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김성준

ch.1 TV 방송의 발전사 v8 (1)

advertisement
디지털 방송의 진화
Ch.1 TV 방송의 발전사
Prof. Jong-Soo Seo
Yonsei University
© 2021
방송매체의 의미
 미디어 이용행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 ; 특히, TV 시청
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창출하는 가장 중요한 문화적 도구/수단
 보편적 가치의 전달자 및 사회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
 국민 모두가 공유하는 경험 제공
국가와 국민 정체성 확보
국민통합
 제한된 전파자원의 주인은 국민 ; 국민의 재산
공공성 및 공익성 확보
방송의 사명과 역할 중요
미디어 사용시간 vs 광고비 (2010, 2016년 미국)
사용시간
광고비
Unbalance!
Print
Radio
TV
인터넷
Mobile
미국 소비자들의 미디어 소비 비율
2009 ~ 2013년
TV
Online
Radio
Print
기타
Mobile
5G 주파수 경매 결과 (2018.6.18)
전파 자원의 가치
* 수도권 5개 지상파 방송사 : 23 채널 x 6MHz=138MHz는 1.4조원의 가치
텔레비전의 등장과 발달
1) 텔레비전(영상과 음성이 결합한 라디오 개념)의 발전


Television의 정의
•
tele는 그리스어로 ‘멀리’, vision은 라틴어로 ‘본다’
•
‘먼 거리에서 본다’
TV 시스템의 원리
•
TV 송신기는 영상신호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파를 통하여 전송
•
TV 수신기는 방송전파 신호를 받고 검파 과정을
거쳐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켜 영상을 시청

1931년 : 미국에서 TV 시험방송

1937년 : 영국의 BBC 방송국이 세계 최초로 흑백 TV 방송

1941년 : 미국, 흑백 TV 표준 (NTSC 방식) 개발
2) 1948년 이후 미국의 TV 발달과정
 3대 라디오 네트워크 (CBS,NBC,ABC)
3대 텔레비전 네트워크로 진화
 1950년대: 텔레비전에 대한 폭발적 인기로
영화 관객이 급속도로 감소, 영화의 쇠퇴
 1960년대 : 선거에서 텔레비전의 중요성 부각,
 1960년 9월26일 닉슨과 케네디의 미국 대선 TV 토론
 1960년대 후반 :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획일성, 비교육성, 문화적
풍요로움의 부족 등을 지적하는 사회적 비판 증가
 1970년대 중반 : 과거 CATV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의 본격적인 케이블 TV,
즉 종합유선방송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
사상 최초의 TV 대토론 (The Great Debates)
1960년 9월26일: 미국 대선 결과를 판가름한 기념비적인 날
 유권자 7천만 명이 4차례에 걸친 TV토론 시청
 능력이나 자질보다 더 주목한 것은 남성미
넘치는 케네디와 병약해 보이는 닉슨의 대조적
모습(이미지)
 두 후보자의 토론 내용만 본다면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백중세
 TV 시청자의 과반수가 케네디의 우세라고 판정
 라디오 청취자의 과반수는 닉슨이 이겼다고 응답
▶ Watched vs Heard : 전자가 후자에 비해 수적으로 더 컸기 때문에
케네디가 초기의 열세를 뒤집고 10만 표라는 근소한 차이로 대통령 당선
www.youtube.com/
The First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
텔레비전의 위력
정치적 측면
 대중과의 접촉 기회 제공
• 대규모 야외집회를 통한 직접 호소 기회는 제한적
 선거 당락에 커다란 영향
• 대선 후보의 이미지 형성을 위한 토론과 광고의 중요성 부각
• 대선 후보에게 TV 토론과 정치 캠페인은 선거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미지)가 됨
• 국정 수행 능력보다는 외모와 언변 등 대중적 이미지에 호소하는
문제점
 무명 정치인의 부상 및 주요 사회적 이슈의 부각
텔레비전의 위력
사회(문화)적 측면

사회운동의 성격 규정, 인적 동원
예) 5공화국 하에서 금강산 댐에 대한 대중의 공포조장
예) 2008년 PD 수첩 “광우병 파동”

