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권도훈

재활치료학 국시대비4

advertisement
동남보건대 작업치료과 3학년
재활치료학
3교시 대비 문제풀이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뇌성마비
Cerebral palsy
목차
1.
2.
3.
4.
5.
6.
7.
8.
정의
발생빈도
원인
분류/행동특성
동반증상
예후
평가
치료
출처
아동작업치료 개정판 351-369p
아동작업치료학 8판 929p
1. 정의
 출생 전, 출생 시 또는 출생 후의 미성숙한 뇌의 비 진행성 손상으로 인한 운동장애로 근긴장도
및 자세조절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아동기 뇌병변 장애이다.
2. 발생빈도




전체 인구 중 약 0.15%~0.2%
인구 1000명 당 약 1.4~2.4명의 뇌성마비 아동이 출생(미국 CDC)
남녀 출생비 1.5 : 1 현저한 차이 없음
뇌성마비의 80%는 경직형 뇌성마비로 진단
3. 원인
출산 전
①
②
③
④
⑤
⑥
유전적 이상
모체 감염
스트레스
영양실조
약물노출
임신성 고혈압
모성 건강요인
출산 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허혈성 저산소증
기도 폐색
조산
뇌출혈
전치태반
둔위분만
겸자분만
저체중 출산
출산 후
①
②
③
④
⑤
⑥
치료되지 않은 중증활달
감염(뇌수막염, 뇌염)
뇌혈관 색전 및 출혈
사고로 인한 무산소증
수두증
모유수유에 의한 약물 및
알코올
연구에 따르면 70~80%가 출생 전 태아기에서 발생.
4. 분류 / 행동특성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2)
사지의 마비 부위에 따른 분류
①
경직형 (spastic)
①
단마비 (monoplegia)
②
무정위형 (athetoid)
②
양하지마비 (diplegia)
③
운동실조형 (ataxic)
③
편마비 (hemiplegia)
④
이완형 (flaccidity)
④
삼지마비 (triplegia)
⑤
사지마비 (quadriplegia)
3)
장애의 정도에 따른 분류
①
경도 (mild)
②
중등도 (moderate)
③
중도 (severe)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1) 경직형 (spastic)
 뇌성마비의 80%
 대뇌 피질 손상
 수동 저항 시 근 긴장 증가
 상지 굴곡, 하지 폄 현상이 나타남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➀ 중증 경직형 (Severe spastic)
 수면 , 휴식시에도 근긴장의 증가가 지속됨
 근위부가 원위부 보다 근긴장도가 높음
 사지마비 형태가 많으나 하지마비로 나타나기도 함
 관절의 움직임이 주로 midrange에 한정되어있음
 ATNR, STNR, 양성지지반응(positive support) 등의 비정상적 반사 출현
 정위반응, 균형반응 결여
 경기(seizure), 상기도 감염, 시각손상 등을 동반하기도 함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➁ 중등도 경직형 (moderate spastic)
 휴식 시 거의 정상 근긴장도 유지 ­ 움직임, 말하기 등에 의해 근긴장도 증가
 원위부 근긴장이 근위부보다 높음
 불균형한 근긴장도에 의해 척주뒤굽음증, 척주전만증 등 기형 동반하기도 함
 발꿈치 근육, 고관절 모음근, 고관절 굽힘근, 무릎관절 굽힘근의 단축 발생
 서거나 걸을 수 있으나 비정상적인 패턴과 자세 동반
 모로반사, 긴장성미로반사(TLR) 등 비정상적인 반사
 정위반응은 존재할 수도 있으나 균형반응은 감소
 경기와 시지각 장애를 동반하기도 함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➂ 경도 경직형 (mild spastic)
 휴식시 거의 정상 근 긴장도 유지 ­ 큰 노력, 빠른 움직임 시 근긴장도 증가
 하지마비 혹은 편마비
 ROM : 원위부가 보다 제한적 , 경한 변형을 동반할 수 있음
 걸을 수 있고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
 원시반사를 동반할 수 도 있으나 경미함
