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움직이는총

KS M 3408-2(2023) KR-복사

advertisement
KSKSKSKS
KSKSKSK
KSKSKS
KSKSK
KSKS
KSK
KS
KS M 3408-2
㉿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2부: 관
KS M 3408-2:2023
산 업 표 준 심 의 회
2023년 11월 14일 개정
KS M 3408-2:2023
심 의 : 화학재료 기술심의회
성
명
근
무
처
직
위
(회
장)
계형산
목원대학교
교
수
(위
원)
김정호
수원대학교
교
수
원종옥
세종대학교
교
수
윤병선
㈜한컴산청
이
사
윤주호
한국자동차연구원
부
정경호
수원대학교
교
정진수
중소기업유통센터
대 표이 사
홍청석
정화폴리테크공업㈜
고
강민철
한국플라스틱시험원
본
길성희
한국가스안전공사
부
박현영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 바이오화학서비스표준과
연
(간
사)
문
장
수
문
부
장
장
구
관
원안작성협력 : 플라스틱 파이프 전문위원회
(대표전문위원)
(위
(간
원)
사)
성 명
근
계형산
목원대학교
무
처
직
위
교
수
강민철
한국플라스틱시험원
본 부
장
권혁칠
한화솔루션
상
무
길성희
한국가스안전공사
부
장
김은수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민병준
LG화학
책
임
박태욱
플라스틱파이프연구회
부 회
장
홍철의
한국환경공단
과
장
신진용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센 터
장
임규영
한국환경공단
본 부
장
조규철
에버택
대
표
최용철
코스모아이앤디㈜
팀
장
홍석원
PPI평화㈜
부 사
장
황무연
한국PVC관공업협동조합
이
사
성낙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표준열람 : e나라표준인증(http://www.standard.go.kr)
━━━━━━━━━━━━━━━━━━━━━━━━━━━━━━━━━━━━━━━━
제 정 자:산업표준심의회 위원장
담당부처: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
정:1973년 12월 28일
개
심
의:산업표준심의회 화학재료 기술심의회
정:2023년 11월 14일
원안작성협력:플라스틱 파이프 전문위원회
━━━━━━━━━━━━━━━━━━━━━━━━━━━━━━━━━━━━━━━━
이 표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e나라표준인증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주십시오.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매 5년마다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심의되어
확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KS M 3408-2:2023
목
머
개
차
말 ................................................................................................................................................... iii
리
요 ....................................................................................................................................................... iv
1 적용범위 .................................................................................................................................................. 1
2 인용표준 .................................................................................................................................................. 2
3 용어와 정의 ............................................................................................................................................. 2
3.1 애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2
4 재료 .......................................................................................................................................................... 3
4.1 콤파운드 ......................................................................................................................................... 3
4.2 식별을 위한 콤파운드 .................................................................................................................... 3
5 일반
5.1
5.2
5.3
특성 ................................................................................................................................................. 3
겉모양 ............................................................................................................................................. 3
색상 ................................................................................................................................................. 3
수질에 미치는 영향 ....................................................................................................................... 3
6 기하학적 특성 ......................................................................................................................................... 3
6.1 치수 측정 ........................................................................................................................................ 3
6.2 평균 바깥지름 및 정원도 .............................................................................................................. 3
6.3 관벽 두께 및 허용차 ..................................................................................................................... 5
6.4 코일관 ............................................................................................................................................. 5
6.5 길이 ................................................................................................................................................. 5
7 기계적 특성 ............................................................................................................................................. 8
7.1 상태 조절 ........................................................................................................................................ 8
7.2 요구사항 ......................................................................................................................................... 8
7.3 80 ℃에서 파괴의 경우 재시험...................................................................................................... 9
8 물리적 특성 ............................................................................................................................................. 9
8.1 상태 조절 ........................................................................................................................................ 9
8.2 요구사항 ......................................................................................................................................... 9
9 관이 화학적 물질에 접촉할 때의 화학적 특성 ................................................................................... 10
10 요구 성능 ............................................................................................................................................... 11
11 표시 ........................................................................................................................................................ 11
11.1 일반사항 ....................................................................................................................................... 11
11.2 관의 최소 표시사항 ..................................................................................................................... 11
부속서 A (참고)
PN, MRS, S 및 SDR의 관계 ......................................................................................... 12
부속서 B (규정) 다층관 ............................................................................................................................. 13
B.1 일반사항 ....................................................................................................................................... 13
B.2 색상층 관 ...................................................................................................................................... 13
B.3 피복층 관 ...................................................................................................................................... 13
KS M 3408-2:2023 해
설 ......................................................................................................................... 15
-i-
KS M 3408-2:2023
-ii-
KS M 3408-2:2023
머 리 말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관련 규정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개정한 한국산업표준이다.
이에 따라 KS M 3408-2:2020은 개정되어 이 표준으로 바뀌었다.