평화의 댐 공사 시작
촛불시위를 비롯한 대규모 집회 촉발
대중 스타 제조
• TV 프로그램(드라마/쇼/토크)을 통하지 않고서는
대중적 인기를 얻을 수 없음 :
예) 아이돌 그룹의 부상

대중문화 선도: 현대사회의 강력한 문화적 무기(cultural arms)로 작용
• TV를 통해 패션, 취향, 기호, 언어, 행동 등에서 유행을 이끌고 있음
한류 영향…콘텐츠산업 수출액
텔레비전의 사회적 위상
 현대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체
 매체별 광고시장 점유율이
가장(?)
큼
 2000년대 말 IBM은 ”TV is gone as you know”라고 예견 ;
전통적 TV 시청보다 모바일/PC를 통한 동영상 소비가 주류가 될 것
하지만, TV 시청 시간은 크게 줄어들지 않음
 광범위하게, 장기적으로 사회현실 인식에 커다란 지각 효과 발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서 엄청난 영향력 행사
전세계 매체별 광고시장 점유율
TV 방송 산업의 경제학
1) 방송매체의 운영방식
 시청료(수신료)
⇒ KBS(47%), BBC(78%), NHK(96%) 등 공영방송의 주 재원
 가입료 혹은 프로그램 건당 판매(pay-per-view, PPV)
⇒ 뉴미디어(케이블TV/위성TV/IPTV), VOD(video on demand), 다시 보기
 광고 수입
⇒ 상업방송(SBS)의 절대적 재원 : MBC 경우 공영방송임에도 전적으로 광고에 의존
⇒ 새로운 방송매체 및 인터넷의 등장으로 지상파 방송의 광고수입은 계속 감소추세
 기타: 정부 보조, 개인/법인/기관의 후원, 부대사업(프로그램 판매, 이벤트, 콘서트 등)
⇒ 미국 PBS: 시청자로부터의 모금, 기업협찬, 시설대여 등
⇒ 한국 EBS: KBS 시청료 수입 일부, 교재 판매, 공익광고 등
TV 방송 산업의 경제학
2) 방송매체의 광고판매 방식
⇒ 주요 선진국 : 방송광고 전문 판매기관 미디어 렙(representative)들의 경쟁체제
⇒ 한국 : 공공성 확보와 전파수익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KOBACO(Korea broadcasting advertising corp.) 독점 체제 (1981년~2011년)
▶ KOBACO(한국방송광고공사)의 주요 역할
 전국/지역의 TV 및 라디오 방송 광고 판매
 전파수익을 통해 예술의 전당, 프레스센터 건립을 비롯하여
방송/언론/문화/예술 사업 지원
 시청률 경쟁으로 인한 방송의 상업성 배제, 광고요금의 적정 수준 유지
공공성 확보, (중소)기업활동의 경쟁력 제고, 광고주와 방송사의
효율적 광고거래 촉진
☞ 2008년 12월 말 독점적 지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 불일치 판정
2012년 1공영 1민영 체제로 변화 : SBS ‘미디어 크리에이트’ 설립
2) 방송매체의 광고판매 방식
< 방송광고 판매 방식 >
<공영방송>
<상업방송>
3) 시청률 조사
 방송시장 :
• (좋은) 프로그램 제작에 따른 시청자의 선택
+ 시청자의 가치를 광고주에 판매
이중시장(dual market)
미디어 제품은 대체로 joint commodity (결합 상품)
• “시청자 선택”과 “광고 판매”라는 서로 다른 성질의 시장 가치를
교환할 수 있는 척도 필요
시청률 : 서로 다른 시장 가치를 교환할 수 있는 척도
▶ 시청률의 중요성: 방송사/프로그램의 성패 결정
광고수입과 직결
• 광고주들은 시청률이 높은 황금 시간대 (prime time)에 광고를 하고 싶어함
⇒ 대체로 평일 저녁 8-12시/ 주말 저녁 7-11시
• 방송사의 주 재원인 광고수입을 결정하므로 시청률을 소홀히 할 수 없음
• 광고주들은 비싼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후원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신경을 씀
방송 시장
< 가입료 >
시청률 조사 방식 : People Meter
▲ 시청률 데이터에 포함되는 내용
 수상기가 켜진 시간
 채널 선택
 채널 변경
 수상기가 꺼진 시간
 개인의 시청정보
☞ 각 표본 가구의 시스템에 저장된
자료가 매일 밤 자동으로
조사회사에 전송됨
www.youtube.com/ How Do TV Ratings Work?
국내 시청률 조사

