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권도훈

평가도구 뽀개기

advertisement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J
q 9-hole pegboard
- 목적: 직장이나 작업현장 수작업 능력 평가
Hand Function test
눈-손협응, 손가락 민첩성 평가
q Box & Block
- 대상: 손 기능 손상 환자
- 목적: 대동작 민첩성 측정 및 장애인 직업 전 평가
- 구성: 9개의 홈이 파진 정사각형 모양의 나무 상자, 원기둥모양 페그9개,
- 대상: 협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환자,(성인,아동)
초시계
- 구성: 박스, 2.5cm의 정육면체 나무토막 150개 초시계
- 평가방법
- 평가방법
: 연습없이 우세손부터 검사
: 우세손부터 시행 연습은 15초, 제한시간 1분
평가도구는 대상자 앞 중앙에 놓고 페그 담는 용기는 평가하는 손 앞
앉은 자세에서 평가, 손가락이 칸막이를 넘어가도록 지시
페그보드는 평가하지 않는 손 앞에 위치 시킴
가능한 빨리 하도록 독려, 한번에 한 개씩 수행
5분동안 시행
던지지 않도록 하며 던질 경우 점수에서 제외
시작: 페그를 집는 순간, 종료: 페그를 다 떼는 순간
떨어뜨린 개수는 감점하지 않음
q Purdue pegboard
- 목적: 환자의 손가락, 손, 대동작과 미세한 손 끝 민첩성 평가,근로자선별
q Grooved pegboard
- 대상: 5세 이상 아동과 성인
- 목적: 시지각 협응수준, 손의 기민성, 산업체 근로자 선별
- 구성: 페그보드, 핀, 워셔, 컬러, 초시계
- 대상: 5이상의 아동과 성인
- 평가방법
- 구성: 페그보드 판, 페그, 초시계
: 우세손(30초), 비우세손(30초), 양손(30초), 조립(60초)
- 평가방법
우세손부터 검사전 시범을 보이고 3~4개 가량 연습
: 연습 없이 우세손부터 시행, 페그 컵이 위로 가도록 위치
오른손 왼손 양손의 점수를 합산 조립은 부속품 낱개 순
한번에 한 개씩, 한 줄만 시범을 보임, 5분안에 평가
조립과정= 핀→워셔→컬러→워셔
*아동(5~8세): 10개의 페그(2줄)를 끼우도록 함
우세손이 오른손일 경우 핀(25) 워셔(40) 컬러(20) 핀(25)개씩 놓음
*성인: 25개(5줄)
- 점수화: 전체시간 + 떨어뜨린 수 + 맞게꼽은 페그 수
1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q O'connor Finger Dexterity
q Manual Function Test (MFT)
- 목적: 뇌졸중 환자의 조기 재활을 위해 신경학적 회복 시기 중
상지 운동기능의 변화를 측정 및 기록
- 대상: 뇌졸중 환자
- 구성: 각도계, 공, 바늘, 연필, CC보드, 입방체, 페그보드, 페그 초시계
- 검사: 상지운동, 장악력, 손가락조작= 32개 항목
- 목적: 손의 조작능력, 작은 물체를 집어서 넣는 동작
산업체 근로자 (섬세한 작업) 할수 있는지 여부 평가
- 대상: 성인
- 구성: 검사판 (100개의 구멍), 핀, 초시계
- 검사방법
§
: 앉은자세에서 연습(1줄,30개) 후 평가
각 구멍에 핀을 3개까지 넣을 수 있고 연습은 30개의 핀으로
§
첫 번째 5줄을 채운 시간, 두 번째 다섯줄을 채운 시간
q O'connor Tweezer Dexterity
- 목적: 핀셋을 이용해 좀더 세밀한 눈과 손의 협응 평가
§
- 대상: 14세 이상의 남,여
1
2
3
4
검사자는 환자와 마주보고 안장 측정, 평가도구는 우세손 측
1
2
3
2
손이 몸 옆을 지나고 손
일부가 같은 쪽 등 옆에
닿은 경우
3
손가락, 손등이 척주까지 닿음
4
MP가 척주를 지나는 경우
손바닥을 척주에 완전히