이 표준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다.
이 표준의 일부가 기술적 성질을 가진 특허권, 출원공개 이후의 특허출원, 실용신안권 또는 출원공개
후의 실용신안등록출원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주의를 환기한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산업표준심의회는 이러한 기술적 성질을 가진 특허권, 출원공개 이후의 특허출원, 실용신안권 또는
출원공개 후의 실용신안등록출원에 관계되는 확인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는다.
-iii-
KS M 3408-2:2023
개
요
이 표준은 2019년 제2판으로 발행된 ISO 4427-2, Plastics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and for
drainage and sewerage under pressure — Polyethylene (PE) — Part 2: Pipes를 기초로 대응하는 부분
(모양 및 치수)에 대해서는 대응국제표준을 번역하여 기술적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한국산업
표준이지만 대응국제표준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규정항목(측정방법 및 표시)을 한국산업표준으로서
추가하고 있다.
-iv-
한국산업표준
KS M 3408-2:2023
㉿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2부: 관
Plastics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
Polyethylene(PE) — Part 2: Pipes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의 이송용 및 처리 전 원수를 포함하는 인간 소비용 물의 이송을
목적으로 하는 폴리에틸렌(PE) 배관 시스템(배수관 및 급수관)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규정한다.
또한 이 표준은 이 표준에서 참고하는 시험방법의 시험 인자에 대하여 규정한다.
KS M 3408의 다른 부에 해당하는 표준과 함께 이 표준은 아래의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관, 이음관, 연결구 및 기타 재질의 기계식 연결구 등에 적용한다.
a) 최고 사용 압력(MOP) 2.5 MPa 이하
b) 기준 사용 온도 20 ℃
KS M 3408은 최고 사용 압력의 범위를 다루고 색상 및 첨가제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비고 1 20 ℃ ∼ 40 ℃의 온도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도로 적용할 경우에는 KS M 3408-1의
부속서 A를 참조한다.
비고 2 적절한 요구사항, 관련 법규 및 시공 지침, 시방서를 고려하여 이러한 조건들로부터 적절히
선정을 하는 것은 이해 당사자 간의 책임이다.
이 표준에서는 관의 구조별로 다음과 같은 종류에 대하여 적용한다.
a) 단층관
— 단색관(SP1)
— 식별줄관(SP2): 식별줄이 있는 폴리에틸렌 관(바깥지름 dn)
b) 다층관
— 색상층관(MP1): 관의 외측에 동일한 MRS 등급의 공압출층을 가진 폴리에틸렌 관(전체 바깥지
름 dn)(부속서 B 참조)
— 피복층관(MP2): 폴리에틸렌 관(바깥지름 dn)의 외측에 접합되지 않고 붙어 있는 열가소성 플라
스틱층이 있는 관(부속서 B 참조)
KS M 3408-2:2023
비고 3 이 표준에 적합한 제품의 제조에 사용한 PE 콤파운드에 대한 저속 균열 성장 저항의 평가는
KS M 3408-1의 표 2(관으로부터 PE 콤파운드 특성)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2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
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
을 적용한다.
KS M 3408-1,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1부: 일반사항
KS M ISO 1133-1, 플라스틱 —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용융 질량 흐름률(MFR) 및 용융 체적 흐름률
(MVR)의 측정 — 제1부: 표준 방법
KS M ISO 1167-1, 유체이송용 열가소성 플라스틱관, 이음관 및 조립품 — 내압저항성의 평가 — 제1부:
일반 방법
KS M ISO 1167-2, 유체이송용 열가소성 플라스틱관, 이음관 및 조립품 — 내압저항성의 평가 — 제2부:
관 시험편 제작
KS M ISO 2505,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 종축 복귀성 — 시험방법 및 인자
KS M ISO 3126, 플라스틱 배관계 — 플라스틱 배관 구성품 — 치수 측정
KS M ISO 6259-1,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 인장성의 측정 — 제1부: 일반 시험방법
KS M ISO 6259-3,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 인장성의 측정 — 제3부: 폴리올레핀 관
KS M ISO 11357-6, 플라스틱 — 시차 주사 열량계(DSC) — 제6부: 산화 유도 시간(등온 OIT) 및 산
화 유도 온도(동적 OIT)의 측정
KS M ISO 11922-1, 유체 이송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 치수 및 허용차 — 제1부: 미터법
ISO 4427-5, Plastic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and for drainage and sewerage under pressure —
Polyethylene (PE) — Part 5: Fitness for purpose of the system
ISO 4433-1, Thermoplastics pipes — Resistance to liquid chemicals — Classification — Part 1:
Immersion test method
ISO 4433-2, Thermoplastics pipes — Resistance to liquid chemicals — Classification — Part 2: Polyolefin
pipes
3 용어와 정의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KS M 3408-1에 규정된 용어, 정의, 기호 및 약어를 적용한다.