2,000명 내외의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People meter를 이용하여 산출
•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 12개 주요 도시 2,050가구
• TNS 미디어 코리아 : 6개 광역도시 2,000가구
◈ 시청률(Rating) 조사
 면접원의 직접 조사가 아닌 피플 미터기를 통해 매일 자동적으로 자료가
수집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지역의 특성을 추정
 ‘어떤 사람들이 조사되는가’는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기본 요건
대표성 있는 패널 구축
조사패널의 정보가 공개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
TV 방송 시청의 기본 개념

텔레비전 이용 세대 (HUT: Household Using Television)
• 전체 TV 수상기 보유 가구 중 실제로 수상기를 켜고 있는 가구의 백분율
예) TNS 조사패널 2000명 중 800명이 <무한도전>시간대에 TV를 시청하였다면,
800명/2000명 X 100 = 40% 
전국 2,000만 세대 X 40% = 전국에서 800만 가구가 이 시간대 TV 시청

시청률(Rating)
• TV 수상기 보유 가구 중 특정 방송국이나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의 백분율
예) 패널 중 240명이 <무한도전>을 시청하였다면 시청률=240/2000명x100=12% 
전국 시청가구 = 2,000만 x 12% = 240만 가구

점유율(Share)
• TV 수상기를 켠 가구 중 특정 방송국이나 프로그램을 시청한 가구의 백분율
예) <무한도전>의 경우 240/800명 X 100 = 30%
방송환경의 변화와 시청률 조사의 과제

시청률은 방송사의 가치(성과)를 산정하는 기준
방송환경의 변화(다양한 뉴미디어 등장)에 따라 시청률 조사의 변화 요구
▶ 비동시적 시청(Time shift viewing)률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 비동시적 시청 : TV 방송을 실시간 시청하지 않지만 녹화해 두었다가
시청, 혹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시 보거나, 케이블, 스마트 폰, IPTV,
태블릿 PC 등 뉴미디어로 나중에 시청하는 것