붙일 수 있는 경우
2
1
2
3
4
손바닥을 아래로
1-2개
3-4개
5-6개
7-8개
향하게 팔꿈치를
공 놓을 수 있는 경우
공을 쥔 상태에서
스스로 놓을 수 있음
책상 위에 놓여진 공을
스스로 잡고 들어
올렸다 놓을 수
있는 경우
손바닥 등에 닿기
어깨관절 폄 조금이라도
나타남
입방체옮기기
들어 올렸을 때
어깨관절 벌림, 팔꿈치관절
굽힘 중 어떠한 움직임이라도
나타날 경우
손이 칼돌기 보다 위
손 일부가 머리 뒤, 귀 앞쪽
닿는 경우
손바닥을 머리 뒤에
완전히 붙임
1
§
지속적으로 쥐고,
손바닥 뒷머리에 닿기
4
§
쥐기
공을 쥐어 줬을 때
45도 미만
45-90도
90-135도
135도 이상
3
: 앉은자세에서 연습 (1줄,10개) 후, 평가
§
상지 옆으로 올리기
2
- 검사방법
한 구멍당 핀 1개를 넣어야 하고 측정은 구멍모두 채운 시간
45도 미만
45-90도
90-135도
135도 이상
1
- 구성: 검사판 (100개의 구멍), 핀, 핀셋
③ 손가락 조작
상지 앞으로 올리기
1
2
3
4
검사자는 환자와 마주보고 앉아 측정, 평가도구는 우세손측
가장 윗줄 10개의 구멍을 채움= 연습
② 장악력
① 상지 운동
§
집기
1
2
3
연필을 집어 올림
동전 집어 올림
바늘 집어 올림
§
페그보드
1
2
3
4
5
6
1-3개
4-6개
7-9개
10-12개
13-15개
16개
이상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q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
q Grip & Pinch Strength
- 목적: Grip과 pinch의 근력을 측정
- 대상: 모든 연령
- 도구: JAMAR
- 도구의 위치: 측정시마다 바뀜
- 자세
: 등받이 의자에 기대지 않고 발이 땅에 얹으며
shoulder Jt. add, elbow 90도 flexion, forearm 중립
wrist 0-30도 dorsl flexion, 0-15도 radial deviation
- 검사방법
: 총 3회 실시후 평균값을 기록
Grip: 위치선정→0점조정→자세교육→지시→결과기록→반대쪽 측정
Pinch
1. Tip pinch: 검지가 위 엄지가 아래로 위치하도록해 손끝으로 잡음
2. Lateral pinch: 검지측면이 아래로 엄지가 위로 위치 열쇠잡듯이
3. Three point: 엄지 밑으로 검지 중지는 위로해 세 손가락으로 잡음
q Minnesota manual dexterity (MMDT)
- 목적: 눈손 협응, 민첩성, 대동작 운동기술
- 대상: 13세 이상
- 구성: 검사판 60개의 디스크, 초시계, 기록지
- 검사방법
- 목적: 일상생활에서 손사용 능력을 평가
- 대상: 아동과 성인의 손기능 장애 환자
- 구성: 클립보드, 펜, 문장이 적힌 카드, 초시계, 하얀종이, 5장의 카드,
클립, 병뚜껑, 미국동전, 강낭콩 5개, Clamp board, 속이빈깡통
티스푼, 빨간색 장기말, 가벼운깡통 5개, 무거운깡통 5개
- 검사방법
: 7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짐, 비우세손부터 먼저 시행
1) 짧은 문장쓰기
2) 3X5인치 카드 뒤집기 (왼손일 경우 가장 오른쪽카드부터)
3) 작은 물건 잡아서 깡통에 넣기
4) 먹는 흉내내기
: 빈깡통 중앙에 두고 간격을 두고 클럼프보드위에 올린 강낭콩을
티스푼으로 들어서 넣음
5) 장기말 쌓기
: 장기말 4개를 쌓아 올림
6) 크고 가벼운 깡통 옮기기
: 선 자세에서 실시, 시범→1회연습→본 검사 실시
7) 크고 무거운 깡통 옮기기
시범을 보일때는 피검자의 입장에서 방향과 위치를 설명함
시작은항상 오른쪽부터함
1) 옮겨놓기 검사
2) 뒤집기 검사 1,3번째줄은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으로 뒤집음