참고 이 표준과 관련된 ISO 및 IEC의 용어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다.
— ISO 온라인 브라우징(browsing) 플랫폼: https://www.iso.org/obp
— IEC 일렉트로피디아(Electropedia): http://www.electropedia.org
3.1 애플리케이션 코드(application code)
배관의 사용 목적을 식별하는 코드 문자
비고
이 표준에서 사용된 코드 문자는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물“을 나타내는 W이다.
-2-
KS M 3408-2:2023
4 재료
4.1
콤파운드
관의 재료는 KS M 3408-1에 규정한 요구사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4.2
식별을 위한 콤파운드
공압출층과 식별줄에 사용된 재료는 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콤파운드와 동일한 종류의 기본
고분자로 제조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야 한다.
5 일반 특성
5.1
겉모양
확대하지 않는 상태로 관을 관찰했을 때 관의 바깥쪽과 안쪽 표면은 매끈하고 깨끗해야 하며, 관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표면상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관의 끝부분은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매끈하게
절단되어야 한다.
5.2
색상
관의 색상은 검정색, 청색 및 청색줄이 있는 흑색이어야 한다.
비고 지상에 설치되는 배관의 경우 검정색 이외의 색상을 가진 모든 구성요소는 직접적인 자외선
(UV) 노출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5.3
수질에 미치는 영향
KS M 3408-1의 6절(수질에 대한 영향)에 규정하는 요구사항에 따라야 한다.
6 기하학적 특성
6.1
치수 측정
관의 치수는 제조 후 24시간 이상이 경과되고 (23 ± 2) ℃의 항온에서 적어도 4시간 이상 상태 조절
한 후에 KS M ISO 3126에 따라 측정한다. 다만, 평균 바깥지름은 관 끝에서 안쪽으로 25 mm 이상
들어간 위치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6.2
평균 바깥지름 및 정원도
관의 평균 바깥지름(dnm) 및 정원도는 표 1에 적합하여야 한다.
비고
허용차는 KS M ISO 11922-1에 따라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a) A등급: 0.009 dn, 0.1 mm까지 반올림하며 최솟값은 0.3 mm, 최댓값은 10.0 mm를 갖는다.
b) B등급: 0.006 dn, 0.1 mm까지 올림하며 최솟값은 0.3 mm, 최댓값은 4.0 mm를 갖는다.
-3-
KS M 3408-2:2023
c) N등급:
— 바깥지름 ≤ 75 mm,
[0.008 dn + 1] mm
— 90 mm ≤ 바깥지름 ≤ 250 mm,
[0.02 dn] mm
— 바깥지름 > 250 mm,
[0.035 dn] mm
0.1 mm까지 올림한다.
표 1 — 평균 바깥지름 및 정원도
단위: mm
공칭 치수
16
20
25
32
40
50
63
75
90
110
125
140
160
180
200
225
250
280
315
355
400
450
500
560
630
710
800
900
1 000
1 200
1 400
1 600
1 800
2 000
2 250
2 500
2 800
3 000
공칭 바깥지름
dn
16
20
25
32
40
50
63
75
90
110
125
140
160
180
200
225
250
280
315
355
400
450
500
560
630
710
800
900
1 000
1 200
1 400
1 600
1 800
2 000
2 250
2 500
2 800
3 000
평균 바깥지름
dnm,min
16.0
20.0
25.0
32.0
40.0
50.0
63.0
75.0
90.0
110.0
125.0
140.0
160.0
180.0
200.0
225.0
250.0
280.0
315.0
355.0
400.0
450.0
500.0
560.0
630.0
710.0
800.0
900.0
1 000.0
1 200.0
1 400.0
1 600.0
1 800.0
2 000.0
2 250.0
2 500.0
2 800.0
3 000.0
-4-
a
dnm,max
16.3
20.3
25.3
32.3
40.4
50.4
63.4
75.5
90.6
110.7
125.8
140.9
161.0
181.1
201.2
226.4
251.5
281.7
316.9
357.2
402.4
452.7
503.0
563.4
633.8
716.4 c
807.2 c
908.1 c
1 009.0 c
1 210.8 c
1 412.6 c
1 614.4 c
1 816.2 c
2 018.0 c
2 270.3 c
2 522.5 c
2 825.2 c
3 027.0 c
최대 정원도
1.2
1.2
1.2
1.3
1.4
1.4
1.5
1.6
1.8
2.2
2.5
2.8
3.2
3.6
4.0
4.5
5.0
9.8
11.1
12.5
14.0
15.6
17.5
19.6
22.1
24.9
28.0
- d
-d
-d
-d
-d
-d
-d
-d
-d
-d
-d
b, c
KS M 3408-2:2023
표 1 — 평균 바깥지름 및 정원도(계속)
a
b
c
d
KS M ISO 11922-1에 따라 공칭 치수 630 이하일 경우에는 B등급을 따르며, 710 이상일 경우에
는 A등급을 따른다.
