π
=
π
sin θ dr dθ dφ =
⌠
⌡ ⌠
⌡⌠
⌡ rθ r
⌠
π ⌡ r dr dθ dφ
2π
0
=2
=
π
2
0
0
2
2
sin
3
0
1
π 2r 4∣ 20
2
= 8π
2
C
⋅
2
sin θ dr dθ dφ
∣z= 0
25#
연습문제
F =QE =ma
문제 3-6
식(3.10)으로부터
1
⌠
E ( x, y, z ) = 4πε
⌡ ⌠
⌡ ρ
0
∞
∞
-∞
-∞
( x- x' )
s
|
x̂ + ( y - y' ) ŷ + z ẑ dx' dy'
2 3
( x- x' ) + ( y - y' ) + z |
2
2
와 같이 전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x x' t , y y'
ρ ⌠ ⌠
Exyz
⌡ ⌡ t x̂ w ŷ z ẑ dtdw
-
( , , )=
∞
∞
-
-∞
-∞
|
s
4πε 0
= -
-
= -w
-
로 변수치환하면
+
와 같은 정전기적인 힘을 받으므로 다음과 같이 가속도 a 를 얻게 된다.
×
x̂ ŷ
a QmE
x̂ ŷ m s
×
(b) 속도 u 의 시간미분이 가속도 a 이므로 다음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
2 3
2
인데, 피적분함수가 t 와 w 에 대해서는 기함수이므로 x̂ 성분과 ŷ 성분 모두 0이 된다.
따라서 전계는 다음과 같이 간단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ρ ⌠ ⌠
z ẑ
Exyz
dtdw
⌡⌡
( , , )=
여기서 t
= ρ cos φ
∞
∞
0
0
s
πε 0
=
sin
2
=
|
0
⌠
⌡⌠
⌡
ρ ⌠
⌡
ρs
πε 0
2
zρ
|
0
∞
s
2ε0
와 같다. 여기에 다시
2
∞
0
0
ρ 2 + z 2|
zρ
|
ρ 2 + z 2|
ρ = | z | tan θ
E ( x, y, z ) = 2ρε ⌠
⌡
2 3
( ρ cos φ ) + ( ρ sin φ ) + z |
2
π
3
dρ dφ
dρ
3
ẑ
s
ẑ
z⋅| z | tan θ
|
2
⌠
⌡
z⋅| z | tan θ
2ε 0
=
ρs
2ε 0
⌠
⌡
z tan θ
dθ
| z | sec θ
=
z
| z|
ρs
2ε 0
⌠
⌡
z
| z|
π
ρs
2
( - cos θ )∣ 0
2ε 0
=
=
ρs
z
| z|
2 3
( | z | tan θ ) + z |
0
=
| z | sec
π
2
3
| z | sec
0
| z | sec
3
θ
π
2
0
π
2
0
sin θ dθ
2
θ dθ
2
θ dθ
ẑ
{
ρs
2ε 0
ẑ ,
ρs
2ε 0
ẑ ,
-2
/
1
u z = A3
x̂
일 때 입자의 속도는 u t
을 쉽게 구할 수 있다.
( = 0) = - 2
= -2 , A2 = 0 , A3 = 2
질량 m
×
= 2 μ g = 2 10
-9
kg
+2
ẑ m/s 라고
따라서
u ( t) = ( 4t- 2) x̂ - 2t ŷ + 2 ẑ m/s
이므로 2 초 후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ẑ
u ( t = 2) = 6 x̂ - 4 ŷ + 2 ẑ m/s
(c) 2
초 후인 시점의 운동 에너지 E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m|
2
u ( t = 2) | = 12 ⋅( 2 ×10 )⋅[ 6 + ( - 4) + 2 ]
2
-9
×
= 56 10
ẑ
(d)
ẑ
입자의 위치벡터를 l t
( ) = x( t)
-9
= 56
2
2
2
μJ
x̂ + y( t) ŷ + z ( t) ẑ 라고 하면,
u ( t) = dtd l = dtd x( t) x̂ + dtd y( t) ŷ + dtd z ( t) ẑ
∥
for
z>0
for
z<0
( 4t - 2)
x̂ - 2t ŷ + 2 ẑ
의 관계가 있다. 위로부터 각 성분에 대해 적분을 취하면
2
x( t) = 2t - 2 t + B 1 ,
2
y( t) = - t + B 2 ,
z ( t) = 2 t + B 3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 t 일 때 입자가 원점에 있다고 하였으므로
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2 초 후 입자의 위치는
=0
문제 3-7 (a)
2
z
u y = - 2t + A 2 ,
= 0 sec
ẑ
ẑ
ρs
2ε 0
y
입자가 원점에 있는 t
하였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하면 A
임의의 시간 t 일 때의 속도 u t 는
E=
와 같다. 결국 전계는 다음과 같음을 증명할 수 있다.
E ( x, y, z ) =
u x = 4t + A 1 ,
로 치환하여 풀이 3-4에서 보인 과정을 적용하면
0
=4
( )
π
2
)
x̂ - 2 ŷ
위로부터 u 의 각 성분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0
0
-
-9
4
2 3
2
)⋅( 2
2 10
∥
π
s
=
2
-9
x
t +w +z |
, w ρ φ 로 치환하면 dt dw ρ dρ dφ 로 바뀌므로
ρ ⌠ ⌠
z ẑ
ρ dρ dφ
⌡⌡
E ( x, y, z ) = πε
=
|
( 4 10
a = ddtu = dudt x̂ + dudt ŷ + dudt ẑ
t +w +z |
2
=
을 가진 입자는 전계 E 내에서
B1 = B2 = B3 = 0
x( t = 2) = 4 ,
y( t = 2) = - 4 ,
z ( t = 2) = 4
27#
연습문제
이므로, 점 (
에 있게 된다.
4, - 4, 4 )
E ( 1, 1, 1 ) = E ( 2 , π4 , 1) = 2 πρε ρ ρ̂ =
l
0
문제 3-8
총
20 nC
의 전하가 직선
ρl =
20
3
×
10
-9
0≤z≤3
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선전하밀도로
1
⌠
E ( 4, 0, 0 ) = 4πε
⌡ρ
3
0
0
=
= 60
와 같다. 여기서 z'
1
1
4π ⋅ (
36 π
⌠
⌡
3
4
l
|
×
10
x̂ - z' ẑ
-9
⌠
⌡
20
3
×
10
로 치환할 경우
θ1
⌡
3
2
⌠⌡
E ( 4, 0, 0) = 9 x̂ - 3 ẑ
1
0
3
θ
[ cos θ
x̂ - sin θ ẑ ] dθ
x̂ + cos θ ẑ ] dθ
= 15 sin θ 1
x̂ - 15( 1 - cos θ ) ẑ
=
3
5
E ( 1, 1, 1 ) =
×
-9
4
x̂ - 3 ẑ
|
×
(b) 직각좌표계의 점 (1,1,1)은 원통좌표계로 점 (
면
= 36
2 3
2,
π
4
for
z<0
s = 0.5 nC/m
1
이다. 이를 위 식에 대입하여
x̂ - 27 ẑ V/m
= -
0
= -
2
가분
= -9
/
×
-6
-6
⋅
[
+
]
+
+
×
-6
×
-6
⌠
⌡
⌠
⌡
2
-1
=
+
2
)
-1
2
-6
= 6 10
-6
⋅(
J
(
-2
d
( - 3x - 1)
dx
(
- 2x
+6 )
( 3 x - 1 ) dx
3 2
2
x - x )∣ - 1
2
/
ŷ ]
ŷ )⋅dx [ x̂ - 3 ŷ ]
[ ( - 3 x- 1) + 6 x ] dx
-1
μJ
[
]
= -3
2
-1
= 4 10
=6
+
x2
x1
× ⌠
⌡ y x̂
⌠
⌡ y x dx
= - ( - 4 10
×
×
⋅[
L
2
⌠
ŷ dz
ẑ
⌡ E dx x̂ dy
dx
dx
x
을 잇는 직선의 방정식은 y
이다. 따라서 이러한
y x̂
x ŷ V m 내에서 움직일
μC 이 전계 E
경우의 일 W 은
⋅
-1
= 4 10
이용하
0.5 10
1
-9
2⋅(
10
)
36
= -
2
1
에 해당되므로 문제 3-4의 결과를
, 1)
z>0
2
/
-9
s
2
= -4
θ1
4
5
for
( 2,- 7, 5)
= 4 10
4 + ( - 3) |
2
⋅
L
( - 1, 2, 5)
V/m
125 10
1
-9
4π⋅(
10
)
36π
ẑ ,
ρs
2ε 0
점
에서 점
직선을 따라 점전하 q
다음과 같다.
⌠
W
q
⌡ E dx x̂
(a)
0
cos θ 1 =
s
ẑ ,
ρs
2ε 0
-
인 평면상에 면전하밀도 ρ C m 가 분포시 전계는
1
= 4 10
문제 3-9 (a)
{
= 0
= -q
θ1
수 있다.
전계 E 내에서 점전하 q 가 경로 L (변수 x 로서는 x 에서 x 까지) 을 따라 이동시 드는 일의 양 W
는 직교좌표계의 경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W
q
⌡ E dl q ⌠
⌡ E dx x̂ dy ŷ dz ẑ
= -
= 15 [ sin θ
이므로 θ
,
) 에서의 전계는 다음과 같다.
sin
문제 3-6의 결과에 따르면 z
sec θ
0
⌠⌡
문제 3-10
2
x̂ - tan θ ẑ dθ
θ1
2
= 6
x̂ - 4 tan θ ẑ 4 sec θ dθ
64 sec
ρ̂
ŷ 이므로 이를 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구할
1
과 같이 주어진다. 따라서 평면 x 에 균일하게 분포한 면전하밀도 ρ
포할 경우 점 (1,1,1)에서의 전계는 다음과 같다.
ρ
×
E
x̂
x̂
π x̂ V m
ε
×
π
dz'
이라고 두면
4
0
= 15
3
4
(c)
( 1, 1, 1) = -
x̂ - 4 tan θ ẑ dz' = 60 ⌠
( 16 + z' )
tan θ 1 =
3
2
2
3
4
2
x̂ - z' ẑ
4
)
x̂ +
2
E ( x, y, z ) =
( 16 + z' )
= 15
4, 0, 0
-9
=
×
E ( 1, 1, 1) = 18 x̂ + 18 ŷ V/m
에서의 전계를 구하면
dz'
tan θ 1 =
= 4 tan θ
0
(
4 , 0 , 0)
dz'
3
2
2
4
3
0
)
( 16 + z' )
θ1
2 3
4 + ( - z' ) |
2
x̂ - z' ẑ
4
0
E ( 4, 0, 0) = 60 ⌠
⌡
와 같다. 그런데
정리하면 점 (
인데, 이 경우 ρ̂
1
-9
ρ̂
= 18 2
C/ m
가 분포한 것으로 보면 된다. 따라서 식(3.9)로부터 점 (
×
2 10
1
-9
2 π⋅(
10
)⋅ 2
36π
-1
1
연습문제
동일한 상황에서 이차곡선 y
수 있다.
⌠
W
q
⌡ E dx x̂
2
= -3 x + 5
(b)
2
2
= -
⋅
-1
×
×
= 4 10
×
×
-6
-6
⌠
⌡
⌠
⌡
2
(
(
-2
-1
2
+ 12
= 4 10
-6
= 4 10
-6
2
-6
×
×
-6
×
-6
×
×
= 4 10
⋅
3
-6
= 87
문제 3-11
점
( 1, - 1, - 1)
+
-1
⌠
⌡
⌠
⌡
2
-1
-6
-9
+6
ŷ )⋅dx [ x̂ - 3x ŷ ]
2
)
3
문제 3-12
⌠
⌡
1
2
2
2
[ ( 2x- 3)( - 3 x+ 2) + 6 x + 3 x( 2x- 3) ] dx
2
[ 6x + 4 x - 6 ] dx
)⋅ [ 2 x + 2 x - 6x ] 1
3
2
2
= ( 5 10
-9
)⋅ [ 2 x + 2 x - 6x ] 1
3
2
2
= 70 10
-9
J
nJ
자유공간에서 선전하밀도 ρ 이 z 축 상의 L z L 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 평면
z
상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반경 ρ a 인 원주상의 임의의 점 a φ 에서의 전위 V 는 φ 방향
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3.17)로부터 다음을 증명할 수 있다.
-
l
≤ ≤
2
2
=
( , ,0)
V = V( a , φ, 0) = V( a , 0,0) =
1
4πε
ρ r' )
⌠
⌡ | r - r' | dl
=
ρl
4πε 0
⌠
⌡
L
ρl
4 πε 0
⌠
⌡
L
3
( 5 x + 1 ) dx
5 4
2
x + x )∣ - 1
4
ŷ - xy ẑ )⋅dx ( x̂ + 2 ŷ - 3 ẑ )
+ 6 x + 3 xy ) dx
(
= 0
3
2
-9
= 70
ŷ ]
⋅
2
1
+ 3x
= ( 5 10
3
[ ( - x + 1) + 6x ] dx
2
⋅(
(
- 2x
(
3
을 따라 움직일 경우의 일 W 은 다음과 같다.
d
3
(-x + 1 )
dx
2
)
2
-1
= 87 10
[
× ⌠
⌡ y x̂
⌠
⌡ y x dx
-1
-6
×
×
×
×
J
= - ( - 4 10
-6
⌠
⌡
-9
2
1
(
1
⋅
×
= 5 10
⌠
⌡ yz x̂
2
)
⌠
⌡ yz
-9
= 5 10
-9
⋅
×
= 5 10
2
2
= 4 10
x̂ - 6x ŷ ]
( 9 x + 5 ) dx
3
-1
⋅
L
×
⋅ ( 3 x + 5x )∣ - 1
= -
⌠
⌡ E dl
= - ( - 5 10
2
= -x + 1
= 4 10
ŷ ]
2
μJ
= 4 10
W= - q
[ ( - 3x + 5) + 12x ] dx
동일한 상황에서 삼차곡선 y
⌠
W
q
⌡ E dx x̂
3
)⋅dx [
구할
)
2
-1
×
= 168
2
-1
= 168 10
(c)
)
를 따라 움직일 경우의 일 W 는 다음과 같이
d
2
(-3 x + 5 )
dx
2
2
-1
-6
+
× ⌠
⌡ y x̂ x ŷ
⌠
⌡ y x dx
= - ( - 4 10
= 4 10
[
29#
l
(
L
L
2
-
1
2
a + ( - z' )
2
dz'
2
J
μJ
에서 점
=
( 2, 1, - 4)
까지의 직선은
=
ρl
4πε 0
L
2
-
1
2
a + z'
2
2
dz'
L
ln (
2
2
a + z' + z' ) ∣
2
-
L
2
y = 2x - 3
z = - 3x + 2
=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두 점 사이를 잇는 미소길이 벡터 d l 은
l
d = dx
x̂ + dy ŷ + dz ẑ = dx ( x̂ + dy
ŷ + dz
ẑ ) = dx ( x̂ + 2 ŷ - 3 ẑ )
dx
dx
와 같다. 따라서 일의 양 W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ρl
ln
4π ε 0
ρl
4π ε 0
ln
(
(-
L
2
L
2
2
2
) +a +
2
2
L
2
) +a + ( -
2
2
2
2
L + 4a + L
L + 4a - L
L
2
)
31#
연습문제
=0
문제 3-13
= 25
1
2
= - 26
=
+2
=5
-
=4
+2
⌠
○
⌡ E dl ⌠
⌡ ρz
⌠
⌡ ad
2π
nC 이 점
r 1 x̂ ŷ ẑ 에 있고, 또 다른 점전하
자유공간상에서 점전하 Q
Q
nC 이 점 r 2
x̂ ŷ
ẑ 에 있을 경우 무한대에서 전위가 0 이라고 가정하면 점
r x̂ ŷ ẑ 에서의 전위는 식(3.16)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L
⋅
=
2π
= -
+ 15
+3
Q1
1
[
4πε
|
V( 1, 2, 3) =
r - r 1|
1
1
4 π⋅(
36π
=
×
10
-9
r - r 2|
|
×
9
= ( 9 10 )⋅[
= 9⋅[
25
5
×
25 10
×
3
-9
-
25
○
앞의 (b)에서 임의의 폐곡선을 따른 선적분 ⌠
⌡ E d l 이라는 것은 임의의 두 점간
차V ⌠
⌡ E d l 이 경로 L 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
2
2
×
2
-9
2
( 1 - 5) + ( 2 + 1) + ( 3 - 15)
×
26 10
L
2
]
문제 3-16 (a)
(a)
= 6π x
2
D = ε ε E = 3.6⋅ ( 361π ×10
(c)
ρ v = ∇⋅
r
2
1
ρ
2
2
(c)
E
r̂ + r
∂
= -[
∂r
1
∂
∂θ
= - ( 2r sin θ cos φ )
×E [ ρ
=
=
1
∂E z
∂φ
-
ẑ
(b)
ẑ
∂
∂φ
∂z
2
∂E ρ
(c)
2
∂E z
∂ρ
-
∂E ρ
∂φ
[ ρ1 ⋅( - ρ sin φ ) - ( - ρ sin φ ) ] ρ̂ + [ ( 2ρ cos φ ) -( 2ρ cos φ)] φ̂
] ẑ
2
+
1
ρ
[ ( - 2ρ z sin φ ) -( - 2ρ z cos φ )]
ẑ
x̂ = 6×10
- 10
y
z
x
2
x̂ = 0.6 x x̂ nC/m
2
2
e
0
=
z
0
E = χ1ε P =
0
1
36
1
(
36
2⋅(
⋅4 10
z
10
1
1
36π
×
10
= 2
-9
)⋅2
-9
)
⋅[
x̂ - 8 ŷ + 4 ẑ )×10 ]
1
(6
36 π
-9
x̂ - 4 ŷ + 2 ẑ V/m
식(3.28)을 이용하면 상대유전상수는 다음과 같다.
문제 3-18
D = ε ε E = 3⋅( 361π ×10
r
-9
0
=
1
⋅( 9
36π
=
1
(9
36π
-9
x̂ - 12 ŷ + 6 ẑ ) nC/m
3
n
x̂ - 4 ŷ + 2 ẑ )
x̂ - 12 ŷ + 6 ẑ )×10
D ( r ) = 41π ∑ Q rr --rr n
|
n|
n=1
)⋅( 3
3
2
2
3
= χ eε 0E z
-9
εr = 1 + χe = 1 + 2 = 3
(d)
∂( ρ E φ )
z
=3
φ̂ ]( r 2 sin θ cos φ )
] ρ̂ + [ ∂z - ∂ρ ] φ̂ + 1ρ [
x
=
e
1
r̂ - 1r ⋅( r cos θ cos φ) θ̂ - r sin
⋅( - r sin θ sin φ ) φ̂
θ
∂E φ
2
D = ∂∂Dx + ∂∂Dy + ∂∂Dz = ∂∂x ( 0.6 x ) = 1.2 x nC/m
=
e
r̂ - r cos θ cos φ θ̂ + r sin φ φ̂
= - 2r sin θ cos φ
문제 3-15 (a) ∇
θ̂ +
1
r sin θ
)⋅6 π x
e
⋅( ρ z sin φ ) φ̂ - ( - 2ρ z cos φ )
= z cos φ ρ̂ - z sin φ φ̂ + 2ρ z cos φ
-9
0
식(3.26)에 의하면 P χ ε E 인데, 여기서 ẑ 성분에 대해서는 P
족해야 한다. 따라서 전화율 χ 는 다음과 같다.
×
P
π
χ
ε E
×
π
2
2
x̂
x̂ V/m
2
(b)
문제 3-17 (a)
x̂ - ( 2z ) ŷ - ( - 4x + 2y ) ẑ
= - 4( x - z ) x̂ - 2z ŷ + 2( 2 x - y) ẑ
∂
1
∂
∂
ẑ ]( - ρ z cos φ )
(b) E = - [
ρ̂ +
φ̂ +
∂ρ
∂z
ρ ∂φ
= - ( 4 x - 4z )
= - ( - z cos φ ) ρ̂ -
∂
3
(4-x )
∂x
= - 2π
E = - ∇V = - [ ∂∂x x̂ + ∂∂y ŷ + ∂∂z ẑ ]( 2 x - 4xz + 2yz + 5 )
의 전위
3
]
26
]
13
=0
E = - ∇V = - [ ∂∂x x̂ + ∂∂y ŷ + ∂∂z ẑ ][ 2π ( 4 - x )]
-9
169
⋅
⋅
L
= 27 V
문제 3-14
2π
2
-9
- 26 10
+
ρ = a , z = d ⋅a dφ φ̂
sin φ ⋅a dφ
(c)
( 1 - 4) + ( 2 - 2) + ( 3+ 1)
)
ẑ )∣
= a d cos φ∣ o
]
25 10
[
0
2
cos φ ρ̂ - ρ z sin φ φ̂ + ρ cos φ
=0
Q2
+
(2
0
의 관계
식을 만
33#
연습문제
216π
[
4π
=
2
x̂- 4 ŷ + 4 ẑ
2
2
x̂ + 12 ẑ ]
= 0.5 x̂ + 3 ẑ
C/m
x̂+ 2 ŷ + 4 ẑ +
2
2
2
[ 4 +2 +4 ]
-4
3
2
x̂+ 2 ŷ + 4 ẑ
2
2
2
[ ( - 4) +2 +4 ]
3
2
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한 무한 선전하 ρ 에 의한 전속밀도는 변수 φ 와 z 에 대해 서는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며, 단지 ρ̂ 성분만 존재할 수 있다. 즉 D D ρ ρ̂ 로 나
타내면 된다.
따라서 원점을 중심으로 반경 ρ 인 무한 길이의 원통면 S 를 빠져나오는 총 전속 Ψ 는 원통 내부의
총 전하 Q 와 같아야 한다는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
○ D ds ⌠
Ψ
⌡
⌡ ⌠
⌡ D ρ ρ̂ ρ dφ dz ρ̂ π ρ D ρ ⌠⌡ dz
2 sin φ cos φ
r sin θ
sin 2φ
2
r sin
2
r sin θ
θ
C/ m
3
l
=
=
⋅
S
=
∞
2π
-∞
0
( )
문제 3-21 (a) ρ v = ∇⋅
∞
=2
( )
2
0
l
-∞
l
2
2
6 +8
= 10
0
10
-9
) = 30 10
-9
l
30
10
2 ⋅5
=
2
-9
= 3 10
5, 0, 0
D = ∂∂x ( e
= -2 e
(b) ρ v = ∇⋅
=
=
1
ρ
1
ρ
= e
∂
( 2x ln y) +
∂y
- 2x
)+
- 2x
2x
+
y
D
= 3
/
2
+ 6 xz
C /m
0
∂D φ
3
∂
5z sin
(ρ⋅
∂ρ
ρ
sin φ
C/ m
D= r
1
=
2
1
r
2
∂φ
2
φ
)+
ρ
는
(d)
2
∣ x = 2⋅
0
0
-
2
0
2
∣ x = 0⋅
0
2
( 2 - 1)
∣ y = 2⋅
2
2
- 0⋅
0
ρ v = ∇⋅
0
-
2
+ 3⋅
Q=
3
∂
2 cos θ sin
2
(r ⋅
2
∂r
r
2
φ )+
1
r sin θ
∂
(∂θ
∂
φ )+ 1
2
( ρ ⋅ρ sin
∂ρ
2
ρ
1
ρ
∂φ
∣ y = 0⋅
2
2
- ( - 1) ⋅
0
4
z
2π
2
0
0
2
φ
2
2
C /m
3
⋅ρ dρ dφ dz =
v
∂
( 3)
∂z
φ + 3 sin φ
ρ
⌠
⌡ ⌠
⌡⌠
⌡ ρ
4
-1
2π
2
0
0
(6
sin
3
⌠
⌡
0
φ )⋅ d d dz
ρ ρ φ
2
2π
3
3
= 5⋅[ 2 - 0 ]⋅( - 2 cos
= 5⋅16⋅[ - 2 ( - 1 - 1)]
= 320 C
2
2ρ ∣ 0 sin
2
φ ⋅ sin )
θ
2
r sin θ
( 2 - 1)
∂
φ )+
2
( - 6ρ cos
∂φ
2
∂D φ
3 sin
0
2
0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φ
⌠
⌡ ⌠
⌡⌠
⌡ρ
-1
=Ψ
= [ 4 - ( - 1)] ⋅
1
r sin θ
ẑ
ρ
=
∂
( D θ sin θ ) +
∂θ
0
2
0
D = ρ1 ∂∂ρ ( ρ D ) + ρ1 ∂∂Dφ + ∂∂Dz
= 6ρ sin
1
r sin θ
z = 0 ⋅ dxdy
0
3
∂
2
(r Dr) +
∂r
2
0
2
0
앞의 (c)와 (d)로부터 Gauss 법칙인 Q
3
∂
2
3
( ρ cos φ + 4ρ )
∂z
∣ y = 0⋅
0
ẑ - ⌠
⌡⌠
⌡ D∣
∣ z = 2⋅dxdy
C
= 32
문제 3-22
∂
- 4z
(- ρe
cos φ ) +
∂φ
2
0
= 4⋅4 + 3⋅4 - ( - 1) ⋅4
∂z
1
2
-
2
2
2
= 4⋅
∂D z
+
2
0
2
2
∂
2
( 3x z )
∂x
2
0
+
/
=
∣ x = 0⋅
0
∣ y = 2⋅
⌠
⌡⌠
⌡D
0
2
0
2
0
= 3ρ sin
∂
1
( ρ D ρ) +
∂ρ
ρ
- 4z
(c) ρ v = ∇⋅
= 30
0
-
⌠
⌠
dydz x̂
dydz x̂
⌡⌠
⌡ x x̂
⌡⌠
⌡ x x̂
⌠
⌠
dxdz ŷ
dxdz ŷ
⌡⌠
⌡ y ŷ
⌡⌠
⌡ y ŷ
⌠
⌠
⌠
⌠
⌡⌠
⌡ dydz
⌡⌠
⌡ tdydz
⌡⌠
⌡ dxdz
⌡⌠
⌡ dxdz
=
2
/
문제 3-20 (a) ρ v = ∇⋅
+
2
=5
=
=3
-9
( 2 + 2) ⋅ dxdy dz
2
2
∣ x = 2⋅
0
2
nC m 이라는
에서 전속밀도의 크기가
것은 원통좌표계에서
인 원통면상의 점이므로 위에서 유도한 관계식에 대입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
×
×
π nC m
(b) 점 (
)은 ρ
인 원통면상의 점이므로 앞의 (a)에서 유도한 관계식을 이용하면
ρ
π×
D π ρ ρ̂
× ρ̂ ρ̂ nC m
ρ̂
π
x̂ 와 같으므로 결국 전속밀도
와 같다. 이 결과로 직각좌표계의 점 (
)에서는 ρ̂
D x̂ nC m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0
⌠
⌠
dydz x̂
dydz x̂
⌡⌠
⌡D
⌡⌠
⌡D
⌠
⌠
dxdz ŷ
dxdz ŷ
⌡⌠
⌡D
⌡⌠
⌡D
2
ρ l = 2π ρ D ( ρ ) = 2π⋅10⋅( 1.5
2
0
2
+
/
2
0
= 32 C
2
-∞
1.5
⌠
⌡⌠
⌡⌠
⌡ x
⋅dxdydz =
v
2
(c) Ψ =
6, 8, 5 )
5, 0, 0
2
0
3
= 4( x + 2 x)∣ 0
ρ l = 2π ρ D ( ρ )
그런데 점 (
2
0
-∞
∞
=
2
∞
( ) ⋅
⌠
⌡ ρ dz ρ ⌠
⌡ dz
으로 다음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Q=
D = ∂∂x x + ∂∂y ( 2y - 1) = 2x+ 2 C/m
⌠
⌡⌠
⌡⌠
⌡ρ
(b) Q =
∥
다.
⋅
r sin θ
=
2
(a) z
ρ=
1
=
2
∂
sin φ
(
)
∂φ
r sin θ
1
+
]
1
⋅[ 2
4
=
문제 3-19
2
[ 2 + ( - 4) + 4 ]
4
+
3
2
φ
2
φ )∣ 2π
2
0
dφ
0
2
0
연습문제
⌠⌡ ⌠
⌡ D r θ dθ dφ r̂
⌠⌡ ⌠
⌡ r θ φ dθ dφ
π
문제 3-23 (a) Ψ =
2π
0
0
π
=
2π
0
2
⋅
4
sin
0
4
⌠
⌡
π
= 15⋅
2
= 30 π
⌠
⌡r
4
0
2
sin
2
θ dθ⋅
⌠
⌡
2π
sin
0
0
φ
2
2π
0
4
sin
2
θ sin
φ
2
r̂ )∣
D= r
1
r sin θ
2
φ
C/m
2
π
0
0
0
2
1
π
2
0
1
2
v⋅
(b)
1
r sin θ
∂D φ
(d)
∂φ
⌠⌡ r dr ⌠
⌡
⌠
r
⌡
2
1
3
4
2
∣ 1⋅
⋅
π
4
0
0
sin
π
sin
2
2
⋅
θ dθ⋅
1- sin 2 θ
2
2
2π
0
sin
π
2
0, 6 10
×
)
= 4 10
2
7
S /m
3
l
=
σS
×
10 10
×
×
7
( 5 10 )⋅ [ ( 3 10
l
σ S + σ'S'
2
문제 3-27
-3
P = V⋅I = 12⋅0.2 = 2.4 W
×
×
=
-2
-3
×
2
) - ( 1 10
-3
×
= 2.5 10
2
) ]
×
-3
2
-4
= 250
μΩ
×
-3
-2
10 10
×
7
(5 10 )⋅ [ ( 3 10
×
) - ( 1 10
-3
2
8
) ] + 10 ⋅( 1 10
= 2 10
-4
= 200
μΩ
1
l
=
σS
l
l
×
σ π×
σ 로 줄어든 매질로 두께 x mm 만큼 고르
이다. 그런데 구리도선의 표면을 구리에 비해 도전율 σ
게 코팅하면 코팅된 단면적 S 는
S
×
x ×
π x
π x
이다. 코팅된 구리도선의 전체 저항 R 가 구리도선 만의 저항 R 의 반이라면
R=
σ⋅ π ( 1
10
-3
)
2
=
⋅
10
-6
=
1
15
[
c
이므로 Gauss 법칙이 성립한다.
2
=
c
2
[ ( + 1) - 1 ] 10
-6
=
(
2
+ 2 ) 10
-6
T
문제 3-24
식(3.45)로부터 저항이
R=
ρ cl
S
RT =
r 로 줄 였다면, 이는
인 구리도선이 있다고 한다. 동일한 도선을 길게 늘여서 단면의 반경 r → r
S 로 줄어드는 대신 전체 부피가 일정해야 하므로 길이 l → l
l 이 되
단면의 반경 S → S
어야 한다. 따라서 길이가 늘어난 도선의 저항 R 는 다음과 같다.
0
0
=
l
1
9
=
1
3
0
0
= 9
1
1
R=
⋅
2
2
l
×
=
σ S + σ cS c
σ⋅π 10 - 6 +
∥
Ω
= 0.1
2
코팅이 없을 경우 길이 l 이고, 반경 mm 인 원형 구리도선의 도전율을 σ 라고 하면 도선의 저항 R 은
c
=Q
)
-2
10 10
400 + 100
×
⋅4
앞에서 구한 (b)와 (c)의 결과로부터 Ψ
Ω
E | = Vl = 0.612×10 = 0.02 V/m
φ d
φ
2
×
3
60⋅( 0.5 10
=
φ )∣ 2π
dθ⋅( - 2 cos
0
= 30 π C
(d)
×
= 81 R = 81 0.1 = 8.1
식(3.43)으로부터 전계의 세기 | E |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b) R =
1
θ - sin 2 θ
2
π
= 15⋅
∣ 0⋅[ - 2 ( cos π - cos 0)]
2
= 15⋅
=
sin
⌠
⌡
⋅
c
식(3.45)에서 도전율 σ 는 다음과 같다.
l
×
σ
RS
×
문제 3-26 (a) R =
3
sin
4 sin
× ρS l
V
12
=
= 60 Ω
I
0.2
문제 3-25 (a) R =
⌠⌡ ⌠
⌡⌠
⌡ ρ r θ dr dθ dφ
⌠⌡ ⌠
⌡⌠
⌡ r θ φ r θ dr dθ dφ
2π
= 81
1
S
9
dθ dφ∣ r = 1
dφ
∂
( D θ sin θ ) +
∂θ
ρ c⋅9l
=
∂
φ )
2
2
( r ⋅r sin θ sin
∂r
2
1
r
S0
=
∂
2
(r Dr) +
∂r
2
ρ c⋅l 0
R0 =
r =1
|
1
2π
=
π
∣r = 2 -
sin θ dθ dφ ( -
(c)
= 4r sin θ sin
=
0
2
⋅4
=
=
⋅
C
(b) ρ v = ∇⋅
(c) Q =
0
2π
1
sin 2 θ
2
π
∣ 0⋅4
2
θπ
sin
⌠
⌡⌠
⌡D r
⌠
⌡⌠
⌡r
π
∣r = 2 +
1 - cos 2 θ
φ )∣ 2π
dθ⋅( - 2 cos
0
2
2
0
= 15⋅
2
π
4
= ( 2 - 1 )⋅
= 15⋅
sin
35#
l
×
을 만족해야 한다. 위의 식으로부터
x×
σ π×
σ π x
과 같은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간략화하면
⋅
2
10
-6
=
σ⋅π 10 - 6
1
15
⋅
(
2
+ 2 ) 10
x + 2x- 15 = ( x+ 5)( x- 3 ) = 0
-6
×
1
σ⋅π ( x2 + 2x) 10 - 6
15
]
37#
연습문제
이 되므로 결국 코팅의 두께 x
문제 3-28
= 3 mm
임을 알 수 있다.
(a)
=
에는 ε
인 유전체가 있으며 x 에는 공기로 채워졌으므로 경계면은 x 이고, 법선방
향은 x̂ 이다. 당연히 접선방향은 ŷ 와 ẑ 이다. 경계면에 전하가 없으므로 경계조건인 식(3.51)과 (3.55)
를 적용하면
x< 0
r1
= 3
> 0
r2
1
36
= (
0
= 0
ε2
ε r2
1
1
E 2x =
E 2x =
E =
⋅6 = 2 V/ m
3
ε1
ε r1
ε r 1 2x
E 1x =
유전체 외부의 전속밀도 D 2 는 다음과 같다.
D2 ε ε E2
×
r̂
π
= (
(b)
1r
1θ
=
와 같다. 따라서 z 인 유전체 영역의 전계 E 1 은 다음과 같다.
< 0
에 있는 도체 경계면에서의 경계조건은 식(3.56)과 (3.57)로부터
E
→E E
D
ρ → D
εE
ε ε E
ρ
nC m 가 있고, z
와 같다. 완전도체 경계면인 z 에 면전하밀도 ρ
에는 상 대유전상수
ẑ 이고, 측정점 (
ε
인 유전체가 있다. 그런데 여기서 경계면의 법선방향 n̂
)은
z
이므로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1n
= -
1x
=
s
1y
= 2⋅(
0
1z
=
1z
=
r
0
1z
= -
s
= 0.4
2
/
> 0
= -
3, - 2, 5
= 5> 0
E ( 3,- 2, 5) = E x̂ + E ŷ + E ẑ
1x
1y
ρs
= (εr ε0
1z
=
×
= 3 cm
→E
D 2n - D 1n = ρ s
2θ
= E 1θ
→D
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ε
선방향 n̂ r̂ 이 된다.
2r
r1
-9
ẑ
×
ẑ
V/m
- D 1r = ε r 2 ε 0 E 2r - ε r 1 ε 0 E 1r = ρ s = 0
,ε
r2
= 1
, E2
1
1
36
10
-9
r̂ + E
(2
2θ
θ̂ + E 2 φ φ̂
r̂ - 72 θ̂ + 108 φ̂ V/m
)⋅( 36
- 72 θ̂ + 108 φ̂ )
r̂ - π4 θ̂ + π6 φ̂)×10
2
π
π
-9
r̂ - 4 θ̂ + 6 φ̂ ) nC/m
2
동심구 내부의 전위 V 는 구좌표계에서 변수 r 만의 함수이므로 V r 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동심구 내에는 전하가 없으므로 전위 V r 은 다음의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문제 3-31 (a)
( )
( )
1
2
∇ V=[
2
r
1
r
2
∂
∂
1
2
(r
)+
2
∂r
∂r
r sin θ
= 72
r̂ - 72 θ̂ + 108 φ̂ V/m 이며, 경계면의 법
∂
∂
1
( sin θ
)+
2
2
∂θ
∂θ
r sin θ
∂
2
2
∂ φ
]V( r )
d
2 d
[r
V( r )]
dr
dr
=0
위의 2 차 상미분 방정식을 만족하는 V r 은
( )
V( r ) =
A
+ B,
r
for
이다. 그런데 내부 도체면은
V( r = 0.01 ) =
V( r = 0.05 ) =
, E 2φ = E 1φ
= 2
=
=
인 유전체 구면에는 어떠한 전원도 없으므로 여기서의 경계조건은 식(3.51)과 (3.53)으
E 2t = E 1t
=
ẑ )
0.4 10
1
-9
6⋅(
10
)
36π
= 2.4π
2
s
= 6
r
반경 r
로부터
= (
= 0
=0
문제 3-30
r1
z=0
= 0
-9
r̂ - 72 θ̂ + 108 φ̂
유전체 내부의 전속밀도 D 1 은 다음과 같다.
D1 ε ε E1
×
r̂
π
=
1t
1
⋅72
2
= 36
E 1 = 2 x̂ - 5 ŷ + 4 ẑ V/m
문제 3-29
ε r2
E 2r
ε r1
θ̂ + E 1 φ φ̂ =
E 1z = E 2z = 4 V/ m
(c)
- 72 θ̂ + 108 φ̂ )
유전체 내부의 전계 E 1 은 앞에서 보인 경계조건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E 1 = E r̂ + E
E 1y = E 2y = - 5 V/ m
)⋅( 72
r̂ - 2 θ̂ + 3 φ̂) nC/m
(2
π
-9
r̂ - π2 θ̂ + π3 φ̂)×10
2
π
1
=
10
A
0.01
A
0.05
0.01 ≤ r ≤ 0.05
160 V
이고, 외부 도체면은 접지되어 있으므로
+ B = 160 V
+B= 0 V
라고 둘 수 있다. 위의 식에서 상수 A 와 B 를 구하면 전위 V r 는 다음과 같다.
( )
V( r ) =
2
r
- 40
V
39#
연습문제
(b)
r̂
d
V( r )
dr
= -
문제 3-33 (a)
r̂
d
2
= (
- 40 )
dr
r
=
(c)
따라서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1
∂
E = - ∇ V = - [ ∂∂r r̂ + 1r ∂∂θ θ̂ + r sin
φ̂ ] V( r )
θ ∂φ
D=ε ε E
r
0
r̂ V/m ,
2
2
r
×
1
= 18⋅(
36π
10
2
0.01 ≤ r ≤ 0.05
)⋅
r̂ = π r ×10 r̂ = π r r̂ nC/m
2
r
1
2
1
-9
2
2
2
(b)
r
3
3
θ
D = ε E = ε ε E = 3.6⋅( 361π ×10 )⋅[ - 60 sinr θ r̂ + 30 cos
θ̂ ]
r
-9
r
0
3
6
sin θ
π
r
6
sin θ
π
r
= [-
문제 3-32 (a)
2
2
∂ V
2
∇ V ( x, y, z ) =
∂x
∂
= [
+
2
2
∂x
+
2
2
∂ V
∂y
∂
∂ V
+
2
∂z
2
∂y
∂
+
2
= -
2
2
∂z
2
2
2
2
]( 2 x - 3y + z )
(c) ρ v = ∇⋅
=
따라서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한다.
2
∇ V( ρ, φ, z ) =
ρ
1
=
∂ V
∂φ
2
∂ V
+
∂z
2
= -
1
ρ
1
⋅[ 5( 1 -
ρ2
) cos φ ] - 5 (
1
1
-
ρ
ρ3
1
) cos φ
ρ3
=
=
따라서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한다.
(c)
1
2
∇ V( r , θ, φ ) =
=
r
∂
∂r
2
2 sin
(d) Q =
2
2
2
θ cos φ
2
∂
∂r
(
2
∂
2r cos φ
2
r ⋅
r +
2
∂r
r sin θ
)
+
=
2 sin
2
θ cos φ
2
r
=
r
2
⋅ ( 4r sin θ cos φ ) +
2
=
=
=
2
θ cos φ
r
2 cos φ
r
2 cos φ
r
2π
2
+
2 cos φ
r
2
r
⋅
∂
∂θ
(
2
sin θ
r
6
sin θ
π
r
3
πr 4
π
3
0
1
2
2
(-
2
2
)+
2
r
)
3
θ ⋅ ∂ 2 cos
φ
2
∂ φ
3
⋅ sin θ )
2
θ + cos 2θ )
( - sin
cos θ
]
sin θ
⌠
⌡ ⌠
⌡⌠
⌡ πr
⌠⌠
π⌡ ⌡
2π
0
3
π
π
3
0
1
π
⋅2
0
1
r
3
4
3
1
2
sin θ
1
r
r sin θ dr dθ dφ
dr dθ
2
3
] 1⋅π
= 4π nC
(e)
∂
( sin θ⋅ sin 2θ )
∂θ
θ + 2 cos 2θ ) -
1
r
∂
( cos θ sin θ )
∂θ
4
r sin θ
= 6⋅[ -
2
∇ V = ∇⋅( ∇ V ) = ∇⋅( -
E ) = - 1ε ∇⋅( ε E ) = - 1ε ∇⋅ D
= -
= -
따라서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 - cos φ )
2
1
cos θ
∂
3
(
∂θ π
r sin θ
π r 4 sin θ
∂
( - sin φ )
∂φ
⋅( 2 cos
1
)] +
3
sin θ dr dθ dφ =
r sin θ
θ + 2 cos 2θ + 2 cos 2θ - 1)
⋅( 1 + 2 cos 2θ )
2
=
1
ε
1
ρv
3
ε π r 4 sin θ
≠0
2 cos φ
r
문제 3-34
⋅( 2 sin
1
r
nC/m
2
2
3
2
3
⋅r
r
[ 2 sin θ - sin θ +
π r 4 sin θ
v
sin θ
∂
1
3
(
)+
∂r
r
π
2
∂
2
sin θ⋅
sin θ
∂θ
2
φ
2 cos φ
⋅( cos θ sin 2θ + 2 sin θ cos 2θ )
r sin θ
+
4 sin
2r sin
∂
2 cos φ
2
( r ⋅1 ) +
∂r
r sin θ
+
1
⌠
⌡ ⌠
⌡⌠
⌡ρ
0
nC/m
3
θ
1
∂
1
∂ V
+
( r ∂∂Vr ) + r sin
( sin θ ∂∂V
θ )
r sin θ ∂φ
θ ∂θ
2
r
6
π
) cos φ
=0
θ
r̂ + π3 cos
θ̂
r
3
∂
6
2
[ r ⋅( ∂r
π
2
2
∂
1
1
[ ρ ⋅5( 1 + 2 ) cos φ ] - 5 (
∂ρ
ρ
ρ
ρ
=
1
ρ2
-9
3
r
1
r
= -
∂
∂V
(ρ
)+
∂ρ
∂ρ
1
θ
r̂ + π3 cos
θ̂ ]×10
r
3
2
2
=4-6+2
(b)
3
∂D
1
∂
1
D = r1 ∂∂r ( r D ) + r sin
( D sin θ ) +
r sin θ
∂φ
θ ∂θ
= 0
2
3
θ
r̂ + 30 cos
θ̂ V/m
r
sin θ
= - 60
r̂ + 30 r1 ∂∂θ ( sin θ ) θ̂
∂
1
( 2 )
∂r
r
= 30 sin θ
for
-9
1
∂
sin θ
E = - ∇ V = - [ ∂∂r r̂ + 1r ∂∂θ θ̂ + r sin
)
φ̂ ]( - 30
θ ∂φ
r
두 평판 내에서 전위는 변수 z 에 대해서만 변하므로 두 유전체 영역 모두 직각좌표계에서 Laplace 방정식
을 쓰면
41#
연습문제
2
∇ V= [
∂
2
∂x
2
+
∂
2
∂y
2
+
∂
2
∂z
2
] V( z ) =
d
와 같다. 이를 앞에서 구한 전계의 표현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
dz
2
V( z ) = 0
이 되므로 두 유전체 영역의 전위 V z 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V( z ) =
{
V 1 ( z) = A z + B ,
in
a ≤z≤b
V 2 ( z) = C z + D ,
in
0≤z≤a
E
( )
E
문제 3-35 (a)
E 1 ( z ) = - A ẑ , in a ≤ z ≤ b
ẑ = {
E 2 ( z ) = - C ẑ , in 0 ≤ z ≤ a
=
=
-
1n
= -
2
2z
( = ) +
1
1z
( = ) =
∂
2
∂x
s
2
∂z
2
d
]V ( z ) =
2
dz
2
V( z ) = 0
( )
V( z ) = V( 0.04) = - 250 z + 5 V
(b)
위의 경계조건에서 접선성분은 자동으로 만족되므로 ①, ②, ③의 전위에 대한 조건과 ③의 법
선성분의 조건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앞의 전위로부터 전계 E z 는 다음과 같다.
( )
E ( z ) = - ∇V( z ) = - dzd V( z ) ẑ = - dzd ( - 250z + 5) ẑ = 250 ẑ V/m
직각좌표계의 변수 z 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는 전위가 V x y
로 표현될 경우의 전위가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한다면
문제 3-36
( , ) = A ( x) B ( x)
∂
2
a
∂
+
위로부터 상수 A 와 B 를 구하면 전위 V z 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 2( z = a ) = V1 ( z = a )
A = b