 지적장애와 지각장애의 정도가 적음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2) 무정위형 (athetoid)
• 뇌바닥핵 (basal ganglia) 손상
• 뇌성마비의 10%
• 근긴장의 동요와 불수의적 움직임
• 지적 수준이 높은 편
• 청각, 언어 장애를 동반하기도 함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➀ 경직을 동반한 무정위형 (athetosis with spasticity)
 근긴장도 : 정상-과긴장 사이, 근위부는 경직을 동반, 원위부는 무정위 움직임
 주로 사지마비 형태, 양측이 심한 비대칭성
 척추측만증과 골반, 무릎, 팔꿈치 관절 등에서 과도한 ROM
 Midline 유지와 섬세한 선택적 움직임이 어려움
 긴장성 경반사(TNR), 긴장성 미로반사(TLR)을 동반하기도 하나 전형적이진 않음
 머리조절의 곤란으로 언어 및 삼킴장애를 동반하기도 함
 지적장애가 적고 청각장애를 동반하기도함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➁ 긴장성 경련을 동반한 무정위형 (athetosis with tonic spasm)
 근긴장도 : 저긴장-과긴장
 조절 불가능한 극도의 긴장성 경련의 동반이 근위부보다 원위부에 주로 나타남
 주로 사지마비 혹은 편마비 형태
 척추측만증, 골반탈구, 무릎관절 엉덩관절의 구축을 동반할 수 있음
 ATNR, STNR, TLR 나타남, 균형반응 나타나지 않음
 흡인으로 인한 연하곤란 동반, 심한 언어장애 동반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➂ 무도형 (Choreoathetosis)
 근긴장도 : 저긴장-과긴장이 동시수축 없이 나타남, 조절이 어려운 움직임-근위부
 사지마비 형태
 불수의적 움직임이 관절의 극단적인 범위에서 나타남
 어깨와 손가락의 아탈구를 동반할 수 있음
 비정상적인 협응
 얼굴에 불수의적 움직임, 불규칙적 호흡, 발성 동반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➃ 순수 무정위형 (pure athetosis)
 근 긴장도 : 저긴장-정상
 경직은 거의 없으나 약간 동반할 수 있음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3) 운동실조형 (ataxic)
 근 긴장도 : 낮은 편으로 저긴장-정상긴장 사이, 사지마비 형태로 나타남
 소뇌 손상 시 주로 나타나고 전체 뇌성마비 중 2-5%
 몸통과 다리의 평형장애로 인한 자세조절 능력 결함
 걸을 때 균형을 잡지 못하고 술에 취한 것 같은 걸음
 머리의 흔들림, 운동 조절 곤란, 안구 진탕 등으로 섬세한 동작 어려움
 비정상적 움직임 패턴보다 미숙한 움직임을 주로 보임
 감각장애를 동반하기도 함
1) 근 긴장도에 따른 뇌성마비의 분류
(4) 이완형 (flaccidity)
 출생 시 현저히 낮은 근 긴장도 -> 후에 무정위형, 경직형, 실조형으로 변화 되기도 함
 사지마비 형태로 나타남
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 범위 ­ 턱관절, 어깨관절, 엉덩이관절 등의 탈구 흔함
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이 둔하게 나타남
 물체에 대한 흥미가 적고 수동적, 착한 아기로 불림
 호흡이 얕고 상기도 감염률이 높음
2) 사지의 마비 부위에 따른 분류
2) 사지의 마비 부위에 따른 분류
단마비 monoplegia
-사지 중 한 곳에만 운동장애가 나타남
-일반적으로 경미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운동장애가 회복될 수도 있음
양하지마비 diplegia
-양 다리에 운동장애가 심하게 나타나고, 팔에는 경한 운동장애를 동반
-주요 원인: 조산으로 인한 뇌실 주변의 백질연화증(PVL), 주변 뇌조직 괴사
2) 사지의 마비 부위에 따른 분류
편마비 hemiplegia

편측 팔, 다리의 운동장애 및 감각장애를 동반

주로 팔이 다리보다 기능손상이 심하며 주로 굴곡 패턴이 우세

성장하면서 편측을 사용하지 않으면 근골격계 발육이 지연될 수 있음
삼지마비 triplegia
 흔하지 않은 형태로 주로 사지 중 양 다리와 한 쪽 팔에 운동장애 나타남
사지마비 quadriplegia