KS M ISO 11922-1에 따라 공칭 치수 800 이하일 경우에는 N등급을 따르며, 제조 시에 측정한다.
0.009 dn에 따라 계산된 허용차이며, KS M ISO 11922-1의 A등급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코일관과 공칭 치수가 710 이상의 직관인 경우, 최대 정원도는 제조자와 구매자의 상호 합의에
따른다.
공칭 치수 900 이상인 직관의 경우 최대 정원도는 제조자와 구매자의 상호 합의에 따른다.
비고
6.3
허용 오차 범위는 KS M ISO 11922-1에 따라 계산한다.
관벽 두께 및 허용차
관벽 두께는 표 2에 따라야 한다.
관벽 두께는 임의로 선택한 단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최소 6회 이상 측정하여 최소 두
께(emin)와 최대 두께(emax)를 기록한다.
비고 1 PN, MRS, S 및 SDR의 관계는 표 A.1에 주어진다.
비고 2 KS M ISO 11922-1에 따라 허용차 V등급에 따라 다음 식으로부터 계산한다.
(0.1 emin + 0.1) mm, 0.1 mm까지 올림한다.
e > 30 mm인 경우에는 KS M ISO 11922-1에 따른 허용차 T등급을 적용할 수 있으며, 허용차
는 0.15 emin으로부터 계산하여 0.1 mm 단위까지 올림한다.
6.4
코일관
어떠한 경우에라도 관의 얽힘은 방지되어야 하며, 관을 감기 위한 드럼의 최소 지름은 18 × dn이어야
한다.
6.5
길이
코일관 및 직관의 길이는 제조자와 구매자 사이에 합의된 길이보다 짧지 않아야 한다.
-5-
KS M 3408-2:2023
표 2 — 관벽 두께
단위: mm
관열
SDR 9
SDR 11
SDR 13.6
SDR 17
S4
S5
S 6.3
S8
공칭 압력, PN a
bar
PE 80
PN 25
PN 20
PN 16
PN 12.5
PN 10
PN 8
PE 100
-
PN 25
PN 20
PN 16
PN 12.5
PN 10
관벽 두께 b
공칭
치수
emin
emax
emin
emax
emin
emax
emin
emax
emin
emax
emin
emax
16
3.0
3.4
2.3 c
2.7
2.0 c
2.3
-
-
-
-
-
-
20
3.4
3.9
3.0
3.4
2.3 c
2.7
2.0 c
2.3
-
-
-
-
25
4.2
4.8
3.5
4.0
3.0
3.4
2.3 c
2.7
2.0 c
2.3
-
-
32
5.4
6.1
4.4
5.0
3.6
4.1
3.0
3.4
2.4
2.8
2.0 c
2.3
40
6.7
7.5
5.5
6.2
4.5
5.1
3.7
4.2
3.0
3.5
2.4
2.8
50
8.3
9.3
6.9
7.7
5.6
6.3
4.6
5.2
3.7
4.2
3.0
3.4
63
10.5
11.7
8.6
9.6
7.1
8.0
5.8
6.5
4.7
5.3
3.8
4.3
75
12.5
13.9
10.3
11.5
8.4
9.4
6.8
7.6
5.6
6.3
4.5
5.1
90
15.0
16.7
12.3
13.7
10.1
11.3
8.2
9.2
6.7
7.5
5.4
6.1
110
18.3
20.3
15.1
16.8
12.3
13.7
10.0
11.1
8.1
9.1
6.6
7.4
125
20.8
23.0
17.1
19.0
14.0
15.6
11.4
12.7
9.2
10.3
7.4
8.3
140
23.3
25.8
19.2
21.3
15.7
17.4
12.7
14.1
10.3
11.5
8.3
9.3
160
26.6
29.4
21.9
24.2
17.9
19.8
14.6
16.2
11.8
13.1
9.5
10.6
180
29.9
33.0
24.6
27.2
20.1
22.3
16.4
18.2
13.3
14.8
10.7
11.9
200
33.2
36.7
27.4
30.3
22.4
24.8
18.2
20.2
14.7
16.3
11.9
13.2
225
37.4
41.3
30.8
34.0
25.2
27.9
20.5
22.7
16.6
18.4
13.4
14.9
250
41.5
45.8
34.2
37.8
27.9
30.8
22.7
25.1
18.4
20.4
14.8
16.4
280
46.5
51.3
38.3
42.3
31.3
34.6
25.4
28.1
20.6
22.8
16.6
18.4
315
52.3
57.7
43.1
47.6
35.2
38.9
28.6
31.6
23.2
25.7
18.7
20.7
355
59.0
65.0
48.5
53.5
39.7
43.8
32.2
35.6
26.1
28.9
21.1
23.4
400
-
-
54.7
60.3
44.7
49.3
36.3
40.1
29.4
32.5
23.7
26.2
450
-
-
61.5
67.3
50.3
55.5
40.9
45.1
33.1
36.6
26.7
29.5
500
-
-
-
-
55.8
61.5
45.4
50.1
36.8
40.6
29.7
32.8
560
-
-
-
-
62.5
68.9
50.8
56.0
41.2
45.5
33.2
36.7
630
-
-
-
-
70.3
77.5
57.2
63.1
46.3
51.1
37.4
41.3
710
-
-
-
-
79.3
87.4