ε 1 +( - 1)ε 2
a

b

(
- 1)ρ s

a
C =
b
ε 1 + ( - 1)ε 2
2
V( z 2 ) = V( 0.04) = 0.04 A + B = - 5 V
E 2y ( z = a ) = E 1y ( z = a )
ρs
2
∂y
V( z 1 ) = V( 0) = B = 5 V
E 2x( z = a ) = E 1x( z = a )
위의 식으로부터 상수 A 와 C 를 구하면
∂
+
2
이므로, 다음의 경계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
Ab + B = 0


 D = 0


 A a + B = C a + D


 ε2C - ε1A = ρ s
다음의
V( z ) = A z + B
( = 0) = 0
2n
0≤z≤a
( )
( = 0) = 0
2
for
따라서 전위 V z 는
( = ) = 0
= 0
ẑ ,
( )
2
( = ) =0
1
a ≤z≤b
두 평판 내에서 전위는 변수 z 에 대해서만 변하므로 전위 V z 는 직각좌표계에서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 V= [
=
=
for
Laplace
이다. z 과 z b 인 도체 경계면과 z a 인 유전체 경계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계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① z b 경계면 : ẑ× E 1 z b
V z
b
(∵ 접지되어 있으므로)
② z 경계면 : ẑ× E 2 z
V z
(∵ 접지되어 있으므로)
③ z a 경계면 : D D
ε E z a
ε E z a
ρ
ẑ 이므로)
(∵ n̂
= 0
ẑ ,
a
그리고 앞의 전위로부터 구한 전계 E z 는
d
( z ) =- ∇V( z ) =V( z )
dz
ρs

 ε + ( b - 1 ) ε
 1
2
a
= 
 - ( b - 1) ρ

s
a

b
ε 1 + ( - 1) ε 2
∇ V( x, y) = [
=
2
∂x
∂
2
+
∂
2
∂y
2
+
2
∂x
2
= B ( y)
A ( x) B ( y) +
∂
∂
2
∂z
∂
2
2
∂y
2
2
∂x
2
]V ( x, y)
A ( x) + A ( x)
A ( x) B ( y)
∂
2
∂y
2
B ( y)
와 같은 형태
연습문제
= B ( y)
d
2
dx
d
A ( x) + A ( x)
2
43#
ρ
Ρ( ρ )
2
dy
B ( y)
2
= 0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적분식에서 양변을 A x B y 로 나누면
( )
2
1
d
A ( x)
dx
2
A ( x) +
( )
d
dy
2
d
dx
1
B ( y)
d
2
d
d
2
2
d
2
2
d
2
Φ( φ ) = - β Φ( φ )
dφ
와 같이 표현되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유도됨을 증명할 수 있다.
dρ
d
1
d
dρ
2
Ρ( ρ) +
2
Φ( φ) + βΦ( φ) = 0
ρ
β ( )=0
Ρ ρ
ρ2
Ρ( ρ) -
2
dφ
B ( y) = α
2
자유공간에 접지된 직각 도체판 내의 점 Q
에 전하 q 가 있다면 다음 3개의 영상전하
가 존재하게 된다.
q
① 영상전하 #1 : 점 (-2,3,0)에 전하
② 영상전하 #2 : 점 (-2,-3,0)에 전하 q
q
③ 영상전하 #3 : 점 (2,-3,0)에 전하
따라서 직각 도체판이 제거된 자유공간에는 총 4개의 점전하가 존재하므로 식(3.16)으로부터 점
x y
의 전위 V 는 다음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다.
문제 3-39
A ( x) + α A ( x) = 0
( 2, 3, 0 )
-
2
dy
Φ( φ ) = - β
d
d
d
d
(ρ
Ρ ( ρ )) = ρ 2
Ρ ( ρ) + ρ
Ρ( ρ) = β Ρ( ρ)
2
dρ
dρ
dρ
dρ
ρ
2
dx
Φ( φ) = 0
바로 위의 두 식은
A ( x) = - α
위의 두 미분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미분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
2
Φ( φ ) dφ 2
2
dy
d
1
B ( y) = 0
2
1
∂
∂φ
d
d
ρ
(ρ
Ρ ( ρ )) = β
dρ
Ρ ( ρ ) dρ
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좌변은 두 항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항은 변수 x 만의 함수이
고, 두 번째 항은 변수 y 만의 함수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두 항의 합이 0이 되기 위
해서는
두 항 모두 서로 반대 부호의 상수이어야만 한다. 즉, α 를 임의의 상수라고 하면 위의
미분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미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 ( x)
2
1
Φ( φ)
으로 표현된다. 이 식에서 좌변의 첫 번째 항과 두 번째 항은 각각 서로 다른 변수인 ρ
와 φ 만의 함수이다. 따라서 우변이 0이 되기 위해서는 좌변의 두 항 모두 상수이어야
한다. 이는
임의의 상수 β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식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1
B ( y)
∂
∂
(ρ
Ρ ( ρ )) +
∂ρ
∂ρ
2
B ( y) - α B ( y) = 0
-
문제 3-37
식(3.75)를 이용하면 두 개의 도체평판이 이룬 각이 φ
〫
〫
N
〫
φ
=
문제 3-38
360
-1=
360
15
일 경우 영상전하의 수 N은 다음과 같다.
= 15̊
( , , 0)
- 1 = 23
V( x, y, 0 ) =
원통좌표계에서 함수 V ρ θ 에 대한 Laplace 방정식은 식(2.56)으로부터
( ,
1
2
∇ V( ρ, φ ) = [
ρ
= [
=
1
ρ
∂
∂
(ρ
)+
∂ρ
∂ρ
2
1
∂
ρ2
∂φ
2
∂
∂
1
(ρ
)+
∂ρ
∂ρ
ρ2
∂
2
∂φ
Φ( φ )
ρ
=
)
∂
∂
(ρ
Ρ ( ρ )) +
∂ρ
∂ρ
2
+
∂
2
∂z
2
|(x
x̂ + y ŷ ) - r n |
q
1
[
4πε 0
2
( x- 2) + ( y - 3)
q
-
2
q
2
( x+ 2) + ( y + 3)
2
2
( x+ 2) + ( y - 3)
-
2
q
2
( x- 2) + ( y + 3)
2
]
]Ρ ( ρ ) Φ ( φ )
Ρ( ρ)
ρ2
∂
2
∂φ
2
Φ( φ )
= 0
( )
Qn
4
∑
n=1
+
]V( ρ,φ )
을 얻을 수 있다. 위의 양변에 Ρ ρ Φ φ 로 나누고, 다시 ρ 를 곱하면
( )
1
4 πε
2
문제
3-40 먼저 자유공간 내에서 z 축을 따라 선전하밀도 ρ 이 분포할 경우 주변의 전속밀도 D 는 문제 3-4의
결과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
y ŷ
D = 2ρπ ρ ρ̂ = 2π xρ + y x x̂x++yyŷ = 2ρπ xxx̂ +
C /m
+y
l
l
2
l
2
2
2
2
그렇다면 도체판이 없는 자유공간에서 ( x y
0
,
0
, 0)
2
2
에 있는 무한 길이의 선전하로부터 점
( x, y , 0 )
45#
연습문제
이를 만족하는 전위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의 전속밀도 D 는 마치 선전하밀도가 원점에 있다고 할 때 점 ( x x y y )에 서의 전속밀도를 구
하는 것과 같으므로 위의 결과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D
ρl
( x, y, 0) =
2π
( x - x0 )
x̂ + ( y - y ) ŷ C/m
0
2
( x - x0 ) + ( y - y 0 )
,
-
s
s
,0
V( z ) = A z + B
2
양 경계면에서의 전위를 대입하면
2
ẑ 방향으로 무한히 긴 선전하밀도
도체판이 없을 경우에는 자유공간의 점 (
)에
nC
m
ρ
만이 분포하게 되므로 점 (
)에서의 전속밀도는 앞에서 유도한 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x̂
ŷ
×
D
x̂
x̂ nC m
π
π
π
(b) 도체판이 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총 7개의 영상전하가 존재한다.
① 영상전하 #1 : 점 (1,2,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② 영상전하 #2 : 점 (-1,2,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③ 영상전하 #3 : 점 (-2,1,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④ 영상전하 #1 : 점 (-2,-1,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⑤ 영상전하 #2 : 점 (-1,-2,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⑥ 영상전하 #3 : 점 (1,-2,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⑦ 영상전하 #1 : 점 (2,-1,0)을 통과하는 선전하
ρ
결국 원 문제는 자유공간에 원래 선전하와 7개의 영상 선전하들이 존재할 경우 점 (
)에서의 전
속밀도를 구하는 문제로 등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전속밀도는 다음과 같다.
2, 1 , 0
(a)
l
= 39
/
=
V( 0) = B = 0 V
1, 1 , 0
39 10
2
-9
(1-2)
+ (1-1)
2
( 1 - 2) + ( 1 - 1 )
-9
19.5 10
= -
2
-
= -
19.5
/
V( 0.002) = 0.002 A + B = 100
2
이므로 콘덴서 내의 전위는
l
V( z ) = 50000 z
l
-
-
E = - ▽V( z ) = - 50000 ẑ V/m
이다. 따라서 x d
인 평행판 표면을 따라 적분형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
Q
○
ẑ ρ dρ dφ ẑ
⌡ ε E ds ε ε ⌠
⌡ ⌠
⌡
=
l
= 0.002
2π
=
l
-
V
이다. 따라서 콘덴서 내의 전계는
l
l
⋅
S
=
r
0
l
= 12⋅(
1, 1 , 0
D ( x, y, 0 ) = ∑
( - 1)
7
ρl
( x- xn )
2π
n=0
=
n
×
39 10
2π
-
=
×
39 10
2π
-9
×
12.8
π
( - 1)
2
⋅[ -
2
+
2
2
2
x̂- ŷ
2 +(-1)
2
3
2
2
2 +3
2
3
2
2
( - 1) + 2
x̂+ ŷ]
(b)
=
=2
=6
= 12
100
▽V
2
= [
∂
2
∂x
2
+
∂
2
∂y
2
+
∂
2
∂z
×
10
-4
⋅
10
-9
)⋅
)⋅50000⋅2π
(-
⌠
⌡
0.06
0
)
ρ dρ
1
ρ 2∣ 0.06
0
2
-8
=
V
식(3.79)에서 N
= 1
6 10
100
= 6 10
- 10
= 600
인 경우이므로 정전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
2
과 z d mm 인 지점에 있는 반경 r cm 인 평행판의 내부에 상대유전상 수
인 균일한 유전체로 채워진 콘덴서에 직류전압 V 를 인가시 내부의 전 위 V z 는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a) z = 0
εr
1
36 π
(- 50000
1
1
-8
-6
We =
QV =
⋅( 6 10
)⋅100 = 3 10
= 3 μJ
2
2
문제 3-42
문제 3-41
0
-8
=
2
x̂+ ŷ]
x̂+ 12.8
ŷ nC/m
π
×
0.06
0
× C
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그러므로 정전용량 C 는 식(3.87)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C
×
pF
2
( 3)
1
3
= 6 10
x̂
x̂+ 2 ŷ - 2 x̂+ 3 ŷ + 3 ŷ - - x̂+ 2 ŷ ]
3 +2
-9
π
= -
3
2
11⋅13 - 15
⋅[ 15⋅13
⋅
12.8 10
x̂ - - ŷ
( - 1)
+
=
n
2
⋅[
=
x̂ + ( y - y ) ŷ
( x - xn ) + ( y - y n )
-9
V
]V ( z ) =
2
d
2
dz
V( z ) = 0
2
( )
동축 콘덴서의 경우 내부의 전위는 원통좌표계에서 변수 ρ 만의 함수이므로 V ρ 로 나타낼 수 있다. 따
라서 다음의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 )
▽Vρ
2
ρ
∂
∂
(ρ
)+
∂ρ
∂ρ
1
d
( )= [
=
1
ρ dρ
(ρ
2
1
∂
ρ2
∂φ
d
V( ρ )) = 0
dρ
2
+
∂
2
∂z
2
] V( ρ )
연습문제
47#
같다.
이를 만족하는 해는
ρ
1
1
l=
⋅20 = 10 cm
2
2
l' =
→
d
V( ρ ) = α
dρ
d
V( ρ ) =
dρ
(b) C 를 반으로 줄일 경우의 내심반경 a' 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해야 한다.
→ Vρ
α
ρ
( ) = α ln ρ + β
ln (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α 와 β 는 임의의 상수이지만 동축 콘덴서의 양단에 주어지는
전위를 다음과 같이 만족해야 한다.
b
b
) = 2 ln (
)
a'
a
따라서 이를 정리하면
ln (
b
b
) - 2 ln (
)=0
a'
a
∥
V( ρ = a ) = α ln a + β = V
2
ln (
V( ρ = b) = α ln b + β = 0
V
ln b - ln a
2
2
a
=1
a' b
이어야 한다. 결국 이 경우의 내심반경 a' 는 다음과 같다.
V
ρ )
ln (
b
b
)
a
( ln ρ - ln b ) = -
2
과 같은데, 이를 만족하는 해는
위의 두 식으로부터 α 와 β 를 구하면 콘덴서 내의 전위는
V( z ) = -
2
b
b
b
a
b
a
a
) - ln ( 2 ) = ln (
) + ln ( 2 ) = ln (
⋅ 2 ) = ln (
)
a'
a'
a'
a' b
a
b
b
ln (
2
2
a
b
a' =
=
1
4
= 0.25 mm
(c) 위 식에서 절연층의 상대유전상수 ε 과 정전용량 C 는 비례한다. 따라서 C 를 반으로
경우의 상대유전상수 ε ' 는 다음과 같다.
이다. 따라서 콘덴서 내의 전계는
r
줄일
r
E = -▽
V
b
ln (
)
a
∂
V( ρ ) = V( ρ ) ρ̂ =
∂ρ
1
ρ
1
1
⋅12 = 6
ε r' =
ε =
2 r
2
ρ̂
(d) C 를 반으로 줄일 경우의 외심반경 b' 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해야 한다.
이다. 따라서 ρ a 인 내부 원통면을 따라 적분형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Q
○
⌡ ε E ds ε⌠
⌡⌠
⌡ Vb ρ ρ̂ ρ dφ dz ρ̂
=
2π
l
=
⋅
S
=
0
0
= ε⋅
1
[
ln (
a
)
]⋅
ln (
따라서 이를 정리하면
∣ρ = a
ln (
2
ln (
C=
문제 3-43
Q
=
V
b' a
b
b
)
a
2
b' =
동축 콘덴서의 내심반경 a mm , 외심반경 b mm , 두 도체 사이에 있는 절연층의 상대유전상수
ε
, 길이 l cm 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축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앞의 문제 3-42에서 자
세히 다루었는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
= 12
r
=4
= 20
C=
2π ε l
ln (
b
)
a
=
2π ε r ε 0 l
ln (
b
)
a
(a) 위 식에서 길이 l 과 정전용량 C 는 비례한다. 따라서 C 를 반으로 줄이는 길이 l' 는 다
=1
2
이어야 한다. 결국 이 경우의 외심반경 b' 는 다음과 같다.
2π ε l
ln (
2
b'
b
b'
a
b' a
) - ln ( 2 ) = ln (
⋅ 2 ) = ln (
)
2
a
a
a
b
b
와 같은데, 이를 만족하는 해는
위의 결과들을 식(3.87)에 대입하면 정전용량 C 는 다음과 같음을 증명할 수 있다.
V
⋅2π l
b
ln (
)
a
=
V
b'
b
) - 2 ln (
)=0
a
a
∥
V
⋅2π l
b
)
a
ln (
ε⋅
b'
b
) = 2 ln (
)
a
a
음과
b
a
2
=
4
1
= 16 mm
원통좌표계를 취하고, ρ a 과 b 에 있는 도체의 총전하를 각각 Q 와
원통면의 가장자리 효과를 무시하면 전계는 ρ̂ 방향성분만 가지게 된다. 먼저
원통면에 대해 적분형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
Q
○
⌡ ε E ds ε ⌠
⌡⌠
⌡ E ρ ρ̂ ρ dφ dz ρ̂
문제 3-44 (a)
=
-
=
S
+
⋅
=
1
l
2π
0
0
ρ(
)
⋅
(-
-Q
라고 하자.
c≤ρ≤b
) = - 2π ε 1 l ρ E ρ ( ρ )
이때
에 있는
49#
연습문제
이고, 이 경우의 전계는
E = 2πQε l 1ρ ρ̂ = 2π εQε l ρ1 ρ̂ ,
= (
c≤ρ≤b
for
⋅
=
2
l
2π
0
0
ρ(
)
⋅
=2
2
ρ(
= 9 10
)
가 되며, 이 경우의 전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b)
a ≤ρ≤c
for
앞에서 구한 전계를 이용하여 두 원통 도체면 간의 전위차 V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Q
V
ρ̂ dρ ρ̂
ρ̂ dρ ρ̂
⌡ E dl ⌠
⌡ Q
= -
b
c
⋅
= -
= -
=
(c)
a
1
2π ε 1 l
b
⋅
ρ
-
1
2π ε 2 l
c
ρ
Q
Q
c
2π ε 1 l
Q
2π ε 1 l
Q
ln ρ∣ b -
문제 3-45
ln (
ln ρ∣ c
c
Q
a
)ln (
)
b
2π ε 2 l
c
b
[
ln (
)+
2π ε 0 l
c
ε r1
문제 3-46
1
=
=
1
2
Q
Q
1
b
1
c
[
ln (
)+
ln (
)]
2π l
c
a
ε1
ε2
=
2π l
2π
b
1
c
ln (
)+
ln (
)
c
a
ε1
ε2
1
2π
=
r
0
= 81⋅(
π
0
0
1
36π
×
-9
2
b
1
c
ln (
)+
ln (
)
c
a
ε1
ε2
=
2 πε 0
b
1
c
ln (
)+
ln (
)
c
a
ε r1
ε r2
1
r
10
( )
-9
⋅
2
sin
2
)⋅2π r E r ( r )
⌠⌡
0
π
sin θ dθ
×
= -
1
9
×
10
5
9
9
10 Q ⋅ [ -
10
1
r
0.02
]∞
Q
5
9
10
9
=
5
10
10
- 10
= 0.18
2
V
= (
3
4
= (
3
4
×
= (
3
4
×
= (
3
4
= (
3
4
εr ε0
2
=
1
≥
⋅
9 10
∞
⌠
⌡⌠
⌡⌠
⌡| x z x̂ x ŷ y z ẑ | dxdydz
×
π
π
⌠
⌡⌠
⌡⌠
⌡ x xz y yz z dxdy dz
⌠
×
⌡⌠
⌡ x x z y yz z x dy dz
=
= 0.02
S
= -
식(3.84)로부터 정육면체 내의 정전 에너지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W
⌡ ε | E | dv
e
c
ln (
)]
a
ε r2
1
m 인 도체 구의 표면에 전하 Q 가 분포되어 있다고 하면 주변 물 속의 전계는 구좌표계
반경 r
에서 단지 변수 r 만의 함수로 r̂ 성분만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r a 인 영역에 있는 구표면에서 적
분형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 ε E d s ε ε ⌠
Q
⌡ ⌠
⌡ E r r̂ r θ dθ dφ r̂
=
( )
C
a
2π ε 2 l
과 같다. 따라서 단위길이당 정전용량 C' 는 다음과 같다.
C
=
l
( )
와 같이 구해지며, 이를 식 (3.87) 에 대입하면 정전용량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Q
C
×
nF
V
× Q
1
0
5.4 ⋅ (
C' =
r
=
⋅
앞의 (a)와 (b)의 결과를 이용하여 정전용량 C 를 구하면
Q
C=
=
V
2
0.02
r
∞
=
= -
-9
r2
0
a
π
2
)⋅ r E r ( r ) ⋅ [ - cos θ ] 0
0.02
= -
E = 2πQε l ρ1 ρ̂ = 2π εQε l 1ρ ρ̂ ,
2
-9
× rE r
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구의 전위는
⌠
⌠
V
⌡ E r dr
⌡ × Q r dr
≤ ≤
S
10
r1
0
임을 알 수 있다. 다음 a ρ c 에 있는 원통면에 대해 적분형 Gauss 법칙을 적용하면
⌠
Q
○
⌡ ε E ds ε ⌠
⌡⌠
⌡ E ρ ρ̂ ρ dφ dz ρ̂ π ε l ρ E ρ
=
×
9
2
×
- 10
10
- 10
- 10
10
- 10
nJ
10
-9
1
0
)
)
J
[
0
0
1
0
0
⌠
⌡
0
)
+
)
1
2
3
⌠
⌡⌠
⌡
⌠
⌡ y
1
10
= 0.2
+
1
- 10
- 10
(
1
)
)
10
= 2 10
1
0
1
36
2
10
×
×
1
0
2
-( + )
1
1
0
0
0
3
+
2
[2
2
+ (
+2
2
+
+2
+2
+2
2
+2
2
3
[
2
1
2
+z+
+ z + 2z ] dz
3
3
2
+ zy +
) [z + z +
2 3 1
z ]0
3
1
) ]0
2
2
2
+ z + y + 2 yz + 2z ] dy dz
3
[
[
1
2
1 3
2
2 1
y + y z + 2 yz ] 0 dz
3
2
]
51#
연습문제
제 4 장 연습문제 풀이
문제 4-1
( 2,
4
,- 3) =
4π|
L
-
r - r' |
I
=
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① dz'
θ dθ
② z' 의 적분구간
= 2 sec
4π
∞
)
=
3
⌠
⌡
[2
-∞
+(- 3 -
2
2
3 + z' = 2 tan θ
2
( 2 3,
→ θ 의 적분구간
[-
,
2
π
2
2
[2 + (3+
2
) ]
2
2
= [ 2 + 2 tan
2
3
2
]
2
2
= [ 2 sec tan
]
6
( 2,
4
,- 3) =
=
=
4π
15
4π
15
8π
2
2
2 sec
3
θ
3
= 2 sec
3
θ
1
dθ φ̂
2 sec θ
π
π
cos θ dθ φ̂
문제 4-4
2
15
2
sin θ∣
π
8π
-
그림 4-39 와 같이 y
경우 면전류밀도 K
φ̂
π
φ̂
H( r ) =
A/m
선전류가 분포한 임의의 한 지점 z' z ρ ψ 이므로 미소구간 dz' ρ φ dψ 이다. 따라서 전류
가 흐르는 도선의 미소길이 d l dz' ẑ ρ ψ dψ ẑ 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주변의 자계는 변수
φ 와는 무관하며, 이들을 식(4.4)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유도됨을 보일 수 있다.
Hρφz ⌠
⌡ I d l× r r' ⌠
⌡ I ρ ψ dψ ẑ× ρ ρ̂ ρ ψ ẑ
=
=
( , , )=
(
L
4π |
-
r - r' |
=
)
3
=
+ tan
sec
=
=
sec
ψ1
4
4
2
4π ρ
+( -
tan
2
ψ1
2
[ ρ sec
ψ2
ψ1
ψ1
2
ψ]
3
2
1
dψ φ̂
sec ψ
cos ψ dψ φ̂
3
2
)
]
dψ φ̂
5
점P
1
φ̂
A/ m
mA/m
-
)
(
( 0, s1 , 0 )
)
(
4
S
∞
d
-∞
0
= -
(a)
-3
φ̂
( , , )=
-
(-
)
[( -
4
∞
d
-∞
0
=
I
4π d
I
4π d
∞
d
-∞
0
∞
d
0
[
1
+
)
2
2
2
2
2
+
+( -
+( -
)
1
+
+
2
+
1
2
ŷ- s x̂
1
2
+(01
)[
2
]
2
3
2
2
3
2
z' ) ]
3
2
dx' dz'
dx' dz'
3
2
∞
-∞
2 3
-
[ ( 0 - x' ) + s
d
(
( -
( 0- x' )
⌠
⌡ s x̂ x' ŷ ⌠
⌡
0
) +
[ ( x- x' ) + y + ( z - z' ) ]
s x̂ x' ŷ
⌠
⌡ ⌠
⌡ x' s z'
-∞
)
2
( -
에서의 자계는 위의 식에서
I
⌠
⌡ ⌠
⌡
=
)
3
-
4π d
H ( 0, s , 0) = - 4π d
1
2
ρ sec ψ
ψ2
=
[
4 π [ ρ + ( - ρ tan ψ ) ]
ψ2
⌠
π ⌡ ρ
I
⌠
⌡
I
2
2
⌠
π ⌡
I
2
2
ψ2
=
sec
10
π
3
) φ̂
2
⋅( -
×
5
π
4π
- sin 2π ) φ̂
3
인 평면상에 놓인 폭 d 인 도체판을 통해 ẑ 방향으로 직류전류 I 가 흐를
ẑ 이다. 따라서 식(4.6)으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 다.
K r' ds× r r'
Hxyz ⌠
⌡
r' |
π|r
I
ẑ dx' dz'× x x' x̂ y ŷ z z' ẑ
d
⌠
⌡ ⌠
⌡
x x'
y
z
z' |
π|
I
x x' ŷ y x̂
⌠
dx' dz'
⌡ ⌠
⌡
=
문제 4-2
ẑ 방향으로 흐를 경우 원통좌표계에서 점
-
= 0
I
=
(d
2
=
4π
3
=
3
1
⋅( sin
-2
3π
= -
π
-
4.5
10
2
2
가
80 mA
-3
4π⋅2 3
=
2
π
=
×
80 10
=
= -
2
π
( 3) = 2π -
2
3
2
π
-
⌠
⌡
2 sec
π
-
⌠
⌡
3
-1
) = 2π - tan
, 6)
π
2
6
2 3
H ( 2 3 , π6 , 6) = 4 Iπ ρ ( sin ψ - sin ψ ) φ̂
]
z'
③
θ
θ
이므로, 이들을 원래의 적분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I ⌠
H π
θ dθ φ̂
⌡
3
2
=6
와 같다. 따라서 이 도선에 직류전류
π
의 자계는 다음과 같다.
π
=6
, 6)
6
=2
ψ 2 = 2π - tan - 1 (
로 치환할 경우
( sin ψ 2 - sin ψ 1 ) φ̂
4πρ
( 2 3,
1
2
[ - ∞ , ∞]
I
φ̂
1
π
앞의 문제 4-2의 결과에 따르면 측정점
과 전류의 시작점 (0,0, 6)를 잇는 직선이 평면 z
과 이루는 각 ψ π 이고, 마찬가지로 측정점과 전류의 끝점 (0,0,0)을 잇는 직선이 평면 z 과 이루
는 각은
dz' φ̂
3
2
2
[ 2 + ( 3 + z' ) ]
문제 4-3
]
3
2
2
4 π [ 2 + ( - 3 - z' ) ]
∞
-∞
)
ψ2
sin ∣ ψ
4π ρ
=
선전류가 z 축 상에만 존재하므로 주변의 자계는 변수 φ 에 대해 일정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식(4.4)로부
터
z' ẑ
⌠
H π
⌡ I d l× r r' ⌠
⌡ I dz' ẑ× ρ̂
(
I
=
dz'
2
2
[ x' + s1 + z' ]
] dx'
)
]
53#
연습문제
와 같이 구할 수 있는데, 위의 적분식에서 z' 에 대한 적분을 먼저 행하기로 한다. 여기서
z'
x'
s
θ 로 치환하면
x'
s
θ dθ
dz'
⌠⌡
⌠
⌡
=
2
+
2
1
tan
π
∞
-∞
2
2
2
2
=
3
2
2
[ x' + s1 + z' ]
2
π
⌠
⌡
π
2
2
2
2
( x' + s1 )
2
2
-
2
x' + s1 sec
2
π
-
=
2
2
2
2
1
θ
4
3
sec
2π d
+
2
=
tan
d
2
2
x' + s1
0
=
d
(
)
s1
1
0
2
+
2
1
=
2π d
2
2
2
2
s1 sec
=
2
φ
tan
1
s1
d
(
)
s1
0
dφ =
1
1
ln (
2
2
+
2
d
)∣ 0 =
1
1
[ ln (
2
2
2
) - ln
1
+
=
-1
(
d
)
s1
(c)
1+(
H ( 0, s , 0) = 2π d [ tan
-1
1
점P d s
2
( +
2
, 0,0)
= -
= -
I
4π d
I
4π d
-∞
0
⌠
⌡ ⌠
⌡
∞
d
-∞
0
⌠
⌡ d s
를 얻는다. 위의 적분식에서 z'
(
+
2
π
∣
2
2
d
-∞
-1
→
(
d
)
s1
d
0
2
-
)[
2
(
+
2
-
)
]
2
1
d + s2 - x'
ŷ
ŷ
[ - ln s2 + ln ( s2 + d )]
I
ŷ
d
)
s2
ln ( 1 +
tan
-1
d
)
s1
(
d
d
0
(
d
)
s1
= lim
→
d
ŷ]
→
d
d
0
ln
x̂+ lim
→
d
1 +(
d 2
)
s1
d
0
ŷ]
1
=
s1
2
3
2
d
(d)
ŷ
→
0
ln [ 1 + (
= lim
d
→
d 2
) ]
s1
2d
0
2d
2
s1
= lim
d
→
0
2[ 1 +(
H ( 0, s , 0) = 2πIs x̂
1
d 2
) ]
s1
=0
2
3
2
] dx'
ŷ
1
평판 폭 d → 일 경우 점 P 에서의 자계는 앞의 (b)의 결과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0
d
2
H ( d + s , 0, 0) = - 2Iπ ⋅[ lim
→
→
lim
dz'
로 치환하면
lim
dx' dz'
3
2
dx' dz'
2
d
0
d 2
)
s1
이 된다. 이 두 극한값을 원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자계를 구할 수 있다.
)
2
1 +(
lim
[ ( d + s2 - x' ) + z' ]
= ( d + s2- x' ) tan θ
+
0
[ ( d + s2 - x' ) + z' ]
⌠
⌡
2
이고, 두 번째 항은 d → 일 경우 분모와 분자 모두 0이 되므로 각각 d 로 미분하면
d + s2 - x'
- x' )[
(
d
2π d
1
lim
2
∞
π
1
0
ln
-
2
-
2
[ - ln ( d + s2 - x' )] 0
H ( 0, s , 0) = 2Iπ [ lim
→
→
tan
[ (d+s
- x' ) + ( 0 - z' ) ]
2
2
d
0
( +
dθ
2
2
와 같다. 먼저 우변의 첫 번째 항의 극한은
d 2
)
s1
d 2
1 +(
)
s1
d
∞
d
2
]
1
에서의 자계도 앞에서 유도한 적분식에 대입하면
d s
x' ŷ
I
⌠
⌡ ⌠
⌡
H ( d + s ,0, 0) = - 4π d
2
x̂+ ln
d
(
)
s1
0
2π d
0
2
1
앞에서 구한 두 적분결과를 대입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I
2
평판 폭 d → 일 경우 점 P 에서의 자계는 앞의 (a)의 결과로부터
lim
d +s
1
ln [
]
2
2
s1
= ln
2π d
I
= -
tan
s1
0
2π d
= -1
4
I
= -
x' + s1
0
2
(b)
,0, 0) = -
tan
sec
1
0
cos θ
( d + s2 - x' )
π
( d + s2 - x' )
d
와 같이 적분을 구할 수 있다. 다음 ŷ 성분의 적분은 다음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다.
⌠⌡ x' dx'
x'
s
d
s
s
x'
s
d
2
2
1
+
먼저 x̂ 성분을 구하기로 하자. x' s φ 로 치환하면
s
φ dφ
⌠⌡ dx'
⌠
⌠⌡
⌡
-1
+
= -
2
2
θ dθ
3
θ
와 같다. 이를 원래의 적분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자계를 구할 수 있다.
I
⌠ d s x'
Hd s
dx' ŷ
πd ⌡
d
s
x'
I
⌠
dx' ŷ
⌡
d
2
2
( d + s2 - x' )
θ
(
)
x' + s1
0
2
sin θ
=
2
+
1
=
⌠
⌡
π
2
3
( d + s2 + x' ) sec
π
-
d
2
d
1
=
(
0
[ ( d + s2 - x' ) + z' ]
dθ
x' + s1
d
,0) =
2
( d + s2 - x' ) sec
2
-
와 같다. 이를 원래의 적분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적분식을 얻을 수 있다.
I
⌠ s x̂ x' ŷ
H s
dx'
πd ⌡
x'
s
Is ⌠
⌡ dx' x̂ I ⌠⌡ x' dx' ŷ
1
2
3
2
θ )] 2
dθ
x' + s
2
2
2
2
=
-∞
=
cos θ
π
3
2
⌠
⌡
π
=
dz'
2
sec
[ x' + s1 + ( x' + s1 ) tan
2
⌠
⌡
2
1
+
∞
3
π
-
=
( 0,
⌠
⌡
0
2
d
= -
= -
I
2π
I
2π s2
→
ŷ
0
d
)
s2
d
0
⋅ [ lim
d
ln ( 1 +
1
1+
d
s2
⋅
1
s2
ŷ
]
]
ŷ
55#
연습문제
문제 4-6
문제 4-5
z
평면상의 원주를 따라 흐르는 선전류의 미소길이 d l
z 를 잇는 선분벡터는
점 ρ' φ' 과 측정점
= 0
(
,
,0)
= ρ' dφ' ( - φ̂ )
이고, 선전류 상의 임의의
1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식(4.4)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H z ⌠
⌡ I dπl×| r r r'r'|
⌠
⌡ I ρ' dφ' φ̂ × ρ' ρ̂ z ẑ
(
4
-
2π
=
(-
0
+
2
⌠
⌡
4π
2π
2
ρ' z ρ̂
0
2
2
[ ρ' + z ]
4π
|
2
I
4π
2π
2
[ ρ' + z ]
3
2
0
-
⌠⌡
ρ' 2
2π
0
0
ẑ
2
3
2
3
2
⌠⌡ ẑ dφ'
ρ' 2
I
4π
2
2
[ ρ' + z ]
ρ̂
0
[ cos
+ sin
0
성분에 대한 적분은
H= 3|
2π
cos
+
0
sin
x̂ - cos φ'
2π
∣0
2π
∣0
= sin φ'
문제 4-7
ŷ
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즉 단위벡터 ρ̂ 에 대한 원주상의 적분은 서로 상쇄되어 0이 된다.
따라서 실제 자계는 ẑ 성분만 존재하게 된다.
I
I
ρ'
ρ'
⌠
H z
ẑ dφ'
π ẑ
⌡
π
π
'
z
'
z
2
4
[ρ
2
+
2
]
3
2
=-
0
그런데 여기서 ρ' × m , I × A , z
앞에서 유도한 결과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H
×
×
×
ẑ
= -
20 10
2
= - 10
-5
×
= - 64
ẑ μA/m
= 20 10
-6
⋅
= - 64 10
-2
-6
[ ( 8 10
10
-6
( 8 10
⋅
64 10
[ sin
3
π
3
- sin ( -
=
| 2 93I π d [ 23 - ( - 23 )] |
=
9I
2π d
π
3
)]