2,4번재줄은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으로 뒤집음
3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시각, 인지 평가도구
q LOTCA
① 장소에 대한 지남력
(OP)
② 시간에 대한 지남력
(OT)
③ 물체인식 (OI)
카드와 책자를 보고
이름 말하기
§
§
§
§
2점 : 정확한 대답
1점 : 선택형 문항 주어질 때
최고 8점
최저 1점
§
§
§
4점 : 8개 (구두)
3점 : 7-4개 (구두)
2점 : 8-5개
(평가책/동일그림)
1점 : 4-0개
(평가책/동일그림)
§
④ 모양인식 (SI)
8개 도형가드 봉주고
이름 묻기
§
§
§
§
⑤ 겹쳐진 그림 (OF)
⑥ 물체 항상성 (OC)
⑦ 클라이언트의 신체
방향
세 개의 겹쳐진 그림
카드에서 그림찾기
다양한 각도에서의
그림보고 사물이름 말하기
오른손 보여주세요
왼쪽 다리를 보여주세요
오른손으로 왼쪽 귀
잡아보세요
왼손을 오른쪽 다리 위에
올려보세요
§
§
§
§
§
§
§
§
§
§
§
4점
3점
2점
1점
:
:
:
:
:
:
:
:
§
§
§
각 항목 당 1점
최고 : 4점
최저 : 1점
테이블 앞에 앉은
남자 사진을 보고
질문하기
§
§
§
각 항목 당 1점
최고 : 4점
최저 : 1점
⑩ 운동 모방
평가자와 피검사자
마주보고 따라하게 시킴
§
§
§
각 항목 당 1점
최고 : 4점
최저 : 1점
⑪ 물체 활용
빗, 가위와 종이,
편지봉투와 종이,
지우개 달린 연필 놓고
사용방법 보여달라고 지시
§
§
§
각 항목 당 1점
최고 : 4점
최저 : 1점
⑫ 상징 행동
칫솔질을 할 때 어떻게
하죠? 흉내내주세요
열쇠로 문을 열 때
어떻게 하죠?
칼로 빵 자를 때는?
전화는 어떻게 사용?
§
§
§
각 항목 당 1점
최고 : 4점
최저 : 1점
⑬ 도형 보고 그리기
연필과 종이 제시하고
5개 그림 똑같이
그리게 함 (원, 삼각형,
다이아몬드, 정육면체 등)
* 시간측정
§
§
§
§
4점
3점
2점
1점
⑭ 2차원 모형 만들기
이차원 그림 보여주고
옆에 똑같이 만들게 함
* 시간측정
§
§
4점 : 그림 옆에 맞춤
3점 : 그림 옆에서 실패·수정 거치며
완성
2점 : 그림 위에 맞춤
1점 : 완성하지 못함
⑧ 클라이언트 근거리
내 물건 사이의
공간관계
⑨ 그림에서의 공간
관계
4점 : 8개 (구두)
3점 : 7-4개 (구두)
2점 : 8-5개
(평가책/동일그림)
1점 : 4-0개
(평가책/동일그림)
4점
3점
2점
1점
문은 환자의
어느 쪽에 있습니까?
창문은 환자의
어느 쪽에 있나요?
저는 환자의
어느쪽에 있나요?
시계는 환자의
어느쪽에 있나요?
6개
5-4개 / 6
5-3개 (평가책)
2-0개
4개 /
3개 /
2개 /
1-0개
4
3
2
/ 1-0
각 항목 당 1점
최고 : 4점
최저 : 1점
4
§
§
: 5개 그림
: 4개
: 3-2개
1-0개
201446022 윤성은
⑮ 패그보드 구성하기
⑯ 색깔 적목 이용한
만들기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패그와 패그보드,
삼각형 디자인 책자를
보고 똑같이 만들기
* 시간측정
책자를 보고 색깔
적목으로 똑같이 만들기
* 시간측정
§
§
§
§
§
§
§
§
⑲ 시계 그리기
4점 : 완벽히 수행
3점 : 모양은 정확하나 줄 배열 다름
2점 : 수직선과 수평선만 완성하고 사
선 완성 못함
1점 : 전혀 수행 못함
연필과 원 그려진 종이
제시하고 10:15분 표시
* 시간측정
§
§
§
§
4점 : 완벽히 수행
3점 : 높이·깊이만 고려
2점 : 높이·깊이 고려 못하여 편평하게
쌓거나 부분적 단층으로 쌓음
1점 : 전혀 수행 못함
⑳ 분류하기
14장 카드 제시한 후
그룹으로 나누어 보도록함
여러 그룹 만들고
말하게 시킴