64.5
71.1
52.2
57.6
42.1
46.5
800
-
-
-
-
89.3
98.4
72.6
80.0
58.8
64.8
47.4
52.3
900
-
-
-
-
-
-
81.7
90.0
66.1
73.0
53.3
58.8
1 000
-
-
-
-
-
-
80.2
99.4
73.5
79.9
59.3
65.4
1 200
-
-
-
-
-
-
-
-
88.2
97.2
71.1
74.8
1 400
-
-
-
-
-
-
-
-
102.8 113.3 83.0
90.8
1 600
-
-
-
-
-
-
-
-
117.5 129.5 94.8 103.7
1 800
-
-
-
-
-
-
-
-
-
-
106.6 116.6
2 000
-
-
-
-
-
-
-
-
-
-
118.5 129.5
2 250
-
-
-
-
-
-
-
-
-
-
-
-
2 500
-
-
-
-
-
-
-
-
-
-
-
-
2 800
-
-
-
-
-
-
-
-
-
-
-
-
3 000
-
-
-
-
-
-
-
-
-
-
-
-
a
PN 값은 설계 계수 C = 1.25에 기초하여 계산되었으며,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bar 단위에 의한
압력 등급으로 나타낸다.
b
허용차는 KS M ISO 11922-1의 V등급에 따른다.
c
최소 관벽 두께(emin) 2.0, 2.3 또는 3.0은 올림하여 계산한 값이다. 전기 융착 및 피복층에 적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이유로 관벽 두께는 3.0 mm를 추천한다.
SDR 6
S 2.5
SDR 7.4
S 3.2
-6-
KS M 3408-2:2023
표 2 — 관벽 두께(계속)
단위: mm
관열
SDR 26
SDR 33
SDR 41
S 12.5
S 16
S 20
공칭 압력, PN a
bar
PE 80
PN 6 c
PN 5
PN 4
PN 3.2
PE 100
PN 8
PN 6 c
PN 5
PN 4
b
관벽 두께
공칭 치수
emin
emax
emin
emax
emin
emax
emin
emax
16
-
-
-
-
-
-
-
-
20
-
-
-
-
-
-
-
-
25
-
-
-
-
-
-
-
-
32
-
-
-
-
-
-
-
-
40
2.0 d
2.3
-
-
-
-
-
-
50
2.4
2.8
2.0
2.3
-
-
-
-
63
3.0
3.4
2.5
2.9
-
-
-
-
75
3.6
4.1
2.9
3.3
-
-
-
-
90
4.3
4.9
3.5
4.0
-
-
-
-
110
5.3
6.0
4.2
4.8
-
-
-
-
125
6.0
6.7
4.8
5.4
-
-
-
-
140
6.7
7.5
5.4
6.1
-
-
-
-
160
7.7
8.6
6.2
7.0
-
-
-
-
180
8.6
9.6
6.9
7.7
-
-
-
-
200
9.6
10.7
7.7
8.6
-
-
-
-
225
10.8
12.0
8.6
9.6
-
-
-
-
250
11.9
13.2
9.6
10.7
-
-
-
-
280
13.4
14.9
10.7
11.9
-
-
-
-
315
15.0
16.6
12.1
13.5
9.7
10.8
7.7
8.6
355
16.9
18.7
13.6
15.1
10.9
12.1
8.7
9.7
400
19.1
21.2
15.3
17.0
12.3
13.7
9.8
10.9
450
21.5
23.8
17.2
19.1
13.8
15.3
11.0
12.2
500
23.9
26.4
19.1
21.2
15.3
17.0
12.3
13.7
560
26.7
29.5
21.4
23.7
17.2
19.1
13.7
15.2
630
30.0
33.1
24.1
26.7
19.3
21.4
15.4
17.1
710
33.9
37.4
27.2
30.1
21.8
24.1
17.4
19.3
800
38.1
42.1
30.6
33.8
24.5
27.1
19.6
21.7
900
42.9
47.3
34.4
38.3
27.6
30.5
22.0
24.3
1 000
47.7
52.6
38.2
42.2
30.6
33.5
24.5
27.1
1 200
57.2
63.1
45.9
50.6
36.7
40.5
29.4
32.5
1 400
66.7
73.5
53.5
59.0
42.9
47.3
34.3
37.9
1 600
76.2
84.0
61.2
67.5
49.0
54.0
39.2
43.3
1 800
85.8
94.4
68.8
76.2
55.1
60.1
44.0
48.3
2 000
95.3
104.9
76.4
84.7
61.2
66.8
48.9
53.8
2 250
107.2
118.1
86.0
94.8
68.9
75.9
55.0
60.7
2 500
119.1
131.2
95.5
105.2
76.5
84.3
61.2
67.5
2 800
133.4
146.9
107.0
117.8
85.7
94.4
68.5
75.5
3 000
142.9
157.3
114.6
126.2
91.8
101.1
73.4
80.9
PN 값은 설계 계수 C = 1.25에 기초하여 계산되었으며,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bar 단위에 의한
압력 등급으로 나타낸다.