H 1 | = 3⋅ 29πId = 227πId
-2
2
-2
0.1
)
) + ( 6 10
[ρ
2
2
×
) ]
3
2
2
+
2
[ ρ' + z ]
= 6 10
2
2
3
2
]
ρ' 2
I
2
-2
4
-2
m
3
2
= -
2
4
=
= 0.05
4
2

2
π - sin ( - π )] 
H 1 | = | 4 Iπ ρ ( sin ψ - sin ψ ) | =  4 π⋅0.05
[ sin

4
4
2
1
=
ẑ
이므로 실제 자계 H
π

|
2
2π
= -
= 8 10
=
한 변의 길이가 m 인 정사각형의 중심에서 양 끝을 바라보는 각도를 그림 4-2에 따라 정의하면 각각
π
m 이 된다. 그렇다면 정사각형의
ψ
과 ψ π 이 되고, 중심에서 변까지의 거리 ρ
변을 따라 직류전류 I 가 흐를 경우 한 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정사각형의 중심에서 자계의 크기는 문제
4-2의 결과를 이용하면
1
= 0
( 0,0, ) = -
I
 4 π⋅ 3 d

18
2
]
2π
=
3
와 같다. 정삼각형은 변이 3개이며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므로 중심에서의 자계의 크기 H 는 한 변
에 의한 전류의 3배이므로 다음과 같다.
2π
0
2π
=
1
dφ'
2
[ ρ' + z ]
와 같이 자계를 두 성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 ρ̂ dφ' ⌠⌡
φ' x̂
φ' ŷ dφ'
⌠
⌡ φ' dφ' x̂ ⌠
⌡ φ' dφ' ŷ
2π
2
]
d φ' -
3
2
= -
H 1 | = | 4 Iπ ρ ( sin ψ - sin ψ ) | = 
3
2
⌠
⌡ ρ̂ dφ'
ρ' z
I
= -
) [-
4 π [ ( - ρ' ) + z ]
I
= -
)
3
-
이고, 정삼각형의 중심에
3
18
r - r' = ρ' ρ̂ - φ' φ̂ + z ẑ
L
1
d
3
서 변까지의 거리는 d 이 된다. 그리고 문제 4-2에서 보인 그림 4-38에서와 같이 한 변의 양 끝인
π
두 꼭지점들과 중심이 이루는 각들은 각각 ψ
과 ψ π 이 된다. 그렇다면 정삼각형의 변을
따라 직류전류 I 가 흐를 경우 한 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정삼각형의 중심에서 자계의 크기는 문제 4-2
의 결과를 이용하면
( 0, 0, )
( 0,0, ) =
길이가 d 인 가는 도선으로 정삼각형을 만들면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52 [ 12 - ( - 12 ] |
=5
A/ m
와 같다. 정사각형은 변이 4개이며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므로 중심에서의 자계의 크기 H 는 한 변
에 의한 전류의 4배이므로 다음과 같다.
는
ẑ
H= 4|
H 1 | = 4⋅5 = 20 A/m
-4
-3
ẑ A/m
문제 4-8
원주상의 점 A a φ z 에 놓인 미소전류 l
는 식(4.1) 에서
I d l× r
r' I a dφ' φ̂ × z ẑ a ρ̂
이므로
Id = I a dφ' φ̂
( , , )
(
-
) =
(-
-
에 의한 점 P
2
) = - I a z dφ' ρ̂ + I a dφ'
ẑ
( 0, 0, 0)
의 미소자계 d H
57#
연습문제
d
H( r ) = 4 π | a I+a z |
ẑ )dφ'
(- z ρ̂ + a
2 3/2
2
=
이다. 그런데 미소자계 d H 에서 ρ̂ 성분은 문제 4-5의 풀이에서 자세히 보인 바와 같이 원주상
H
을 따라 적분하면 0 이 됨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원형 루프 전류에 의한 자계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a
Ia
⌠
H
dφ' ẑ
ẑ
⌡
( 0, 0, 0)
2
2π
( 0, 0, 0 ) =
=
2 3/2
2
그런데 이러한 원형 루프가 원통의
H = lim
∑
→
N
Ia
|
∞ n =1
2
2 a +(
=
L
H
|
[ 0,
L
2
n)
N
|
3/2
과
L
z=
n
N
문제 4-10 (a)
L
dz =
N
z
H=
cosec
2
2
[
1
3
3
a cosec
θ1
a cosec
θ
2
y
ẑ
θ dθ
=
NI
1
⌠⌡
NI
=
2L
2L
+
,
θ2
θ1
2
2
2
=
cosec
2
[ ∂∂z ( 2x - 3x) - ∂∂x ( - 2z + 8z ) ] ŷ
+
[ ∂∂x ( 6y ) - ∂∂y ( 2x - 3x) ] ẑ
2
2
2
2
z
2
=
∂
( 2 ln x+ 3 ln y - 5 ln z )
∂y
=
(c)
x̂ - ∂∂x ( ln xz y ) ŷ
3
∂
x y
( ln
5
∂y
z
3
y
)
( 0,0, 0) =
(-
4
-
L
J = ∇ × H = [ ρ1 ∂∂Hφ - ∂∂Hz ] ρ̂ + [ ∂∂Hz - ∂∂Hρ ] φ̂ + ρ1 [ ∂( ρ∂Hρ ) - ∂∂Hφ ] ẑ
φ
z
ρ
=
4
4
[
+
(-
(- )
0
0
(-
4
3
) (-
⌠
⌡ dφa' ẑ
π
=
I
4π
4
[-
)
( - b)
π
0
(d)
b
+
(-
3
⌠
⌡ dρ' ρ̂× ρ' ρ' ρ̂
b ρ̂
⌠⌡ d ρ'
(-
2ρ
∂
)( - 2z + 3z ) ] φ̂
[ ∂∂z ( 4 +
∂ρ
ρ
2
2
a
(-
)
a
⌠
⌡ dφb' ẑ
+
b
)
(-
ρ
π
4
2
2
ρ
2
3
×
) ( - ρ̂ ) ( - ρ' ρ̂ )
( - ρ' )
3
=
]
(e)
∂
z sin
(
∂z
ρ
2z sin
ρ
2
φ
2
]
φ
) φ̂ -
1
ρ
2
φ̂ -
z sin 2φ
ρ2
2
∂
z sin
(
∂φ
ρ
2
φ
)
ẑ
ẑ
∂( H sin θ )
∂H
1
J = ∇× H = r sin
] r̂
∂θ
∂φ
θ [
φ
0
-
2ρ
) ] ẑ
[ ∂∂ρ ( ρ ⋅ cosρ φ ) - ∂∂φ ( 4 +
ρ
1
ρ
J = ∇ × H = [ ∂∂Hz ] φ̂ + 1ρ [ - ∂∂Hφ ] ẑ
=
)
ρ
2
2
=0
)
π
φ
z
[ ρ1 ∂∂φ ( - 2z + 3z ) - ∂∂z ( cosρ φ ) ] ρ̂
+
3
⌠ a dφ' φ̂× a ρ̂
π ⌡
a
φ )×
⌠
⌡ b d φ' ˆ
I
x̂ - ∂∂x ( 2 ln x+ 3 ln y - 5 ln z ) ŷ
x̂ - 2x ŷ
ẑ
원통좌표계의 원점에서의 자계는 식(4.4)로부터
I ⌠ d l×
r'
H
π ⌡
|
r' |
3
5
+
문제 4-9
x
+
=
=
( cos θ 2 - cos θ 1 )
y
2
z
2
ẑ
z
J = ∇× H = [ ∂∂Hy ] x̂ + [ - ∂∂Hx ] ŷ
]
sin θ dθ
x
[ ∂∂y ( - 2z + 8z ) - ∂∂z ( 6y ) ] x̂
2
= -
θ2
ẑ = - 2.5 ẑ A/m
를 대입하면
= 0
2| a + z |
⌠
⌡
= 2.4 A , a = 3 cm , b = 6 cm
J = ∇× H = [ ∂∂Hy - ∂∂Hz ] x̂+ [ ∂∂Hz - ∂∂Hx ] ŷ + [ ∂∂Hx - ∂∂Hy ] ẑ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적분
(b)
]
2
ẑ
2 3/2
2
ẑ
2
cot
NI a
2L
)
H( 0, 0, 0) | = 2.5 A/m
a
z
a
여기서 z a θ 로 치환하면 dz a
θ,
θ 이고, 적분구간
인 변수 z 에 대한 L 은 그림 4-4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변수 θ 에서 θ θ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자계를 구할 수 있다.
=
a
2.4
1
1
( 0, 0, 0) =
(
)
16
0.06
0.03
2 3/2
2
1
-
이므로, 자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2
0
b
2| a + z |
에 N 번 촘촘히 감겨져 있다면 원점에서의 자계는
0≤z≤L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경우 급수의 합은
형태로 바꿀 수 있다.
Ia
H N⌠
dz ẑ
⌡
L
1
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I
=
N
(
2
4 π |a +z |
0
I
16
+
1
r
θ
[-
∂( r H φ )
∂r
] θ̂ + 1r [
∂( r H θ )
∂r
] φ̂
59#
연습문제
=
[ ∂∂θ ( - r cos θ⋅ sin θ ) - ∂∂φ ( r sin θ) ] r̂
1
r sin θ
+
cos 2θ
sin θ
= -
(f)
r
[
∂
( - r cos θ⋅r )
∂r
] θ̂ + r [
1
2π
∂
( r ⋅r sin θ )
∂r
S
] φ̂
r
=
1
r
3
2
2
2
φ̂
3
[ ∂y - ∂z ] x̂+ [ ∂z - ∂x ] ŷ + [ ∂x - ∂y ] ẑ
=
[ ∂∂y ( - 4xyz ) - ∂∂z ( xy ) ] x̂ + [ ∂∂z ( x y) - ∂∂x ( - 4xyz ) ] ŷ
∂H x
∂H z
∂H y
2
= - 4x z
( 1, 1, 1 )
∂H x
[ ∂∂x ( xy ) - ∂∂y ( x y) ] ẑ
2
2
을 통과하는 전류 I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dxdy ẑ
⌡⌠
⌡ y x dxdy
⌠
dy
⌡ yx x
I=
⌠⌡ ⌠
⌡ Jxy
1
-1
4
( , , 1) ⋅
=
(
1
=
(
1
⌠
⌡
4
1
2
-1
4
=
2
2
-
1
3
2
2
)∣ - 1
-
따라서 임의의 점 ρ
( , 0, 0 )
( ,0,0)
에서의 전체 자계 H ρ
( , 0, 0)
은 다음과 같다.
H ( ρ, 0, 0) = H 1 ( ρ,0,0) + H 2 ( ρ,0,0) = 2Iπ [ ρ1 + d -1 ρ ] φ̂
앞에서는 원통좌표계를 사용하였는데 만약 직각좌표계로 표시할 경우에는 임의의 점 ρ
체 자계 H x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0, 0 )
2
= 54 A
(a)
점 ( mm )에서의 전체 자계는 위에서 유도한 식에
를 대입하면
5
, 0, 0
I = 0.2 a ,
ρ = 0.005 m
ẑ 방향으로만 흐르는 전류밀도의 단면분포가 반경 ρ = 0.01 m 내에서 φ̂ 방향으로는 균일하므로
이로부터 발생되는 자계는 φ̂ 성분만을 갖게 된다. 따라서 ρ 여기에 식(4.15)의 Ampere 법칙을
적용하면
⌠⌡○ H d l ⌠
I
H
πH
⌡ H ρ ρ dφ π ρ H ρ π
=
2π
=
∥
L
⋅
=
0
φ(
)
=2
φ(
에서의 전
H ( x, 0, 0) = 2Iπ [ 1x + d -1 x ] ŷ
4
= ( y - 3 y )∣ 1
문제 4-12
는
( , 0, 0)
( 3y - 3 ) dy
3
( ,0,0)
H 1 ( ρ,0,0) = 2πI ρ φ̂
)
3
에서의 자계 H 1 ρ
H 2 ( ρ,0,0) = 2π ( dI - ρ ) φ̂
(b) - 1 ≤ x≤ 2 , 1 ≤ y ≤ 4 , z = 1
2
×
φ̂ = 50 10 - 6 φ̂ = 50 φ̂ μA/m
+
2
2
-6
-6
( , 0, 0)
( , 0, 0)
J( 1, 1, 1) = - 4 x̂ + 4 ŷ + ( 1 - 1 ) ẑ = - 4 x̂ + 4 ŷ A/m
4
= 50 π 10
도선-1은 전류 I 가 ẑ 방향으로 흐르므로 이에 의한 임의의 점 ρ
법칙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에서의 전류밀도는 다음과 같다.
2
0.01
그리고 x̂ 방향으로 d 만큼 평행이동한 지점에 놓인 도선-2에는 ẑ 방향으로 전류 I 가 흐르므로 이
에 의한 임의의 점 ρ
에서의 자계 H 2 ρ 는 Ampere 법칙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
x̂ + 4yz ŷ + ( y - x ) ẑ
2
2
Ampere
2
+
따라서 점
문제 4-13
=
∂H y
( 15 ρ + 0.4 ) ρ dρ
φ
J( x, y, z ) = ∇× H ( x, y, z )
∂H z
0.01
0
ẑ⋅ρ dρ dφ ẑ
H ( 0.5, 0, 0) = H (π0.5) φ̂ = 50π×π10
2
3r
⌠
⌡
( 15 ρ + 0.4 )
× A
와 같다. 따라서 이 경우의 자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
sin 2θ sin φ
θ̂ -
0.01
0
3
2
sin θ sin 2φ
0
= 2 π ( 5 ρ + 0.2 ρ )∣ 0
r
2
=
= 2π
[ sin1 θ ∂∂φ ( sin 3θr sin φ )] θ̂ + 1r [ - ∂∂θ ( sin 3θr sin φ )] φ̂
3r
⋅
r̂ + 2 cos θ θ̂ + 2 sin θ φ̂
J = ∇× H = 1r [ sin1 θ ∂∂Hφ ] θ̂ + 1r [ - ∂∂Hθ ] φ̂
=
문제 4-11 (a)
1
⌠
⌡ J ds ⌠
⌡ ⌠
⌡
) = 2 ⋅0.5⋅
φ (0.5) =
φ (0.5)
1
1
40
H ( 0.005, 0, 0) = 0.2
[
+
] φ̂ =
φ̂ A/m
2π
0.005
0.01 - 0.005
π
와 같다. 이를 직각좌표계로 표시하면 H
mm
(b) 점 (
)인 경우에는
20
( 0.005, 0, 0) =
40
π
ŷ A/m 이다.
, 0, 0
1
1
5
H ( 0.02, 0, 0 ) = 0.2
[
+
] φ̂ = φ̂ A/m
2π
0.02
0.01 - 0.02
π
와 같으며 이를 직각좌표계로 표시하면 H
( 0.02, 0, 0 ) = -
5
π
ŷ A/m 이다.
d = 0.01 m ,
61#
연습문제
문제 4-14
단위법선벡터 n̂ 인 무한평판에 흐르는 면전류밀도 K 에 의해 생기는 자계는 식(4.21)에서 보인 바
와 같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H
K× n̂
1
2
=
B = ∇× A = [ ∂∂Ay - ∂∂Az ] x̂+ [ ∂∂Az - ∂∂Ax ] ŷ + [ ∂∂Ax - ∂∂Ay ] ẑ
z
=3
∇⋅
/
(-
) = - 1.5
0, 0, 10
1
⋅3
2
문제 4-15 (a)
= 1.5
=
[ - ∂z ] x̂+ [ ∂z ] ŷ + [ ∂x - ∂y ] ẑ
=
[
-
= -x
(b) 0 ≤ x≤ 4 ,
I=
∂
2
( x z)
∂z
∂H y
∂H x
⌠⌡ ⌠
⌡J x y
0
4
0
( , , 1) ⋅
=
0
4
-2
0
0
=
=
-2
⌠
⌡
0
2(
2
(
+
)∣ 0
2
2
x
⌠⌡○ H d l ⌠
⌡ H
-2
L
⋅
=
0
( 0, y, 1) ⋅( - dy) ( -
⌠
⌡ H
0
+
= 0+
⌠
⌡
0
-2
4
( 4, y, 1) ⋅dy
2
[- ( - 2) ] dx +
4
∣ 0 + 16
= -4 x
1y
1x
2
2
1y
2
2
2
2
(b)
2
2
[ ∂∂x ( x +x y ) - ∂∂y ( x -+yy ) ] ẑ
2
2
2
2
2y
=
2
2
2
2x
2y
[ - ∂∂z ( 1 + sin x) ] x̂ + [ ∂∂z ( e
= -e
-z
ŷ + ( e
cos y
-z
-z
1x
cos y)
] ŷ
[ ∂∂x ( 1 + sin x) - ∂∂y ( e
-z
cos y)
ẑ
sin y + cos x )
0
0
0
4
2
(c)
B 3 = ∇ × A 3 = [ 1ρ ∂∂Aφ ] ρ̂ + [ ∂∂Az - ∂∂Aρ ] φ̂ + 1ρ [ - ∂∂Aφ ] ẑ
3ρ
3z
=
dy + 0
[ ρ1 ∂∂φ ( 5 e
+
= - 10 ρ e
○
앞의 (b)와 (c)의 두 결과로부터 I ⌠
⌡ H d l 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제
의 자계에 대해서는 Ampere 법칙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
2
2
2
+
= 16 A
B = ∇× B 를 직각좌표계로 나타내면
2
B 2 = ∇× A 2 = [ - ∂∂Az ] x̂+ [ ∂∂Az ] ŷ + [ ∂∂Ax - ∂∂Ay ] ẑ
4
4
L
1x
= 0
y
=
z
y - 2y
[ x( x+ y+ -y 2) x + x( x++
] ẑ
y )
0
∣ -2
(d)
2
z
[ - ∂∂z ( x +x y ) ] x̂ + [ ∂∂z ( x -+yy ) ] ŷ
2
=
= - 16 + 32
문제 4-16
y
B 1 = ∇× A 1 = [ - ∂∂Az ] x̂+ [ ∂∂Az ] ŷ + [ ∂∂Ax - ∂∂Ay ] ẑ
ŷ ) + ⌠
⌡ H( x,- 2, 1) ⋅dx x̂
-2
x
2
y
0
ŷ + ⌠
⌡ H( x, 0, 1) ⋅( - dx) ( - x̂ )
⌠
⌡
y
2
x
= ( 16 y + 4 y )∣ - 2
(c)
2
[ ∂∂yA∂z - ∂∂zA∂y ] + [ ∂∂zA∂x - ∂∂xA∂z ] + [ ∂∂xA∂y - ∂∂yA∂x ]
( 16 - 8y ) dy
= 16 A
x
=
-2
2
2
z
+
)
4
-2
y
2
x
2
을 통과하는 전류 I 는 다음과 같다.
⌠
dxdy ẑ
⌡ ⌠
⌡ x y dxdy
⌠
⌡ x yx dy
z
2
y
2
- 2 ≤ y≤ 0 , z = 1
-2
2
z
x̂ - y ŷ + 2( xz + yz ) ẑ A/m
2
x
[ ∂∂xA∂y - ∂∂xA∂z ] + [ ∂∂yA∂z - ∂∂yA∂x ] + [ ∂∂zA∂x - ∂∂zA∂y ]
=
2
x
=
] x̂ + [ ∂∂z ( - y z ) ] ŷ + [ ∂∂x ( x z ) - ∂∂y ( - y z ) ] ẑ
2
y
= 0
문제 4-17 (a)
∂H x
y
2
/
J( x, y, z ) = ∇× H ( x, y, z )
∂H y
z
/
=
( 0, 0, 10) =
z
B = ∂∂x [ ∂∂Ay - ∂∂Az ] + ∂∂y [ ∂∂Az - ∂∂Ax ] + ∂∂z [ ∂∂Ax - ∂∂Ay ]
2
= -
1
( 0, 0, 0) =
⋅3
2
x
이므로, 여기에 발산을 취하면 항상 0이 됨을 증명할 수 있다.
에 있는 무한도체평판에 면전류밀도 K ŷ A m 가 흐를 경우 원점으로의 단
ẑ 이다. 따라서 원점에서 자계는 다음과 같다.
위법선벡터 n̂
H
ŷ× ẑ
x̂ A m
m )으로의 단위법선벡터 n̂
ẑ 이다. 따라서 원점에서 자계는 다음과 같다.
(b) 점 (
H
ŷ× ẑ
x̂ A m
(a) z = 2 m
y
(d)
- 2z
ρ[
1
- 2z
)
] ρ̂ + [ ∂∂z ( 5 e
-
3ρ
3z
∂
- 2z
( 5e
ρ)
∂φ
- 2z
ρ) -
∂
- 2z
( 5e
)
∂ρ
] ẑ
φ̂
B 4 = ∇ × A 4 = [ ∂z ] φ̂ + 1ρ [ - ∂∂Aφ ] ẑ
∂A 4ρ
2
=
=
4ρ
∂
z sin
(
∂z
ρ
2z sin
ρ
2
φ
2
φ
) φ̂ 2
φ̂ -
1
ρ
z sin 2φ
ρ2
2
∂
z sin
(
∂φ
ρ
ẑ
2
φ
)
ẑ
] φ̂
] ẑ
63#
연습문제
(e)
∂( A sin θ )
∂A
1
B 5 = ∇× A 5 = r sin
] r̂
∂θ
∂φ
θ [
5φ
1
+
=
= -
(f)
∂( r A 5φ )
∂r
∂( r A 5θ )
] θ̂ + 1r [
∂r
] φ̂
1
r
r̂ + 2 cos θ θ̂ + 2 sin θ φ̂
6φ
=
=
1
r sin θ
2r
1
4r
3
2
sin θ
3
( 2 cos θ
∇⋅
B 2 = ∂∂By + ∂∂Bz
2y
2z
문제 4-19 (a)
2
∂
-z
(-e
cos y) +
∂y
=
-z
sin y - e
-z
식(4.30)으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
Ar ⌠
⌡ μIdl
⌡
(
)=
4π |
L
(b)
∂
-z
( cos x + e
sin y )
∂z
=
∇⋅
3φ
B 4 = ρ1
∂B 4φ
∂φ
∂B 4z
+
∂z
=
1
ρ
=
∂
2z sin
(
∂φ
ρ
2z sin 2 φ
ρ2
-
2
1
ρ
φ
)+
∂
(∂z
2
z sin 2φ
ρ2
)
1
r
2
=
5φ
+
= -
2 cos 2θ
+
r sin θ
(c)
1
r sin θ
1
r sin θ
∂
( 2 cos θ⋅ sin θ )
∂θ
∂
( 2 sin θ )
∂φ
μ 0I
ln (
4π
2
2
2
2
문제 4-20 (a)
2
2
2
L
2
z' + ρ )∣ - L
2
2
2
2
L + ρ -L
2
2
L +ρ +L
ρ
2
2
L +ρ
2
L +ρ
[
L +ρ
-
- 2L
)
ẑ
ẑ
μ 0I
∂
[
ln (
∂ρ
4π
2
2
2
2
L + ρ +L
L + ρ -L
ρ2
2
2
2
L +ρ -L
)] φ̂
] φ̂
φ̂
2
2
2
B = ∇× A = [ - ∂∂Az ] ρ̂ + 1ρ [ - ∂∂ρ ( ρ A )] θ̂
φ
φ
[
6θ
ẑ
ρ
2
= -
2
2
L + ρ +L
)] ρ̂ -
L + ρ -L
L +ρ
μ 0I L
2π ρ
2 cos 2θ
r sin θ
1
∂
B 6 = r1 ∂∂r ( r B ) + r sin
(B
sin θ )
θ ∂θ
6r
=
L + ρ +L
∂
2
2
( ρ sin φ )
∂z
= 3ρ sin
2
μ 0I
ln ( z' +
4π
2
H = μ1 B = 2π ρ ILL + ρ φ̂
= 0
∇⋅
=
μ 0I
∂
[
ln (
∂φ
4π
0
5θ
5r
∂
cos 2θ
2
(⋅r ) +
∂r
sin θ
dz'
z' + ρ
∂A z
μ 0I
4π
= -
ρ2
2
=
L
-L
μ 0I
4π
∂A z
2z sin 2φ
∂B
1
∂
1
B 5 = r1 ∂∂r ( r B ) + r sin
(B
sin θ ) +
r sin θ
∂φ
θ ∂θ
2
⌠
⌡
=
[ 1ρ ∂φ ] ρ̂ + [ - ∂ρ ] φ̂
μ 0I
= [
4π
ρ2) = 0
=0
∇⋅
ρ 2 + ( - z' ) 2
ρ
- 2z
ẑ
4π
-L
B = ∇× A
=
sin y
μ 0 I dz'
L
r - r' | =
=0
B 3 = ρ1 ∂∂Bφ = 1ρ ∂∂φ ( - 10 e
4
4r
)=0
= e
∇⋅
sin θ
2 cos θ
+
4
4
r̂ + sin θ θ̂ )
자연계의 벡터 자위라면 ▽ ▽× A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문제 4-17에 있는 6가지 벡터 자위 중
에서 A 1 은 당연히 존재한다. 나머지 5개의 벡터 자위에 대해서는 각각에 해당되는 전속밀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발산을 구할 수 있다.
⋅(
4r
=0
θ̂
3
2 cos θ
4r
sin 2θ
+
4
4r
∂
sin θ
(
⋅ sin θ )
3
∂θ
4r
1
r sin θ
따라서 6개 벡터 자위 모두 자연계에 존재한다. 즉, 문제 4-17의 6개 벡터 자위 중에서 실제
자연계에 존재할 수 없는 벡터 자위는 없다.
5φ
1
∂
sin θ
θ
⋅ sin θ ) ] r̂ +
(r⋅
) ] θ̂
[ ∂∂θ ( sin
r [
∂r
4r
4r
r̂ + 4r
cos θ
2 cos θ
= -
[ - ∂∂r ( - r cos θ⋅r ) ] θ̂ + 1r [ ∂∂r ( r ⋅r sin θ ) ] φ̂
cos 2θ
sin θ
2
r
= -
∂( A sin θ )
∂( r A )
1
B 6 = ∇× A 6 = r sin
] r̂ + 1r [ - ∂r ] θ̂
∂θ
θ [
=
문제 4-18
[-
∂
2 cos θ
2
(r ⋅
)+
3
∂r
4r
1
=
[ ∂∂θ ( - r cos θ⋅ sin θ ) - ∂∂φ ( r sin θ) ] r̂
1
r sin θ
+
r
5θ
(b) Ψ =
ẑ
2
φ
⌠
⌡ B ds ⌠
⌡ ⌠
⌡
2π
S
⋅
=
0
0.02
0
] ρ̂ + ρ1 [ ∂∂ρ ( ρ⋅ ρ sin φ ) ] ẑ
2
2
Wb/ m
3ρ sin
2
φ
ẑ ⋅ρ dρ dφ ẑ
2
)] φ̂
연습문제
⌠
⌡ ⌠
⌡
⌠
⌡ ρ
2π
=
0.02
0
0
2π
=
3
×
⌠⌡○ A d l ⌠
⌡ ρ
2π
(c)
L
⋅
=
3
×
= 8 10
×
= 8π
(d)
sin
⌠
⌡
vx( t) = 6t + vx( 0) ,
이며, v
1 - cos 2 φ
) dφ
2
따라서 2초 후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
-6
v( 2) = ( 6 ⋅2 - 4) x̂ + ( - 2 ⋅2 + 2) ŷ + 4⋅2 ẑ = 8 x̂ - 2 ŷ + 8 ẑ m/s
φ φ̂⋅ρ dφ φ̂∣ ρ = 0.02
v( 2) | = 12 ( 2 ×10 ) [ 8 + ( - 2) + 8 ] = 132×10
(d) 입자의 위치벡터를 l ( t) = x( t) x̂ + y( t) ŷ + z ( t) ẑ 라고 하면,
1
m|
2
(c) E =
2
φ dφ
sin
1
sin 2φ
2
2π
∣ 0
2
2
-6
2
2
○
앞의 (b)와 (c)에서 구한 결과로부터 Ψ ⌠
⌡ A d l 이 성립한다.
=
L
( 6t - 4)
⋅
x̂ + ( - 2t+ 2) ŷ + 4t ẑ
2
x( t) = 3 t - 4 t+ x( 0) ,
2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 t
2
임의의 시간에서 속도 v t 인 대전입자가 받는 전기력 F e 는 식 (4.35) 로부터 구할 수
이 힘은 대전입자의 질량에 가속도 a t 를 곱한 것과 같다.
( )
즉, 2초 후에는 점
F e = Q E = m a ( t) = m dtd u ( t)
z
=
=6
따라서 2초 후의 가속도는 다음과 같다.
a ( 2) = 6 x̂- 2 ŷ + 4 ẑ m/s
2
앞에서 유도한 속도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풀면
×
×
( 2,- 1, 3)
에 있다고 하였으므로
문제 4-23
2
( 6,- 1, 11)
2
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임의의 시간에서 속도 v t 인 대전입자가 받는 자기력 F m 은 식 (4.36) 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데, 이 힘은 대전입자의 질량에 가속도 a t 를 곱한 것과 같다.
( )
( )
F m = Q v( t) × B = m a ( t) = m dtd v( t)
a ( t) = dtd [ v ( t) x̂+ v ( t) ŷ + v ( t) ẑ ] = mQ E
y
일 때 입자가 점
z ( t) = 2 t + 3
l ( 2) = ( 3⋅ 2 - 4⋅ 2 + 2 ) x̂ + ( - 2 + 2⋅ 2 - 1 ) ŷ + ( 2⋅ 2 + 3 ) ẑ
= 6 x̂ - ŷ + 11 ẑ
있는데,
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입자가 받는 가속도 a t 를 구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z ( t) = 2 t + z ( 0)
2
y( t) = - t + 2t- 1 ,
와 같아서 2초 후 입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 )
( )
=0
2
x( t) = 3t - 4t+ 2 ,
2
y( t) = - t + 2t+ y( 0) ,
2
(b)
= 132 μJ
의 관계가 있다. 위로부터 각 성분에 대해 적분을 취하면
F e = Q E = 5⋅( 3 x̂ - 2 ŷ + 4 ẑ ) = 15 x̂ - 10 ŷ + 20 ẑ N
(b) F m = Q ( u × B ) = 5⋅( 2 x̂ + ŷ ) × ( 4 x̂ + 4 ŷ - ẑ ) = - 5 x̂ + 10 ŷ + 20 ẑ N
(c) F = F e + F m = 10 x̂ + 40 ẑ N
x
-6
∥
문제 4-21 (a)
수 있다.
2
v ( t) = dtd l = dtd x( t) x̂ + dtd y( t) ŷ + dtd z ( t) ẑ
Wb
μWb
문제 4-22 (a)
vz ( t) = 4 t + vz ( 0)
v( t) = ( 6t- 4) x̂ + ( - 2t+ 2) ŷ + 4t ẑ m/s
1
sin 2φ
2
2π
∣ 0
2
Wb
2π
0
vy ( t) = - 2 t + vy ( 0) ,
x̂+ 2 ŷ m/s 로 주어지므로 속도 v( t)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0) = - 4
2
φ-
-6
= 8 π 10
φ dρ dφ
μWb
2
= 0.02 ⋅
(
φ-
-6
2
sin
⋅
×
0
0.02
-6
= 8 π 10
= 8π
2
∣0
0
= 8 10
3ρ
65#
4 10
-6
2 10
-6
(3
x̂- ŷ + 2 ẑ )
x̂- 2 ŷ + 4 ẑ m/s
위의 관계식에서 입자가 받는 가속도 a t 를 구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a
d
( t) =
[ vx( t)
dt
x̂+ v ( t) ŷ + v ( t) ẑ ]
y
z
2
∥
Q
m
10
v( t) × B = 24××10
-6
-6
x̂
ŷ
ẑ