케이블, 스마트 폰/태블릿 PC나 위성방송에 VOD가 도입되면서 일반화됨
IPTV/디지털 케이블의 상향 채널(return path) 정보 활용 필요성 대두
VOD 시청 정보를 활용한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을 개발 중
방송환경의 변화와 시청률 조사의 과제
실시간 시청
비실시간 시청
2017.8
방송환경의 변화와 시청률 조사의 과제
▶ 옥외 시청(Outdoor viewing)률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 시청률 조사는 가구단위로 이루어지는 반면, 옥외시청은 개인 단위로 이루어짐
개인 단위 조사 필요
 다양한 단말기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DMB를 시청하는 경우와
공공 장소에 설치된 TV를 시청하는 경우로 구분됨
①
개인단위 조사이기 때문에 조사 패널의 구축이나 계산방식에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전망임
② 공공 장소(예: 음식점, 호프집 등)에 설치된 TV 시청률 조사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
HW1-2 : ①,②에 대한 해결 idea는?
방송환경의 변화와 시청률 조사의 과제
▶ 스마트 TV/태블릿 PC의 보급에 따른 방송환경 변화에 대한 해결과제
 스마트 TV : TV 시청외에 다양한 App을 이용하여 인터넷,
헤드라인 뉴스, 게임 등 다양한 기능들이 활용되고 있음
• 스마트 TV를 통해 인터넷 혹은 App을 이용한 경우 TV를
시청한 것인지, 인터넷을 이용한 것인지에 대한 구분뿐만
아니라 어떤 콘텐츠를 이용한 것인지에 대한 구분이 어려워짐
• 현재 HUT와 PUT(Personal Using Television)에서 시청률은
시청(viewing)이 아니라 이용(using)으로 규정되어 있음
시청률에는 DVD, 게임기, PVR (personal video recorder) 등을 활용한
모든 경우가 포함될 필요성 대두
☞ 스마트 TV의 보급에 따른 시청 행태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논의 필요
방송환경의 변화 : 방송의 공공성과 공영방송의 위기
▶ 1980년대 공영방송 개념의 위기
 상업 방송의 증가로 국민의 다양한 정보 및 문화적 욕구 충족의 한계 노출
 (미) 레이건 및 (영) 대처 행정부가 주도한 신보수주의 물결과
함께 탈규제화 추세로 시장기능 강조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
• 케이블 TV, 직접위성방송(DBS) 등 뉴미디어의 등장
• 전파의 희소성 신화 붕괴
• 전파의 기술적 제약 극복
• 방송 매체/채널의 양적 증가 : 수용자 선택권의 확대
• 다양한 민간 상업방송 출현 촉진
국내 방송 발전사
(A 흑백 : 1961, A 컬러 : 1981, HD : 2001, UHD : 2017)
1927년 : 경성 방송국 탄생
1954년 : 최초의 민간방송 CBS 개국
1961년 : MBC 라디오 개국, KBS 텔레비전 국영방송 시작
1963년 : 동아방송 라디오 개국
1964년 : 삼성그룹의 동양방송(TBC) 개국(1980.12 언론통폐합조치로 KBS2로 통합)
1969년 : MBC TV방송 시작
1973년 : 국영 KBS → 공영 한국방송공사로 개편
(공∙민영 체제: 1공영(KBS) 2민영(TBC,MBC))
국내 방송 발전사
1980년 : 권위적 국가정책으로 강제적 방송 통폐합
→ 다공영 체제로 전환 (KBS, MBC, TBC→KBS2)
1990년 6월 : 민영방송 허용발표를 통해 공∙민영 혼합체제로 환원
(1991년 12월 SBS 개국)
1995년 : 종합유선방송(cable TV) 등장 → 다채널 시대 도래
2002년 : 직접위성방송(DBS) Sky Life 출범 → KT가 대주주로서 방송참여
2005년 : 위성 DMB (SK텔레콤의 TU 미디어) → 2012년 중단
지상파 DMB 사업개시
2008년 : IPTV 출범→ 거대 통신사업자들(SK텔레콤, KT, LGU+)의 방송분야 본격 진출
2010년 10월 : 조선/중앙/동아/매경에 방송사업허용 (연합뉴스에 보도채널)
2011년 12월 1일: 종편 출범
지상파 DTV 방송 :
2001.11 서울,수도권 본방송
2006.7 전국 본방송
2012.12 아날로그 방송 종료
국내 방송사업자별 TV(비디오)방송 운영 채널 현황
구분
지상파 TV
케이블
TV
종합
유선
사업자수
운영채널
소계
16
KBS(3), MBC(1), EBS(1),
SBS(1), 기타 지역민방(10)
16
100
디지털 (13,409)[134]*
1
위성 DMB
1
자체(3), 비디오(21)
3
KBS(2), MBC(1), SBS(1)
지상파 DMB
IPTV
계
해외위성(19), PPV채널(16),
가이드채널(2)
[208]
* 지역지상파 제외
185
24
18
3
YTN(2), 한국DMB(3), U1(3)
6
지역민방 지상파DMB (6)
3
KT(132), SKB(80), LGU+(109)
321
692개 채널 시청 가능
24,048
16,602
231
232(30)
* 계열사 PP 제외
13,409
지상파(15)*, PP(131), 직사(2),
디지털
위성방송
비고
[13]
[794]
오디오채널(31) 및
데이터채널(1) 제외
오디오 13개 별도
국내 TV 방송 채널 현황
 1994년: 5개 지상파 채널 (KBS1, KBS2, MBC, SBS, EBS)
 1995년: 지역민방 허가 → 4개 지역 TV 채널 등장,
케이블 TV 개국 → 21개 채널 증가
 2000년: 아날로그 시대 ; 총 30개 내외의 TV 채널
 2010년: 디지털 TV 방송으로 전환,
전국 공급 TV 방송 채널은 총 16,600여 개
(시청 가능 채널은 약 700개)
▶ 디지털화에 의해 방송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채널이 크게 증가
 시청자들이 이용 가능한 채널이 크게 늘어남
 방송사업자들의 다양한 입장을 반영할 수 있는 채널이 늘어남
 늘어난 채널의 운영 주체가 다양한 계층과 집단으로 분산되기 보다는,
기존의 지배적 미디어 혹은 제한된 자본에 집중되는 경향
세계 공영방송 연간 수신료 및 비중
독일(ARD) : 361,200원 (월 30,100원) ; 한국의 약 12배
영국(BBC) : 273,200원 (월 22,767원) ; 약 9.1배
일본(NHK) : 211,400원 (월 17,617원) ; 약 7배
프랑스(FT) : 200,930원 (월 16,742원) ; 약 6.7배
한국(KBS) : 30,000원 (월 2,500원)
 아프리카 나미비아 : 월 수신료 2,950원 @2010년
국내 TV 방송 환경
다매체, 다채널시대 가속화
 1981년 KBS 1TV 컬러 TV 방송 시작
 1995년 케이블 TV 방송 시작
 2000년대 디지털 방송 시대 개막
고화질 화면과 각종 부가 서비스 시작
채널선택 대폭 확대
* 2001년 서울,수도권 HDTV 방송/ 2006년 전국 HDTV 방송/ 2012년 12월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3년 Full HDTV(HD: high definition) 방송 실시
 인터넷/한류 확산(동남아에서 유럽) 등 사회문화적 변화는
우리나라 방송의 새로운 변화 가능성 제기
 시청률 경쟁 심화
 공영방송의 위상 정립문제 대두
보편적 공익서비스 제공,
사회소통(통합)의 근간, 공정성 확보, 고품질 프로그램 제작
국내 TV 방송 환경
멀티 채널(Multi-Channel) TV 시대
▶ 디지털 혁명에 기인
 방송과 통신, 기타 미디어간의 통합, 즉 미디어 융합/미디어 빅뱅 시대 도래
다양한 채널/다양한 콘텐츠를 여러 형태의 플랫폼을 통해 전달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융합 과정에서 다양한 새로운 방송 미디어/서비스 탄생
VOD(video on demand), PPV(pay-per-view), EPG(electronic program guide),
DMB, 스마트 TV, IPTV 등 모두 양방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짐
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와 정보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디지털 방송미디어가 급속히
등장/확산하면서 이용자 개인이나 사회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
 다채널 플랫폼인 디지털 케이블 TV, 디지털 위성방송, IPTV,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은 소비자, 대중문화, 콘텐츠 및 일반 산업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멀티 채널(Multi-Channel) TV 시대 도래
 디지털 기술이란?
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신호의 왜곡이나 loss를 최소화하고,
쉽게 완벽한 복구를 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음
 A/V 데이터의 압축을 통해 전송 용량을 대폭 개선하고, 정보의 호환성을 높여
한번 만들어진 정보나 콘텐츠를 다양한 미디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줌
 기존 아날로그 미디어에 비해 제작과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경제적, 효율적이고 기능도 더 많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짐
기존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 케이블 TV 등의 디지털 전환
직접위성방송(Skylife), DMB, IPTV, 스마트 TV 등은 디지털 방식으로 시작
디지털
신호처리
(DSP)
•
멀티 채널(Multi-Channel) TV 시대
◈ 케이블 TV : 2015년 1,373만 가입 (2011년 1,479만)
 원래는 일부 지역의 지상파 방송 난시청 문제 해결(재전송)을 위해 등장
→ 1948년 미국에서 공동 안테나 TV(Community Antenna TV: CATV)로 시작
→ 1970년대에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 위성으로 전송하는 개념이
케이블 TV에 도입되면서 본격적 성장
 지상파 TV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의 제한으로 제한된 수의 채널만 운용이 가능
 동축 케이블 TV는 100개 이상의 채널이 가능하고, 광 케이블을 이용할 경우
훨씬 더 많은 채널 가능, 또한 양방향 서비스 가능
 국내 : 종합유선방송 도입 정책에 의해 1995년 3월 케이블 TV 본 방송 시작
→ 도입 당시, 사업 영역을 ①종합유선방송 사업자(SO : system operator),
②프로그램 공급자/채널제공 사업자(PP),
③전송망 사업자(NO)로 나누고,
사업자 간 교차 소유나 겸영 금지
케이블 TV 시스템 구성
CATV
IPTV
케이블 TV 사업자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지상파 TV와의 차별성으로 특화
• 계층화, 전문화, 특성화, 다채널, 고화질
① PP(program provider)
•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 혹은 구입하여 SO에게 공급하는 사업자
• 예) OCN, MBC 드라마 넷, SBS ESPN, M-net, CGV, 온 스타일, 캐치 온,
SBS 골프채널, tvN 등
② SO(system operator)
• 프로그램 공급업자로부터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가입자에게 전달(중계)하는
방송국 운영사업자
• 채널 편성권을 가지고 있음: 지상파 방송사와 같은 개념
③ NO(network operator)
• PP로부터 일반 가입자 가정에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망(선로) 운영업자:
한국전력/KT 등
 MSO(multiple system operator): 2개 이상의 SO소유(티브로드, CJ 헬로비전, C&M)
 MPP(multiple program provider): 2개 이상의 PP(KBS, MBC, SBS, CJ E&M, 중앙일보)
 MSP(multiple system operator & program provider):
2개 이상의 SO 및 PP 동시소유 (CJ 등)
•
케이블 TV 사업자
 2000년 방송법 제정, 2009년 12월 시행령 개정을 통해 케이블 TV에 대한 규제 완화
• 사업자 간 겸영을 일정한 제한규정 아래 허용
• 자격을 갖춘 중계유선방송은 심사를 거쳐 케이블 TV SO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함
→
사업자간 인수∙합병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MSO, MPP, MSP가 다수 생겨남
 2009년 개정안: 한 SO가 소유/겸영할 수 있는 SO 수가 전국 77개 권역의
1/5(15개)에서 1/3(25개)로 확대
거대 MSO
→ 태광그룹의 티브로드(22개: 23%), CJ 헬로비전(19개: 21%), C&M(18개: 18%),
현대백화점의 HCN(8개: 9%) 등 4개 그룹이 케이블 TV 방송 시장 70% 이상 지배
 경쟁 매체인 IPTV의 등장으로 PP를 장악하기 위해 최근 MSO가 MSP로 진화하고
있음
•
디지털 케이블 TV