가장 흔한 형태로 무정위형, 저긴장형, 실조형 뇌성마비가 이에 속함
사지에 모두 운동장애가 나타나고 하지가 상지 보다 심한 경우가 많음
안면, 구강 근육들의 기능이 약하여 연하장애와 언어장애 동반 하기도 함
대부분 일상생활동작의 수행이 어려움
3) 장애의 정도에 따른 분류
경도 (mild)
• 보조도구 없이 걸을 수 있음
•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 대부분 언어문제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중등도 (moderate)
• 이동 시 보조도구가 필요
•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없어 도움이 필요
• 언어문제를 동반하기도 함
중도 (severe)
• 스스로 보조도구를 이용한 이동이 불가능
•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없음
• 사지 근육, 관절의 단축이나 구축, 변형 등을 동반
5. 동반증상
언어 및
지적장애
50~75% 정도 지적 수준이 평균 이하.
턱, 입술, 혀, 안면근육 등의 구강근육의 조절장애로 인해 뇌성마비 아동의 30%는 언어장애
를 동반함.
간질, 발작
40% 정도에서 발생함.
주요 뇌성마비 유형: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두정엽 발작이 가장 흔함.
섭식장애
비정상적인 구강움직임과 근 긴장도, 감각장애가 원인.
구강 및 입 주변의 과민감각, 과소감각은 삼킴과 씹기 장애를 동반하게 함.
적절한 자세유지와 조절이 필수적임.
감각장애
40~50%에서 약시, 근시, 난시 등의 굴절장애를 동반하거나 사시, 시지각 장애,
안 근육의 위축, 시지각 장애를 동반함.
25%에서 청각장애를 동반하며 무정위운동형 뇌성마비아동에서 빈도가 높음.
행동장애
과잉행동, 주의력 산만, 감정 조절의 장애 동반으로 인해 어려운 과제에 쉽게 좌절하는 경향.
이는 학업수행 능력의 저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줌.
6. 예후
 조기교육이나 치료로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으나 완전한 정상화는 어려움.
 25-30%는 재활을 통해 성인이 되어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함.
 사회적 독립 정도는 지체장애 보다 지능 수준이 더 큰 영향.
 동반장애에 따라 영향.
 뇌 손상의 정도, 조기발견, 조기치료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짐.
7. 평가
평가대상
평가방법
GMFM
(Gross Motor 5개월~16세 뇌 직접관찰
Function
성마비 아동
Measure)
GMPM
(Gross Motor 5 개 월 ~ 12 세 직접관찰
Performance 뇌성마비 아동
Measure)
Modified
Ashworth
Scale
신경계 질환
직접 관찰
평가영역
대근육
운동기능
대근육
움직임의 질
근긴장도
평가내용
•
•
•
•
•
눕기 및 뒤집기
앉기
기기 및 무릎서기
서기
달리기 및 점프
•
•
•
•
•
자세정렬
협응
분리동작
안정성
체중이동
• 근긴장도의 등급
• 0-4단계로 구분
7. 평가
GMFM
(1) 목적
­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정형외과적 질환을 동반한 아동의 운동기능 발달 정도를 평가하여 치료목표
를 설정하기 위함
(2) 구성 : 5개 영역 총 88개 항목
- Lying and rolling (17항목)
- Sitting (20항목)
- Crawling and kneeling (14항목)
- Standing (13항목)
- Walking, running and jumping (24항목)
(3) 평가방법
- 45~60분 소요, 매트가 깔린 조용한 방에서 대근육 운동 기능을 직접 관찰
- 각 항목을 0-3점의 4점척도로 평가
(4) 결과 해석
- 각 영역의 점수를 0-100점의 백분위로 환산하여 평균점수를 구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대근육 운동
기능이 우수함을 의미함
- 치료의 목표가 될 수 있는 목표점수를 치료사가 지정하고 치료목표로 사용
7. 평가
GMPM
(1) 목적
­ 뇌성마비 아동의 움직임을 질적인 부분에서 평가
(2) 구성 : 5개 영역 (GMFM과 연계)
- Alignment : 몸의 각 부분들간의 조절 또는 배열
- Coordination : 원활, 조절된 사용. timing, velocity, direction, force, amplitude 평가
- Dissociated movement : 분리된 움직임
- Stability : 신체자세를 능동적으로 유지하는 능력
- Weight shift : 무게중심(COG) 이동을 수반하는 움직임으로 그 양과 방향(앞,뒤,측면,수직)을 평
가
(3) 평가방법
- 45~60분 소요, 매트가 깔린 조용한 방에서 대근육 운동 기능을 직접 관찰
- 각 항목을 1-5점의 5점 척도로 평가
(4) 결과 해석
- 각 영역의 점수를 0-100점의 백분위로 환산하여 평균점수를 구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대근육 운동
기능의 질이 우수함을 의미함
7. 평가
MAS
8. 치료
의학적 치료
(1) 경구용 항경직 치료제
­ diazenpan, balcofen, dantrolenen 등의 약물
­ 부작용 : 과도한 침흘림, 몽롱함, 신체적 의존성 증가
(2) 주사용 항경직 치료제( 신경근 차단술)
­ baclofen intrathecal pump (중증 경직형 뇌성마비)
­ 보톡스 등
­ 유지기간은 3~6개월로 부작용이 적음
(3) 정형외과적 수술
­ 가장 흔한 수술은 힘줄 유리술(tendon release), 힘줄 이전술( tendon transfer)
­ 그 외 엉덩 관절 탈구를 위한 교정술, 척추측만 완화 시술, 연속적 캐스팅(cast)
(4) 척추후근절제술(Selective Posterior Rhizotomy : SPR)
­ L2~S2의 후근(dorsal soot) 절제
­ 인지수준이 정상인 경직형 하지마비에 추천됨
작업치료
8. 치료
(1) 신경발달치료 (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 NDT )