 vx( t) vy ( t) vz ( t)
B
B
B

x
y
z 
67#
연습문제
x̂






ŷ
 vx( t)
= 2
=

vz ( t)
0
0
π
4
y
π
v ( t) = dtd l = dtd x( t) x̂ + dtd y( t) ŷ + dtd z ( t) ẑ




∥
z
π
vz ( t) ˆ1 -
2
ẑ 
vy ( t)
-4
vy ( t) ˆ1
2
의 관계가 있다. 위로부터 각 성분에 대해 적분을 취하면
따라서 다음과 같은 미분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dvx
dvy
= 0,
dt
=
dt
π
2
dvz
vz ,
dt
먼저 첫 번째 미분방정식에서 v t
( ) = A1
x
= -
π
2
x( t) = - 4 t + B 1 ,
vy
을 구하고, 나머지 두 개의 미분방정식을 결합하면
dt
2
π )2v = 0
+(
y
2
y( t) =
4
π
sin
π
t + B2,
2
z ( t) =
4
π
cos
π
2
t + B3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 t 일 때 입자가 점
에 있다고 하였으므
B
B
로 B
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2 초 후에 입자가 도
π
달해 있을 위치는
=0
1
2
d vy
x̂ + 2 cos π2 t ŷ - 2 sin π2 t ẑ
= 2,
2
= - 1,
3
= 3-
x( t = 2) = - 6 ,
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풀면 다음과 같이 v 를 구할 수 있다.
( 2,- 1, 3)
4
z ( t = 2) = 3 -
y( t = 2) = - 1 ,
8
π
y
vy( t) = A 2 sin
π t+ A
2
3
이며, 이는 곧 입자가 점 (
π t
cos
2
이를 위의 첫 번째 미분 방정식에 대입하면 v 도 구할 수 있다.
문제 4-24
z
vz ( t) =
2
d
π dt
vy( t) = A 2 cos
π
π
t - A 3 sin
2
2
= -4
z
+2
,
2
,
( = 0) =- 4,
= - 4,
2
= 0,
3
v( t) = v ( t) x̂ + v ( t) ŷ + v ( t) ẑ = - 4 x̂ + 2 cos π2 t ŷ - 2 sin π2 t ẑ
y
z
초 후의 가속도 a t 는
( )
(a) 2
π t
2
y
( 2) = - 4
E=
(d)
1
m|
2
-2
v( 2) | = 12 ( 2 ×10
2
대전입자의 위치벡터를 l t
-6
( ) = x( t)
2
2
×
에 있다는 뜻이다.
)
이므로 원형도선에 가해지는 힘은
[ 30 sin
2
φ φ̂ + ( 2z 2 - 10z + 20)
ẑ ]
0
= 3.6 π ρ̂ N
과 같다. 이때 도선의 길이 L ⌠
⌡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2π
0
0.03 dφ = 0.06 π m
이다. 따라서 단위길이당 힘은
π ρ̂
f = LF = 3.6
= 60 ρ̂ N/m
0.06 π
식(4.40)을 이용하여 단위길이당 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J dv× B
⌠ ⌠ ⌠ ρ ẑ ρ dρ dφ dz× ρ ρ̂
f ⌡ L
→ L ⌡ ⌡ ⌡
=
×
) ( 4 + 2 ) = 20 10
-6
= 20 μJ
x̂ + y( t) ŷ + z ( t) ẑ 라고 하면,
z=1
⌠
⌡ d φ ρ̂
L
/
2
0.15 d φ φ̂
( = 0) = 2,
문제 4-25
이므로 2 초 후의 가속도는 a
π ẑ m s 이다.
x̂ ŷ m s 이다.
(b) 2초 후의 속도는 v
(c) 2 초 후의 운동 에너지 E 는 다음과 같다.
/
0
8
π
2π
ŷ - π cos π2 t ẑ
( 2) =
=
= 0.15 dφ φ̂
= 0.15⋅12
a ( t) = dtd v( t) = dtd [ - 4 x̂ + 2 cos π2 t ŷ - 2 sin π2 t ẑ ]
= - π sin
L
=2
( )
x
0
=0
3
x
1
= 5⋅
=
/
( = 0) = 0
식 (4.40) 에서 I d l
ρ dφ φ̂
F ⌠
⌡ I d l× B ⌠
⌡
2π
t
따라서 할 문제는 적분상수인 A A A 를 구해야 하는데, 초기시간인 t 일 때 속
x̂ ŷ m s 로 주어져 있다. 이는 곧 v t
v t
도는 v
v t
A
A
을 의미하므로, 결국 A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시간
에서 속도 v t 는 다음과 같다.
1
- 6, - 1, 3 -
V
=
lim
L
∞
0
2
2π
0.1
L
0
0
-
⌠
⌡ ⌠
⌡
2π
=
1
0.1
( 15
+ 8)
2
4
3
( 30 ρ + 16 ρ ) dρ dφ φ̂
0
5
4
0.1
= 2 π⋅( 6 ρ + 4 ρ )∣ 0
φ̂
2
2
연습문제
×
= 92π 10
-5
f 2 = μ 2Iπ d ⌠
⌡
φ̂ N/m
2
0
= 920π φ̂
문제 4-26
×
m 인 직사각형 도선 루프의 수직방향 n̂
ẑ 이므로 이 도선 루프에 전
면적 S
A 의 전류가 흐르는 것과 동일하
류 I A 가 시계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은 반시계방향으로 I
다. 따라서 이 도선 루프가 받는 토크는 식(4.44)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L m × B IS n̂ × B
ẑ × ŷ
x̂ Nm
2
= 0.2 0.3 = 0.06
= (
=
)
= ( - 5 ⋅0.06
) 4
f
| 2|=
= 1.2
-7
0
)⋅
문제 4-29
x̂ = π2 ×10 x̂ Wb/m
50
-5
π2
이고, 원형도선 루프에는 시계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오른손 법칙을 적용하면 루프의 법선방향벡터는
n̂
ẑ 이 된다. 따라서 이들을 식(4.44)에 대입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T L = m × B = ( IS n̂ )× B = [ 3 ⋅100 π ( - ẑ )]×( π2 ×10 x̂ ) = - 0.6 ŷ Nm
문제 4-28
-5
=
-
= -
=
2
θ)
2
2
0
0
N/ m
=2
=0
1
-
d, 0, 0
=
-
=
= 3
=
0
F 1 = μ 4Iπ I ⌠
⌡ ⌠
⌡
0
1
∞
∞
-∞
-∞
2
ẑ ×[ ( dz' ẑ )×( d x̂ - z' ẑ ) ]
dz
2
2
( d + z' )
3
2
d
=
F 1 이므로
dz
ẑ×[ ( dz' ẑ )×( d x̂ - z' ẑ ) ]
f 1 = μ 4Iπ I ⌠
⌡
0
1
∞
2
-∞
-
-
2
( d + d tan
= 0.05
=
z=0
π
2
0
3
2
와 같다. 그런데 도선-1 에 가해지는 단위길이당 힘 f 1
해석의 편의상 자유공간상의 z 축상에 놓인 무한히 긴 도선-1 에 전류 I 가 ẑ 방향으로 흐르 고, x d
와 y 에 평행하게 놓인 무한 도선-2 에는 ẑ 방향으로 전류 I 가 흐른다고 하 자. 이 경우 식 (4.48)
에서 두 도선의 길이가 무한대이므로 관측점은 z 와는 무관하므로 편의 상
인 점 ( ) 이라고
둔다. 이 경우 r 2 r 1' d x̂ z' ẑ , d l 2 d z ẑ , d l 1 dz' ẑ 이며, 자유공간이므로 투자율은
μ 이다. 이들을 식 (4.48) 에 대입하면 도선-2 의 미소길이 dz 에 가해지는 힘 d F 2 는
=0
2
μ I
x̂ = μ2πId ⌠
⌡ cos θ dθ x̂ = 2π d x̂
dθ
θ
2
= -
2
μ 0I 2
2π d
z=0
2
2
cos
해석의 편의상 자유공간상의 z 축 상에 놓인 무한히 긴 도선-2 에 전류 I A 가 ẑ 방향으로 흐르고,
x
d
m 와 y
에 평행하게 놓인 무한 도선-1 에는 동일한 ẑ 방향으로 전류 I A 가 흐
른다고 하자. 이 경우 식 (4.48) 에서 두 도선의 길이가 무한대이므로 관측점은 z 와는 당연히 무관하므로
편의상
인 점 ( ) 이라고 둔다. 이 경우 r 1 r 2' d x̂ z' ẑ , d l 1 dz ẑ , d l 2 dz' ẑ
이며, 자유공간이므로 투자율은 μ 이다. 이들을 식 (4.50) 에 대입하면 도선-1 에 가해지는 힘 F 1 은
=
이 경우 자유공간이므로 자속밀도는
B = μ H = ( 4π ×10
2
와 같다. 따라서 단위길이당 도선이 받는 척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5
=
d
π
0
μN/m
=5
문제 4-27
69#
= -
d, 0, 0
⌠
⌡
μ 0I 1I 2d
2π
2
∞
0
로 나타낼 수 있는데, z'
dz'
(d
2
3
2
2
( d + z' )
3
2
2
+ z' )
x̂
= d tan θ
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cos
0
d
F2 =
μ 0I 2
4π
⌠
⌡
∞
( - dz
ẑ )×[ ( dz' ẑ )×( d x̂ - z' ẑ ) ]
-∞
2
2
( d + z' )
3
2
와 같다. 그런데 도선-2 에 가해지는 단위길이당 힘 f 2
f 2 = μ4πI ⌠
⌡
2
0
∞
-
=
μ 0I 2d
2π
⌠
⌡
2
로 나타낼 수 있는데, z'
2
( d + z' )
∞
0
=
ẑ×[ ( dz' ẑ )×( d x̂ - z' ẑ ) ]
-∞
dz'
2
2
( d + z' )
= d tan θ
3
2
3
2
x̂
f
d
μ 0I 1I 2d
1 = - 2π
d
π
2
0
2
2
θ
2
( d + d tan
F 2 이므로
x̂ = - μ2πI dI ⌠
⌡ cos θ dθ x̂
π
dθ
0
2
θ)
3
2
2
2
0
= -
dz
1
μ0I1I2
2π d
x̂
x̂ 방향으로 이는 원점을 지나는 도선-2로
(a) 위의 결과로부터 도선-1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향하므로 인력이다.
A 가 흐르는 도선-1이 받는 단위길이당 힘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b) I
-
1
=3
f
로 치환하면
| 1| =
(c)
I2 = 2A
μ 0I 1I 2
2π d
= -
×
-7
×
( 4π 10
)⋅2⋅3
-6
= 24 10
= 24
2π⋅0.05
μN/m
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단위길이당 힘의 크기도 당연히 (b)에서 구한 값과 동일
71#
연습문제
하므로 다음을 구할 수 있다.
f
F2 = ⌠
⌡ I d l× B = ⌠
⌡ 2.5 dx ( x̂- ŷ )× [ - 4×10x
f
12
| 2 | = | 1 | = 24 μN/m
L2
⌠
⌡ dxx x̂ ŷ ×
x
x̂ ŷ ×
12
문제 4-30
자유공간상의 y 축 상의 도선에 I A 가 ŷ 방향으로 흐를 때 z 인 평면상에서 x 인 임의의
점에서 자속밀도는 Ampere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μ I
× ẑ
π×
Bxy
ẑ
ẑ
x
πx
πx
=2
( , , 0) =
0
2
(-
=0
(4
)= -
10
2
-7
)⋅2
= -
-7
=4
4≤
l
d = dx
8
=
L1
2.5
4
⌠
⌡ dxx
(
+
8
=
4
(-
) [-
x̂+ ŷ )×10
=4
l
d = dx ( -
로서 전류 I
F3 =
상에서
x
4 ≤ x≤ 12
⌠
⌡
4
12
2.5
(-
dx
(x
12
= - ln 3
도선 ② 는 직선인 y
ŷ
= - x+ 16
) [-
ŷ )×10
ŷ )×10
법칙을 적용하면 도선 A에 의한 점 C
2
l
로서 전류 I
=
×
-7
( 4 π 10
0.2π
= (-4
=
)⋅10
에서의 자속밀도는
x̂ - 25 ŷ )
1
(-
5
x̂ - 8 ŷ )×10
5
-6
Wb/m
( 0.2, 0, 0)
2
에서의 자속밀도는 다음과 같다.
1
4 10
-7
x
]
×
2
-7
( 4π 10
0.2 π
= (4
)⋅10
5
x̂ - 8 ŷ )×10
따라서 도선 A와 B 모두에 의한 점 C
(
-6
x̂ - 25 ŷ )
1
5
Wb/ m
2
에서의 자속밀도는 다음과 같다.
B
BA
BA
× ŷ Wb m
이러한 자속밀도가 도선 C 에 가해질 경우 식 (4.40) 에서 I d l dz ẑ 이므로 원형도선에 가해지는 단
위길이당 힘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dF d ⌠
⌡ I d l× B d ⌠
⌡ dz ẑ× × ŷ
( 0.2, 0, 0) =
( 0.2, 0, 0)
( 0.2,0,0) +
( 0.2,0,0) = - 16 10
∞
=
dz
=
dz
=
L
dz
-∞
20
( - 16 10
-6
= 20
μN
8 ≤ x≤ 12
ẑ × ( - 16 ×10 ŷ )
-6
×
= 320 10
인 구간에 놓여 있으므로 미소길이
가 흐른다. 이 경우 도선 ② 에 가해지는 힘 F 2 는 식(4.40)에서
-6
/
= 20
x̂ + dy ŷ = dx( x̂ + dy
ŷ ) = dx( x̂ - ŷ )
dx
= 2.5 A
( 0.2, 0, 0 )
2
= 320
d = dx
μN
B A ( 0.2,0,0) = 2π 0.2 + 0.1 (- 15 x̂ - 25 ŷ )
-6
상에서
-6
μ 0I
2
인 구간에 놓여 있으므로 미소길이 벡터는
12
8
-6
B A ( 0.2,0,0) = 2π 0.2 + 0.1 ( 5 x̂ - 25 ŷ )
가 흐른다. 이 경우 도선 ③ 에 가해지는 힘 F 3 는 식(4.40)에서
⌠
⌡ I d l× B ⌠
⌡ dx x̂ × × ẑ
=
) 10
μ0I
= 2.5 A
L2
+
x̂ + ln 1.5 ŷ
과 같고, 마찬가지로 도선 B에 의한 점 C
-6
) 10
F = F 1 + F 2 + F 3 = ( - ln 2 x̂+ ln 2 ŷ ) +( ln 1.5 x̂+ ln 1.5 ŷ ) + ( - ln 3 ŷ )
4
= - ln
x̂ μN
3
]
-6
= ln x∣ 4 ( -
(c)
= ln 1.5
+
ẑ ]
과 같다. 따라서 삼각형 루프가 받는 전체 힘은 다음과 같다.
-7
x̂ )
=
벡터는
4 10
음과
x̂+ ŷ )×10
= - ln 2 x̂ + ln 2 ŷ
μN
8
= ln x∣ 4 ( -
도선 ③은 y
12
문제 4-31 Ampere
= 2.5
(
8
= ln ∣ 8 (
≤8
A 가 흐른다. 이 경우 도선 ① 에 가해지는 힘 F 1 은 식(4.40)에서 다
로서 전류 I
같이 구할 수 있다.
× ẑ
F1 ⌠
⌡ I d l× B ⌠
⌡ dx x̂ ŷ ×
(b)
선인
x̂ + dy ŷ = dx ( x̂ + dy
ŷ ) = dx( x̂ + ŷ )
dx
=
=
> 0
평면상에서 삼각형의 한 변인 도선 ③이 y 축 상에 놓여 있다면 도선 ① 은 직
x 상에서
x
인 구간에 놓여 있으므로 미소길이벡터는
(a) z = 0
y=
4 10
-7
8
문제 4-32 (a) H =
B
μr μ0
=
×
6 10
×
-6
5⋅( 4π 10
-7
)
=
3
π
-6
x̂
x̂ μN/m
A /m
-6
)
2
73#
연습문제
(b) H =
(c) H =
(d) H =
M
χm
B
μ0
M
χm
=
M
-M =
=
1.8
= 0.6 A/m
4-1
=
μ r -1
×
×
2 π 10
-6
4π 10
-7
N⋅m
μ r -1
이 된다. 따라서 점
- 2.5 = 2.5 A/ m
×
( 6 10
×
28
)⋅( 4 10
25 - 1
- 27
)
M= χ H=
문제 4-33 (a)
m
B = 5⋅( 4π ×10
-7
2πx y
z
5
2
×
10
-6
ẑ =
3
4x y
z
=4
J = ∇× H = μ 1μ ∇× B
(b)
r
=
=
5
ẑ
r1
0
-6
-7
)
[ ∂∂y ( 2 πzx y ) x̂ - ∂∂x ( 2 πzx y ) ŷ]×10
2
3
5
2
경계면인 z
= 0
에 어떠한 면전하밀도도 없으므로 식(4.67)에서
n̂ ×( H 2 - H 1 ) = x̂×( H 2 - H 1 )
-6
5
x̂ - 3xz y ŷ
2
2x y
z
m1
r
(c)
3
×
5
2
=
5
x̂ - 3 ŷ A/m
∂M
x̂ - ∂∂Mx ŷ] = [ ∂∂y ( 4xz y ) x̂ - ∂∂x ( 4xz y ) ŷ]
(c) J b = ∇× M = [
∂y
z
3
z
2
3
5
3
=
8x y
z
× A [ Ay x̂
=∇
=
2y
5
= - ( H 2y- 4)
2
∂
z
∂
∂A z
-
∂x
2
2
5
A m,
H
이므로 H
만족해야하는 경계조건인 식 (4.70)으로부터
2x
2
2y
5
2
3
x̂ - 35x ŷ μWb/m
2
과 같다. 위의 자속밀도로부터 전류밀도를 구하면
2
=
×
-7
= 4 A/ m
[
∂A x
2
임을 알 수 있다.
μ1
μr1
5
H 1x =
H 1x =
⋅ ( - 2) = - 10
1
μ2
μ r2
x̂
이 경우 경계면 y x 의 단위법선벡터 n̂
계를 법선성분과 접선성분로 나누기 위해 먼저 H n̂ H 1 을 구하면
[ - ∂z x̂+ ∂z ŷ + ( ∂x - ∂y ) ẑ ]
4π 10
2y
= -
=
1n
∂A y
1
/
∂A y
∂A x
∂
3x
∂
2y
()()
∂x
5
∂y
5
ẑ ]×10
-6
그리고 자계의 법선성분이
A /m
2
0
μ0
2x
H 2 = 3 x̂ + 4 ŷ - 10 ẑ A/m
문제 4-36
J( x, y, z ) = ∇× H = μ1 ∇× B
=
x̂ + ( H - 3) ŷ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역-2의 자계는 다음과 같다.
ŷ] = [ ∂∂y ( x -5 y ) x̂ - ∂∂x ( x -5 y ) ŷ]
= -
1
= 3
H 2n = H 2x =
3
2z
=0
x̂ - 12zx y ŷ
먼저 벡터 자위로부터 자속밀도를 구하면
×B
2x
5
x̂ - 12 ŷ A/m
=8
∇
ẑ× [ ( H x̂ + H ŷ + H ẑ ) - ( 3 x̂ + 4 ŷ - 2 ẑ )]
2
=2
문제 4-34
2
-7
ẑ A/m
∂B z
1
5⋅( 4π 10
에서의 전류밀도는 다음과 같다.
M 1 = χ H 1 = ( μ - 1) H 1 = ( 5 - 1) ⋅( 3 x̂ + 4 ŷ - 2 ẑ )
= 12 x̂ + 16 ŷ - 8 ẑ A/m
(b) B 1 = μ μ H 1 = 5⋅( 4π ×10 )⋅( 3 x̂ + 4 ŷ - 2 ẑ )
= ( 6π x̂ + 8π ŷ - 4π ẑ )×10
= 6π x̂ + 8π ŷ - 4π ẑ
μWb/m
[ ∂y x̂ - ∂x ŷ]
1
2
2
∂B z
3
=
2
0
μr μ0
( 1,- 1, 2)
ẑ A/m
= 10 A /m
⋅
)
( - 3x+ 1)
J( 1,- 1, 2) = - π ẑ A/m
3
5-1
π
2
문제 4-35 (a)
μr - 1
μr μ0
1
=
H 1n =
=
1
2
+
1
2
ŷ 이다. 따라서 영역-1의 자
⋅
n̂ ⋅ H 1 = ( 12 x̂+ 12 ŷ )⋅( 4 x̂+ 2 ŷ + 3 ẑ ) = 42 + 22 = 3 2 A/m
이다. 따라서 법선성분은
H 1n = H n̂ = 3 2 ( 12 x̂+ 12 ŷ ) = 3 x̂+ 3 ŷ A/m
1n
75#
연습문제
이며, 접선성분 H 1t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1t = H 1 - H 1n = ( 4 x̂+ 2 ŷ + 3 ẑ ) - ( 3 x̂+ 3 ŷ ) = x̂- ŷ + 3 ẑ A/m
경계면에는 어떠한 면전류도 없으므로 영역-2 의 자계에 대해 다음의 경계조건을 적용하면
1
r1
r2
M12 =
Λ 12
I1
=
μ0
( 2 - 2 ln 2) =
π
×
( 2 - 2 ln 2)
π
= 4 10
-7
⋅( 2 - 2 ln 2)
μH
= 0.8 ( 1 - ln 2)
동축선의 내심과 외심의 반경이 각각 a 와 b 이고, 그 사이에 공기로 채워진 경우 전송선로의 단위길이당
유도용량 l 은 식(4.82)에 주어진 바와 같이
문제 4-39
μ0
μ0
b
+
ln
H/m
8π
2π
a
로 주어진다. 그런데 만약 동축선의 내심과 외심의 반경이 각각 a 와 b 이고, 그 사이에 투자율
인 자성체가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모든 유도과정이 동일하고, 다만 투자율만 다르므로 다음과
같이
단위길이당 유도용량을 구할 수 있다.
μ
8π
+
μ
2π
ln
b
a
는
i
e
=
=
μ
8π
μ
2π
H/m
b
ln
a
1
와 같다. 그리고 y
Λ 12 =
이다.
=0
y
평면상에 놓인 직선도선을 회로-1, 삼각형루프를 회로-2 라고 하자. 이때 회로-1 에 ẑ 방향으로
직류전류 I 이 흐른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식(4.11) 의 Ampere 법칙과 식 (4.22) 를 적용하여 y 평
면상의 자속밀도 B 1 을 구하면
2
S
⋅
=
=0
= 0
와 같다. 그리고 y
Λ 12 =
M12 =
4
S
⋅
=
⌠
⌡
2
x- 2
- x+ 2
μ 0I 1
2 πx
ŷ⋅dz dx ŷ =
=
⌠⌡ μ I x
πx
I
μ
⌠⌡
4
0
2
2
0
1
π
1
4
(1-
⌠
⌡
x
) dx
0
μ 0I 1
( 2 x- 4) dx
2 πx
=
μ 0I 1
2
3
[ ( x- ln x)∣ 1 + ( - x+ 3 ln x)∣ 2 ]
2π
=
μ 0I1
[ ( 1 - ln 2) + ( - 1+ 3 ln 3 - 3 ln 2) ]
2π
=
μ 0I 1
( 3 ln 3 - 4 ln 2 )
2π
1
2
(1-
1
x
) dx +
2
3
( - 1+
Λ 12
I1
=
μ0
2π
( 3 ln 3 - 4 ln 2) =
×
3
x
) dx ]
-7
4 π 10
2π
×
= 2 10
( 3 ln 3 - 4 ln 2)
-7
⋅( 3 ln 3 - 4 ln 2 )
= 0.6 ln 3 - 0.8 ln 2
2
- x+ 3
3
2
μ 0I 1
[
2π
( 2 - 4) dx
2
ŷ⋅dz dx ŷ + ⌠
⌡⌠
⌡
=
인 평면상에 놓인 회로-2 인 삼각형루프를 관통하는 쇄교하는 총 자속
⌠⌡ B 1 d s2 ⌠
⌡⌠
⌡
μ 0I 1
2 πx
x- 1
0
12
1
=0
1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유도용량 M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1 ( x,0, z ) = μ2πIx ŷ
0
인 평면상에 놓인 회로-2 인 삼각형루프를 관통하는 쇄교하는 총 자속
⌠
⌡ B 1 d s2 ⌠
⌡⌠
⌡
이다.
H/m
1
는
= 0
0
H/m
위의 결과로부터 단위길이당 내부유도용량 l
(b) 위의 결과로부터 단위길이당 외부유도용량 l
Λ 12
= 0
B 1 ( x,0, z ) = μ2πIx ŷ
Λ 12
(a)
문제 4-38
y
평면상에 놓인 직선도선을 회로-1, 삼각형루프를 회로-2 라고 하자. 이때 회로-1 에 ẑ 방향으로
직류전류 I 이 흐른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식(4.11) 의 Ampere 법칙과 식 (4.22) 를 적용하여 y 평
면상의 자속밀도 B 1 을 구하면
1
μ
l = li + le =
μ 0I 1
( 2 - 2 ln 2)
π
-7
4 π 10
×
H 2 = H 2t + H 2N = ( x̂- ŷ + 3 ẑ ) + ( 15 x̂+ 15 ŷ ) = 16 x̂+ 14 ŷ + 3 ẑ A/m
l = li + le =
=
12
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영역-2의 자계는 다음과 같다.
문제 4-37
μ 0I 1
4
( x- 2 ln x)∣ 2
π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유도용량 M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2t = H 1t = x̂- ŷ + 3 ẑ A/m
H 2n = μμ H 1n = μμ H 1n = 51 ⋅( 3 x̂+ 3 ŷ ) = 15 x̂+ 15 ŷ A/m
2
=
문제 4-40
식(4.85)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μH
77#
연습문제
2 Wh
L=
문제 4-41
I
내심반경 a
하면
=
2
= 1 mm ,
4
×
)
= 15 10
= 8 mm ,
-6
길이 d
= 50 cm
제 5 장 연습문제 풀이
μH
H = 15
인 동축선의 외부유도용량은 식(4.82)를 이용
×
4π 10
2π
×
-7
ln 8⋅0.5 = 3 ln 2 10
-7
×
×
1
1
2
-7
2
-9
LI =
⋅( 3 ln 2 10
)⋅0.2 = 6 ln 2 10
= 6 ln 2
2
2
V emf ( t) = -
문제 5-2
( m)
=
( m)
=
0
50 10
=
r
500⋅( 4
0
1 10
=
(4
0
10
-7
10
-7
-3
)⋅( 2 10
-4
)
-2
)⋅( 2 10
=
1
8
10
-4
=
)
1
8
10
( m)
R0
R0
( m)
R0
V
( m)
( m)
+ Rc
=
1
1
+
8π
8π
⌠⌡ H d l
|
B | w=
π
500
×
따라서 코일의 turn 수 N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N=
=
w
⋅
5
= 50
0.1
=
Wb
×
×
( t = 2) = - 0.2 V
이다.
∂Φ
∂
3
2
2
-2
= ( 2 t - 4 t ) 0.1 = - ( 6 t - 4 ) 10
V
∂t
∂t
emf
ẑ
인 평면상의 정삼각형 루프에 자속밀도 B
가 가해지므로 루프 내에서는 자속밀
w 이 된다. 따라서 루프
도가 일정하다. 만약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w 라고 하면 면적 S
에 유기되는 전압은
Φ
⌠
V
t
e
ẑ
w ẑ
⌡ B ds
3e
=
μ0
( ) = -
∂
∂t
∂
∂t
= -
S
⋅
= -
- 5t
Wb/ m
2
3
4
인데,
8
t= 0
일 때 루프에 유기되는 전압이
0.6 V
4π 10
∂
[ 3
∂t
- 5t
⋅
3
4
2
2
]
15
- 5t
2
e
w V
4
=
일 경우
15
2
w = 0.6
4
V en f ( 0) =
=
π
500
Wb/m
2
가 주어져 있으므로 식 (4.86 )으
문제 5-3
( m)
0
( m)
ẑ ⋅ dxdy ẑ
= 0.4 m = 40 cm
이다.
⋅0.2 N = 0.1 N
이다. 그런데 공극에 걸리는 자속밀도 | B |
로부터 공극에 걸리는 기자력 V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0
2
을 만족해야 하므로 정삼각형 루프의 한 변의 길이 w
1
8π
( m)
=
×
8
( m)
0
( m)
3
(2 t - 4t)
z=0
emf
그림 4-37(b) 에서 두 리럭턴스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극에 걸리는 기자력 V 은
V0
0
=
= NI = 0.2 N
=
0.1
0
를 구할 수 있으므로 2초 후의 유기 전압 V
c
( m)
=
이므로, 이를 식 (5.1) 에 대입하면
nJ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식 (4.87) 로부터 코어의 리럭턴스 R 과 공극의 리럭턴스
을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L
×
R
×
μS
μ μ S
π
×
π×
w
×
R
×
μ S
π
×
π×
c
⋅
= ( 2 t - 4 t ) 0.1
H
가 흐를 경우 저장되는 자기 에너지는 식(4.85)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 0.2 A
S
3
( m)
( m)
정사각형 루프를 쇄교하는 자속은
⌠
Φ t
⌡ B ds ⌠
⌡ ⌠
⌡
0.1
이 경우 등가적인 자기회로는 그림 4-37(b) 와 같다. 먼저 기자력 V 은 식 (4.86) 으로부터
V
문제 5-1
( ) =
이다. 여기에 직류전류 I
수 있다.
문제 4-42
-6
2
외심반경 b
μ0
b
L=
ln
⋅d =
2π
a
Wh =
×
2⋅ ( 120 10
-7
원형루프에 유기되는 전압은 t
- 0.3 = V emf ( 0) = -
×
⋅( 1 10
=0
∂
∂t
일때
⌠
⌡ B ds
S
⋅
= -
∂
[ B 0 sin 5t
∂t
ẑ⋅0.1 π ẑ ]∣
= - 0.05 π B 0
-3
)=5
이므로, 위를 만족하는 자속밀도의 크기 B
문제 5-4
0
6
=
π
Wb/m
2
이다.
그림 5-20 과 같은 회로에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는 다음과 같다.
V t
V t
⌠
I t
⌡ B ds
( )=
( )
R
=
( )
1
= 100
100
∂
∂t
S
⋅
2
t= 0
79#
연습문제
1
100
= -
⌠
⌡ ⌠
⌡ B dxdy ẑ
0.4
∂
∂t
0
(b) Φ ( t) =
0.5
0
⋅
(-
)
⌠
⌡ B ds
⋅
S
×
= 2 10
=2
(a)
-3
∂B z
∂t
∂B z
∂t
2
∂
t + 3t
e
∣ t = 0 = 6 mA
∂t
(c) I ( 0) = 2
∂
3
sin ( t -2t )∣ t = 0 = - 4 mA
∂t
(d) I ( 0) = 2
∂
3
sin ( t + 2t )∣ t = 0 = 4 mA
∂t
문제 5-5
(a)
⌠
⌡ B ds
⋅
S
= -
⌠
⌡ ⌠
⌡
= -
⌠
⌡ ⌠
⌡
0
0
0.25
0.1
0
0
4
×
= - 25 10
(b) V emf =
문제 5-6
⌠○⌡ v× B
L
(
= - 25
∂
3
x ( 4 t - 2)
∂t
R
ẑ ⋅dxdy ẑ
(4
V
30
-7
= -
6 10
-6
/
y
= 0
0.5
S
⋅
= -
×
0
= ( 6 10
×
-6
= 3 ln 2 10
= 3 ln 2
1
0.5
6 10
=0
-
평면상의
V1
R
따라서 시간 t
( m)
μV
( m)
⋅
(-
V1
=
과 코어의 리럭턴스
R
( m)
2
2π⋅0.2
×
5000⋅ ( 4 π 10
-7
=0
1200 sin ( 3 t - 20 t )
10
N2 = 200
×
)⋅ ( 2 10
-4
)
= 10
6
6
문제 5-8 (a)
-1
V2(0 )
은 다음과 같다.
x= 0 , t= 0
과 시간
= ε0
∂
9
[ 9 sin ( 1.2 10 t + 4 x)
∂t
=
t=0
×
0.3
ẑ A/m
π
에서의 변위전류를 구하면 다음과 같
×
1
36 π
= (
(b)
2
)⋅ ( 6 t - 20) cos ( 3 t - 20 t)
x= 0
-6
μWb
-1
)⋅ ( - 20) = 2.4 V
1
)⋅ ln y∣ 0.5⋅ ( 0.5 - 0)
2
sin ( 3 t - 20 t )
×
식 (5.20) 으로부터 원점, 즉
0
-3
인 2 차 코일을 통과하므로 2 차 코일의 유도 기전력는 다음과 같이
×
일 때 유도되는 기전력
J d = ε ∂∂Et ∣
)
= 1.2 10
∂Φ
∂
-3
2
= - 100⋅
[ 1.2 10
sin ( 3 t - 20 t)]
∂t
∂t
×
음을
×
2
=
V 2 ( 0) = - ( 1.2 10
2
-6
y
2π ρ 0
μ r μ 0S
=
= - ( 1.2 10
(a) 이 경우 자속이 통과하는 면의 법선방향을 x
인 평면상에서 x̂ 방향이라고 하면 다
구할 수 있다.
⌠
Φ
⌡ B ds ⌠
⌡ ⌠
⌡ × x̂ dydz x̂
( 0) =
L
μ r μ 0S
V 2 ( t) = - N2
10
)⋅30
2π y
μV
=
( m)
××
= -
15
( t + 10)( t + 5)
( m)
그런데 자속 Φ 는
구할 수 있다.
=
0
μWb
2
)⋅d = - vB d = - 6 4 0.1 = - 2.4 V
2π y
-6
= N1 i 1 ( t) = 300⋅4 sin ( 3 t - 20 t) = 1200 sin ( 3 t - 20 t)
Φ=
A 가 ẑ 방향으로 흐를 경우 x
자유공간의 축 상에 있는 무한 도선에 직류전류 I
임의의 점에서 자속밀도는 Ampere 법칙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μ I
× x̂ Wb m
π×
B yz
x̂
x̂
( 0, , ) = -
t + 10
t+ 5
10
( m)
3
4 x dxdy
0.1
z
= 3 ln
×
따라서 코어에 흐르는 자속 Φ 는 다음과 같다.
μV
l
1 + 0.1 t
0.5 + 0.1 t
장 8 절에서 기술한 자기회로의 개념을 도입하자. 1 차 코일의 기자력
은 각각 식 (4.86) 과 (4.87) 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0.25⋅ x ∣ 0
-6
= 3 ln
문제 5-7 4
V1
∂
V emf = ∂t
1 + 0.1 t
)⋅ ln y∣ 0.5 + 0.1 t⋅ ( 0.5 - 0)
15
= 0.1
( 5 + 10)( 5 + 5)
(d) V emf ( 5) =
(b) I ( 0) = 2
0.1
-6
x̂⋅dydz ( - x̂ )
-6
y
=
∂
3
I ( 0) = 2
( 2 t - 4 t )∣ t = 0 = - 8 mA
∂t
0.25
6 10
0.5 + 0.1 t
∂
∂
t + 10
1
1
[ 3 ln
] = -3(
)
Φ ( t) = ∂t
∂t
t+ 5
t + 10
t+ 5
(c) V emf ( t) = -
mA
1 + 0.1t
0.5
0
= ( 6 10
∂B z
1
=
⋅0.5⋅0.4
100
∂t
×
⌠
⌡ ⌠
⌡
×
= -
10
-9
×
9
ẑ ]∣
다.
x = 0 , t= 0
)⋅9⋅( 1.2 10 )⋅ cos 0
ẑ
2
이 경우에는 원천적인 전류원을 나타내는 전류밀도 Ji 가 없고, 공기 중이므로 당연히 도체
연습문제
81#
내에 유기되는 전도전류 Jc 도 없다. 따라서 식 (5.21) 로부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H
∇
D = Jd
∂
∂t
=
문제 5-10
∥
×
×
9
∇ [ 9 sin ( 1.2 10 t + 4 x)
ẑ ] = - ∂∂x [ 9 sin ( 1.2 ×10 t + 4x)] ŷ
9
×
ŷ
을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9
그러므로 원점, 즉
J d = - 36 ŷ A/m
(c)
과 시간
x= 0
t= 0
1
c
( )
( ) =
= - 36 cos ( 1.2 10 t + 4 x)
-7
7
이다. 이를 식 (5.20) 에 대입하면 원점, 즉
과 같다.
1
36 π
=(
=
=
1
6π
×
×
30
π
30
π
10
10
×
-9
-9
x= 0
×
9
sin ( 1.2 10 t + 4x)
과 시간
t= 0
ẑ
에서의 변위전류는 다음
10
-9
×
×
∂
-7
9
[ 1.5 10
sin ( 1.2 10 t+4 x)
∂t
)
×
)⋅ ( 1.5 10
-7
×
9
)⋅( 1.2 10 )
ẑ ]∣
ẑ
10
-9
9
= 0.6 sin ( 2π 10 t )
2
×
×
9
9
)⋅[ 0.6 ( 2 π 10 ) cos ( 2π 10 t )
9
ẑ A/m
ẑ
ẑ ]
2
=0
A /m
( 0) = 0.2
/
2
2
방정식의 하나인 식(5.22)로부터 다음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D ρ
× t nC m ×
×
πz
πz
문제 5-11 (a) Maxwell
∇⋅
=
ε r ε 0 ∇⋅
v
= 5 cos ( 3
- 2 10
9
)
3
/
= 5 10
-9
cos ( 3
9
- 2 10 t) C/m
3
E = ε ε ∇⋅[ c sin ( 3 π z - c t) ẑ ] = ε ε ∂∂z [ c sin ( 3 π z - c t)]
r
0
1
r
2
e
jωt
라고 할 경우 변위전류밀도 Jd 와 전도전류밀도 Jc 는 각각 다음과 같이
jωt
0
Jc = σ E = σ E 0 e
따라서 | Jd | = 3 | Jc | 를 만족하는 주파수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3σ
=
2π ε r ε 0
0
1
2
= ε r ε 0 [ 3 π c 1 cos ( 3 π z - c 2 t)] C/ m
2
jωt
=
)
ẑ A m 인데, 여기서는 특정
이다. 따라서 시간 t 일 때의 변위전류밀도 Jd
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았으므로 변위전류밀도의 크기가 다음과 같다고 답하면 된다.
x= 0 , t= 0
ẑ
Jd = ε ∂∂Et = ε ε ω E 0 e
ω
×
)
-3
∥
=
2π
×
×
Jd ( 0) = 0.2
바다물 속의 전계를 E E 0
주어진다.
f=
9
x= 0 , t= 0
ẑ nA/m
r
1
36 π
= 0.2 cos ( 2 π 10 t )
서 위의 식으로부터 계수들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c
V m
ε ε π
×
π
π
c
× r ad s
(b) Maxwell 방정식의 하나인 식(5.4)로부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
× E μ Ht
z
× t ẑ
μ μ
πy
t
-9
문제 5-9
10
6
0
= 6⋅(
0
3 sin ( 2
( 5 10 )⋅( 1 10
가 ẑ 방향
J d ( t) = ε ∂ E∂t( t) = ε ε ∂∂t [ 0.6 sin ( 2π ×10 t ) ẑ ]
r
9
= 6⋅ (
=
9
( ) = 3 sin ( 2π 10 t ) A
9
2
t + 4 x) ẑ
E = σJc = 9 sin ( 1.26××10
= 1.5×10
10
r
( )
=
도체 내의 전계 E 는
J d = ε ε ∂∂Et ∣
×
한 변의 길이가 mm 인 정사각형 도선에 도전전류 I t
으로 흐를 경우 도선 내의 전계는
I t
t
π×
E t J cσ t
ẑ
ẑ
σS
×
×
이며, 이로부터 변위전류밀도를 구하면
3⋅9
1
2π⋅81⋅(
36π
×
10
-9
×
9
= 6 10 = 6 GHz
)
5 10
3
r
0
1
=
2
= 2 10
∇
9
= -
-9
=
5 10
1
-9
10⋅(
10
)⋅3
36
= 6
/
∂
∂
= -
r
0
∂
[ 2 sin ( 4
∂
+
8
∥
= - μ r μ 0 ⋅10 cos ( 4 π y +
×
c 2 -3
∇ [ c 1 sin ( 4π y +
=
/
2
×
7
z + 5 10 t)
2
-3
+ 5 10
2
c 2 -3
2
x̂ ]
×
c 2 -3
∂
7
[ c 1 sin ( 4π y +
z + 5 10 t)]
∂z
2
ŷ
×
7
)
]
7
ẑ
z + 5 10 t)
3
따라
c 2 -3
r
0
⋅5 10
ẑ
7
=
4π
3⋅ ( 4
10
4π
×
문제 5-13
(a) 식(5.52)로부터 각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ẑ
7
z + 5 10 t)
2
ŷ
7
z + 5 10 t)
2
c 2 -3
위의 식에서 계수들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μ μ
π×
c
=
×
×
c 2-3
) cos ( 4π y +
2
- 4π c 1 cos ( 4π y +
1
83#
c 2 -3
∂
7
[ c 1 sin ( 4π y +
z + 5 10 t)]
∂y
2
-
= c1(
연습문제
편의상 땅의 도전율
×E
∇
-7
= 30
∂
∂
V/m
σ=0
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주어진 전계를 식 (5.7) 에 대입하면
0
12 | |
- 0
= -
sin ( 10
9
-|
| )
12 |
=
10
|
9
cos ( 10
9
-|
| )
0
인 경우에 대입하면 다음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0
x̂ = - 1210π |μβ | sin ( 10 t - | β | z ) x̂
∂H y
2
∂z
9
9
0
∥
D = ε ε ∂ E = - ε ε ( 12π ×10 ) sin ( 10 t - | β | z ) x̂
∂
∂t
9
r
0
r
∂t
r
| =
0
( 12
8
r ad/s
= -
10
4
7
∂
( 12
∂
7
7
cos 3
t
cos 3
cos 9 10
sin 9 10
8
sin 3
×
8
cos 9 10 t )
8
cos 9 10 t
ŷ
ŷ
8
/
r
0
0
= -μ0
H
∂
∂t
∇⋅( ∇
)=0
∇⋅( ∇
) = ∇⋅(
0
∂
∂
)=
∂
(∇⋅
∂
)
9
0
=
∂
∂
0
그런데 부록 A에 있는 벡터등식(A.10)에 의하면 임의의 벡터함수 A 에 대해 항상
×A
이 성립해야 한다. 따라서 앞의 두 Maxwell 방정식에 발산을 취하면
H
×H
D
ε
t
t
∥
0
9
10 )
12π
=
×E
∇
위의 관계식으로부터 위상상수 β 와 자계 H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ε
π×
β
ε ε μ ×
|
×
8
자유공간상에서 무전원인 경우 다음의 Maxwell 방정식을 만족한다.
× H ε Et
∇
∂t
앞에서 구한 자계를 식 (5.21) 에서 J
×H
∇
0
= - 0.1 cos 3
문제 5-14
와 같다. 따라서 자계 H 는 다음과 같은 적분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π β ⌠
π β
H
t
t
β z dt ŷ
β z ŷ
⌡
μ
μ
∇
×
= 3⋅( 3 10 ) = 9 10
9
B = -μ ∂H
=
1
-
=
= - 9 10
ŷ = 12π | β | sin ( 10 t - | β | z ) ŷ
∂z
∂
∂t
ε 0μ 0
방정식의 하나인 식(5.4)로부터
H
×E
z
π
t
z
μ
π
×
z
×
를 만족해야하므로 여기서 자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H
×
z
× t dt ŷ
⌡
z
× t ŷ A m
8
)⋅10
∥
-
k
=
= - 9 10
∂E x
=
εμ
(b) Maxwell
c 2 = 3 r ad/m
문제 5-12
k
ω=
∇⋅( ∇
9
10
×E
) = - ∇⋅( μ 0
H
∂
∂
)= (∇⋅
∂t
∂t
B)
9
10 μ 0
∥
=
(9
× π×
1
36