㉑ 비구조화된 ROC
3가지 색깔과 모양 조각
18개를 무작위로 제시
비슷한 것 까리 나누어
보도록 함
기준을 말하고 다른
기준으로 또 나누게 함
§
§
§
§
§
5점 : 완벽히 수행하고 기준도 말함
4점 : 도움 없이 수행하나 기준 말 못
함
3점 : 2개 분류 그룹 도움 받아 수행
2점 : 부분적으로 그룹 만듦
1점 : 전혀 수행 못함
5점 : 두 가지 이상 기준 동시에 분류
(색깔과 모양)
4점 : 하나 기준 분류하고 이후 다른
기준 따라 분류 (색깔→모양)
3점 : 하나 기준으로 분류 (행이나 열)
2점 : 한 가지 기준 불완전 분류
1점 : 똑같은 것끼리 짝짓거나 그림을
만듦
5점 : 처음부터 한 번에 2개 이상 기
준 동시에 분류
4점 : 도움 준 후 두 번째 시도에서
분류
3점 : 한가지기준 분류
2점 : 한가지기준 불완전 분류
1점 : 똑같은 것끼리 짝짓거나 그림
만듦
4점 : 정확히 수행
3점 : 이야기 할 수 있으나 순서 정확
하지 않음
2점 : 몇 개 카드만 이용하고 전체 순
서 인식 못함
1점 : 전혀 수행 못함
4점 : 정확히 수행
3점 : 시행착오 시 수행
2점 : 하나만 정확히 그림
1점 : 전혀 수행 못함
§
§
§
각 항목당 1점
최고 : 4점
최하 : 1점
§
§
§
§
§
§
§
§
§
§
§
㉒ 구조화된 ROC
⑰ 무색 적목 이용한
만들기
⑱ 퍼즐 맞추기
책자를 보고 몇 개의
적목이 필요한지 질문
무색 적목 10개와
책자를 제시하고 만들게 함
* 시간측정
9개 퍼즐 조작과 나비모양
보여주고 맞추게 함
* 시간측정
§
§
§
§
§
§
§
§
4점 : 완벽히 수행
3점 : 높이·깊이만 고려
2점 : 높이·깊이 고려 못하여 편평하게
쌓거나 부분적 단층으로 쌓음
1점 : 전혀 수행 못함
4점 :
3점 :
2점 :
부만)
1점 :
㉓ 그림 순서 맞추기
완벽히 수행
실수·교정해 완성
중앙 수직선 세 조작만 완성(일
§
전혀 수행 못함
5
분류를 제시한 후(1쌍)
같은 방법으로 시킴
그림 카드를 순서 맞게
배열 후 내용 말하기
연필과 도형 그려진 책자를
제시하고 다음 들어갈
㉔ 도형 순서
그림을 두 개 이상
그리도록 함
철수는 1930년에 태어났다.
철수가 35세 되는 해는 언
㉕ 논리적 질문
제인가?
질문 4개
LOTCA - G 와 차이점 : 기억력 추가
4점 : 완벽히 수행
3점 : 숫자는 정확하나 시간 표시가
틀림(반대)
2점 : 전체 윤관은 그리나 정확히 조
직화 되지 못함
1점 : 전혀 수행 못함
§
§
§
§
§
§
§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q NCSE
q Unilateral Neglect Test
- 목적: 인지장애 여부 판단
1. Line Bisection
- 대상: 인지장애를 가진 성인, 노인
: 맨 윗줄과 마지막 줄에 중앙에 선을 긋는 것을 시범
- 점수화: 의식수준과 언어유창성 제외한 10개항목
환자에게 2등분의 선을 그리도록 한다 90초간 수행
- 선별과측정: 의식수준, 언어유창성, 지남력, 기억력을 제외한 8개항목
표시는 한 개만 해야한다고 알려줌, 단서를 주지 않음
*가산점 부여: 노인군(60세이상): 구성능력 +1점, 기억력 +2점
모든 선을 다 표시했는지 물어봄
저 학력군(초등학교 이하): 구성능력, 계산, 유사성항목에 +1
2. Albert Test
- 항목: 의식수준, 지남력, 주의집중, 언어, 구성능력, 기억력, 계산능력,논리
: 1인치의 40개 선으로 구성, 가운데 선 4개중 2개를 시범보임
- 장점: 민감성이 높음
(중앙의 4개의 선은 점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 단점: 우울증을 측정할수 없고 질문형이라 언어장애시 검사 어려움
보이는 모든 줄을 2등분 선을 그리도록 하고 모든선을 다 표시
q MVPT-3
했는지 물어본다.