디지털화 추진 배경:
 방송과 통신의 융합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
 디지털화/융합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VoIP
• 다채널 방송 서비스
• 주문형 영상 서비스 (VOD)
• 인터넷 TV : IPTV
• 스마트 TV
•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
• 인터넷 망 전화 서비스 (VoIP) 등
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케이블 TV
사업자들은 디지털미디어센터(Digital Media Center: DMC)를 공동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음
•
디지털 케이블 TV
 2002년 도입된 디지털 위성방송(SkyLife)은
디지털이 주는 장점을 갖춘 강력한 경쟁자로 등장
→ 지역 독점사업으로 시작된 케이블 TV가
디지털 개혁을 서두르게 한 계기가 됨
 최근 인터넷과 직접위성방송/모바일 결합 상품들이 계속 나타남에 따라
케이블 TV의 디지털화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음
 케이블 TV의 디지털화로 인해
• TV 방송 화질과 음질이 매우 좋아지고
• 보다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 네트워크의 효율성(압축기술)이 높아져서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할 수 있게 됨
⇒ 디지털 케이블 TV는 100여 개 이상의 채널과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 가능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 서비스
TV + PC + 인터넷 + 스마트폰
방송통신 결합 상품
TPS : triple play service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 변화
케이블TV
IPTV
위성방송
2015
LG U+ : CJ 헬로 인수합병(M&A)
SKB
: 티브로드 M&A
KT
: 딜라이브 M&A 추진
스마트 TV의 등장