10
-9
×
)⋅ ( 4 π 10
-7
×
0
) 10
9
과 같은 관계식을 만족해야 하므로
= 10 r ad/m
12π⋅10
H = 1210π |μβ | cos ( 10 t - | β | z ) ŷ = 10 ⋅(
cos ( 10 t - 10 z ) ŷ
4 π ×10
)
9
9
9
9
∇⋅
D=c
1
∇⋅
B=c
2
-7
0
9
= 0.3 cos ( 10 t - 10 z )
ŷ A/m
와 같은데, 여기서 c 과 c 는 임의의 상수들이다. 그런데 공간상에 어떠한 전원도 없다고 하였으므로
c
과 c 라고 두어야 한다. 따라서 자유공간에서는 Maxwell 방정식 중에서 전계와 자계의 회
1
1
= 0
2
= 0
2
연습문제
85#
전에 대한 두 개의 식만 만족하면 다음과 같이 발산에 대한 두 개의 방정식은 자동으로 만족함을 알 수 있
다.
= -
1
∂B z
μ
∂ρ
∂E φ
1
∂
( 2 - ρ )( 1 + ct )
∂
- - ct
- ρ - ct
[ ρ te
] φ̂
[
e ρ
] φ̂ - ε
2
∂t
∂ρ
c
φ̂ - ε
∇⋅
D=0
= -
∇⋅
B=0
= ε ( 3 - ρ )( 1 + c t ) e
μ
= ε ( 3 - 2ρ + 3c t ) e
문제 5-15 (a) Maxwell
(c)
방정식의 하나인 식(5.4)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H=
×E
μ
따라서 위로부터 자계를 구하면
⌠
H
⌡μt ze
∂
∂t
1
∇
-μ
t
= -
1
1
= -
(1 -
∂
- z - ct
( z te
)
∂z
- z - ct
)
dt
ŷ = - 1 -μ z e ⌠
⌡ te
인데, 여기서
H=
εμ
c = 1/
1-z
1
μ
2
c
t
-z
=
-c t
이므로 이를 대입하면 자계는 다음과 같다.
( c t + 1) e
-z-c t
ŷ = ε ( 1 - z ) ( c t+ 1 ) e
- z - ct
문제 5-17 (a)
ŷ
∂H y
= -
∂z
x̂ - ε ∂t x̂
∂E x
= [ ε ( 2 - z) ( c t+ 1 ) e
= 2ε (1 - z + ct) e
(c)
(b)
∂
∂
∂
-z-c t
= [ ε ( 1 - z ) ( c t+ 1 ) e
]
∂z
위의 결과로부터 시간
-z-c t
-z-c t
t=0
x̂ - ε
∂
- z - ct
( z te
)
∂t
- ε z ( 1 - ct ) e
x̂ A/m
- z - ct
]
x̂
10
-9
x̂
9
2
=
10
-9
=
ρ
∂ρ
φ
ρ
4.5
- ρ - ct
∂ρ
/
= - ( 2 - ρ ) te
- ρ - ct
)
2
= -
=
1
∇
( 2-
-
- ρ - ct
)
∂
∂
=
(2-
)( 1 +
2
)
- ρ - ct
5
=
10
x
= 100 e
=0
-9
=
5
7
- 10 t + 3x + 5 z
7
- 10 t + 3 x + 5 z
일 때의 자속밀도는 다음과 같다.
/
2
)
ŷ
ŷ n Wb/m
2
2
x̂ - ∂∂Vz ẑ - ∂∂At x̂
∂V
∂x
= -
7
∂
- 10 t + 3 x+ 5 z
( 18 e
)
∂x
x
x̂ - ∂∂z ( 18e
7
- 10 t + 3 x+ 5 z
7
)
ẑ
×
7
∂
- 10 t +3 x + 5 z
-9
( 20 e
) 10
∂t
x̂ - 90 e
x̂ - 90 e
7
- 10 t + 3 x+ 5 z
- 10 t + 3 x+ 5 z
=0
7
- 10 t + 3 x+ 5 z
7
ẑ + 0.2 e
ẑ V/m
x̂
7
- 10 t+ 3 x + 5 z
x̂
- 10 t+ 3 x+ 5 z
일 때의 전계는 다음과 같다.
주어진 포텐셜 함수들을 식(5.37)의 양변에 각각 대입하면
A
A
× e
x
x
-ε μ
ẑ
/
)⋅3
E ( x= 0, z = 0, t = 0) = - 53.8 x̂ - 90 ẑ V/m
ẑ
를 구할 수 있으므로 양변을 시간 t 에 대해 적분하면 자속밀도는 다음과 같다.
ct
ρ
⌠
B
e
ẑ Wb m
⌡ ρ te dt ẑ
c
(b) 앞에서 구한 결과를 Maxwell 방정식의 하나인 식(5.2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구할
J μ × B ε Et
t
-9
ŷ - ∂∂Ay ẑ = ∂∂z ( 20 e
= -
∇⋅
B = - ∇× E = - 1 ∂ ( ρ E ) ẑ = - 1 ∂ ( ρ ⋅ρ te
10
E = - ∇ V - ∂∂At
= - 53.8 e
방정식의 하나인 식(5.4)로부터
∂
∂t
∂z
이므로, 원점에서 t
(c)
문제 5-16 (a) Maxwell
A /m
φ̂
2
식(5.33)으로부터
= - 54 e
2
)
φ̂
- ρ - ct
일 때 원점에서의 전류밀도는 다음과 같다.
×
× φ̂ π φ̂ nA m
φ̂
π
π
-
일 때 원점에서의 전류밀도는 다음과 같다.
×
x̂ π × x̂ π x̂ nA m
π
J ( z = 0, t = 0) = 2⋅81⋅( 361
- ερ (1-ct)e
B ( x= 0, z = 0, t = 0) = 100 ŷ nWb/m
앞에서 구한 결과를 Maxwell 방정식의 하나인 식(5.2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전류밀도
를 구할 수 있다.
J × H ε Et
-
∂A x
=
이므로, 원점에서 t
ŷ A/m
-z-c t
식(5.30)으로부터
B ×A
= ∇
(b)
=∇
- ρ - ct
φ̂
ŷ
ŷ
dt
t
1
-z-c t
(
+ 2 )e
c
c
μ
t= 0
- ρ - ct
J ( ρ = 0, t = 0) = 60⋅( 361
ŷ = - μ1 t ( 1 - z ) e
1-z
위의 결과로부터 시간
φ̂
∂t
=
∂
∂
x
=
∂
∂
× e
와 같다. 따라서
= 6 10
수 있다.
문제 5-18
-9
7
- 10 t + 3 x + 5 z
×
] = 6 10
-8
e
7
- 10 t + 3 x + 5 z
7
∂V
∂
- 10 t+ 3 x+ 5z
= - ε r ε 0μ r μ 0
( 18 e
)
∂t
∂t
= - 30 ⋅ (
2
[ 20 10
-8
1
36 π
×
10
-9
×
)⋅1⋅ ( 4 π 10
-7
×
7
)⋅ ( - 18 10 e
7
- 10 t + 3x + 5z
7
- 10 t + 3 x + 5 z
∇⋅
A = - ε μ ∂∂Vt 가 성립하므로 Lorentz 조건을 만족한다.
식(5.39)로부터 자속밀도를 구하면
)
87#
연습문제
2
∂y
∂
= [-ε
×
+
2
∂z
∂
-ε
2
3
- εμ
2
2
∂z
∂ V
∂t
∂
2
+ε μ
2
2
]
2
×
3
×
2
7
7
= - 9 10 ε [ - 4 - ( - 8) + ( 3 10 ) ε μ ] cos ( 3 10 t + 4 y - 8 z ) C/m
×
×
× t y z Cm
일 때 원점에서의 전하밀도 ρ y z t
ρ
= 9 10
이므로, t
=0
3
ε [ 80 -9 10 14 ε μ ] cos ( 3
×
1
ρ ( 0) = 9 10 ⋅(
36π
=
7
10
+4
v(
10
π
3
×
10
-6
×
10
C/ m
-9
π
4
-8
)
/
π
×
)[80 - ( 9 10
×
1
)⋅(
36 π
10
4
]
)
-j
π
2
4e
j ( ω t - 5 x)
-9
3
v( 0)
(c) V = Re [ ( 1 - j
는 다음과 같다.
×
)⋅4000⋅ ( 4 π 10
-7
sin ( 3 y - 4 z ) ]
π ) sin ( 3y - 4z )
2
= 4 sin ( ω t - 5x ) sin ( 3y - 4z )
3
= = 0, = 0) =
14
jωt
xe
= 4 cos ( ω t - 5x -
×
2
]
(b) V = Re [ - j 4 e - j 5x sin ( 3y - 4z ) e j ω t ] = Re [ e
7
] 9 10 cos ( 3 10 t + 4 y - 8 z )
2
-j
jωt
) xe
2
= 5 x cos ( ω t -
×
2
∂t
5
-j
2
= Re [ 5 e
2
∂ V
2
∂y
)
2
∂ V
= - ε[
∂t
2
5
= Re [ (
2
∂ V
ρ v = - ε ( ∇ 2V - ε μ
3) xy e
j ( 4z -
π )
6
e
jωt
] = Re [ 2 (
= Re [ 2 e
)]
1
-j
2
-j
= Re [ 2 xy e
π
3
π
j ( 4z )
3
6
j t
) xy e
e ω ]
2
xy e
j ( 4z -
6
π )
j ( ω t + 4z -
2
π
= 2 xy cos ( ω t + 4z -
3
π )
2
e
jωt
]
]
)
= 2 xy sin ( ω t + 4 z )
=
10
μC / m 3
π
문제 5-21
문제 5-19 (a)
E = 2 sin ( ω t + 2y - 3z ) x̂ = 2 Re [ - j e
= 2 Re [ e
= 2 Re [ e
따라서 페이져로는 E
k= ω
2
j ( ω t + 2y - 3z )
e
π )
2
e
jωt
]
]
x̂
- 3x
j ( ω t + 2y )
- 3x + j 2 y
j ( ω t - 5z )
e
jωt
]
따라서 페이져로는 E
(b) ∇ 2
- j ( 5z +
- j 5z
= 4e
x̂ - 3 e
π
2
)
jωt
- j ( 5z +
π
2
)
= Re [ ( 2 - j
= Re [ (
2) xe
jωt
2) xe
jωt
2 -j
2
2
-j
2
2
- j 3 xe
- j3 (
) xe
jωt
j
4
1
2
- j3 (
jωt
e
+i
1
2
]
×
2π
3
10
-8
f
2
2
= 10π
10 π
2π
3
×
이어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
GHz
9
10
= 1.5 10 = 1.5
-8
E + k E = [ ∂∂x + ∂∂y + ∂∂z + k ] 5 cos ( 4π x- 4π y - 2π z ) x̂
2
2
2
2
2
2
2
2
2
2
2
= 0
을 만족하려면 k
= 6π
6π
f=
2π
3
×
9
10
= 9 10 = 900
-8
E + k E = [ ∂∂x + ∂∂y + ∂∂z + k ][2 cos (3πx- 4π z ) ŷ - 6 cos (4πx- 3π y) ẑ ]
2
2
2
2
2
2
2
2
2
+i
) xe
1
2
jωt
]
) xe
2
2
2
2
2
2
ŷ
- [ - ( 4 π ) - ( - 3π ) + k ]6 cos (4 πx- 3π y)
jωt
]
x̂
이어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
MHz
= [ - ( 3π ) - ( - 4π ) + k ] 2 cos (3πx- 4 π z )
1
2
2
2
ŷ 이다.
π
=
8
= [ - ( 4π ) - ( - 4π ) - ( - 2π ) + k ] 5 cos ( 4π x- 4π y - 2 π z )
(c) ∇ 2
문제 5-20 (a) V = Re [ (
2
2
f=
ẑ
×
3 10
E + k E = [ ∂∂z + k ] ( 8 sin 10π z ŷ ) = [ - ( 10π ) + k ] 8 sin 10π z ŷ = 0
j ( ω t - 5z )
jωt
- j 5z
- 3x + j 2 y
2π f
ε 0μ 0 =
을 만족하려면 k
x̂ 이다.
- 3x
cos ( ω t + 2 y )
(a) ∇ 2
x̂
ẑ = 5 Re [ e e
] ẑ = 5 Re [ e
ẑ 이다.
따라서 페이져로는 E = 5 e
(c) E = 4 cos ( ω t - 5z ) x̂ - 3 sin ( ω t - 5z ) ŷ
= 4 Re [ e
] x̂ - 3 Re [ - j e
] ŷ
= 4 Re [ e
e
] x̂ - 3 Re [ e
e
] ŷ
(b)
E = 5e
2
x̂
]
π
j ( 2 y - 3z -
π )
j ( 2y - 3z -
= 2e
-j
j ( ω t + 2y - 3 z )
아무런 전원도 없는 자유공간에서는 식(5.52)로부터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ẑ
= 0
과 같이 두 종류의 전자기파가 존재하는데 파동 방정식을 만족하려면 모두 k
= 5π
이어야
한다.
연습문제
따라서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5π
f=
문제 5-22 (a)
×
2π
3
10
×
89#
-8
∂
2
∇ E x+ k E x = [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k
2
2
k = ω εμ = 4
2
∂z
+ k ] 25 e
π )
3
2
2
= [ ( j 8 π ) + k ] 25 e
j ( 8π z -
π )
3
= 0
2
r
0
0
= 4
2
8
2
⋅ ( 6 10 ) ⋅
= 16π
2
r
(
1
36
10
-9
×
)⋅ ( 4 π 10
-7
)
문제 5-25 (a)
εr
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ε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64π
16π
2
= 4
위와 동일한 방법을 취하면 k
ε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2
2
= ( 4π ) + ( 8π ) + ( - 8π )
2
= 144 π
2
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r
144π
εr =
16 π
= 9
두 개의 서로 다른 전계의 합이지만 각각의 전계 성분에 대해 위와 동일한 방법을 취하면
k
π
π
π 로 동일한 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ε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c)
2
= ( 16 ) + ( 12 )
400π
εr =
문제 5-23
16 π
2
= 400
2
v=
εμ
v0
(e) η =
η=
2
=
=
μr = 4
문제 5-24
식(5.62)로부터
m /s
×
8
2π⋅( 1.5 10 )
×
×
3 10
2
8
×
6 π 10
8
1.5 10
8
2
8
= 0.5 m
2
) = 2 = 4
μr
η =
εr 0
1
⋅120π = 60π
4
1.2
10 t - 4 π z )
Ω
자계의 크기는 전계의 크기를 고유 임피던스로 나누면 되고, 성분방향은 전파방향과 전계방
외적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앞의 결과들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자계는 다음과 같 다.
×
H η e ×
ẑ × x̂
e
ŷ
π
=
j ( 6π
8
(
= 25
=
1
εr ε0μr μ0
μr μ0
=
εr ε0
1
50
)=
8
j ( 6π
10 t - 4 π z )
r
문제 5-26 (a)
=
1
1
εr μr
ε 0μ 0
=
1
εr μr
μr
εr
μ0
=
ε0
μr
η = 0.4 η 0
εr 0
1
εμ
(c) f =
ω
2π
(d) λ =
v
=
f
(e) η =
μ
ε
(f)
20
π
×
e
r ad/m
1
=
=
=
k
2π
1
3
=
ε r ε 0μ r μ 0
εμ
×
×
10
5 10
kv
=
2π
v0
εr μr
1
3
2π
j ( 2π f t - 3 π z )
×
3 10
=
3π⋅(
=
8
j ( 6 π 10 t - 4 π z )
e
평면파의 진행방향은 주어진 자계의 형태에서
k = 3π ẑ
v0 = 0.1 v0
와 같은 두 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두 식을 풀면 다음을 구할 수 있다.
ε r = 25
= 1.5 10
=
ω
) = (
v
(b) v =
μ
ε
2π v
v
=
f
×
8
2
어떤 식(5.62)와 (5.63)으로부터
1
Ω
(f)
2
2
×
6 π 10
4π
=
k
(d) ε r = (
(b)
2
ω
(c) λ =
r
εr =
1
⋅120π = 30 π
16
k = 4π ẑ r ad/m
(b) v =
2
2
μr
η =
εr 0
η=
= 8π
∥
64 π
v0 = 0.25 v0
εr
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식(5.63)에 대입하면 고유 임피던스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j ( 8π z -
이어야 한다. 따라서 식(5.52)로부터
×
×
π f ε ε μ
π
ε
π
2
1
v0 =
ε r = 16
2
2
εrμr
를 만족해야 하므로 상대유전상수는
전계에 대한 파동 방정식에 의하면
2
1
v=
8
= 7.5 10 = 750 MHz
8
81⋅1
×
8
10 )
=
ŷ mA/m
이므로 파수벡터는 다음과 같다.
1
3
×
= 5 10
×
7
10
8
m/s
Hz = 50 MHz
8
7
=
μr
η =
εr 0
2
3
m
1
40π
⋅120π =
81
3
Ω
평면파인 경우 자계, 파수벡터, 고유 임피던스를 알 경우 전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π
×
E η H× kk
e
x̂× ẑ
ŷ V m
πe
=
(
)=
40
3
[ 0.3
j ( 2π f t - 3π z )
] = -4
8
j ( π 10 t - 3π z )
/
향의
91#
연습문제
문제 5-27 (a) k = ω
(b)
εμ = ω
ω
ε 0μ 0 =
×
×
=
v0
전계가 파동방정식을 만족하려면
β 2x + β 2y + β 2z =
k=
E = η ( H× kk )
3 10
9
3 10
8
2
× x̂ ŷ
3
2
( - 6) + β z
2
(c)
2
2
2
k = β x̂ + β ŷ + β ẑ = - 6 ŷ + 8 ẑ r ad/m
μ
ε
(d) η =
(e)
y
=
(
ŷ
1
-6 + 8
[(
120π
10
=
1
[ (4
1000π
ẑ )×0.6 cos ( 3 ×10 t + 6 y - 8 z ) x̂ ]
1
[
2
α = ω εμ ⋅
9
0.05
×
8
( 6 π 10 )⋅4⋅(
1+
9
9
자유공간내의 평면파이므로 파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ω
k
r ad m
v
×
r ad m , β
(b) 주어진 평면파에서는 β
이므로 β 을 만족하는 β 는 다음
이 구할 수 있다.
1
[
2
1.5 10
1+
3 10
0
=5
y
2
βx=
(c)
2
k -β y =
2
/
z
=0
x
> 0
x
x
(d)
⋅
= [ 4 cos ( 1.5 10
⋅[ 3
9
x̂ - 4 ŷ ]
=0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Hy = - 3
(f)
μ
ε
tan θ =
σ
2π f ε r ε 0
(b) β = ω εμ ⋅
-
x
×
+4 )
×
9
- H y cos ( 1.5 10 t - β xx + 4 y)
9
=
-
μ0
= η 0 = 120π Ω
ε0
평면파인 경우 자계, 파수벡터, 고유 임피던스를 알 경우 전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 2
) - 1]
4
2
4
4⋅2 ⋅
1
[
2
ε r ⋅μ r ⋅
×
×
3 10
1
[
2
9
2π⋅( 9 10 )⋅8⋅(
1+
8
3
4⋅2 ⋅
8
3 2
) + 1]
4
1 +(
2 2
r ad/m
1
36 π
σ2
ω
+1] =
v0
ω 2ε 2
=
1
[
2
1+
-9
×
×
3 10
1 +(
9
8
8⋅1 ⋅
3 2
) +1]
4
3
2 2
r ad/m
1
[
2
εr μr ⋅
×
×
3 10
1 +(
9
2π⋅( 9 10 )
= 60π
= 0.75
)
1
[
2
2π⋅( 9 10 )
σ
ω
-1] =
v0
ω 2ε 2
=
(d)
10
ε r ⋅μ r ⋅
= 180π
(c) α = ω εμ ⋅
×
2
ŷ 방향의 자계성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A/ m
8
3
×
=
ŷ]
= ( 12 + 4 H y ) cos ( 1.5 10 t - β xx + 4 y)
(e) η =
문제 5-30 (a)
y
자계와 파수벡터는 서로 직교해야 하므로
H k
× t β x y x̂
1 +(
과같
5 - ( - 4) = 3 r ad/ m
k = β x̂ + β ŷ = 3 x̂ - 4 ŷ r ad/m
1
[
2
Np/m
= 6π
2
앞의 (b)의 결과를 전계에 대입하면 파수벡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0.75
)
8
6 π 10
=
/
= -4
×
×
3 10
σ +1] = ω
v0
ω 2ε 2
9
8
-9
2
문제 5-28 (a)
=
10
감쇠상수 α , 위상상수 β 를 구하
tan θ ,
εr μr ⋅
= 2π
ŷ + π3 cos ( 3 ×10 t + 6 y - 8 z ) ẑ mA/m
×
6 π 10
=
β = ω εμ ⋅
=
1
36 π
σ 2 - 1] = ω
v0
ω 2ε 2
9
cos ( 3 10 t + 6 y - 8 z )
π
9
ŷ + 3 ẑ ) cos ( 3 ×10 t + 6 y - 8 z ) ] A/m
×
4
=
σ
=
ωεr ε0
tan θ =
)
=
ẑ
9
문제 5-29
평면파인 경우 전계, 파수벡터, 고유 임피던스를 알 경우 자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η kk × E
1
9
식(5.79), (5.71b), (5.71a)로부터 각각 손실 탄젠트
면 다음과 같다.
z
μ0
= η 0 = 120π Ω
ε0
=
9
ẑ V/m
= - 0.6 π cos ( 1.5 10 t - 3 x + 4 y) ẑ kV/ m
앞의 (b)의 결과를 전계에 대입하면 파수벡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
×
×
r ad/m
10 - 6 = 8
-4
5
x̂ + 3 cos (1.5×10 t - 3 x + 4y ) ŷ ]
= - 600π cos ( 1.5 10 t - 3 x + 4 y)
z
k -6 =
9
= 24π ( - 16 - 9 ) cos ( 1.5 10 t - 3 x + 4 y)
을 만족해야하므로, 이로부터 β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βz =
×
= 120π [ 4 cos (1.5 10 t - 3 x + 4y)
= 10 r ad/m
8
Np/m
8⋅1 ⋅
3 2
) -1]
4
2
4
손실 매질 내의 전파속도는 식(5.74)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ω
πf
π
v
m s
=
β
=
2
β
9
=
2 ⋅( 9 10 )
8
= 10
120π
/
93#
연습문제
μ
(e) η =
μ
ε
=
σ
ω
ε-j
1
μr
η
εr 0
=
σ
ωε
1-j
=
1
⋅120π⋅
8
= 12π
문제 5-31
전상수 ε
1
1 - j tan θ
r
r
σ = ωε
[
/
=
2
10
8
r ad/s ,
상대유
문제 5-33
[
×
8
2 2
2 α v0
ω 2ε r μ r
= ( 2 π 10 )⋅9⋅ (
Np/ m
손실 매질의 고유 임피던스 η
= |η |e
σ
ωε
jθη
= tan 2θ η = tan ( 2⋅
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감쇠상수 α
2
+ 1 ] -1
×
1
36π
2
10
tan θ =
= 2
2
2α
2
+ 1 ] -1
ω 2ε μ
= ωεr ε0
=
3
4
손실 매질 내에서 평면파의 감쇠상수 α π Np m , 각속도 ω π×
, 상대투자상수 μ
일 경우 손실 매질의 도전율 σ 는 식(5.71b)로부터
= 9
5
8
10
-9
α = ω εμ ⋅
)
[
2
×
8
2⋅( 2 π ) ⋅ ( 3 10 )
×
8
2
2
) ⋅2⋅2500
Ω
8+j6
=2
×
×
6 10
3 10
0.2 - (
1
1-j
2
=
( 2 π 10 ) ⋅9⋅2
2
2
+ 1 ] -1
= 0.1 S/m
를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식(5.71a)와 (5.71b)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유도하여 위상상수
β 를 구할 수 있다.
1
[
2
1+
π
6
j
= 200 e
) = tan
6
Ω
π
=
3
σ 2 -1] =
ω ε μ⋅
ω 2ε 2
1
[
2
∥
=ω
ε μ⋅
3
=ω
ε μ⋅
3
는 식(5.71b)로부터
3 Np/m
=
일 경우에는 식(5.76)과 (5.77)로부터
π
1 + tan
1
[
2
2
θ- 1]
2
1 +( 3) -1]
1
2
의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부터 ω ε μ 을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식(5.71a)와
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유도하여 위상상수 β 를 구할 수 있다.
2
=6
(5.71b)
β=
ω 2ε μ + α 2
=
(
=
(
ω
v0
2
) εr μr + α
×
2 π 10
×
3 10
8
2
β=
2
) ⋅9⋅2 + ( 2π )
8
문제 5-34
손실 매질의 고유 임피던스 η
tan θ =
이 경우 β
이므로 식(5.71a)로부터 도전율 σ 를 구하면
= 0.2 r ad/m
σ = ωε
[
2β
2
ω 2ε μ
×
[
ω 2ε r μ r
5
α=
2
10
2
β - ω εμ
= 30π e
π
6
j
) = tan
π
6
π
Ω
일 경우에는 식(5.76)과 (5.77b)로부터
=
3
3
∥
2
μ
⋅
ε
- 1 ] -1
1
36 π
×
10
-9
)
[
2
×
8
2⋅0.2 ⋅ ( 3 10 )
×
5
2
2
( 6 10 ) ⋅2⋅2500
2
- 1 ] -1
1
1
[1+
σ2 ] 4
ω 2ε 2
=
=
× Sm
와 같다. 그런데 식(5.71a)와 (5.71b)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유도하여 감쇠상수 α 를 구
할 수 있다.
=
= tan 2θ η = tan ( 2⋅
2
2 β v0
-4
jθη
| η | = 30 π
- 1 ] -1
= ( 6 10 )⋅2⋅ (
2 2
3π
σ
ωε
= |η |e
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식(5.77a)로부터
2
2
= ωεr ε0
2
6 + ( 3) = 3 r ad/m
2
= 2 2 π r ad/m
문제 5-32
ω2ε μ + α 2 =
/
=
2
β -(
ω
v0
=
μr
η ⋅
εr 0
1
εr
1
εr
1
1
[ 1 + tan
120 π⋅
2
θ] 4
1
2
[ 1 + ( 3) ]
1
4
60 2 π
와 같은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유전상수 ε 은 다음과 같다.
r
60 2 π 2
) = 8
εr = (
30 π
2
) εrμr
문제 5-35
식(5.82)로부터 도전율을 구하면
95#
연습문제
1
σ=
× S m 인 금속-1
과 같다. 만약 두 금속이 동일한 투자율을 가지며, 도전율 σ
에 비해 표피두께가 두 배, 즉 δ δ 인 경우 금속-2 의 도전율 σ 는 다음과 같다.
σ
×
× Sm
σ
1
2
2
문제 5-36
1
=
= 2
1
= 1.6 10
7
π f μ ( 2 δ 1) 2
1
=
1
=
π f μ 4 δ 21
1.6 10
4
=
4
7
= 4 10
6
길이 l
수 있다.
문제 5-38 (a)
/
1
(b)
mm 라고 한다. 구리의
이다. 구리의 경우 주파수 f MHz 일 때 표피두께 δ
mm
표피두께 δ
δ 인 경우의 주파수 f 는 앞의 관계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f
×
kHz
πμσδ
πμσδ
1
2
1
=
=1
1
1
= 0.066
2
=
2
2
= L,
R dc =
π μ σ δ2
= 0.11
2
4⋅
/
식(5.82)로부터 주파수는
10
=
6
πμσ(
1
=
σδ
Ω/m 2
=π
1
4π
2
1
=
π f μ δ 22
f=
1
Rs =
π f μ δ2
1
=
10
δ 1) 2
6
0.36
2
1
= 0.36
6
1
= 0.36 10 = 360
단면적 S
= πρ0
l
L
σS
=
2
인 원형 도선의 직류저항 R 는 식(3.45)로부터 다음과 같 이 구할
dc
π ρ 20 σ
특정 주파수에서 표피두께가 δ 인 경우라는 것은 도선 양단에 동일한 전압을 가해도 도선 단면을 흐
르는 전류밀도분포는
e
- α ( ρ 0 - ρ)
ρ - ρ0
δ
= e
와 같이 내부로 들어갈수록 줄어듬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 전류가 흐르는 유효 단면은 다음과 같이
줄어든다.
⌠
S
⌡ ⌠
⌡ e ρ dρ dφ π ⌠
⌡ e ρ dρ
=
ρ -ρ0
δ
ρ0
2π
ac
0
ρ - ρ0
δ
ρ0
= 2
0
0
ρ - ρ0
δ
= 2π [ ( ρ - δ ) δ e
문제 5-37 (a)
σ
ωε
tan θ =
σ
=
ωεr ε0
4
×
×
π
(b)
θ
이므로 매질은 도체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쇠상수 α 와 위상상 수 β 는
모두 식(5.80)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ωμσ
π×
π×
α
π Np m
tan
=
7
( 2π 10 )⋅18⋅(
1
36
10
-9
)
2
7
(2
=
7
10 )⋅4⋅( 4
2
10 )
=4
/
π
j
=
4
σ
7
(2
=
10 )⋅( 4
4
10
-7
j
)
π
4
=
j
2
(
)
1
=
j
2πe
=
(e) δ =
3 2
π
e
1
πfμσ
π
[
- 4π z
6
j ( 2π
7
10 t - 4 π z )
]
4
- 4π z
=
e
j ( 2π
×
7
10 t - 4 π z -
1
ω )
π(
μσ
2π
=
π
4
)
ŷ A/m
2
ωμσ
=
=
(f)
식(5.85)로부터 다음을 구할 수 있다.
≫
L
R ac =
4
=
1
0
π
전계의 전파방향 n̂ ẑ 이다. 따라서 전계, 전파방향, 고유 임피던스를 알 경우 자계는
같이 구할 수 있다.
H η n̂ × E
ẑ × e e ×
x̂
(d)
그런데 ρ δ 인 경우에는 e
같이 근사화 할 수 있다.
ρ0
δ
≃0
-
ρ0
δ
ρ0
δ
]
]
으로 근사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단면적 S 는 다음과
ac
따라서 교류시의 저항은 다음과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체인 경우이므로 식(5.81b)로부터 고유 임피던스 η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ωμ e
π×
π×
e
η
πe
Ω
=
2
= 2π [ ( ρ 0 - δ ) δ + δ e
-
S ac ≃ 2 π ( ρ 0 - δ ) δ ≃ 2 π ρ 0 δ
β = α = 4π r ad/m
(c)
2
= 2π [ ( ρ 0 - δ ) δ - ( - δ ) e
= 400
= 400 ≫1
=
ρ
] 00
다음과
σ S ac
L
=
2π ρ 0 δ σ
×
π r ad m
×
ẑ 이고, 자유공간이어서 η
(b) 이 경우 자계의 진행방향 n̂
음과 같다.
π Ω 이므로 전계는 다
E η H× n̂
t
π
π×
π z x̂ × ẑ
t
π
π×
π z ŷ V m
E× H
(c) P
t
t
π
π×
π z ŷ ×
π×
π z x̂
t
π
π×
π z ẑ W m
π
× 을 갖는 시간함수이 다. 따
(d) 앞의 (c)에서 구한 Poynting 벡터는 주기 T
π×
라서 평균전력밀도 P 는 식(5.97)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E× H | dt
P
T ⌡
문제 5-39 (a) β =
ω
v0
6π 10
=
3 10
8
8
=2
/
=
=
(
) = 120
= 120
[ 0.5 cos (6
= - 60
cos (6
10
10
8
8
-2
-2
)
]
)
/
=
×
2
7
×
( 2π 10 )⋅( 4π 10
1
4π
m
-7
)⋅4
= [ - 60
cos (6
10
= 30
2
8
cos (6
10
8
-2
-2
)
)
] [ 0.5 cos (6
/
a
a
=
T
0
8
-2
)
2
=
1
10
2
6
10
8
=
1
3
10
-8
]
97#
연습문제
=
×
⌠
⌡
1
3
1
×
1
3
10
-8
1
3
9
10
1
×
t+
9
×
9
12π 10
8
10
8
×
문제 6-1
8
cos ( 12π 10 t - 4 π z )
1
3
0
∣
2
×
10
-8
인 경계면상의 법선방향을 ẑ 라고 하면 면전류밀도 K 는 다음과 같다.
K n̂ × H 2 H 1
z=0
=
-8
=
2
×
×
=
v0
2
3 10
9
3 10
8
이므로
= 10 r ad/ m
2
문제 6-2
z=0
10 - ( - 6) = 8 r ad/ m
ρs=
H = η1 ( n̂ × E )
(a)
ŷ + 0.8 ẑ )× 60 cos (3×10 t + 6y - 8 z ) x̂ ]
1
[ ( - 0.6
120 π
7
ẑ ⋅( 361π ×10
r2
×
9
18
×
2
2
9
π ×
앞의 (a)에서 구한 Poynting 벡터는 주기 T ×π
라서 평균전력밀도 P 는 식(5.97)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E× H | dt
P
T ⌡
=
(b)
2
3 10
9
=
ẑ⋅( 361π ×10
9
ŷ + π cos ( 3 ×10 t+ 6y - 8z ) ẑ W/m
cos ( 3 10 t + 6 y - 8 z )
π
0.3
24
-9
z=0
×
8
) [ 15 cos ( 3 10 t - 2π z )
×
x̂ ]× [ ( π ŷ + π ẑ ) cos (3×10 t+ 6y - 8z )]
9
r1
8
- 3 ⋅15 cos ( 3 10 t + 4 π z )
= -
= [ 60 cos (3 10 t + 6y - 8 z )
z=0
= -
9
0.4
s
ẑ ⋅ε ( ε E 2 - ε E 1 )∣
0
2
3
10
-9
=
100
36 π
=
25
9π
2
을 갖는 시간함수이
다. 따
×
10
-9
-9
×
×
8
8
cos ( 3 10 t) nC/m
C/ m
ŷ - 25 cos ( 3 ×10 t- 2π z ) ẑ
8
ŷ - 3 ⋅25 cos ( 3 ×10 t+ 4π z ) ẑ ]
8
) [ - 30 cos ( 3 10 t)
cos ( 3 10 t)
×
z=0
ẑ 라고 하면 면전하밀도 ρ 는 다음과 같다.
-
= -
9
P = E× H
7
x̂ A/m
7
n̂ ⋅( D 2 - D 1 )∣
ŷ + 0.3
ẑ ) cos (3×10 t + 6y - 8 z ) A/m
π
π
= -
ẑ × [ - 8 cos ( 2π ×10 t + 4 z ) ŷ - 4 cos ( 2π ×10 t- 8 z ) ŷ ]
인 경계면상의 법선방향을
2
이다. 그리고 전계의 전파방향 n̂ = kk = - 0.6 ŷ + 0.8 ẑ 이므로 자계는 다음과 같다.
0.4
)∣ z = 0
×
ω
=
k - βy =
= (
-
= 12 cos ( 2π 10 t)
2
이 경우 전파상수 k
=
(
2
= 15π W/m
βz =
×
1
3
= 9 π 10 ⋅
제 6 장 연습문제 풀이
8
1 + cos 2( 6 π 10 t - 2 π z )
dt
2
= 9π 10 ⋅
문제 5-40
×
-8
0
×
2
30 π cos ( 6 π 10 t - 2 π z ) dt
0
×
× ⌠
⌡
= 9 π 10
×
-8
10
8
z=0
ŷ - 100 cos ( 3 ×10 t) ẑ ]
8
2
2
a
a
=
=
T
1
0
1
2π
3
×
10
3 10
2π
×
9
=
×
9
=
3 10
2π
=
15
π
×
⌠
⌡
2π
3
-9
W/ m
(-
0
×
⌠
π ⌡
2π
3
30
1
2π
⋅(
2
3
30
⋅
⋅
10
-9
0
π
2
⋅[
10
18
π
2
) +(
-9
2
24
π
)
2
2
×
10
-9
(a) β 1 = ω ε 1 μ 1 =
2
=
2
2
ω
v0
=
0
ε r1μ r1 =
r2
r2
=
3π 10
3 10
8
10
8
3
3 10
8
8
< 0
×
9
cos ( 3 10 t + 6 y - 8 z ) dt
×
9
cos ( 3 10 t + 6 y - 8 z ) dt
×
×
ω
π×
β
ω ε μ
ε μ
v
×
(b) z
인 영역의 평면파의 진행방향 k̂
로 당연히 전계 성분의 방향은 ê ĥ× k̂ x̂× ẑ
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문제 6-3
)]
=
E 1y = η 1 H 1x = η 0
=
(-
μr1
H 1x = 120 π⋅
εr1
그리고 서로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 z
로 이를 이용하면
E 2y = E 1y = 4.8 π
25⋅1 = 5π r ad/ m
1⋅100 = 10π r ad/ m
ẑ 이고, 자계 성분의 방향 ĥ = x̂ 이므
ŷ 이다. 따라서 ŷ 방향
의 전계
= )=
1
⋅0.2 = 4.8π
25
= 0
상에서는 전계의 접선성분은 연속이어야 하므
연습문제
99#
를 구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z 영역의 평면파의 진행방향 k̂ ẑ 이고, 전계 성분의
방향 ê ŷ 이므로 당연히 자계 성분의 방향은 ĥ k̂× ê ẑ× ŷ x̂ 이다.
따라서
x̂ 방향의 전계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음의 값으로 주어진다.
ε
H
E
E
×
π
η
η
μ
π
(c) 경계면 z
상에 있는 면전류밀도는 경계조건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K n̂ × H 2 H 1
> 0
=
=
2x
1
= -
2y
2
= -
1
r2
0
r2
K = n̂ × ( H 2 - H 1 )∣
=
=
1
= 2y
120
= -
1
⋅4.8
100
⋅
= - 4 10
=
ẑ× [ 13 cos ( 6π×10 t- 0.2π z ) ŷ - ( - 3) cos ( 6π×10 t- 0.2π z ) ŷ ]
7
-3
= -
=0
=
=
(
-
)∣ z = 0
ẑ × [ - 0.004 cos ( 3π ×10 t - 10π z ) x̂ - 0.2 cos ( 3π ×10 t + 5π z ) x̂ ]
8
×
8
= - 0.204 cos ( 3 π 10 t )
문제 6-4 (a) β 1 = ω ε μ =
ω
8
×
×
3 10
ε r = 0.2π ε r
문제 6-6
1.8 π 2
) = 81
0.2 π
×
π r ad m
v
×
인 영역의 평면파는 전파방향 k̂
6 π 10
3 10
0
Γ=
7
8
= 0.2
/
= -
η1 =
1
εr
η0 =
1
1
40π
120π =
81
3
=
1
3
40
(-
10
7
cos ( 6
+ 1.8
10
7
+ 1.8
)
)
]
문제 6-7
/
를 구하게 된다. 따라서 z 인 영역의 전계 E 2 는 나타낼 수 있다.
E2 π
π× t
π z x̂ V m
k̂ ẑ 이
(e) z
인 영역은 자유공간이므로 η η
π Ω 이고, 평면파의 전파방향
므로 자계 H 2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2 η k̂× E 2
ẑ × π
π× t
π z x̂
π
- 0.2
)
> 0
=
1
=
2
= 0
[ 40
0
= 120
cos ( 6
10
7
- 0.2
1
3
7
cos ( 6π 10 t - 0.2π z )
/
μ r2
ε r2
μ r2
+
ε r2
μ r1
εr1
μ r1
εr1
1
=
εr
1
εr
인 경우 반사계수는 식(6.14a)로부터
-1
< 0
+1
)
]
| = - 0.5
r
식(6.14b)로부터 투과계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S=
=
×
ŷ A m
상에 있는 면전류밀도 K 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경계면 z
1
120
=
μ r1 = 1 , ε r2 = ε r , μ r2 = 1
= 1,
2
2η2
η2 + η1
=
=
/
2
r1
μr2
ε r2
μ r2
+
ε r2
이 경우 반사계수 Γ T
파비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0
7
= 0.6
1 + 0.6
1.6
=
=4
1 - 0.6
0.4
η2 - η1
=
η2+ η1
T=
E 2x = E 1x = 40 π
10
16+ 1
1-Γ 2
1 + 0.5 2
) = (
) = 9
εr = (
1+Γ
1 - 0.5
= 0
cos ( 6
16- 1
S-1
3-1
=
= 0.5
S+1
3+1
= -|
Ω
) [ 40
= - 3 cos ( 6
= 40
=
의 관계가 있다. 그런데 매질-2가 무손실 유전체이고 매질-1이 공기이므로 반사계수 Γ 는 음수값을 갖게
되어 Γ
Γ
임을 안다. 따라서 상대유전상수 ε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ẑ , 고유 임피던스는
이므로 자계 H 1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1 η k̂× E 1
ẑ × π
π× t
π z x̂
π
π× t
π z ŷ A m
(d) 서로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 z
상에서는 전계의 접선성분은 연속이어야 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
μr1
ε r1
μr1
ε r1
식(6.19)로부터
이다. 그런데 ε
r
=
x̂ A/m
7
8
따라서 무손실 비자성체의 상대유전상수 ε 은 다음과 같다.
(c) z < 0
1+|Γ |
=
1-|Γ |
|Γ | =
ω
7
μ r2
ε r2
μ r2
+
ε r2
η2 - η1
=
η2+ η1
S=
1.8 π
(b) β 2 =
×
cos ( 6π 10 t )
z= 0
그리고 식(6.18)로부터 정재파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εr = (
10
3
7