- 목적: 운동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시지각 이상을 평가
3. Cancellation Test
- 대상: 4세~95세 성인
: 작은 별들에 사선을 긋거나 표시하도록 한다.
- 평가방법
* Glasgow Coma Scale (GCS)
: 25분의 검사시간이 소요
작업치료사, 교사, 상담사등 평가를 위하는 사람 모두 사용가능
눈뜨기
자발적
언어
통증
환자 상태에 따라 횟수를 나누어 평가 가능
피검자의 반응을 촉진하는 것은 괜찮지만 ‘맞다,틀리다’피드백은 안됨
MVPT
MVPT
항목수
(아동)
36
대상
4~8세
(성인)
36
뇌손상환자
특징
19~90
편측무시여부
를 판별
MVPT-R
MVPT-V
MVPT-3
40
36
편측무시
65
4~11,성인
55세이상
편측무시환자의
언어반응
언어
명령
4~94세
시지각 평가
운동반응
통증
자신이 눈을 뜬다
큰 소리로 말할 때 눈을 뜬다
꼬집을 때 눈 뜬다.
눈 뜨지 못한다.
대화를 적당히 계속하고 검사자가 어디에 있는지
누구인지 그리고 달과 년을 말한다.
혼동되어 지각이 없어 보인다.
검사자와 이야기를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만 감각이 없다.
소리를 내지만 검사자는 이해할 수 없다.
소리조차 내지 못한다.
간단한 명령을 따른다.
검사자가 꼬집을 때 검사자의 손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체부위를 당긴다.
검사자가 환자를 꼬집을 때 벗어나기 위해 특정
신체부위를 당긴다.
통증에 대해 적절치 않게 몸을 구부린다.
(나무껍질 벗겨지는 자세)
검사자가 환자를 꼬집었을 때 신전 자세에서
몸이 강직 된다. (생각과 부합되지 않는 자세)
꼬집었을 때 운동반응이 없다.
6
4
3
2
1
5
4
3
2
1
6
5
4
3
2
1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ADL, IADL 평가도구
q Modified Barthel Index (MBI)
목적: 일상생활 자립정도를 측정
대상: 만성질환을 가진 성인
평가방법: 의존의 정도를 5가지 수준으로 측정
(완전독립, 약간도움, 중간도움, 많은도움, 완전의존)
각 항목 점수는 기능 차이에 따라 점수 측정
평가결과는 각 항목의 합, 완전의존시 0점, 완전 독립시 100점
*휠체어일 경우 90점
- 개인위생 목욕하기 휠체어(의자차) 0~5점
- 식사하기 용변처리 계단오르기 옷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0~10점
- 보행 의자/침대이동 0~15점
q SCIM
목적: 척수손상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 평가
방법: 관찰과 면접을 통해 17가지 항목을 평가함 0점부터 시작
q COPM
- 특징: ADL, IADL을 모두 평가 할 수있다.
클라이언트가 직접 평가하는 자가평가 도구
수행도와 만족도의 점수가 다를 수 있다
- 대상: 7세이상의 모든 클라이언트
- 평가단계 : 1단계- 문제 파악
2단계- 우선순위
3단계- 점수화
4단계- 재평가
- 평가방법: 면담을 통해 문제점 파악후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정함
10점척도(VAS) 사용해 평가함
작업치료를 받기전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함
- 재평가: 작업치료를 받은 후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
- 점수계산: 재평가점수-초기평가점수
q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장애를 측정하고자 개발
- 의사소통과 인지기능 측면에서 포괄적 내용
- 대상: 재활치료를 하는 모든 성인
- 방법 :직접적인 관찰과 면담을 통해 과제수행에 필요한 도움의 양과 형태 기준 점수줌
식사
3
목욕 : 비누칠하기, 수도꼭지 조작, 물로 씻어내기
6
옷 입고 벗기 : 옷 준비, 상의 및 하의 입기, 옷 벗기
8
몸 단장하기, 손과 얼굴 씻기, 양치질, 빗질, 화장·면도
3
호흡