스마트 TV란?
• TV에 인터넷 운영체제(OS)를 탑재
• TV 방송시청 기능은 물론 인터넷 접속을
통한 엡(app) 스토어, 웹검색, 게임, SNS 등
PC 기능을 제공하는 차세대 디지털 TV
• 2011년 1월 미국 Las Vegas
‘소비자 가전쇼(CES) 2011’에서 소개
• 원래 2010년 10월 인터넷 접속 기능을
지닌 구글 TV가 처음 출시됨
• 미국 가전협회(CEA: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는
스마트 TV가 향후 미디어 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
www.youtube.com/
What is Google TV? (Quick Sony Google TV 2.0 Demo)
TV의 미래 (The Future of TV)
미디어업계 50인 전문가가 보는 10가지 미래 전망
1. Channels go away! (채널은 사라질 것이다)
 맞춤화된 on-demand 스트리밍의 확대로 현재의 채널서비스는 사라질 것
 필요 이상의 채널과 콘텐츠의 증가로 채널의 가치 하락
2. Kiss the remote goodbye! (리모콘도 불필요해진다)
 음성 인식, 동작 인식과 터치 스마트 기기들의 증가로 리모콘의 가치 하락
3. Screens do anything, anywhere! (어디서나 무슨 일이든 해주는 스크린)
 스마트폰, 태블릿, Media Wall 등 디스플레이의 확산으로
TV는 화면과 분리되어 유비쿼터스해 질 전망
4. Ads get personal! (개인화/맞춤화되는 광고)