아동의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부족한 요소를 파악
치료적 핸들링을 통하여 자세조절능력을 향상
기형과 기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운동패턴을 억제
움직임의 질을 강조, 아동의 움직임이 기능적으로 향상되도록 함
(2) 강제유도운동치료 (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 CIMT )





정상측의 사용을 제한하고, 환측의 강제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행동치료
일반적인 치료기간 : 2-4주
건측을 제한하는 방법 : 스플린트, 장갑, 슬링 등
하루 일과 중 목욕, 식사, 수면 등의 활동을 제외한 시간의 90%를 착용
단기간에 기능향상 가능, 학습된 무사용 증후군을 예방
8. 치료
작업치료
(3) 보조도구
1. 식사 의자 (feeder seat)
- 머리 및 몸통 조절이 어려운 아동
- 대칭적 자세유지와 엉덩관절의 굴곡과 벌림이 가능
2. 특수 의자 (corner chair)
- 뇌성마비 아동의 주요 자세 증상 완화
(엉덩관절 모음, 몸통의 비대칭, 머리조절 미숙,
비정상적인 근 긴장 및 반사의 동반 )
8. 치료
작업치료
(3) 보조도구
3. 옆으로 눕기 보조도구 (sidelyer)
-
근긴장도 완화, 머리와 손을 정 중앙에 모음
바른 자세 : 등은 곧게, 머리는 정 중앙 혹은 앞으로 약간 숙임, 엉덩이와 무릎 굴곡,
다리 사이에 베개를 넣어 자세를 보조
4. 서기 지지대 (standing frame)
-
바른 자세 : 머리 정 중앙, 등 곧게 폄, 다리 약간 벌림,
양 발에 균등하게 체중 지지
- 엉덩관절을 지나는 벨트, 패드를 부착하여 신전을 도움
8. 치료
작업치료
(3) 보조도구
5. 보행기 (walker)
- 아동의 자세에 따라서 형태를 고려하여 적용
- 굽힘근 패턴이 강한 아동 : 후방지지 보행기 (posterior control walker)
- 폄근 패턴이 우세한 아동 : 전방 보행기 (anterior control walker)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Rood Treatment Techniques.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Practice.
^^;
Thank you :-)
010-7148-2696
Better_therapist_ot@naver.com
LMS메신저로 문의하세요.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