10
호흡과
괄약근 조절 (배뇨)
15
괄약근 조절
괄약근 조절 (배변)
10
용변처리와 화장실 사용
5
침상이동과 욕창방지를 위한 동작
6
침대 - 휠체어 옮겨 앉기
2
휠체어 - 변기 - 욕조 옮겨 앉기
2
실내이동 : 10M 이내
8
중등도 거리 이동 : 10-100M
8
실외이동 : 100M 이상
8
계단오르내리기
3
휠체어 - 자동차 옮겨 앉기
2
바닥 - 휠체어 옮겨 앉기
1
자조관리
- 평가 시기
1. 입원시: 입원후 3일 이내
2. 퇴원시: 퇴원전 3일 이내
3. 사후관리 시: 퇴원 후 80-180일이내
- 평가 영역: 6개영역, 18개 항목
- 점수척도: 7점척도, 최소 18-최고 126점
*외상입을 우려가 있음, 환자가 활동을 하려하지 않음, 2사람의 도움=1점
보장구 사용할 경우 모두 5점
- FIM 점수기준
독립수행
(보조 없음)
완전독립
부분독립
부분의존
의존
(보조 필요)
완전의존
7
6
4
보조도구 안전장치 필요없음, 적절한 시간에 수행
보조도구 안정장치 필요, 시간지연 없음
신체적 접촉은 없지만 단서나 격려가 필요
필요한 물품 준비, 보조기 착용을 해줄 경우
신체적 도움이 필요하나 75%이상 독립적 수행
3
과제의 50~74% 수행이 가능
2
과제의 25~49% 수행이 가능
25%미만의 수행이 가능 2명의 도움이 필요
환자 스스로가 못할 경우
5
1
이동성
7
20
40
40
201446022 윤성은
국시합격 평가도구 뽀개기
* Ranchos Los Amigos Scale
level Ⅰ 무반응
level Ⅱ 일반적 반응
level Ⅲ 부분적 반응
level Ⅳ 혼란-흥분된 반응
level Ⅴ 혼란-부적절한 반응
level Ⅵ 혼란-적절한 반응
level Ⅶ 자동적-적절한 반응
level Ⅷ 목적적-적절한 반응
(준비보조)
§
어떠한 자극에도 반응이 없음
§
§
환자는 깊은 잠에 빠진 것처럼 보임
자극에 대해 특정하지 않고, 지속적이지 않으며 목적 없는 반응
§
§
종종 최초의 반응은 깊은 통증이며 반응이 지연 될 수 있음
자극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응하나 지속적이지 않거나 지연됨
§
비일관되고 자연된 방식으로 간단한 명령은 따를 수 있음
§
비위관 혹은 도뇨관 혹은 제한물을 뽑아서 불편에 반응
§
§
가족, 친구에게는 반응을 보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반응이 없음
약간의 혼란스러움이 느낄 수 있고, 다소 과장할 수 있음
§
§
소리를 지르며 공격적 행동을 보이며 제한물이나 튜브를 제거하려 함
단순명령 반응하나 좀 더 복잡한 지시에는 혼란스러워 하거나 주위 산만함
§
짧은 시간동안 대화가 가능할 수 있음
§
과제가 구조화될 때 과제를 수행할 수 있지만 새로운 정보 습득은 어려움
§
§
감독하에 식사 가능
목적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나 cue가 필요함
§ 최근 기억보다 과거 기억을 더 깊고 상세하게 갖음
§
자신의 상황 인식하기 시작
§
자신, 가족, 기본욕구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
§
일과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나 로봇처럼 반응
§
판단과 문제해결 부족함
§
유사한 과제에 적절하게 반응
§
통찰력과 수정된 계획에서 도움 필요함
§ 과거와 최근의 사안들을 회상하고 조합
§
§
level Ⅸ 목적적-적절한 반응
(요구하면 준비)
level Ⅹ 목적적-적절한 반응
(수정하면 독립적)
운전을 포함한 가정과 지역사회 기술에 있어 독립적
유사한 자극에 더 효과적으로 반응하나 일반적으로 문제를 예상하는 것과 수행을 할 때는 cue가 필요하며 장해물에 대한 참
는 능력이 낮음
§
할 일 리스트를 회상하여 보조 기억도구 사용
§
과제 수행위해 단계 추진하고 실행
§
의사결정 혹은 행동 결과에 대해 사고 가능
§
다양한 과제에 적절하게 반응하나 좀 더 시간이 걸리거나 쉬는 시간이 필요하고, 독립적으로 인지적 보상전략을 사용하고 과
제를 필요에 따라 해결함
8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