식(6.14a)로부터 반사계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Γ=
z=0
ŷ A/m
6π 10
εr =
v0
문제 6-5
z= 0
문제 6-8
1+|Γ |
=
1-|Γ |
9
1
2
μ r1
ε r1
=
9
+
1
- 1 = 1.8 - 1 = 0.8
1
9
=
6
3+
1
3
= 1.8
이므로, 이를 식(6.18)에 대입하면 정재
1 + 0.8
1.8
=
=9
1 - 0.8
0.2
식(6.19)로부터
|Γ | =
S-1
5-1
2
=
=
S+1
5+1
3
이다. 그런데 ε
r1
= 1,
μ r1 = 4 , ε r2 = ε r , μ r2 = 1
인 경우 반사계수는 식(6.14a)로부터
101#
연습문제
Γ=
μ r2
ε r2
μ r2
+
ε r2
η2 - η1
=
η2+ η1
μ r1
εr1
μr1
ε r1
1
εr
=
1
εr
4
1
-
1
=
4
1
+
-2
εr
1
|= -
εr = [
문제 6-9
2
3
r
1
tan θ 1 =
tan θ 2 =
1
=
j
4
×
2
7
2π⋅( 9 10 )⋅5⋅(
σ2
=
2π f ε r 2 ε 0
=
2
r1
1
36π
×
4
7
2 π⋅( 9 10 )⋅1⋅(
π
j
0
4
σ1
ω μ 2 j π4
e
=
σ2
2π f μ r 2 μ 0
σ2
×
10
-9
)
1
36π
×
10
-9
= 800 ≫ 1
ωμ2
e
σ2
그리고 Γ
)
7
4
Γ=
18π e
18π e
j
π
4
π
j
4
- 6π e
+ 6π e
j
-7
j
×
7
-7
)
π
4
Ω
문제 6-10
1+|Γ |
=
1-|Γ |
σ1
=
ωε1
4
문제 6-11
σ1
=
=
σ2
2⋅6π e
=
η2+ η1
j
6π e
e
j
e
j
π
4
π
4
j
= 0.5
4
×
10
-9
= 80 ≫ 1
)
7
=
π
4
2 ⋅( 9 10 )⋅18⋅ ( 4
4
=
j
4
1+|Γ |
=
1-|Γ |
10
4
×
4
1
2 π⋅( 9 10 )⋅1⋅(
36π
j
+ 18 π e
×
×
7
-7
4
π
4
Ω
4
이므로 식(6.18)로부터 정재파비를 구하면 다음 과 같다.
1 + 0.5
=3
1 - 0.5
= 0
=
=
0
1
9 10
9
3 10
8
=
= 30
/
1
120
[ 24
sin ( 9 10
=
0
= 120
2
η2 - η1
=
η2+ η1
r2
=
0
r2
=
9
9
- 30 )
- 30 )
/
2
⋅120
18
= 40
]
40π - 120π
= - 0.5
40π + 120π
반사파의 전파방향은
- ẑ 이고, η = η = 120π Ω 이므로 다음을 구할 수 있다.
E r = Γ⋅E sin ( 9×10 t+ 30 z ) x̂ = - 0.5 ⋅24π sin ( 9×10 t+ 30 z ) x̂
= - 12π sin ( 9×10 t + 30 z ) x̂ V/m
H r = - Eη sin ( 9×10 t+ 30 z ) ŷ = - ( -12012ππ ) sin ( 9×10 t+ 30 z ) ŷ
1
0
9
i
9
)
j
π
9
10
e
1
1
(c)
×
)
= 0.5
π
< 0
Γ=
= 800 ≫ 1
4
공기로 채워진 영역 z 에 있는 평면파가 z 인 경계면에 수직입사하므로 평면파의 전파방
향 k̂ ẑ 이다. 따라서 ẑ 방향의 파수 β 은 양수로 다음과 같다.
×
ω
r ad m
β
v
×
그리고 입사파의 자계 H i 는 다음과 같다.
H i η k̂× E i
ẑ × π
× t z x̂
π
× t z ŷ A m
μ
(b) η
η
π
π Ω 이므로
η
π Ω, η
ε
1
-9
π
Ω
T = 1 + Γ = 1 - 0.5 = 0.5
7
j
)
π
2 π⋅ ( 9 10 )⋅1⋅ ( 4 π 10
2
j
-7
4
π
= 0.2 sin ( 9 10
4
1
36π
π
= T - 1 = 0.5 - 1 = - 0.5
(a)
1 + 0.5
=3
1 - 0.5
2π f ε r 1 ε 0
4
2π f μ r 2 μ 0
0
식(5.79)에 주어진 손실 탄젠트를 두 영역에 대해 적용하면
tan θ 1 =
π
j
2η2
=
π
π
j
S=
π
Ω
2 π⋅( 9 10 )⋅18⋅ ( 4 π 10
4
=
j
)
그리고 식(6.18)로부터 정재파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S=
j
0
=
4
식(6.14a)로부터 반사계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η2 - η1
=
η2+ η1
10
π
×
π
j
e
j
= 18 π e
(b)
r1
σ1
그러므로 식(6.14b)로부터 투과계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80 ≫ 1
2 ⋅ ( 9 10 )⋅1⋅ ( 4
2
=
= 6π e
η2 =
2
=
= 6π e
σ1
=
2π f ε r 1 ε 0
π
σ1
4
σ1
η2 =
로서, 두 매질 모두 도체라고 간주할 수 있다.
(a) 두 매질 모두 도체로 볼 수 있으므로 식(5.81b)로부터 고유 임피던스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ωμ
πfμ μ
×
π
π×
e
e
e
η
1
π
j
1
=
T=
σ2
=
ωε2
2
7
2π⋅( 9 10 )⋅5⋅(
= 18 π e
식(5.79)에 주어진 손실 탄젠트를 두 영역에 대해 적용하면
σ1
=
ωε1
×
=
로서, 두 매질 모두 도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식(5.81b)로부터 고유 임피던스를 구하면 다음과 같
다.
ωμ
πfμ μ
×
π
π×
e
e
e
η
2
1 - ()
1-Γ 2
1
3
1
2
] =
⋅[
] =
⋅25 = 6.25
1+Γ
4
2
4
1 + ()
3
1
2
σ2
2π f ε r 2 ε 0
+2
εr
의 관계가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두 매질이 모두 무손실이지만 반사계수는 음수를 갖는다. 따 라서
Γ
Γ
임을 안다. 위의 식으로부터 상대유전상수 ε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σ2
=
ωε2
tan θ 2 =
< 0
r0
1
9
9
×
9
= 0.1 sin ( 9 10 t + 30 z )
ŷ A/m
103#
연습문제
(d)
투과파의 전파방향은 ẑ 이고, η π Ω 이며, 파수는
×
ω
r ad m
β
ε μ
v
×
이다. 따라서 투과파의 전계 E t 와 자계 H t 는 다음과 같다.
Et T E
× t z x̂
× t z x̂
π
× t z x̂ V m
π
E
π
Ht η
× t z ŷ
× t z ŷ
π
× t z ŷ A m
2
=
2
2r
0
=
⋅
i
2r
=
sin ( 9 10
9 10
9
3 10
8
9
⋅
18⋅2 = 180
/
- 180 )
= 0.5⋅24
sin ( 9 10
= 12
t0
=
sin ( 9 10
9
이다. 따라서 반사계수는 식(6.14a)로부터 Γ ηη ηη 이므로 음수인 Γ
이
며, 투과계수 T
이다. 또한 영역-2의 고유 임피던스는 식(6.14a)로부터 다음
Γ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40
sin ( 9 10
12
=
40
- 180 )
2
- 180 )
9
- 180
9
)
=
=
2 ⋅( 9 10 )
3 10
0
= 0.05
- j 6π z
=
0
/
(
1
=
0
8
입사파의 전력밀도는 η
= η0
Pi =
/
=6
- j 6π z
]
= -6
j 6π z
i
ŷ = 6π e
j 6π z
< 0
= - 0.6
η0 =
1 - 0.6
1
⋅η 0 =
η0
1 + 0.6
4
인 경우로
1
1 Ei
2
E i Hi =
= 5 W/m
2
2 η0
t
2
/
- j 6π z
1
1
이라고 하였으므로 유전체로 투과된 평면파의 전력밀도 P 는 다음과 같다.
Pt =
/
문제 6-14
1 Et
1
=
2 η2
2
입사파의 전력밀도는 η
(T Ei)
2
= 4T
1
η0
4
= η0
1
2
2
1 Ei
2
2
2
= 4T P i = 4⋅0.4 ⋅5 = 3.2 W/ m
2 η0
이므로 다음과 같다.
2
= -1
E r = ( Γ ⋅E ) e
1
= 120
) = 120 ⋅[ 0.05
-
+
2
×
π
π r ad m 이어서 자
영역의 입사파는 공기중으로 β vω
계는
×
Hi
e
x̂ A m 이다. η η
π Ω 이고, 전파방향이 ẑ 이므로 입
사전계는
E i η H i× ẑ
e
x̂ × ẑ
ŷ V m
π
πe
이다. 그리고 완전도체에서 반사된 전계는 입사전계에 비해 전파방향이 반대이고, 크기에
반사계수 Γ
을 곱하면 되므로
(a) z < 0
1+Γ
1-Γ
2
2
= 1 - 0.6 = 0.4
1+Γ
1-Γ
8
문제 6-12
=
η1 =
η2 =
/
- 180 )
η0
εr
=1+
- 180 )
9
sin ( 9 10
= 0.3 sin ( 9 10
9
η2 =
Pi =
ŷ V/m
1
1 Ei
E i Hi =
2
2 η0
= 10 W/m
1+Γ
1-Γ
η0
2
그리고 반사계수를 Γ 라고 하면 (6.14a)로부터 무손실 유전체의 고유 임피던스와 투과계수는
이다. 따라서 z 영역의 전체 전계에 대한 페이저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 0
E 1 = E i + E r = - 6π e
(b) z < 0
ŷ + 6π e
jωt
] = Re [
E 1e
j 2π f t
ŷ = j 12π sin ( 6π z ) x̂ V/m
] = Re [ j 12 π sin ( 6 π z )
E 1 | = | j12π sin ( 6π z ) x̂ | = 12π | sin ( 6π z ) | V/m
sin 6
max
=
j 2π ⋅ ( 9
×
이다. 따라서 전체 전계의 절대값이 최대가 되는 지점 z
±
πz
= z max < 0
η2 =
8
×
8
10 ) t
T=1+Γ
t
x̂ V/m
2
Pt =
은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1
-(n +
)π
2
n
1
= 6π
6
12
= 0 , 1 , 2, ⋯
max
= 0
=
1
12
이다. 특히 경계면인
(b)
=
1-
식(6.14a)로부터
2
2
T Ei
1
2
η2
Pt
Pi
= -
1
Γ=
m
S-1
=
S+1
η2
2
Γ= -
=
1
2
2
4-1
= 0.6
4+1
그런데 영역-1은 자유공간으로 η
1
= η0,
문제 6-15
영역-2는 무손실 유전체이므로 상대유전상수 ε 일 경우
r
2
( 1 + Γ) E i
1+Γ
1-Γ
η2 - η1
=
η2 + η1
εr
1
εr
1-
2
= (1-Γ )
η0
3.6
= - 0.64 = - 0.8
10
-1
= - 0.8
+1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상대유전상수 ε
식(6.18)로부터 반사계수의 크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Γ | =
1 Et
1
2
2
Ei
η0
2
= ( 1 - Γ ) Pi
(a) 자유공간에서 무손실 유전체에 입사하는 평면파의 반사계수는 음수이므로 위의 관계식으
로부터 반사계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0
z= -
1+Γ
1-Γ
η1 =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무손실 유전체로 투과된 평면파의 전력밀도 P 는 다음과 같다.
]
1
따라서 n
일 경우 z
z
에 가장 가까운 위치는 n 인 경우로 다음과 같다.
문제 6-13
x̂⋅e
= - 12π sin ( 6π z ) sin ( 18π 10 t)
전체 전계의 절대값은
|
j 6π z
영역의 전체 전계에 대해 시간을 포함한 실제 측정가능한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E 1 = Re [ E 1 e
(c)
- j 6π z
r
= 81
이다.
식(6.29)을 자유공간에 적용하면 다음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2
2
2
2
2
2
2
2
2
k = kx + ky + kz = ( 3 π ) + ( - 4π ) + kz = 25 π + kz
∥
105#
연습문제
ω 2 ε μ = ( 2π f ) 2 ε 0 μ 0 = 4π 2f 2
4π
9
(a) kz =
×
2
10
- 16
2
1
2
0
v
4π
×
=
f - 25 π =
×
2
8
10
f =
2
×
2
- 16
f
+
2
2
⋅ ( 1.95 10 ) - 25 π
(c) kz =
문제 6-16
4π
9
2
4π
9
2
×
×
- 16
10
- 16
×
10
∞
8
2
2
2
×
8
2
2
2
⋅ ( 6 10 ) - 25 π =
2
25 π - 25π
16 π - 25 π
2
2
2
2
2
2
2
=
2
2
2
20π + kz
(a) f =
4π
9
2
×
10
3
=
2π
- 16
1
2
0
v
×
10
8
4π
×
=
2
( 3 10 )
20 π
2
4π
9
2
8
2
f =
2
×
10
- 16
f
ω
=
2π f
=
v0
+
3
+ kz =
2π
×
3
=
2π
×
10
8
2
×
×
π
(b)
(c)
3
f=
2
10
8
10
8
2
×
2
20π + ( 4 π )
2
1
1
j ky - 2 π
20π
3
+ ( - j 2π ) =
2π
2
v0
×
(c)
x
×
3 10
8
= 10π r ad/m
10
(
x
,
y
)=
=
∞
-∞
-∞
∞
∞
따라서 k
2
2
×
-∞
= 60 [
-∞
⌠
⌡ ⌠
⌡ e
0
0
-∞
-∞
3π x + 2π y
+
20 π - 4π = 6 10 = 600 MHz
0
∞
0
0
-∞
= 60 [
⌠
⌡ ⌠
⌡ e
0
0
-∞
-∞
- 3 π x + 2π y
- j ( 6 π y + 8π z )
( j ky + 2 π ) y
e
e
e
( j kx + 3π ) x
0
2
2
x̂ V/m
일 경우 식(6.24a)를 이용하여 각도 스펙트럼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H1 k k ⌠
dx dy
⌡ ⌠
⌡ H1 x y e
⌠
x̂ e
dx dy
⌡ ⌠
⌡ e
x
,
y
)=
∞
∞
-∞
-∞
∞
∞
-∞
-∞
= 2[
0
0
-∞
-∞
e
dx dy ]
e
∞
-∞
0
0
0
-∞
-∞
∞
x̂
+
π x - 4π y
j kxx + j kyy
e
∞
-∞
0
∞
0
0
e
- π x - 4π y
⌠
⌡ ⌠
⌡e
⌠
⌡ ⌠
⌡ e
0
+
e
0
( j kx + π ) x
-∞
j k xx + j kyy
- π x + 4π y
-∞
0
dx dy
0
⌠
⌡ ⌠
⌡e
⌠
⌡ ⌠
⌡ e
0
j kxx + j kyy
⌠
⌡ ⌠
⌡e
⌠
⌡ ⌠
⌡ e
∞
+
dx dy
j k xx + j kyy
dx dy
π x + 4π y
0
+
dx dy
j kxx + j kyy
- π | x | - 4π | y |
2
∞
j k xx + j kyy
j kxx + j k yy
j kxx + j kyy
( , )
⌠
⌡ ⌠
⌡ e
= 60 [
3π x - 2 π y
2
인 전계 성분을 페이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 0, ky = 6 π
+
- 3π x - 2π y
0
2
dx dy
⌠
⌡ ⌠
⌡e
∞
2
j kxx + j kyy
j kxx + j kyy
∞
-∞
∞
+
e
⌠
⌡ ⌠
⌡e
⌠
⌡ ⌠
⌡ e
0
+
z=0
(
8
j kxx + j kyy
- 3π | x | - 2π | y |
60
x
=
( , )
2
10 ⋅6π
일 경우 식(6.24a)를 이용하여 각도 스펙트럼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E1 k k ⌠
dx dy
⌡ ⌠
⌡ E1 x y e
⌠
x̂ e
dx dy
⌡ ⌠
⌡ e
∞
2
( 10 π ) - 0 - ( 6π ) = 8 π r ad/m
y
2
문제 6-18
×
2
x̂
9
2π⋅( 1.5 10 )
=
π
E 1 ( k = 0, k = 6π ) = ( 0 + 9π1440
x̂ = π4 x̂ V/m
) ( 36π + 4π )
E = π4 e
8
8
2
]
x̂
8
20 π + ( 5 π ) = 7.5 10 = 750 MHz
2
2
k - kx - ky =
x̂
j kx - 3 π
2
(b)
2
2
kz =
2
= 900 MHz
3
f=
2π
z=0
0
1
j ky + 2 π
z
ω 2 ε μ = ( 2π f ) 2 ε 0 μ 0 = 4π 2f 2
문제 6-17
2
( kx + 9 π ) ( ky + 4 π )
=
dx dy ]
x̂
2
2
]
dx dy
1
1
2
( j ky - 2 π ) y
dx dy
j kx - 3 π
j ky - 2 π
2
( j k y - 2 π )y
e
e
1
ky + 4 π
2
(a)
∥
2
1440 π
자유공간에서는 k k
라서 k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
k = kx + ky + kz = ( - 4 π ) + ( 2π ) + kz = 20 π + kz
-
4π
2
kx + 9 π
2
( j kx - 3π ) x
j k x + 3π
6π
= 60 [
식(6.29)을 자유공간에 적용하면 다음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2
1
j ky + 2 π
-
( j kx + 3 π ) x
0
1
= 0 r ad/ m
= - j 3π r ad/m
∞
0
j kx + 3 π
= 60 [
⋅( 7.5 10 ) - 25 π =
0
( j ky + 2 π )y
e
-∞
⌠
⌡ ⌠
⌡e
2
( j kx - 3 π ) x
0
0
2
+
2
∞
-∞
∞
9
= 12π r ad/m
(b) kz =
⌠
⌡ ⌠
⌡e
⌠
⌡ ⌠
⌡ e
0
10
+
×
- 16
169 π - 25 π
=
4π
9
2
( 3 10 )
4π
9
2
2
( j ky + 4 π ) y
( j kx - π ) x
dx dy
j k xx + j kyy
e
dx dy
dx dy ]
x̂
dx dy
e
( j kx + π ) x
e
( j k y + 4 π )y
( j ky - 4 π ) y
dx dy
dx dy
이다.
따
107#
연습문제
⌠
⌡ ⌠
⌡e
∞
+
= 60 [
1
1
j k y + 4π
k=
(a)
2
2
ky + 16 π
2
2
2
2
2
2
2
×
×
3 10
(b) +
1
+
j k y - 4π
1
j kx - π
1
]
j ky - 4 π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전계는 k = k = 0 , k = - k 인 경우에 해당된다.
그런데 k > 0 이라고 하였으므로 이 경우의 전계 성분 E - = 0 V/m 이다.
(d) -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자계 성분도 당연히 H - = 0 A/m 이다.
(c) -
x̂
8
2⋅1 = 4 2 π r ad/m
이다.
따라서
문제 6-20
kz
2
2
2
(c)
y
따라서 k
2
x = 0, k y = 4
H= π e
1
2
2
2
x,
y ,0 ) =
2
2
∞
∞
-∞
-∞
∞
∞
-∞
-∞
= 2.5π [
인 자계 성분을 페이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π
- j ( 4π y + 4 π z )
일 경우 식(6.24a)를 이용하여 각도 스펙트럼을 앞의 문제 6-1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하면 다음
과 같다.
⌠
Ek k
dx dy
⌡ ⌠
⌡ Exy e
⌠
x̂ e
dx dy
⌡ ⌠
⌡ e
=
(
x
,
y
,0) =
=
∞
-∞
-∞
∞
∞
-∞
-∞
= 12 [
j kxx + j kyy
( , , 0)
1
1
j kx + 0.5
j ky + 0.4
1
1
j kx - 0.5
j ky + 0.4
1
1
j ky - 0.4
0.8
kx + 0.5
-
j kx + 0.5
1
2
j kxx + j kyy
- 0.5 | x | - 0.4 | y |
12
-
= 12 [
2
2
ky + 0.4
2
]
+
1
1
j kx - 0.5
j ky - 0.4
]
x̂
(a)
3
2
2
2
x
= k0 =
v0
=
v0
=
=
×
8
×
3 10
8
= π r ad/m
이다.
x
y
z
- j πz
- j kz
y
2
= 240 e
- j πz
2
2
x̂ V/m
2
2
ω
=
2π f
v0
H 1 = H ( k = 6π , k = 0, 0) e
x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전계는 k = k = 0 , k = k 인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전계 성분 E + 는 다음과 같다.
E + = E ( k = 0, k = 0 , 0) e = ( 0 + 0.5 9.6
x̂ e
) ( 0 + 0.4 )
(a) +
x
2
]
2
1
1
j kx - 2 π
j ky - 3 π
]
=
ŷ
×
9
2π⋅( 1.5 10 )
×
=
3 10
8
= 10π r ad/m
이다.
- j ( 6π x + 8π z )
y
60 π
2
3
2
2
2
( 36 π + 4 π ) ( 0 + 9 π )
1
- j ( 6π x + 8 π z )
e
6π
ŷ e
- j ( 6π x + 8π z )
ŷ A/m
x̂ + 4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전계 E 1 는 자유공간이므로 다음과 같다.
E 1 = η [ H 1× ˆ
k1 ] = 120π⋅[ 61π e
ŷ × 3 x̂ +5 4 ẑ ]
= 16 e
x̂ - 12e
ẑ V/m
(c) 3 x̂ - 4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파수벡터는
k2 = k ˆ
k2 = 10π 3 x̂ - 4 ẑ = 6π x̂ - 8π ẑ r ad/m
(b)
ŷ
ŷ
따라서 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자계 H 1 은 다음과 같다.
x̂
2π⋅( 1.5 10 )
2
k y + 9π
+
k1 = 3 x̂ +5 4 ẑ 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파수벡터는 다음과 같다.
x̂ + 4 ẑ 방향, 즉 ˆ
2
2π f
1
3
v0
1
j ky + 3 π
j k y - 3π
6π
2
1
j kx - 2 π
1
2
y
ω
-
j kx + 2 π
4π
2
kx + 4 π
= k0 =
j kxx + j kyy
k1 = k ˆ
k1 = 10π 3 x̂ +5 4 ẑ = 6π x̂ + 8π ẑ r ad/m
x̂
( k + 0.5 ) ( k + 0.4 )
그리고 자유공간에서는 k
1
j k y + 3π
( kx + 4 π ) ( ky + 9 π )
그리고 자유공간이므로 k
9.6
=
1
j kx + 2 π
60 π
2
j kxx + j kyy
- 2π | x | - 3π | y |
-
z=0
∞
( , ,0)
2.5
x̂ A/m
= 2.5 π [
문제 6-19
z
일 경우 식(6.24a)를 이용하여 각도 스펙트럼을 앞의 문제 6-18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하면 다음
과 같다.
⌠
Hk k
dx dy
⌡ ⌠
⌡ Hxy e
⌠
ŷ e
dx dy
⌡ ⌠
⌡ πe
=
H 1 ( k = 0, k = 4π ) = (0 + π ) 32( 16ππ + 16π ) x̂ = π1 x̂ A/m
x
y
z=0
(
2
(b)
x
z
( 4 2 π ) - 0 - ( 4 π ) = 4π r ad/ m
k - kx - ky =
- j πz
0
x̂
8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자계 성분 H + 는 자유공간이므로 다음과 같다.
H + = η1 ( ẑ× E + ) = 1201 π ( ẑ×240 e x̂ ) = π2 e ŷ A/m
- j πz
1
j ky + 4 π
2π⋅( 6 10 )
εr μr =
v0
x̂
dx dy ]
x̂
2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kz =
2
( j ky - 4π )y
1
]
( kx + π ) ( ky + 16 π )
2π f
=
v
2
32 π
=
ω
8π
e
j kx - π
-
1
j kx + π
2π
kx + π
( j kx - π ) x
0
j kx + π
-
= 2[
∞
0
3
- j ( 6π x + 8π z )
0
- j ( 6π x + 8π z )
5
- j ( 6π x + 8π z )
연습문제
109#
파이다.
이다. 따라서 이 방향으로 전파되는 자계 H 2 는 다음과 같다.
H 2 = H ( k = 6π , k = 0, 0) e
x
(d)
3
- j ( 6π x - 8π z )
y
=
ŷ e
( 36 π + 4 π ) ( 0 + 9 π )
=
1
- j ( 6π x - 8 π z )
e
6π
60 π
2
3
2
2
E 1 = 50 e
문제 6-23 (a)
- j ( 6π x - 8π z )
2
- j ( 4 y + 3 z)
e
평면파-2 의 전계는 당연히 E x y z
μ
다. 이때 통과하는 매질의 고유 임피던스는 η ε η
( , , ) = 60
(b)
ŷ A/m
x̂ - 4 ẑ 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파의 전계 E 2 는 자유공간이므로 다음과 같다.
E 2 = η [ H 2× ˆ
k2 ] = 120π⋅[ 61π e
ŷ × 3 x̂ -5 4 ẑ ]
= - 16 e
x̂ - 12e
ẑ V/m
- j ( 6π x - 8π z )
- j ( 6π x - 8π z )
r
방향은 k̂
4
=
ŷ = e
- j 5z
= je
- j 5z
-j 5z
x̂ + 3 ŷ ] + e
[ 3 x̂ - j 3 ŷ ] - j e
- j 5z
[j 3
2
4 +3
E r ight = e
(b)
E ( z) = - 4 e
-j 5z
- j 5z
[j 3
x̂ + 3 ŷ ]
[ 3 x̂ + j 3 ŷ ]
x̂ + 3 ŷ ]
x̂ = e
- j 5z
1
20 π
= -e
x̂ + j 2 ŷ ] + e
[ 2 x̂ - j 2 ŷ ] - e
[-2
- j 5z
- j 5z
따라서 이 경우 오른손 원형편파는 다음과 같다.
E right = e
(c) E ( z ) = 4 e
x̂ + j 2 ŷ ]
x̂ - 6 e ŷ = e
- j 5z
- j 5z
=e
(d)
E ( z) = - 4 e
k̂ =
- j 5z
[ (2
+e
- j 5z
-2
x̂ + ẑ
2
( - 2) +1
이고,
전파
=
-2
5
ŷ - 80 e
- j ( 4 y + 3 z)
ẑ )]
ŷ A/m 이다. 여기서 자유공간이며, 전파
j ( 2x - z )
방향은
x̂ + 15 ẑ 이므로 전계 E 1 은 다음과 같다.
ŷ× ( -52 x̂ + 15 ẑ )]
j ( 2x - z )
x̂ + 2 ẑ ] V/m
H2 = 5 e
x̂ + 2 5 e
ẑ A/m 이다. 여기서 자유공간
(b) 평면파-2 의 자계는
-2
1
이며, 앞에서 처럼 전파방향은 k̂ = 5 x̂ + 5 ẑ 이므로 전계 E 2 는 다음과 같다.
j ( 2x - z )
E 2 = η [ H 2× ẑ ] = 120π [ ( 5 e
[ (2
- j 5z
2
5 e
=
[
j ( 2x - z )
j ( 2x - z )
j ( 2x - z )
0
- j 5z
- j 5z
ẑ V/m 이
x̂ A/m
= 120 π e
x̂ - j 2 ŷ ) + ( - j 3 x̂ - 3 ŷ )]
[ ( 2 - j 3 ) x̂ - j ( 2 - j 3 ) ŷ ]
x̂ - 6 e ŷ = e [ ( - 2 x̂ + j 2 ŷ ) + ( - j 3 x̂ - 3 ŷ )]
+e
[ ( - 2 x̂ - j 2 ŷ ) + ( j 3 x̂ - 3 ŷ )]
- j 5z
- j ( 4 y + 3 z)
- j ( 4 y + 3 z)
0
x̂ - j 2 ŷ ) + ( - j 3 x̂ - 3 ŷ )]
[ ( 2 x̂ + j 2 ŷ ) + ( j 3 x̂ - 3 ŷ )]
- j 5z
e
ŷ + 0.6 ẑ )× ( 60 e
E 1 = η [ H 1× ẑ ] = 120π [ 5 e
[-2
따라서 이 경우오른손 원형편파는 다음과 같다.
E r ight = e
x̂ - j 2 ŷ ]
[ 2 x̂ + j 2 ŷ ]
[-2
5
π
[ ( 0.8
평면파-1 의 자계는 당연히 H 1
문제 6-24 (a)
- j 5z
1
120π = 20π Ω
36
=
- j ( 4 y + 3 z)
2
= -
[-j 3
- j 5z
ŷ - 80 e
H 2 = η1 [ k̂× E 2 ]
- j ( 6π x - 8 π z )
따라서 이 경우 오른손 원형편파는 다음과 같다.
0
- j ( 4 y + 3 z)
ŷ + 3 ẑ = 0.8 ŷ + 0.6 ẑ 이다. 따라서 자계 H 2 는 다음과 같다.
=
E (z) = 6 e
r
=
0
문제 6-21 (a)
x̂ V/m
= - 600 π e
x̂ + 2 5 e
j ( 2x - z )
ẑ )× ( -52 x̂ + 15 ẑ )]
ŷ V/m
j ( 2x - z )
- j 5z
- j 5z
따라서 이 경우오른손 원형편파는 다음과 같다.
E right = e
= e
문제 6-22
- j 5z
- j 5z
문제 6-25 (a) ky =
x̂ + j 2 ŷ ) + ( - j 3 x̂ - 3 ŷ )]
[ - ( 2 + j 3 ) x̂ + j ( 2 + j 3 ) ŷ ]
[ (-2
[
E x( 0, t)
4
8
y
2
] + [
E y (0, t)
3
2
×
8
2
v
×
×
×
=
8
2
8
2
( 5 10 )
ε r μ r - k2x - k2z =
평면파의 진행방향은 k̂
진행방향은 서로 직교해야 하므로
8
대해서는
2
0
(b)
E ( 0, t) = E ( 0, t) x̂ + E ( 0, t) ŷ = 4 sin ( 2 ×10 t ) x̂ - 3 cos ( 2 ×10 t ) ŷ 이므로 각각의 성분들에
x
ω2
(3 10 )
4
2
2
] = [ sin ( 2 10 t )] + [ - cos ( 2 10 t )] = 1
을 만족하므로 시간에 따라 타원궤도를 돌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평면파는 타원편
= 4 r ad/m
2
- j ( 4 y + 3 z)
[ 20
x̂ + 24 ŷ + E ẑ ]
z
- j ( 4 y + 3 z)
= 0
8
2
ŷ + 3 ẑ = 0.8 ŷ + 0.6 ẑ 인데, 전계의 방향과 평면파의
4 +3
k̂⋅ E = ( 0.8 ŷ + 0.6 ẑ )⋅e
= ( 19.2 + 0.6 E z ) e
2
⋅9⋅1 - 0 - 3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x̂ 방향의 전계강도 E 는 다음과 같다.
x
19.2
Ez = = - 32 V/m
0.6
연습문제
(c)
매질의 고유 임피던스 η
=
μr
η =
εr 0
1
120π = 40π Ω
9
111#
이므로 자계는 다음과 같다.
H( y, z ) = η [ k̂× E ( y, z ) ]
i
1
=
1
40π
[ ( 0.8
ŷ + 0.6 ẑ )×e
- j (4 y + 3 z)
( 20
e
π
- j (4 y + 3 z)
[-
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다.
H 1 ( y, z ) = π1 e
- j ( 4 y + 3 z)
[ 0.3
= tan
-1
ix
(
) = tan
-1
3
) = 60
1
(
iz
=
1
x̂ + 24 ŷ - 32 ẑ )]
x̂ + 0.3 ŷ - 0.4 ẑ ] A/m
(d) 원래의 평면파를 x̂ 성분의 전계 만을 갖는 평면파-1 과 x̂ 성분의 자계 만을 갖는 평면파-2 의 합으
로 표시할 경우 평면파-1 의 자계 H 1 는 x̂ 이외의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앞의 (c)의 결과로부터 다음
=
1
축으로부터 평면파의 입사방향이 이루는 각을 입사각으로 정의하면
k
〫
θ
k
이다. 영역-1은 자유공간이므로 η η
π Ω 이고, 영역-2는 ε
무손실 유전체 이므로 η
π
π Ω 이다. 따라서 식(6.66a)와 (6.66b)로부
각각 반사각 θ 과 굴절각 θ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θ
θ
k
k
〫
θ
θ
k
k
(b) z
2
r
=
0
= 120
r
= 3,
μr = 1
= 40 3
인
터
t
=
r
t
ŷ - 0.4 ẑ ] A/m
1
120
3
= 60
i
= sin
-1
1
[
sin
2
i
] = sin
-1
0
[
3
sin 60
] = sin
-1
[
0
= sin
1
3
⋅
3
]
2
-1 1
2
〫
(c) 식(6.70a)와 (6.70b)로부터 각각 반사계수 Γ 와 투과계수 T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η
〫
η
η
θ
η
θ
Γ
η
θ
η
θ
〫 η
〫
η
= 30
문제 6-26
(a) kz =
ω2
2
v0
2
×
8
( 1.5 10 )
×
2
- kx - k y =
8
( 3 10 )
평면파의 진행방향은 k̂
파의 진행방향은 서로 직교해야 하므로
=
(b)
2
2
2
1
2
- 0.3 - 0 = 0.4 r ad/ m
=
x̂ + 0.4 ẑ = 0.6 x̂ + 0.8 ẑ 인데, 자계의 방향과 평면
0.3 + 0.4
0.3
2
k̂⋅ H = ( 0.6 x̂ + 0.8 ẑ )⋅e
= ( 0.6 H x - 12 ) e
2
cos
i
-
1
cos
t
2
cos
i
+
1
cos
t
2
- j ( 0.3 x + 0.4 z )
[ Hx
x̂ + 25 ŷ - 15 ẑ ]
- j ( 0.3 x + 0.4 z )
=
자유공간에서 η
= η 0 = 120π Ω
E ( x, z ) = η [ H( x, z ) × k̂ ]
- j ( 0.3 x + 0.4 z )
x̂ ẑ r ad m 이고, 경계면의 법선방향 n̂ ẑ 인데 입 사파의
입사파의 파수벡터 ki
전계 방향은 이들과 모두 직교하는 ŷ 성분만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의 입사파는 수직편파이다.
/
cos 60
+
0
cos 30
⋅
1
2
3
2
⋅
1
+
2
3
2
1-3
1+ 3
=
=
=
ŷ = - 0.5 e
k ε μ
(e) 영역-2에서의 파수는 k
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
(6.70b)
Et= T e
=
1
- j k2 ( x sin θ t + z cos θ t )
r
r
문제 6-28
경계면 z
=0
+
- j 2 ( x sin 60
3 x - z)
3 r ad/m
-j 2
-j (
3
-j (
= 2
= 0.5 e
= 0.5 e
sin θ t =
+
0
= - 0.5 e
-3
( 20
- j k 1 ( x sin θ r - z cos θ r )
- j ( 0.3 x + 0.4 z )
3
3
1
1
Er = Γ e
- j ( 0.3 x + 0.4 z )
=
cos 30
T = 1 + Γ = 1 - 0.5 = 0.5
x̂ + 25 ŷ - 15 ẑ )× ( 0.6 x̂ + 0.8 ẑ )]⋅10
= e
[ 2.4 π x̂ - 3 π ŷ - 1.8 π ẑ ] V/ m
(d) 매질 경계면의 법선방향이 - ẑ 이고, 전파방향이 k̂ = 0.6 x̂ + 0.8 ẑ 이므로 수직편파의 전계
E ⊥ 는 앞의 (c)의 결과로부터 ŷ 성분만 취하면 되므로
E ⊥ = - 3π e
ŷ V/m
이다. 따라서 수직편파의 자계 H ⊥ 는 원래의 자계에서 ŷ 성분만 뺀 것으로 다음과 같다.
H⊥ = e
[ 20 x̂ - 15 ẑ ] mA / m
문제 6-27 (a)
0
영역-1은 자유공간으로 파수는 k | ki | | x̂ ẑ |
파는 식(6.61a)와 (6.70a)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이므로 전계는 다음과 같다.
- j ( 0.3 x + 0.4 z )
-
3
(d)
0
= 120 π [ e
cos 60
= - 0.5
x
(c)
0
3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x̂ 방향의 자계강도 H 는 다음과 같다.
12
= 20 mA /m
0.6
3
1
1
=
=0
Hx =
=
3 ( x sin 30
3 x + 3 z)
의 양측에 있는 무손실 매질의 투자율이 μ
〫
= 2 r ad/m
- z cos 60
ŷ V/m
이다.
따라서 반사
〫 ŷ
)
이다.
따라서 투과파는 식(6.61b)와
〫
〫
+ z cos 30
)
ŷ V/m
1
= μ2 = μc
로 같을 경우 식(6.66b)로부터
ε1
sin θ i
ε2
μ
μ
이며, 또한 두 영역의 고유 임피던스는 η
, η
ε
ε
고유 임피던스의 비를 입사각 θ 와 투과각 θ 로 나타내면
1
i
1
=
1
t
=
c
1
2
=
μ2
=
ε2
μc
ε2
이다. 따라서 두
113#
연습문제
Et= T e
μc
ε2
μc
ε1
η2
=
η1
ε1
=
ε2
=
sin θ t
= (3- 3 ) e
sin θ i
와 같아서 수직편파시 평면파의 투과계수 T 는 식(6.70a)로부터 다음과 같음을 보일 수 있다.
⊥
T⊥ =
η2
) cos θ i
η1
2(
2 η 2 cos θ i
=
η 2 cos θ i + η 1 cos θ t
(
ŷ = ( 3 - 3 ) e
- j k 2 ( x sin θ t + z cos θ t )
문제 6-30
경계면 z
sin θ t
=
(
영역-1에서 파수는 k
영역-2에서의 파수는 k
= k0
1
k ix
θ i = tan - 1 (
k iz
θ t = sin
2
-1
[
k1
k2
-1
(
2
3
=
) = 30
이다. 따라서 자유 공간인
r ad m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입
사각
2
sin θ i ] = sin
2
sin 30
〫
] = sin
= sin
-1
-1
1
2⋅
]
2
[
η1 =
η0
이 구할 수 있다.
Γ=
2
,
η2 =
〫
η 이므로 수직입사의 경우 투과계수 T 는 식(6.70b)로부터 다음과 같
0
2 η 2 cos θ i
=
η 2 cos θ i + η 1 cos θ t
2⋅η 0 cos 30
η 0 cos 30
〫
=
=
3
+
2
+
1
2
〫
η 0 cos 45
3
2
2⋅
1
2
ε1
=
ε2
=
1
⋅
sin θ t
=
〫
=
=
=
1
2
3 +1
sin θ i
sin θ t
sin θ i
=
2 3
(c)
3
2
=
μ2
=
ε2
μc
ε2
이다. 따라서 두
sin θ t
=
⋅ cos θ t - cos θ i
⋅ cos θ t + cos θ i
sin θ t ⋅ cos θ t - cos θ i⋅ sin θ i
sin θ t ⋅ cos θ t + cos θ i⋅ sin θ i
2
2
2
2
2
2
2
2
sin θ t ⋅ cos θ t⋅( sin θ i + cos θ i ) - sin θ i ⋅ cos θ i⋅( sin θ t + cos θ t )
sin θ t ⋅ cos θ t⋅( sin θ i + cos θ i ) + sin θ i ⋅ cos θ i⋅( sin θ t + cos θ t )
( sin θ t cos θ i - cos θ t sin θ i )⋅( cos θ t cos θ i - sin θ t sin θ i )
( sin θ t cos θ i + cos θ t sin θ i )⋅( cos θ t cos θ i + sin θ t sin θ i )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tan ( θ t - θ i )
tan ( θ t + θ i )
또한 (6.78b)로부터 수평편파시 평면파의 투과계수 T 가 다음과 같음을 보일 수 있다.
ll
=3-
c
1
sin θ i
=
2
2
= 45
(b)
=
η2
cos θ t - cos θ i
η1
η2
cos θ t + cos θ i
η1
t
[
μc
ε2
μc
ε1
η 2 cos θ t - η 1 cos θ i
η 2 cos θ t + η 1 cos θ i
2
/
2
로 같을 경우 식(6.66b)로부터
t
Γ ll =
〫 이므로 굴절각 θ 는 다음과 같다.
-1
)
ll
1 + ( 3) = 2 r ad/m
2
= μ2 = μc
〫 ŷ
와 같다. 따라서 식(6.78a)로부터 수평편파시 평면파의 반사계수 Γ 을 다음과 같음을 보일 수 있다.
sin ( θ t + θ i )
2
1
η2
=
η1
2 cos θ i sin θ t
ε r = k0 2 =
= k0 =
) = tan
sin θ i
1
=
i
) cos θ i + cos θ t
sin θ t cos θ i + sin θ i cos θ t
=
(a)
) cos θ i
+ z cos 45
ŷ V/m
μ
μ
이며, 또한 두 영역의 고유 임피던스는 η
, η
ε
ε
고유 임피던스의 비를 입사각 θ 와 투과각 θ 로 나타내면
2 sin θ t cos θ i
=
문제 6-29
sin θ i
sin θ t
1
〫
ε1
sin θ i
ε2
1
2(
2 ( x sin 45
- j ( x + z)
의 양측에 있는 무손실 매질의 투자율이 μ
=0
sin θ t =
η2
) cos θ i + cos θ t
η1
-j
투과파는 식(6.61b)와 (6.70b)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ll = ( 1 + Γ ll )
cos θ i
cos θ t
115#
연습문제
= [1 +
cos θ i
]
=
cos θ t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sin 2 θ t
=
⋅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2 sin θ t cos θ t
=
⋅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
cos θ i