허용차는 KS M ISO 11922-1의 V등급에 따른다.
실제 계산값은 PE 100은 6.4 bar이며, PE 80은 6.3 bar이다.
최소 관벽 두께(emin) 2.0, 2.3 또는 3.0은 올림하여 계산한 값이다. 전기 융착 및 피복층에 적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이유로 관벽 두께는 3.0 mm를 추천한다.
SDR 21
S 10
a
b
c
d
-7-
KS M 3408-2:2023
7 기계적 특성
7.1
상태 조절
관은 표 3에 따라 시험하기 전에 시험편을 (23 ± 2) ℃의 항온에서 적어도 4시간 이상 상태 조절한다.
7.2
요구사항
관은 표 3에 명시된 시험 조건과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하였을 때 표 3에서 규정한 기계적 특성을
만족해야 한다.
DN1600 이상의 치수에 대해 표 3의 요구사항은 간접 시험(indirect test)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사용된 방법과 표 3의 시험방법에 대한 시험의 상관관계는 제조자의 품질 계획에 문서화 되어야
한다. 간접 시험방법은 제조자와 사용자 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표 3 — 관의 기계적 특성
항목
요구사항
시험 조건
시험 인자
끝부분 마개
상태 조절
시험편 수 b
시험 유형
내압 시험 시험 기간 동안 시험편에
시험 온도
(20 ℃)
파괴가 없을 것.
시험 시간
원주응력 d
PE 80
PE 100
끝부분 마개
상태 조절
시험편 수 b
시험 형태
내압 시험 시험 기간 동안 시험편에
시험 온도
(80 ℃)
파괴가 없을 것.
시험 시간
원주응력 e
PE 80
PE 100
끝부분 마개
상태 조절
시험편 수 b
시험 유형
내압 시험 시험 기간 동안 시험편에
시험 온도
(80 ℃)
파괴가 없을 것.
시험 시간
원주응력 d
PE 80
PE 100
-8-
수치
a형 a
KS M ISO 1167-1
1
수중-수압
20 ℃
100 h
10.0 MPa
12.0 MPa
a형 a
KS M ISO 1167-1
1
수중-수압
80 ℃
165 h c
4.5 MPa
5.4 MPa
a형 a
KS M ISO 1167-1
1
수중-수압
80 ℃
1 000 h
4.0 MPa
5.0 MPa
시험방법
KS M ISO
1167-1,
KS M ISO
1167-2
KS M ISO
1167-1,
KS M ISO
1167-2
KS M ISO
1167-1,
KS M ISO
1167-2
KS M 3408-2:2023
표 3 — 관의 기계적 특성(계속)
a
b
c
d
e
7.3
공칭 바깥지름이 500 mm 이상인 관일 경우 b형 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시험편 수는 표에서 설명된 값의 입증이 요구되는 경우의 수량을 표시한다. 시험편의 수는 공장
제품 조건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요구되며 제조자의 품질 계획에 명시되어야 한다.
연성 파괴가 되었을 경우 7.3에 따라 재시험을 해야 한다.
원주응력은 KS M ISO 1167-1의 7.2에 따라 측정한 치수를 기초로 압력을 계산한다.
원주응력은 KS M ISO 1167-1의 7.3에 따라 공칭 치수를 기초로 압력을 계산한다.
80 ℃에서 파괴의 경우 재시험
165시간보다 작은 시간에서의 취성 파괴는 파괴로 구성될 수 있다. 165시간 시험에서, 만약 시험편이
165시간보다 작은 시간에 연성 파괴 형태를 갖는다면 재시험은 표 4에 주어진 응력/시간 지점을 통
과하는 선으로부터 얻어진 선택된 응력에 대한 최소 요구 시간을 얻기 위하여 선택된 더 낮은 응력
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표 4 — 80 ℃에서의 내압 시험 재시험 조건
응력
MPa
4.5
4.4
4.3
4.2
4.1
4.0
PE 80
시험 시간
h
165
233
331
474
685
1 000
PE 100
응력
시험 시간
MPa
h
5.4
5.3
5.2
5.1
5.0
165
256
399
629
1 000
8 물리적 특성
8.1
상태 조절
관은 표 5의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시험편을 (23 ± 2) ℃의 항온에서 적어도 4시간 이상 상태 조절
한다.