VoD와 같은 타임쉬프팅(비실시간)의 증가로 프로그램
전후 및 중간 광고의 효과성 하락
 연령대, 취향, 성별, 시청 시간 등을 고려한
표적 광고 확대
TV의 미래 (The Future of TV)
5. Don’t just watch, Get involved! (단순시청에서 몰입해서 참여하는 시청)
 게임, 소셜 미디어 등을 활용한 시청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
 제작자로서는 광고 수익 및 추가 콘텐츠 수익 확보를 위해 필요
6. Watch together, virtually! (같이 보는 TV, 단 가상으로)

SNS와 홀로그램 등 기술 발달로 콘텐츠 감상의 공유 확대
7. Is it real, or is it TV? (실제와 구별되지 않는 TV)

3D에 더해 촉각과 후각 등을 활용한 실감나는 TV
8. Your TV follows you! (항상 곁에 있는 TV)

단말기, 방송망,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
9. “Regular Joes” go Hollywood! (누구나 영화를 제작하는 시대)

콘텐츠 제작 장비, S/W 가격의 하락으로 이용자의 창작물 증가
10. Creation goes viral!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제작)

시청자 아이디어를 활용한 방송 제작 증가
참고 자료
1. 디지털 방송과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정화섭 외, 도서출판 차송, 2008
2. 미디어 융합과 방송의 미래, 김광호, 진한엠엔비, 2012
3. 방송의 탄생과 발전, 경희대학교 강의 자료
4. www.youtube.com/ “Stay Tuned: TV's Unforgettable Moments - The First
Great Debate "Kennedy vs. Nixon" (1960) “
5. www.youtube.com/ “How Do TV Ratings Work? “
6. www.youtube.com/ “What is Google TV? (Quick Sony Google TV 2.0 Demo)”
7. https://www.naver.com/
8. https://www.google.co.kr/
Home Work
HW 1-1 : 최근 스마트 미디어가 제공하는 시청자에 대한 상황인식
기능과 그 장단점에 대해 논하시오.
HW 1-2 : <P24>에서 ①,②에 대한 해결 idea는?
HW 1-3 : <P26> 스마트 디지털 융합시대에 공영방송은 어떠한
총체적이고 근본적 변화와 개혁이 요구되는가?
HW 1-4 : <P33>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뉴미디어는 어떻게
다양한 방송 매체와 많은 방송 채널을 제공하게 되는가?
HW 1-5 : <P40> 디지털 위성방송과 케이블 방송의 특성과 장단점은?
HW 1-6 : <P43> 스마트 TV는 IPTV와 어떻게 다른가?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