E i ( x, z ) = η [ H i ( x, z ) × ˆki ] = 120π [ 1201 π e
- j (3 x +
3 z)
0
3 z)
[
영역-2의 파수는 k k ε μ
θ 는 식(6.66b)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한다.
=
0
r2
r2
1
2
θ t = sin - 1 [
k2
sin θ i ] = sin
-1
[
3 2
sin 60
〫
(c)
=
이다. 따라서 투과각
=
(d)
r2
r2
Γ ll =
0
=
1
120
1.5
2
cos 45
3
=
=
2
cos 45
3
2
3
1
2
3
1
2
-
〫
〫
1
2
1
+
2
2
- cos 60
+ cos 60
3 z)
3 z)
[
〫
〫
1
- j k2 ( x sin θ t + z cos θ t )
120 π
40 6 π
(4
2- 2 6 )
문제 6-33
4 3- 6
- j ( 3x + 3z )
e
120 π
〫
E t = η [ H t× ˆkt ] = 40 6 π [ 41203-π 6 e
- j ( 3x + 3z )
2
θ c = sin - 1
ε2μ 2
-1
= sin
ε1μ 1
(a) ε r = 2
인 경우 θ
(b) ε r = 4
인 경우 θ
문제 6-34 (a)
c
= sin
c =
-1
sin
1
2
-1
1
4
ε 0μ 0
ε r ε 0μ 0
= 45
= sin
2
2
-1
1
∥
ε 2μ 2
ε 1μ 1
=
εr
〫
= sin
-1
1
= 30
2
식(6.79)로부터 임계각을 구하면
sin θ c =
+ z cos 45
〫 ŷ
)
ŷ× 3 x̂3+23 ẑ ]
[
- j ( 3x + 3z )
15ε 0 μ 0
=
εr ε0μ0
15
εr
〫
ŷ A/m
ŷ× ( 23 x̂ - 12 ẑ )]
ŷ A/m
식(6.79)로부터 임계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와 투과
3z)
ŷ
1
- j 3 2 ( x sin 45
e
120 π
= ( 4 2- 2 6 ) e
= η 0 = 120π Ω
- j ( 3x -
x̂ + 23 ẑ ] V/m
1
2
2
= 40 6
η 2 cos θ t - η 1 cos θ i
η 2 cos θ t + η 1 cos θ i
- j (3 x -
1
〫
(c) 앞의 (a)의 결과로부터 입사파는 수평편파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η
μ
η
π
π Ω 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반사계수 Γ
이고, η
ε
계수 T 는 각각 식(6.78a)와 (6.78b)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2
2
식(6.71b)와 (6.73b)으로부터 투과파의 자계 H t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 45
2
- j (3 x -
2
3
-1
] = sin
[
⋅
]
2
3 2
= sin
-4 3
ŷ = - 7 120
e
π
0
H t = ηη T 1201 π e
ŷ× ( 23 x̂ + 12 ẑ )]
2 3
-1
- j k1 ( x sin θ r - z cos θ r )
-4 3
E r = η [ Hr׈
kr ] = 120π [ - 7 120
e
π
x̂ - 23 ẑ ] V/m
= 2 3 ⋅ 1.5 = 3 2 r ad/ m
2 3
1
2
〫 이므로 반사파의 자계 H r 는 다음과 같다.
= (7-4 3 ) e
t
k1
(a) θ r = θ i = 60
(b)
- j (3 x +
= (8-4 3 )
= 4 2 -2 6
i
2
〫
〫
cos θ i
ki = 3 x̂ + 3 ẑ = 2 3 ( 23 x̂ + 12 ẑ ) = 2 3 ( sin 60〫 x̂ + cos 60〫 ẑ ) r ad/m
이므로 k = k = 2 3 r ad/m 와 θ = 60 〫임을 알며, 입사파의 전계 E i 는 다음과 같이 구
(b)
cos 60
cos 45
cos θ t
H r = - Γ 1201 π e
= e
3
= (1 + 7-4 3 )
cos θ t
cos θ t
문제 6-32
0
cos θ i
T ll = ( 1 + Γ ll )
공기중인 영역-1에서 입사파의 파수벡터는
1
3
2+
= 7-4 3
cos θ i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할 수 있다.
2-
cos θ t
2 cos θ i sin θ t
=
(a)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
문제 6-31
sin ( θ t - θ i )⋅ cos ( θ t + θ i )
x̂ - 22 ẑ ] V/m
117#
연습문제
sin 60
〫
=
3
2
이므로, z 에 있는 유전체의 상대유전상수 ε
(b) 식(6.88)로부터 수평편파의 Brewster 각을 구하면
< 0
ε 1μ 2
ε 2μ 1
ε1 2
1-(
)
ε2
1-
sin θ
ll
=
B
1=
sin θ t =
이다.
r = 20
이다. 그렇다면
cos θ t =
1 - sin
=
εr ε0 2
1-(
)
15 ε 0
1
=
1+
εr
15
cos
〫
이므로, 영역 z 에 있는 유전체의 상대유전상수 ε
=
3
2
< 0
r
=5
ε2μ2
ε 1μ 1
1-
〫
=
이다.
cos α sin θ t
ll
sin θ B =
문제 6-37
εr
μr
2
1 - εr
1-
=
1=
〫
1
=
2
와 같다. 위의 두 식 중에서 첫 번째 식을 정리하면 μ
식을 간략화한 식에 대입하면
2
1 - εr = 4 - 4
εr
μr
εr
=4-4
(
2
εr
r
=
2
εr
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두 번째
2
)
= 4 - 2εr
이 된다. 이로부터 z 에 있는 매질의 ε 과 μ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0
문제 6-36
1-
sin α
1
εr
]
2
sin α
=3
0
+4
= 5 ( 0.6
+ 0.8
)
/
는
= 120
( , ) =
1
[
( , )]=
0
1
120
×
[ ( 0.6
+ 0.8
) 8.4
- j ( 3 x + 4z )
]
x̂ + 0.6 ẑ ]
= 70 e
[ - 0.8 x̂ + 0.6 ẑ ] mA /m
(b)
완전도체에서의 반사이므로 Γ = - 1 , kr = 3 x̂ - 4 ẑ = 5 ( 0.6 x̂ - 0.8 ẑ ) r ad/m
ŷ V/m 이다. 따라서 반사자계
Hr 은
이므로 반사전계는 E r ( x, z) = - 8.4π e
-2
e
- j ( 3 x + 4z )
[ - 0.8
- j ( 3 x + 4z )
sin 30
μr =
εr
x̂
ẑ r ad m 이다. 자유공간에서
입사파의 파수벡터는 ki x̂ ẑ
η
η
π Ω 이므로 입사자계 H i 는 다음과 같다.
H i x z η ˆki× E i x z
x̂
ẑ × π e
ŷ
π
(a)
= 7 10
∥
εr =
1
cos α
]
ε r - sin 2 α
= t sin α [ 1 -
=
ε r ε 0μ 0
ε 0μ r μ 0
εr ε0 2
1-(
)
ε0
1-
α
]
sin α cos θ t
1
εrμr
이고, 다음 식(6.88)로부터 수평편파의 Brewster 각을 구하면
가 된다. 따라서 두께 t 인 균일한 무손실
2
sin
[ sin α cos θ t - cos α sin θ t ]
cos θ t
sin α⋅
2
2
ε 1μ 2
ε 2μ 1
ε1 2
1-(
)
ε2
1
εr
= t sin α [ 1 -
=
sin α
εr
t
∥
sin 45
1
cos α ⋅
ε 0μ 0
ε r ε0μr μ 1
=
θt =
= t sin α [ 1 -
먼저 식(6.79)로부터 임계각을 구하면
sin θ c =
2
t
d = l sin ( α - θ t ) =
sin 60
ε 0μ 0
sin α =
εr ε 0μ 0
t
비자성체를 통과한 거리 l
이다. 그렇다면 무손실 유전체가 없을 때 통과경로와 있을 때 통
θ
과경로 간의 거리 편차 d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r ε 0μ 0
15 ε 0 μ 0
∥
문제 6-35
ε 1μ 1
sin θ i =
ε 2μ 2
4-1 =
2
εr
=
3
2
3
식(6.66b)에서 입사각 θ
r
i
=
=α
2 3
3
일 경우 투과각은
r
- j ( 3 x - 4z )
다음과 같다.
H r ( x, z ) = η1 [ ˆ
kr × E r ( x, z)] = 1201 π [ ( 0.6 x̂ - 0.8 ẑ )× ( - 8.4π e
0
×
- j ( 3x - 4z )
ŷ )]
x̂ + 0.6 ẑ ]
= - 70 e
[ 0.8 x̂ + 0.6 ẑ ] mA /m
H
=
H
+
H
z
<
0
(c) 공기로 채워진 영역
에에서 1 i r 이고, z > 0 인 완전도체 내부에서는
자계가 0이므로 H 2 = 0 이다. 경계면의 법선방향을 n̂ = ẑ 라고 하면 z = 0 인 완전
도체
표면에 유기되는 면전류 K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K = n̂ × [ H 2 - H 1 ] = ẑ ×[ 0 - ( H i ( x, z ) + H r ( x, z ) )]
= - ẑ × [ H i ( x,0) + H r ( x,0) ]
= - 7 10
-2
e
- j ( 3 x - 4z )
[ 0.8
- j ( 3 x - 4z )
z=0
z=0
119#
연습문제
ẑ × [ - 112 e x̂ ]
= 112 e
ŷ mA/m
- j 3x
= -
- j 3x
(b)
반사각 θ
= θi
r
H r = ΓηE e
입사파의 파수벡터는
i
1
-
sin
= 1.56
r
3
5
i =
k1 = k0 = 5 r ad/ m
임을 알 수 있고, 무
= 1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sin θ t =
k1
k2
(c)
= - 20 e
T = 1+Γ = 1-
=
kt = k ( sin θ x̂ + cos θ ẑ ) = k ( sin θ x̂ + 1 - sin θ ẑ )
5
= 7.8 (
x̂ + 1 -( 135 ) ẑ )
13
t
t
t
2
t
ki = 3 x̂ + 4 ẑ r ad/m 이고, 경계면의 법선방향 n̂ = ẑ 인데 입사파의 전계방향은
이들과 모두 직교하는 ŷ 성분만 있으므로 입사파는 수직편파이다. 이 경우 η = η ,
1
이고, 앞의 결과에서
수 Γ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μr
η0
η =
εr 0
εr
=
η0
cos θ i =
1.56
1
Γ=
η 2 cos θ i - η 1 cos θ t
=
η 2 cos θ i + η 1 cos θ t
εr
1
εr
4
5
,
cos θ t =
12
13
이므
0
=
20 - 36
20 + 36
로 반사계
7
- j ( 3 x+ 4z )
e
[ - 0.8
100
- j ( 3 x + 7.2 z )
- j ( 3x + 7.2z )
[-
x̂ + 135 ẑ ]
12
13
[-
x̂ + 135 ẑ ] mA/m
12
13
z=0
- j 3x
μ1 = μ2 = μ0
인 경우 수평편파된 평면파의 Brewster 각 θ 은 (6.88)로부터
ll
B
ε 1μ 2
ε 2μ 1
ε1 2
1-(
)
ε2
1-
ll
ε1μ0
ε 2μ 0
ε1 2
1-(
)
ε2
1-
=
ε1
ε2
ε1 2
1-(
)
ε2
1-
=
1
=
1+
ε1
ε2
θ
θ
과 같으므로 εε
임을 알 수 있다.
θ
θ
θ
θ
이를 식(6.79)에 주어진 임계각 θ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1
2
=
1
sin
2
ll
B
-1=
1 - sin
sin
2
2
ll
B
=
ll
B
cos
2
sin
2
ll
B
ll
B
=
1
tan
2
ll
B
c
H i = η1 [ ˆki× E i ] = 1201 π [ ( 35 x̂ + 45 ẑ )×8.4π e
=
e
- j 3x
sin θ c =
1
-2
t
- j ( 3x - 4 z )
sin θ B =
2
= 7
문제 6-39 (a)
- j k2 ( x sin θ t + z cos θ t )
z=0
문제 6-40
cos θ i + cos θ t
=
이므로 식(6.62b)로부터 투과파의 자계 H t 를 구하면 다음과
2
5
=
7
7
(d) 경계면의 법선방향을 n̂ = - ẑ 라고 하면 z = 0 인
유전체 표면에 유기되는 면전류
K 는 식(6.97)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K = n̂ ×2 H r ∣ = - ẑ ×2 [ - 20 e
( 0.8 x̂ + 0.6 ẑ )]
= 40 e
ẑ × ( 0.8 x̂ + 0.6 ẑ )
= 32 e
ŷ mA/m
cos θ i - cos θ t
1
4
12
⋅
1.56
5
13
1
4
12
⋅
+
1.56
5
13
[ 0.8
x̂ + 135 ẑ ]
= 78 e
(d)
i
5
5
12
⋅8.4 π
- j 7.8 (
x+
z)
7
12
13
13
e
[120 π
13
1.56
×
5
13
x̂ + sin θ ẑ ]
x̂ + sin θ ẑ ]
= 7.8 10
x̂ + 12
ẑ )
13
= 3 x̂ + 7.2 ẑ r ad/m
= 7.8 (
r
[ - cos θ t
i
2
2
e
2
2
η2 =
-2
- j ( 3x - 4z )
H t = Tη E e
5
5
⋅0.6 =
7.8
13
sin θ i =
x̂ + sin θ ẑ ]
x̂ + 0.6 ẑ ]
[ 0.8 x̂ + 0.6 ẑ ] mA /m
- j 5 ( 0.6 x - 0.8 z )
= - 2 10
같다.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in θ t
[ cos θ r
2
⋅8.4 π
7
- j k1 ( x sin θ i - z cos θ i )
e
[ cos θ i
120 π
×
ε r μ r = k0 ε r = 5⋅1.56 = 7.8 r ad/m
k2 = k0
(c)
=
i
와 같다. 따라서 θ
이다.
(b) 공기중의 파수는 앞에 있는 (a)의 결과로부터
손실 유전체 ( ε
, μ
) 에서의 파수는
r
- j k1 ( x sin θ r - z cos θ r )
1
ki = k ( sin θ x̂ + cos θ ẑ ) = 3 x̂ + 4 ẑ = 5 ( 35 x̂ + 45 ẑ ) r ad/m
x̂ + 0.6 ẑ ] mA/m
[ - 0.8
이므로 식(6.61b)로부터 반사파의 자계는 H r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i
문제 6-38 (a)
- j ( 3x+ 4z )
= 70 e
- j ( 3x+ 4z )
ŷ ]
x̂ + 0.6 ẑ ] A/m
ε 2μ 2
=
ε 1μ 1
ε 2μ 0
=
ε 1μ 0
ε2
=
ε1
1
ε1
ε2
=
1
ll
= tan θ B
1
tan
θ llB
2
연습문제
121#
제 7 장 연습문제 풀이
문제 7-1 (a)
표 7-1로부터 주어진 동축선의 단위길이당 정전용량을 구하면
C=
2π ε r ε 0
b
ln
a
2π ε r (
=
×
1
-9
10
)
-9
36 π
10
=
10
18 ln 5
ln
2
μr μ0d
L=
×
σw
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상대유전상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d
R=
→
×
×
-5
→
×
-2
)
)
-3
)
×
=
= 9 10
π f μcσc
2
=
wσc
∞
-2
=
)⋅( 2 10
-2
-3
lim
σc
×
)⋅ ( 9 10
-3
)⋅( 9 10
×
2 10
=
w δ σc
∞
-7
×
×
9 10
2
lim
σc
-9
×
1.5⋅( 4 π 10
( 2 10
=
10
2 10
=
w
G=
ε r = 0.25 10 - 9 F/m
=
d
×
1
36π
4⋅(
εr ε0 w
C=
-4
→
10
40π
3
×
-9
10
=
-9
5
π
=
nF/ m
40 π
3
nH/m
℧m
/
2
lim
σc
×
5
π
w
∞
πfμc
σc
= 0 Ω/ m
ε r = 18 ln 5⋅0.25 = 4.5 ln 5 = 4.5⋅1.6 = 7.2
(b)
표 7-1로부터 주어진 동축선의 단위길이당 유도용량을 구하면
μ μ
μ
π×
b
L
×
r
=
0
2π
ln
=
a
(4
r
10
-7
)
2π
ln
10
2
문제 7-4
= ( 2 ln 5 10
×
= 0.64 10
-7
-6
)μr
H/m
0.64 10
-6
2 ln 5 10
-7
2π σ
G=
ln
b
a
=
=
2π σ
10
2
( +
6.4
= 2
2⋅1.6
=
ln
2π
ln 5
×
σ = 2π 10 - 5
2
=
문제 7-2
10
2π
ln 5
= ln 5 10
-5
= 1.6 10
-5
℧m
/
lim
△z→
=
/
=9
= 2 10
/
=
0
△
( +
( , )+
, )
-
2
△z t
, )
=
lim
G
△z → 2
0
+
∂
i ( z, t)
∂z
( +
, )
, )-
=4
c
= 1.5
0
=∞
0
[ v( z, t) + v( z +
lim
C
∂
△ z→ ∂ t 2
0
∂
∂
2
( +
, )
△z t
, )]
[ v( z, t) + v( z +
△z t
, )]
∥
G v( z , t) + C
∂
v( z, t)
∂t
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두 node를 포함하는 루프에 Kirchhoff의 전압법칙을 적용한 후
양변을 △z 로 나누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2
∂
∂
2
( +
i ( z , t) - i (z +
z
v( z, t) - v( z +
z
두 평행평판의 폭 w cm , 간격 d mm 이며, 그 사이에는 ε ε , μ
μ ,
× S m 인 손실 유전체가 채워져 있고, 평행평판은 완전도체이므로 σ
S m 라고 두면
σ
된다. 이러한 전송선의 단위길이당 정전용량 C , 유도용량 L , 콘덕턴스 G , 저항 R 을 표 7-1로부터 구
하면 다음과 같다.
-5
, )
( , )+
με
2a
문제 7-3
2
∥
-
μ
πε
-1 d
cosh
⋅
2a
π
-1 d
cosh
=
0
표 7-1로부터 유전율 ε 과 투자율 μ 인 무손실 유전체 내에 완전도체로 된 두 평행도선의 단위길이 당 정
전용량 C 와 유도용량 L 을 구하여 서로 곱한 후, 자승을 취한 양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LC =
, )
과 같은 두 식을 얻을 수 있다. 위의 두 식을 서로 뺀 후 △z → 을 취하면
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도전율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π×
×
× Sm
σ
-5
( +
( , )
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상대투자상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μ
×
(c) 표 7-1로부터 주어진 동축선의 단위길이당 콘덕턴스를 구하면
r =
장에 있는 그림 7-9(a) 에서 두 node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i z α △z t 라고 두자. 이때 α 는
을 만족하는 임의의 상수이다. 각각의 node에서 Kirchhoff의 전류법칙을 적용한 후 양변을
△z 로 나누면
i z t
G
C
i z
α △z t
v z t
v z t
△z
t
△z
i z
△z t i z α △z t G v z △z t C v z △z t
△z
△z
t
6
0< α< 1
△z t
, )
= R i( z + α
△z t
, )+L
∂
i( z + α
∂t
△z t
, )
그런데 위의 식에서 △z → 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0
/
lim
△z→
0
v( z , t) - v( z +
z
△
△z t
, )
=
lim R i ( z + α
△z→
0
△z t
, )+
lim L
△z→
0
∂
i( z + α
∂t
△z t
, )
123#
연습문제
∥
×
℧m
×
C
×
pF m
π
π
π×
다음에는 식(6.15)의 γ 에 식(6.22)의 Z 를 곱하면
2 10
=
∂
v( z , t)
∂z
R i ( z , t) + L
-5
G = 2 3 10
∥
∂
i ( z, t)
∂t
5
/
-5
10
4
=
6
10
- 12
4
=
/
c
그러므로 위의 두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전송선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
∂
v( z , t) = R i ( z, t) + L
∂z
∂
i ( z , t) = G v( z, t) + C
∂z
×
×
×
×
×
R+ jωL
=
G+jωC
문제 7-5 (a) Z c =
4.8 10
3 10
4.8 10
=
-3
-6
=
1.6 10
∂
v( z , t)
∂t
×
×
×
-6
3
= Re [
×
= Re [ 40 ( 3 10
×
= 1.2 10
(c) β = Im [ γ ] = Im [
8
8
×
×
-6
-9
)
-6
+ j 2.25 π
2π f
β
=
×
+ j 3.6 10
3
×
×
8
∠60
= 10
= 5 10
-2
∠45
5
-1
〫
×
6
R + j 2π⋅( 2.5 10 ) L
)
×
6
R + j 5π 10 L
)
( cos 60
+ sin 60
1
εμ
-2
) = 5 10
+ 5 3 10
-2
/
-2
5 3 10
10
6
3
=
10
v0
=
×
3 10
=
εr μr
-8
10 3
=
×
8
3 10
1.2
=
1.44
/
×
8
= 2.5 10
8
m/s
×
π r ad m
×
(c) 식(7.24)로부터 단위길이당 정전용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b) β =
×
10
8
ω
v
β )2
ω
(
m/ s
2π f
=
v
C=
L
먼저 식(6.15)의 γ 에 식(6.22)의 Z 를 나누면
8
=
2π⋅( 5 10 )
2.5 10
=4
8
/
1
2
=
v
L
1
=
×
×
L
=
C
(d) Z c =
문제 7--6
)⋅( 2 10
-1
문제 7-7 (a) v =
+ j 2.25π )]
2π⋅ ( 7.5 10 )
1
=
90 π
6
-3
×
+ j 2.25π )]
-6
2 10
π ) ( 3 10 - 6 + j 2.25π )]
( R + j ω L ) ( G + j ω C )]
= 90π r ad/m
=
×
×
+j
〫
〫 j 〫 ×
j
×
와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R 과 L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R
× Ωm
×
L
×
nH m
π
π
π×
10
3
-3
×
∥
)
Np/ m
= Re [ 40 ( 3 10
ω
(d) v =
β
〫
=
( 4.8 10
-4
)⋅ ( 2 10
-3
∥
( 50 ∠15
π
( R + j ω L ) ( G + j ω C )]
×
〫
-3
∥
= 40 Ω
(b) α = Re [ γ ] = Re [
∥
( 50 ∠15
+ j 2π⋅( 7.5 10 )⋅( 2.4 10
+ j 3.6 10
R+jωL
= R + j ω L = R + j 2π f L
G+jωC
( R + j ω L) ( G + j ω C) ⋅
∥
+ j 2 π⋅( 7.5 10 )⋅( 1.5 10
-3
3 10
∂
i ( z, t)
∂t
γ⋅Z c =
8 10
-9
2 10
-9
1
×
2
=
=
4 =2 Ω
v L
8
×
2
( 2.5 10 ) ⋅ ( 8 10
-9
)
×
= 2 10
-9
= 2 nF/ m
c
γ
R+jωL
= G + j ω C = G + j 2π f C
G+jω C
( R + j ω L) ( G + j ω C) /
=
Zc
∥
×
∥
( 2 10
-3
+j
×
2 10
-3
)/( 50∠15
〫
×
∥
×
( 2 10
6
G + j 2 π⋅( 2.5 10 ) C
)
∥
-3
∠45
〫
)/( 50∠15
〫
×
6
G + j 5 π 10 C
)
×
〫 ×
〫 j 〫
×
j ×
와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G 와 C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0
-4
∠30
= 4 10
-5
( cos 30
+
sin 30
) = 2 3 10
-5
+ 2 10
-5
εμ
v0
=
=
εr μr
×
3 10
×
8
3 10
1.5
=
2.25
×
8
= 2 10
8
m /s
×
π
r ad m
×
(c) 식(7.24)로부터 단위길이당 유도용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b) β =
ω
v
(
L=
∥
2
5
1
문제 7-8 (a) v =
(d) Z c =
=
2π f
v
β 2
)
ω
C
L
=
C
=
7
2π⋅( 5 10 )
=
2 10
1
2
v C
×
×
=
500 10
50 10
=
8
1
×
8
=
10
2
×
( 2 10 ) ⋅( 50 10
-9
- 12
/
2
4
- 12
= 100 Ω
)
×
= 5 10
-7
= 500 nH/ m
125#
연습문제
장의 예제 7-2-4의 결과에 따르면 무왜곡 전송선의 경우 RL GC 을 만족해야 한다. 따
단위길이당 저항 R 은 다음과 같다.
G
×
R
L
×
× Ω
C
×
L
×
×
(b) Z
Ω
C
×
RG
×
×
×
× Np m
(c) α
×
×
×
(d) β
ω LC
π
π r ad m
×
ω
πf
π
m s
(e) v
문제 7-9 (a) 7
=
=
=
=
=
c
=
=
=
-5
⋅( 0.2 10
-9
0.2 10
-6
0.5 10
-9
( 1.2 10
=
-2
-5
) ( 3 10
= 2 ⋅( 1.5 10 )⋅
2
) = 1.2 10
-2
36 10
( 0.2 10
-6
-8
= 6 10
) ( 0.5 10
-9
-4
2 ⋅( 1.5 10 )
8
= 10
30π
=
β
/
L
=
C
β
ω
(a) C =
Zc
(d)
×
1.2 10
10
=
2
×
RG
×
9
2 π⋅( 5 10 )⋅10
- 12
10
×
) = 5 10
×
-5
×
R = Z c G = 10 ⋅( 1.2 10
-6
-9
in = 10
5 - j 5 + j 10
5+j5
= 10
= 4+j2 Ω
10 + j ( 5 - j 5)
15 + j 5
×
문제 7-12
- 11
10
×
β=
ω
2π f
=
v0
v0
=
×
3 10
×
과 같아서 β l π
임피던스 Z 는 다음과 같다.
=
50
3
×
9
2π⋅( 2.5 10 )
⋅( 1.5 10
=
8
-2
)=
π
4
= 50 pF/m
Z in = Z c
= 10
Z c + j Z L tan β l
일 때, Z
Ω 일 때, Z
j
Ω 일 때, Z
j
Ω 일 때, Z
-4
50 π
3
in
= 10
10 - j 10 + j 10
10
= 10
= 4-j2 Ω
10 + j ( 10 - j 10)
20 + j 10
Z in
Zc
Z L + j Z c tan β l
=
r ad/m
10 + j Z L tan
(b) Z L = ∞
4
π
4
= 10
Z L + j 10
l=
in
= 10
5 + j 10
= 2( 1 + j 2)( 2 - j ) = 8 + j 6 Ω
10 + j 5
= 10
j 5 + j 10
j 15
= 10
= j 30 Ω
10 + j ( j 5)
10 - 5
= 10
2π f
2π⋅10
×
=
v0
3 10
8
9
=
20π
3
r ad/m
이다. 따라
50 π
l
3
20 π
50 + j Z L tan
l
3
Z L + j 20 tan
- j 5 + j 10
j5
10
= 10
= j
10 + j ( - j 5)
15
3
문제 7-13
Ω
3
20 π
tan
-1
일 경우, j
3
20 π
tan
20π
l
3
20π
= j tan
l
20π
3
50 + j 0⋅ tan
l
3
0 + j 50 tan
3 =
-1
(-
20π
l
3
=
20π
50 + j ∞⋅ tan
l
3
1
3
)=
을 만족해야 한다.
이때 가
= 0.75
1
j tan
20π
l
3
×
3
5π
-2
⋅
= 12.5 10
= 12.5 cm
20π
6
무손실 전송선의 길이 l
λ 이므로 β l
입력 임피던스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가장
×
∞ + j 50 tan
3 =
을 만족해야 한다. 이때
3
π = 5 10 - 2 = 5 cm
⋅
20 π
3
3 =
장 작은 l 은 다음과 같다.
10 + j Z L
(b) Z L = 5
in
=
3
일 경우, j
l=
L
π
= j
작은 l 은 다음과 같다.
이다. 따라서 전송선 단말부하의 임피던스 Z 일 경우 입력
0 + j 10
= j 10 Ω
10 + j 0
(d) Z L = - 5
=
Z c + j Z L tan β l
50
(a) Z L = 0
= 10
in
∞ + j 10
∞
= 10
= - j 10 Ω
10 + j ∞
j∞
∥
in
5
= 10
in
전송선에서 전파속도는 광속과 같다고 하였으므로 β
서 무손실 전송선의 입력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다.
/
Z L + j 10 tan
- j 10 + j 10
0
= 10
= 0 Ω
10 + j ( - j 10)
20
(k) Z L = 10 - 10
= 5 nH/m
(a) Z L = 0 Ω
(c) Z L =
= 10
in
10 + j 10 + j 10
10 + j 20
= 10
= 20 - j 10 Ω
10 + j ( 10 + j 10)
j 10
in
Z L + j Z c tan β l
j 10 + j 10
j 20
= 10
=∞ Ω
10 + j ( j 10)
0
= 10
인 공기로 채워진 무손실 전송선의 전파상수는
m
= 10
in
j 50 3
문제 7-11 Z c = 10 Ω , l = 1.5 cm = 1.5 10
10 + j 10
= 10 Ω
10 + j 10
/
) = 1.2 10
-2
= 10
in
(l) Z L = ∞
LC
= 5 10
in
(j) Z L = 10 + 10
℧m
× Ωm
-6
= 1.2 10
2
β=ω
,
5π
=
2π f Z c
(b) L = Z 2c C = 10 2⋅ ( 50
α
(c) G =
α=
,
β
=
Zc
R
G
(f) Z L = 5 - 5
/
앞의 7장에서 다룬 예제 7-2-4에 의하면 무왜곡 전송선의 경우 다음의 특성을 가진다.
Zc =
5 + j 5 + j 10
5 + j 15
= 10
= 20 + j 10 Ω
10 + j ( 5 + j 5)
5 + j5
(i) Z L = - 10
/
) = 30
in = 10
(h) Z L =
= 20
) =
일 때, Z
j
Ω 일 때, Z
Ω 일 때, Z
j
Ω 일 때, Z
j
Ω 일 때, Z
j
Ω 일 때, Z
j
Ω 일 때, Z
Ω 일 때, Z
(e) Z L = 5 + j 5 Ω
(g) Z L = 10
9
2
=
β
-6
4 10
9
=
문제 7-10
3 10
0.5 10
라서
=
2π
λ
l=
2π
λ
⋅
3
3π
λ=
4
2
이다. 이를 이 용하여
127#
연습문제
Z in = Z c
(b) I in =
(c)
= 40
Z c + j Z L tan β l
Vg
120
= 4 A
10 + 20
=
Z g + Z in
3π
2
3π
40 + j 80 tan
2
= 3( j ) + ( - j )
80 + j 40 tan
Z L + j Z c tan β l
식 (7.27a) 와 (7.27b) 로부터 전원단의 위치인 z
= 0
= 40
j 40
= 20
j 80
Ω
= j2 A
에서의 전압 V 와 전류 I 는
( 0)
문제 7-14
V( 0) = V in = V g - Z g I in = 120 - 10⋅4 = 80 V
V
∥
+
Zc
-
-
V0
Zc
+
=
-
40
V0
40
V와 V
V 를 구할 수 있다.
과 같다. 따라서 앞의 두 식으로부터 V
l
(7.27b)로부터 전송선의 중간 위치인 z
에서의 전류 I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l
2
L
Z ( d ) - j Z c tan β ( l - d )
Z c - j Z ( d ) tan β ( l - d )
V0
Zc
=
0
βl
-j
e
- 40
식
-
2
V0
-
Zc
e
j
2
I( d ) =
따라서 z
βl
2
IL
ZL+Zc
2
Zc
=d
-j
120
e
40
= 3( -
1
2
3π
4
3π
j
( - 40 )
4
e
40
-
1
-j
2
) + (-
1
2
(d)
+j
1
2
(
Zc
)
S
ZL = Zc
Z c + j Z L tan β l m
3π
80 + j 40 tan
4
= 40
3π
40 + j 80 tan
4
= 40
=
YL =
80 - j 40
40 -j 80
40
( 2 - j )( 1 + j 2 )
5
= 32 + j 24
(e)
Zc
S
1
ZL
문제 7-15 (a) Z in = Z c
=
1
Zc
+
Zc
=
- j βl
-j
120
e
40
-
3π
2
V0
Zc
e
1 - j S tan β ( l - d )
S - j tan β ( l - d )
S - j tan β ( l - d )
S - j tan β ( l - d )
= Yc
1 - j S tan β ( l - d )
1 - j S tan β ( l - d )
Z c + j Z L tan β l
(b) I in =
Vg
Z g+ Z in
=
30
π
56 + j 28 tan (
30
1 + j2
3
2+j
3
= 64 + j 24
3
= 56
j βl
π
28 + j 56 tan (
= 56
Ω
-
e
= Zc
tan β ( l - d )
Z L + j Z c tan β l
L
V0
)
- j Z c tan β ( l - d )
앞의 (c)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하에 흐르는 전류 I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I L = I ( z =l ) =
[ 1 + | Γ |]
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어드미턴스로 나타내면 다음을 증명할 수 있다.
m
Z L + j Z c tan β l m
j β ( l - d)
L
전송선 중앙에서 부하측을 들여다 본 입력 임피던스 Z 은 다음과 같다.
Zm = Zc
e
를 구할 수 있다. 결국 이를 앞에서 구한 Z 에 관한 식에 대입하면
A
2
[ 1 - | Γ |]
에서의 임피던스 Z d 는 앞의 두 결과와 식 (7.46) 을 이용하면
Zc - j
= -2 2 - j
j β ( l - d)
Zc
V( d )
1 - |Γ |
= Zc
=
I( d )
1 + |Γ |
S
Z( d ) =
=
( Z L + Z c) e
인 지점에서 전압의 절대값이 최소라고 하였다. 따라
=d
임을 알 수 있고, 마찬가지로 이 지점의 전류는 식 (7.44b) 로부터 다음과 같이 절대값이 최대
임을 알 수 있다.
m
2
+
)=
IL
V( d ) =
-
V0
+
= 120
0
I m = I( z =
를 대입한 후, 부하 임피던스 Z 을 구하면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z
서 이 지점의 전압은 식 (7.44a) 로부터
-
V0
I ( 0) = I in = 4 A
V0
=d
ZL = Zc
∥
+
+
0
식 (7.34) 에 z
( 0)
⋅10 )
⋅10 )
Ω
10
( 64 + j 24 ) + ( 36 - j 24 3 )
=
10
= 0.1 A
100
3π
-
j
( - 40 )
2
e
40
문제 7-16
동일한 길이 l 을 갖는 전송선의 단말을 개방시의 입력 임피던스 Z
in , o
와 단말을 단락시켰을 경우의 입
연습문제
력 임피던스 Z
in , s
Z in .o = Z c
Z in .s = Z c
는 식(7.35)로부터
∞ + Z c tanh γ l
0 + Z c tanh γ l
1
l
tanh
를 Z
Γ = |Γ | e
로 나눈 후 제곱근을 취하면 전파상수 γ 는 다음과
in , o
ZL = Zc
(a)
| V ( z ) | min
의 위치는 l z
-
지점간의 거리 l z
지점 간의 거리 △z
( -
β=
(b)
2β
= 0.05 m
라고 하였으므로
= 0.5 e
j 0.5 π
= j 0.5
ZL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Γ
1 + j 0.5
2
= 75⋅
= 15 ( 2 - j ) = 45 + j 60
1-Γ
1 - j 0.5
π
△z
2
=
식(7.46)과 (7.38)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를 만족한다. 따라서 최소가 되는 인접한 두
π
π
, 즉 반파장에 해당된다. 그런
데 여기서 두
β
β
m 라고 하였으므로 위상상수
β 는 다음과 같다.
θ Γ + ( 2n - 1) π
2β
) - (l- z1 ) =
△z
=
2
2
|Γ | =
=
S-1
4-1
3
=
=
S+1
4+1
5
∥
= 0.035 - 0.015 = 0.02
=
식 (7.46) 으로부터
π
0.02
ZL - Zc
| Z +Z |
= 50 π r ad/m
L
S-1
7-1
=
= 0.75
S+1
7+1
|Γ |=
로 전압 크기가 최소가 되는 지점
l-z1 =
θΓ + π
2β
1
| ( 50 + j ω1 C ) - 50 |
1
ωC
=
=
1
1
| 100 ω C - j |
(
50
+
)
+
50
100
+
|
|
|
jωC
jωC |
=
c
을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초
1
=
2
( 100 ω C ) + 1
라고 하였으므로
= 0.015 m
1
=
θ Γ = 2β ( l - z 1 ) - π = 2⋅50π⋅0.015 - π = 0.5 π r ad
(a)
이다.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다.
jθΓ
Γ = |Γ | e
(c)
= 0.75 e
j 0.5 π
1+Γ
1 + j 0.75
2
= 50⋅
= 2 ( 4 + j 3) = 14 + j 48
1-Γ
1 - j 0.75
5 2
(
) -1
3
=
200π f
C=
L
ZL = Zc
앞에서 유도한 관계식에서 f
= j 0.75
식 (7.38) 로부터 부하 임피던스 Z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단말부하 Z 은
(b)
= 2 GHz
4
3
식(7.44b)에서
의 위치는 l z
인접한 두 지점간의 거리 l z l z
여기서 두 지점 간의 거리 △z
-
| I ( z ) | min
( -
2
)-( -
=
×
1
ZL = R +
β=
△z
=
π
0.2
= 5 π r ad/m
=
1
3π
×
10
- 11
10
3π
=
pF/m
1
j 2π f C
= 50 - j
ZL - Zc
ZL + Zc
=
×
1
9
2 π⋅( 2 10 )⋅(
( 50 - j 75) - 50
=
( 50 - j 75) + 50
1
3π
×
10
- 11
= 50 - j 75
Ω
)
- j3
= 0.36 - j 0.48
4- j3
2β
= 0.25 - 0.05 = 0.2
π
Γ=
θ Γ + 2n π
)=
9
200π⋅( 2 10 )
L
Ω
를 만족한다. 따라서 전류가 최소가 되는
△z βπ βπ , 즉 반파장에 해 당된다. 그런데
m 라고 하였으므로
위상상수 β 는 다음과 같다.
2
( 200 π f C ) + 1
일 경우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다.
이므로, 실제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다.
문제 7-18 (a)
Ω
Z in , o
문제 7-19
문제 7-17
jθΓ
식 (7.38) 로부터 부하 임피던스
(c)
Z in , s
-1
θΓ
=
1
이다.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다.
c
Z in , s
을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초
S-1
3-1
=
= 0.5
S+1
3+1
θ Γ = 2β ( l - z 1 ) = 2⋅5π⋅0.05 = 0.5 π r ad
in , s
와 같이 구할 수 있으며,
같이 주어짐을 알 수 있다.
γ=
-
와 Z 를 곱한 후 제곱근을 취하면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 Z 는
Z in , o Z in , s
|Γ |=
로 전류 크기가 최소가 되는 지점 l z
tanh γ l
= Z c tanh γ l
Z c + 0 tanh γ l
in , o
식 (7.46) 으로부터
(b)
Zc
=
Z c + ∞ tanh γ l
을 구한다. 먼저 Z
Zc =
129#
=
2
2
=
문제 7-20
길이 l 인 전송선을 그림 7-29(b)와 같은 2단자 회로망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부하에 걸리는 전압
V
V
V , 부하에 흐르는 전류 I
I 로 간주하여 Z
로 간주하면 된다. 또한
I
V
V
I
, I
로 둘 수 있으므로 이들을 식(7.30a)와 (7.30b)에 대입하면 다음의 두 식을 얻을
수 있다.
L
=
1
=
L
2
( 0)
1
= ( 0)
= -
2
L
= -
2
2
연습문제
V 1 = V( 0) = I L [ Z L cosh γ l + Z c sinh γ l ] = - I 2 [ -
V2
I2
131#
cosh γ l + Z c sinh γ l ]
I 1 = I ( 0) =
Zc
[ Z L sinh γ l + Z c cosh γ l ] =
-I2
Zc
= V2
[-
1
Zc
V2
I2
Z c sinh γ l 
1
1
 Zc