8.2
요구사항
관은 표 5에 명시된 시험 조건과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하였을 때 표 5에서 규정한 물리적 특성을 만
족하여야 한다.
-9-
KS M 3408-2:2023
표 5 — 관의 물리적 특성
요구사항 a
시험 항목
파단점 신장률
e ≤ 5 mm
≥350 %
파단점 신장률
5 mm < e ≤ 12 mm
≥350 %
파단점 신장률
e > 12 mm
≥350 %
종축 복귀성
a
b
c
d
e
f
g
c
≤3 %
용융 질량 흐름률
(MFR)
가공 후
변화값
±20 % e
산화 유도 시간
≥20분
시험 조건
시험 인자
수치
유형 2
100 mm/min
KS M ISO 6259-1에 따름.
유형 1 a
50 mm/min
KS M ISO 6259-1에 따름.
유형 1 a
25 mm/min
KS M ISO 6259-1에 따름.
시험편 모양
시험 속도
시험편 수 b
시험편 모양
시험 속도
시험편 수 b
시험편 모양
시험 속도
시험편 수 b
또는
시험편 모양
시험 속도
시험편 수 b
시험편 모양과 수 d
시험 온도
시험 시간
하중
시험 온도
시험 시간
시험편 수 b
시험 온도
시험 환경
시험편 수 b, f
유형 3 a
10 mm/min
KS M ISO 6259-1에 따름.
KS M ISO 2505 참조
(110 ± 2) ℃
KS M ISO 2505 참조
5.0 kg
190 ℃
10 min
3
200 ℃ g
산소
3
시험방법
KS M ISO 6259-1
KS M ISO 6259-3
KS M ISO 6259-1
KS M ISO 6259-3
KS M ISO 6259-1
KS M ISO 6259-3
KS M ISO 2505
KS M ISO 1133-1
KS M ISO 11357-6
관벽 두께가 25 mm 이하인 경우 기계적 가공을 통한 유형 2 시험편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요구
사항을 만족할 경우 시험편의 파괴가 발생하기 전이라도 시험을 종료할 수 있다.
시험편 수는 이 표에서 설명된 값의 입증이 요구되는 경우의 수량을 표시한다. 시험편의 수는 공
장 제품 조건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요구되며 제조자의 품질 계획에 명시되어야 한다.
관벽 두께가 16 mm 이상인 경우 종축복귀성은 측정하지 않는다.
바깥지름이 200 mm 이상인 관에 대해서는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축 부분을 시험할 수 있다.
콤파운드로 측정한 값과 그것을 사용한 제조업체에서 측정한 값의 변화율이다.
시험편은 내면에서 채취해야 한다.
시험 온도는 210 ℃에서도 할 수 있다. 다만, 200 ℃에서의 결과에 따른 명확한 관계에 의해 제공
되어야 하며 논쟁이 있을 경우 시험 온도는 200 ℃이어야 한다.
9 관이 화학적 물질에 접촉할 때의 화학적 특성
특수한 설비의 경우, 내화학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면 관은 ISO 4433-1과 ISO 4433-2에 따라 분
류하여야 한다.
비고
ISO/TR 10358은 폴리에틸렌 관의 내화학성에 관한 지침서이다.
-10-
KS M 3408-2:2023
10 요구 성능
이 표준에 부합한 관이 서로 조립되거나 KS M 3408의 다른 부에 부합하는 구성요소와 조립되었을
때, 연결부는 ISO 4427-5에 주어진 요구사항에 부합하여야 한다.
11 표시
11.1 일반사항
11.1.1 표시는 관 위에 직접 인쇄 또는 성형되며, 이러한 방법에 의한 표시는 균열 또는 다른 종류의
이상을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보관, 기후, 가공, 허용 가능한 매설과 용도 하에서
관의 수명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11.1.2 인쇄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 표시의 색상은 관과 다른 색상을 가져야 한다.
11.1.3 표시의 품질과 크기는 확대하지 않고서 쉽게 판독할 수 있어야 한다.
11.2 관의 최소 표시사항
모든 관은 최소한 표 6에 명시된 사항을 선명하면서도 쉽게 지워지지 않도록 1 m 간격으로 표시해야
한다.
표 6 — 최소 표시사항
항목
표시 또는 기호
KS M 3408-2
이름 또는 기호
예: SP1
예: 110×10
예: SDR 11
예: PE 80
예: PN 12.5
년
월
일
표준번호
제조업체명 및 상표명
관의 구조
치수(dn × en)
SDR
재료 및 등급
공칭 압력(bar)
제조 일자(일자, 코드)
-11-
KS M 3408-2:2023
부속서 A
(참고)
PN, MRS, S 및 SDR의 관계
공칭 압력(PN), 설계 응력(s), 관열 S/SDR과의 관계는 다음 식에 의해 주어진다.
PN =
[10 𝜎𝑠 ]
또는 PN =
S
[20 𝜎𝑠 ]
SDR−1
다음 식에 근거한 PN, MRS, S 및 SDR의 관계에 대한 예는 C = 1.25인 경우에 표 A.1에 주어진다.
𝜎𝑠 =
MRS
𝐶
표 A.1 — 설계 계수 C = 1.25에서의 PN, MRS, S 및 SDR의 관계
SDR
41
33
26
21
17
13.6
11
9
7.4
6
비고 표의
값이
위의
값을
a
재료 등급에 따른 공칭 압력
bar
S
20
16
12.5
10
8
6.3
5
4
3.2
2.5
PE 80
PE 100
3.2
4
5
6a
8
10
12.5
16
20
25
4
5
6a
8
10
12.5
16
20
25
-
공칭 압력 “PN ”은 설계 상수 C = 1.25를 적용한 것이다. 만약 높은 C
필요하다면 “PN ”은 각 재료 등급에 대해 계산한 설계 응력 s에 의한
식을 사용하여 다시 계산하여야 한다. 높은 PN 등급을 선정하여 높은 C
얻을 수 있다.
실제 계산값은 PE 100은 6.4 bar, PE 80은 6.3 bar이다.
-12-
KS M 3408-2:2023
부속서 B
(규정)
다층관
B.1 일반사항
이 부속서는 수도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다층관의 기하학적,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규정한다. 추가 표시사항은 B.3.4에 주어진다.
두 종류의 다층관에 대하여 다룬다.
— 색상층관: 관의 외측에 동일한 MRS 등급의 공압출한 흑색 또는 안료층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관
으로, 전체 바깥지름이 dn인 관
— 피복층관: 관(바깥지름 dn)의 외측에 접합되지 않고 붙어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층(피복층)이 있
어 전체 바깥지름이 dn + 2e피복층인 관
B.2 색상층 관
B.2.1 기하학적 특성
식별을 위한 색상층을 포함하여 관의 기하학적 특성은 6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B.2.2 기계적 특성
식별을 위한 색상층을 포함하여 관의 기계적 특성은 7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B.2.3 물리적 특성
관의 물리적 특성은 8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산화 유도 시간(OIT)과 용융 질량 흐름률에 대한 요구사
항은 두 층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적용한다. 식별을 위한 색상층을 포함하여 종축복귀성을 적용하여
야 한다.
B.2.4 표시
색상층 관의 표시는 11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B.3 피복층 관
B.3.1 기하학적 특성
피복층을 제외한 관의 기하학적 특성은 6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B.3.2 기계적 특성
피복층을 제외한 관의 기계적 특성은 7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피복층은 관과 상호 해로운 영향을 주
어서는 안 된다.
-13-
KS M 3408-2:2023
비고 관의 피복층을 제거한 상태로 시험하는 것을 권장한다. 만약 피복층이 있는 상태로 시험한다면
시험 조건이 관 자체에 적용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논란이 있는 경우에는 관은 피복층을 제
거하고 시험하여야 한다.
B.3.3 물리적 특성
피복층을 제외한 관의 물리적 특성은 8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피복층은 관과 상호 해로운 영향을 주
어서는 안 된다.
B.3.4 표시
피복층 관의 표시는 11절에 부합하여야 한다.
또한 피복층은 사용 중에 있는 피복되지 않은 관을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는 표시(예를 들면, 넓은
색상띠)가 된 상태로 공급하여야 한다. 피복층에는 융착이나 기계식 연결을 하기 전에 피복층을 제거
하여야 한다는 표시가 있어야 한다.
-14-
KS M 3408-2:2023
KS M 3408-2:2023
해 설
이 해설은 본체 및 부속서(규정)에 규정한 사항, 부속서(참고)에 기재한 사항 및 이들과 관련된 사항
을 설명하는 것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니다.
(2020년 개정)
이번 개정의 주요 사항은 기존 국제표준에서 인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번역의 오류를 수정한 것으
로 올림과 반올림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여 표현하였다.
(2023년 개정)
인용표준의 변경사항(제정ㆍ개정ㆍ폐지)을 적용하고 다른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표준과 용어의 일치
등을 반영하여 개정함. ISO 4427-2의 개정사항 반영.
1. ISO 4427-5의 표준명 변경
2. 5.2항의 관의 색상을 ISO 4427-2 개정사항 반영
3. 6.1항의 치수 측정 위치를 명확히 함
4. 표 1의 공칭치수 (1 800 ~ 3 000) 추가
-15-
KS M 3408-2:2023
㉿ KS M 3408-2:2023
KSKSKS
KSKSK
KSKS
KSK
KS
KSK
KSKS
KSKSK
KSKSKS
Plastics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
Polyethylene(PE) — Part 2: Pipes
ICS 23.040.20
-16-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