cosh γ l 

sinh γ l
2
=
20
= 32 Ω
12.5
1
4
c
sinh γ l + Z c cosh γ l ]
in
1
4
= 50
Z c 1' =
Z c Z in =
50⋅32 = 40 Ω
문제 7-24
j 이므로 부하와 스터브의 삽입위치 간의 거리 l 인
이 경우 y ZZ
j
인 지점에서 부하를 들여다 본 정규화된 입력 어드미턴스 y 는 다음과 같다.
L
c
=
=
L
100
=150 + 50
in 1
( -VI )
2
y in 1 =
2
y L + j tan β l
=
( 1 - j ) + j tan β l
1 + j ( 1 - j ) tan β l
=
1 - j ( 1 - tan β l )
( 1 + tan β l ) + j tan β l
1 + j y L tan β l
( tan
=
| V( z )| max
| V( z )| min
문제 7-21 (a) S =
(b)
=
|
S-1
9-1
=
= 0.8
S+1
9+1
그리고 부하로부터 cm 떨어진 지점에
점에 V z 라면 다음의 두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5
|
l - z max =
θΓ + π
2β
15 cm
Γ = |Γ | e
(c) Z L = Z c
Z c' =
jθΓ
tan
tan
l=0
이다. 이러한 경우
또는
-2
이다.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l 중에서 가장 작
tan β l = 0
이므로 위에서 구한 y 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in 1
그렇다면 l 이므로 부하에 병렬로 삽입한 동일한 무손실 전송선으로 끝이 단락된 단일 스터브의 길이
d
를 d 라고 하면 단일 스터브의 정규화된 입력 어드미턴스 y 는 식(7.61) 에서 y
, l z
이므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0
= 0.15 m
in 2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다.
- j 0.5 π
= - j 0.8
1+Γ
1 - j 0.8
2
= 41⋅
= ( 5 - j 4) = 9 - j 40
1-Γ
1 + j 0.8
Zc ZL =
=0
=0
y in 1 = 1 - j
Γ = - 0.5π
= 0.8 e
=1
위의 식을 만족하는 해를 구하면 β l
은 값은 바로 β l 의 최소값, 즉
떨어진 지
= 0.05 m
θ Γ + 2π
2β
위의 두 식을 풀면 θ
문제 7-23
이고, 부하로부터
2
βl + 1
2
2
( 1 + tan β l ) + tan β l
tan
( ) | max
l - z min =
문제 7-22
| V ( z ) | min
β l + 1) + j ( tan 2 β l - tan β l - 1)
2
2
( 1 + tan β l ) + tan β l
in 1
먼저 반사계수의 크기 Γ 는 식 (7.46)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Γ |=
2
그런데 임피던스 정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y 의 실수값이 1이어야 하므로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18
= 9
2
|
c1
sinh γ l - I 2 cosh γ l
위의 두 식을 행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VI ) =  1cosh γ l
2
ZL
그런데 두 번째 λ 변환기의 입장에서 보면 앞에서 구한 Z 이 바로 단말 부하에 해당된다. 따라서
Z
λ 변환기의 특성 임피던스 Z 은 다음과 같아
Ω 인 전송선과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두 번째
야 한다.
= V 2 cosh γ l - I 2 Z c sinh γ l
IL
( Z c2)
Z in =
y in 2 =
Ω
1
λ
4
= -j
= ∞
-
=
1
tan β d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50⋅450 = 150 Ω
식(7.59)로부터 부하에 달린 첫 번째
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j tan β d
L
y in 1 + y in 2 = ( 1 - j ) + - j
변환기의 입구에서 부하를 들여다 본 입력 임피던스 Z 은 다
in
같다.
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d=
1
β
⋅ tan
-1
(-1) =
1
=1
tan β d
tan β d = - 1
1
β
⋅
이어야 하는데, 이중 가장 작은 양의 값은 다음과
3π
λ ⋅ 3π = 3
=
4
2π
4
8
λ
문제 7-25 (a) y L =
Zc
ZL
50
=
1
-j
4
=
50 + j 50 3
이고, β l
3
4
연습문제
133#
2π
λ
=
1
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y 을 구할 수 있다.
λ
⋅
4
π
=
2
이를 H 에 관한 식에 대입하면
이므로 이들을 식(7.61)
x
Hx = -
in 1
y L + j tan β l
y in 1 =
1
(
-j
4
=
1 + j y L tan β l
3
π
) + j tan
4
2
=
3
π
) tan
4
2
1
-j
4
1 + j(
3)= -j
3
4
-
=
1
= -j
tan β l 2
이다.
3
2
∂ Hx
∂z
2
1
1
-1
3
λ ⋅π
=
y L + j tan β l 3
(d) y in 3 =
문제 7-26
⋅ tan
2π
=
1 + j y L tan β l 3
6
=
= [
∂
z
∂
-
∂
y
]
∂
x
∂
-
∂
= 1
z
∂
]
+[
∂
y
∂
-
∂E x
∂y
]
ẑ
문제 7-27
y
x
1
∂E z
[
jωμ
∂y
-
∂E y
∂z
∂y
k
= [
∂H z
∂y
-
∂H y
∂z
]
2
2
ω εμ
∂z
+
2
2
1
∂ Hz
2
∂z ∂x
ω εμ
( - γ)
-
k
2
Hx +
2
( - γ)
∂H z
2
∂x
k
이고, 식 (7.75) 로부터
ω 2 ε μ = k2
2
∂ Hz
∂ z ∂x
z
1
2
k +γ
∂E z
[ jωε
2
jωε
∂E z
2
∂y
h
-γ
∂y
-
∂H z
∂H z
2
∂x
v0
1
(
1
a
2
) + (
+
γ
h
TM11
2
2
=
공기로 채운 구형 도파관의
동일한 도파관 내부를 ε
수는 다음과 같다.
y
]
f c, 1 1 =
v
(
2
x
y
)
b
2
1
a
2
r
) + (
1
b
)
2
=
z
y
]
∂x
2
2
2
2
라고 두면 최종적으로
2
= k - k z = kx + k y
Ey =
1
jωε
[
∂z
-
∂x
z
]
Hx
를
인 무손실 유전체로 채울 경우 TM 모드에 대한 차단주파
11
1
v0
εr μr
2
1
10⋅1.6
(
1
2
) + (
a
1
b
)
2
⋅9.2
= 2.3 GHz
x
문제 7-28
f c, m n =
v
2
(
m 2
n
2
) + (
) =
a
b
=
∂H z
이며,
= 9.2 GHz
μ r = 1.6
= 10 ,
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H x
∂x
모드에 대한 차단주파수는 식(7.90)으로부터 다음과 같다.
=
x̂+ [ ∂∂Hz - ∂∂Hx ] ŷ + [ ∂∂Hx - ∂∂Hy ] ẑ
E = j ω ε [ E x̂ + E ŷ + E ẑ ]
x
∂H z
x
∥
jωε
= -γ
2
y
×H
∂ Hx
)]
∂x
을 대입한 것이다. 따라서 양변에 k 을 곱한 후, H 를 모아 정리하면
위의 식에서 E 는 자계에 대한 회전을 취한 식인
∇
1
∂H z
z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H 는 다음과 같이 E 와 E 로 표현된다.
Hx = -
-
앞 식의 우변에서
f c, 1 1 =
H = - j ω μ [ H x̂ + H ŷ + H ẑ ]
x
∂E z
Hx =
∥
-jωμ
∂H x
∂
1
[
(
∂z
jωε
∂z
2
1 + j tan β l 3
∂
jωμ
1
+
과 같다. 표현의 편의상 h k γ
식 (7.81c)와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 j tan β l 3
+[
∂y
2
Hx =
1
λ
12
먼저 Maxwell 방정식 중에서 전계에 대한 회전을 취한 식으로부터
E
E
E
×E
x̂ Ez
ŷ Ex
y
z
x
∇
2
= γ Hx
2
β
∂E z
2
jωε
in 2
위의 식으로부터 단일 스터브의 길이 l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l2 =
jωε
ω εμ
=
2
1
= -j
j tan β l 2
y in 2 =
=
3
끝이 단락된 스터브를 그 스터브의 접합부에서 들여다 본 정규화된 입력 어드미턴스 y
l 이므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는 식(7.61) 에서 y
, l z
= ∞
∂y
3
(c)
L
∂E z
1
1
-j
4
= 1+j
(b) y in 2 = 1 - y in 2 = 1 - ( 1 + j
1
jωμ
1
v0
εrμr
2
1
3 10
2
×
4⋅1
×
= 1.5 10
(
9
2
m 2
n
2
) + (
)
a
b
8
(
m + 4n
m
0.05
2
2
) + (
n
0.025
)
2
연습문제
2
2
m + 4n
= 1.5
135#
GHz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TM 모드의 개수는
m
n
또는 m n
을 만족하는 자연수 만으로 구성된 m n 의 개수를 의미한다. 위의 부등식을 만족
하는 해는
,
,
,
,
,
,
,
,
으
로
총 9개의 모드가 가능하다.
(b)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TM 모드 중에서 차단주파수가 제일 높은 모드는 (a)의 9개 중에서
, 즉 TM 모드이다.
(a)
2
1.5
2
+4
2
< 9
2
+4
(
( 1, 1)
( 4, 2)
( 2, 1 )
( 3, 1 )
( 4, 1)
문제 7-30
< 36
식 (7.96) 으로부터 TE
f c, m n =
, )
( 5, 1)
( 1, 2)
( 2, 2)
( 3, 2)
v
mn
모드의 차단주파수 f
×
m 2
n
2
(
) + (
) =
a
b
2
3 10
2
( 4, 2)
42
c, m n
을 구하면
8
(
m
2
) + (
0.05
2
2
2
2
=
9 m + 25 n
=
9 m + 25 n
×
10
이므로 TM 모드이고, 여기서 m 과 n 은 식(7.83a)과 (7.83b)로부터 각각 다음
이 구할 수 있다.
(a) E z ≠ 0
mn
m = kx
n = ky
a
0.1
= 40π⋅
π
b
0.025
π
GHz
= 4.5
r
v0
v=
= 2
=
εr μr
×
3 10
8
4.5⋅2
= 10
8
m /s
이다.
f
따라
v
2
4
(
a
2
) + (
3
b
)
2
10
2
=
8
(
2
2
=
(
(
2π f
v
2
2
9
2
×
2 π⋅( 6.5 10 )
10
8
2
2
) - ( 40π ) - ( 120 π )
2
식(7.94)로부터 TM 모드의 고유 임피던스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43
)
= η
η (4TM
3
1- (
f c, 4 3
f
)
=
μr
η
εr 0
=
2
⋅120 π⋅
4.5
2
= 80π⋅
3
13
240π
13
Ω
=
=0
일 경우 :
100
10
=
> m
9
3
이므로 m
= 1, 2, 3
②n
=1
일 경우 :
75
= 2.88 > m
9
이므로 m
= 0, 1, 2
0
=0>
9
(a)
10
1
=
2
3 10
2
8
⋅
1
9
= 3 10 = 3
0.05
c, 2 0
=
c, 0 1
=
2
2
1
2
8
=
3 10
2
3 10
2
8
=
01
2
9
⋅
= 6 10 = 6
0.05
⋅
1
9
= 7.5 10 = 7.5
0.02
20
= 30π r ad/m
(d)
①n
20
) - k x - ky
9
2
이 주어질 때 위의 부등식을 만족하는 m 을 구해보면
c, 1 0 =
= 2 10 GHz
2
2
기본 모드는 당연히 TE 모드이다.
v
×
×
GHz
(b) f
a
(c) 두 번째 고차 모드의 후보로는 TE 과 TE 의 두 모드가 있으므로 차단주파수를 구하면
v
×
f
×
GHz
a
v
×
f
×
GHz
b
이다. 따라서 두 번째 고차 모드는 TE 모드이다.
GHz
(d) 기본 모드만이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사용 주파수는 기본 모드의 차단 주파수 f
GHz 보다는 낮으면 된다. 따라서
보다는 높고, 두 번째 고차 모드의 차단주파수 f
다음과
같은 주파수 범위를 가지면 된다.
문제 7-31
⋅40 10
×
k - kx - k y =
2
= 10 = 100 > 9 m + 25 n
4
3
2
2
) + (
)
0.1
0.025
8
= 2 10 10
(c) β =
2
=2
10
2
=
이 사용 주
다음을
m 이므로 없음
③ n 일 경우 :
과 같다. 결국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TE 모드는 총 6개이다.
43
f c, 4 3 =
c, m n
,
n
43
r
= 10
=3
따라서 TM 모드이다.
(b) 여기서
ε
,
μ
이므로
서 TM 모드의 차단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2
로 주어진다. TE 모드가 감쇠없이 도파관을 전파하려면 차단주파수 f
GHz 보다 작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주파수를 GHz 단위로 나타낼 경우
파수 f
만족하는 자연수 m n 을 구하면 된다.
=4
π
= 120π⋅
π
과같
)
9
mn
문제 7-29
n
0.03
1- (
f c, 4 3
f
)
2
c .1 0
c .2 0
= 6
3 GHz < f < 6 GHz
2 10 2
1-(
)
6.5
문제 7-32
공기가 채워진 단면 크기가 a×b 인 구형 도파관에서는
v
×
f
× Hz
a
a
c, 1 0
=
1
2
=
3 10
2
8
1
= 5 10
9
= 3
137#
연습문제
f c, 0 2 =
v
2
2
b
×
3 10
2
=
이다. 이들을 풀면 a
8
⋅
×
2
= 15 10
b
9
12.3
이다. 즉, 단면 크기는
= 0.03 m , b = 0.02 m
3 cm
2
mn
m = kx
n = ky
a
0.1
= 20π⋅
π
b
= 40 π⋅
π
2
0.025
과 같이
=1
π
따라서 TE 모드이다.
(b) 공기로 채워진 구형 도파관에서 TE 모드의 차단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21
21
f c, 2 1 =
v
(
2
2
a
2
) + (
1
)
b
2
×
3 10
2
=
×
3 10
2
=
8
(
2
1
2
2
) + (
)
0.1
0.025
⋅20 5
×
(c) β =
2
2
k - kx - k y =
=
(
(
2π f
v
2
2
×
×
3 10
2
2
) - ( 20π ) - ( 40 π )
8
c , 11
2
식(7.101)로부터 TE 모드의 고유 임피던스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1- (
f c, 2 1
f
2
1- (
= 180π
식 (7.96) 으로부터 TM 과 TE
mn
f c, m n =
(a) TM m n
v
2
(
1
= 120 π⋅
)
= 120 π⋅
문제 7-34
c , 20
21
)
= η
η (2TE
1
mn
3 10
2
3 5 2
)
9
<
16.81 - 1 = 3.97
= 1, 2, 3
=2
<
16.81 - 4 = 3.58
= 1, 2, 3
=3
<
16.81 - 9 = 2.79
= 1, 2
=4
<
16.81 - 16 = 0.9
=0
<
16.81 = 4.1
= 1, 2, 3, 4
=0
<
16.81 = 4.1
= 1, 2, 3, 4
3 10
2
8
=
8
=
3 10
2
= 3
(
1
2
) +(
1
)
2
= 10
10
c , 10
Ω
8
(
2
2
2
2
= 3
m +n
= 3
m +n
2
10
= 10
3
10
3
2
모드의 차단주파수 f
×
m
m 2
n
2
) + (
) =
a
b
=1
20
= 40π r ad/m
(d))
이 주어질 때 위의 부등식을 만족하는 m 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n 일 경우 : m
이므로 m
② n 일 경우 : m
이므로 m
③ n 일 경우 : m
이므로 m
④ n 일 경우 : m
이므로 없음
결국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TM 모드는 총 8개이다
(b) 감쇄없이 전파되는 TE
모드는 앞의 (a)에서 구한 8개의 모두 이외에 다음의 두 경우가
더 있다.
① n 일 경우 : m
이므로 m
② m 일 경우 : n
이므로 n
따라서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TE 모드는 총 16개이다.
(c) 감쇠없이 전파가능한 모드는 8개의 TM 모드와 16개의 TE 모드를 합한 총 24개이다.
n
식(7.90)으로부터 단면의 크기가 a×b 인 구형 도파관의 내부가 공기로 채워져 있을 경우
모드의 차단주파수는
×
f
Hz
a
b
이고, 또한 이 경우 TE 모드의 차단주파수도 다음과 같이 동일하다.
×
f
Hz
a
따라서 위의 두 식으로부터 a 와 b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b
cm ×
cm
(b) 이 경우 기본 모드는 TE 모드로서 차단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v
×
f
×
GHz
a
) - kx - ky
2 π⋅ ( 9 10 )
12.3 2
) = 16.81
3
문제 7-35 (a)
2
9
2
) = (
9
= 3 5 GHz
2
f
3
mn
8
= 3 5 10
2
m +n < (
=2
π
다음을
,
× cm 이다.
이므로 TE 모드이고, 여기서 m 과 n 은 식(7.83a)과 (7.83b)로부터 각각 다음
구할 수 있다.
문제 7-33 (a) H z ≠ 0
GHz 보다 작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주파수를 GHz 단위로 나타낼 경우
만족하는 자연수 m n 을 구하면 된다.
Hz
0.05
×
10
c, m n
2
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n
0.05
)
2
9
GHz
모드가 감쇠없이 도파관을 전파하려면 차단주파수 f
c, m n
이 사용 주파수 f
=
=
1
2
=
3 10
2
8
1
9
= 5 10 = 5
0.03
TM11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