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움직이는총

KS M 3408-3(2023) KR-복사

advertisement
KSKSKSKS
KSKSKSK
KSKSKS
KSKSK
KSKS
KSK
KS
KS M 3408-3
㉿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3부: 이음관
KS M 3408-3:2023
산 업 표 준 심 의 회
2023년 11월 14일 개정
KS M 3408-3:2023
심 의 : 화학재료 기술심의회
성
명
근
무
처
직
위
(회
장)
계형산
목원대학교
교
수
(위
원)
김정호
수원대학교
교
수
강민철
한국플라스틱시험원
본 부 장
윤주호
한국자동차연구원
부 문 장
원종옥
세종대학교
교
수
윤병선
㈜한컴라이프케어
이
사
길성희
한국가스안전공사
부
장
정경호
수원대학교
교
수
정진수
중소기업유통센터
대표이사
홍청석
정화폴리테크공업㈜
고
박현영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 바이오화학서비스표준과
연 구 관
(간
사)
문
원안작성협력 : 플라스틱 파이프 문위원회
성
(대표전문위원)
(위
원)
(간 사)
직
위
계형산
명
목원대학교
근
무
처
교
수
강민철
한국플라스틱시험원
본
권혁칠
한화솔루션
상
무
길성희
한국가스안전공사
부
장
김은수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민병준
LG화학
책
박태욱
플라스틱파이프연구회
부
홍철의
한국환경공단
과
신진용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임규영
부
장
임
회
장
센
터
장
한국환경공단
본
부
장
조규철
에버택
대
최용철
코스모아이앤디㈜
팀
홍석원
PPI평화㈜
부
황무연
한국PVC관공업협동조합
이
성낙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수석연구원
장
표
장
사
표준열람 : e나라표준인증(http://www.standard.go.kr)
━━━━━━━━━━━━━━━━━━━━━━━━━━━━━━━━━━━━━━━━
제 정 자:산업표준심의회 위원장
담당부처: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
정:1976년 11월 3일
개
심
의:산업표준심의회 화학재료 기술심의회
정:2023년 11월 14일
원안작성협력:플라스틱 파이프 전문위원회
━━━━━━━━━━━━━━━━━━━━━━━━━━━━━━━━━━━━━━━━
이 표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e나라표준인증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주십시오.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매 5년마다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심의되어
확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장
사
KS M 3408-3:2023
목
머
개
차
말 ................................................................................................................................................... iii
리
요 ....................................................................................................................................................... iv
1 적용범위 .................................................................................................................................................. 1
2 인용표준 .................................................................................................................................................. 2
3 용어와 정의 ............................................................................................................................................. 3
3.1 전기 융착 소켓 이음관(electrofusion socket fitting) ...................................................................... 3
3.2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electrofusion saddle fitting) .................................................................. 3
3.3 스피곳 이음관(spigot end fitting).................................................................................................... 3
3.4 소켓 융착 이음관(socket fusion fitting) .......................................................................................... 3
3.5 가공식 이음관(fabricated fitting) .................................................................................................... 3
3.6 기계식(조임식) 이음관(mechanical fitting) ..................................................................................... 4
3.7 전압 규정 ........................................................................................................................................ 4
3.8 전류 규정 ........................................................................................................................................ 4
4 재료 .......................................................................................................................................................... 4
4.1 PE 콤파운드 ................................................................................................................................... 4
4.2 폴리에틸렌이 아닌 부품 재료 ....................................................................................................... 4
5 일반
5.1
5.2
5.3
5.4
5.5
5.6
특성 ................................................................................................................................................. 5
겉모양 ............................................................................................................................................. 5
설계 ................................................................................................................................................. 5
색상 ................................................................................................................................................. 5
전기 융착 이음관에 대한 전기적 특성......................................................................................... 5
공장 제작 연결구의 형태 .............................................................................................................. 5
수질에 미치는 영향 ....................................................................................................................... 6
6 기하학적 특성 ......................................................................................................................................... 6
6.1 치수 측정 ........................................................................................................................................ 6
6.2 전기 융착 소켓의 치수 .................................................................................................................. 6
6.3 스피곳 이음관의 치수 .................................................................................................................... 8
6.4 소켓 융착 이음관의 치수 .............................................................................................................. 9
6.5 가공식 이음관의 치수 .................................................................................................................... 9
6.6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의 치수.................................................................................................. 9
6.7 기계식 이음관의 치수 .................................................................................................................. 10
6.8 이완 지지 플랜지와 플랜지 어댑터의 치수 ............................................................................... 10
7 기계적 특성 ........................................................................................................................................... 10
7.1 일반사항 ....................................................................................................................................... 10
7.2 상태 조절 ...................................................................................................................................... 11
7.3 요구사항 ....................................................................................................................................... 11
7.4 80 ℃에서 파괴의 경우 재시험 .................................................................................................... 12
7.5 성능 요구사항 .............................................................................................................................. 12
8 물리적 특성 ........................................................................................................................................... 13
-i-
KS M 3408-3:2023
8.1 상태 조절 ...................................................................................................................................... 13
8.2 요구사항 ....................................................................................................................................... 13
9 관이 화학적 물질에 접촉할 때의 화학적 특성 ................................................................................... 14
10 요구 성능 ............................................................................................................................................... 14
11 표시 ........................................................................................................................................................ 14
11.1 일반사항 ....................................................................................................................................... 14
11.2 이음관의 최소 표시 사항 ............................................................................................................ 14
11.3 라벨에의 최소 표시 사항 ............................................................................................................ 14
11.4 융착 시스템 인식 ......................................................................................................................... 15
12 포장 ........................................................................................................................................................ 15
부속서 A (규정)
소켓 융착 이음관 ........................................................................................................... 16
부속서 B (규정) 가공식 이음관 ................................................................................................................ 18
B.1 일반사항 ....................................................................................................................................... 18
B.2 치수 ............................................................................................................................................... 19
B.3 분절된 굽힘(segmented bends) ................................................................................................... 19
B.4 관 굽힘 ......................................................................................................................................... 21
B.5 분절 티(segmented tees) ............................................................................................................. 22
부속서 C (참고)
전기 융착 이음관 단자 연결의 예 ............................................................................... 23
부속서 D (규정) 기계식(조임식) 이음관 ................................................................................................... 25
D.1 재료 ............................................................................................................................................... 25
D.2 품질 기준 ...................................................................................................................................... 26
D.3 치수 ............................................................................................................................................... 26
부속서 E (참고) 조합형 이음관 ................................................................................................................ 36
E.1 적용범위 ....................................................................................................................................... 36
E.2 조합형 전기 융착 이음관의 치수................................................................................................ 36
E.3 조합형 소켓 융착 이음관의 치수................................................................................................ 37
E.4 조합형 맞대기 융착 이음관의 치수 ............................................................................................ 38
부속서 F (규정) 단기 내압 시험방법 ....................................................................................................... 40
F.1 원리 ............................................................................................................................................... 40
F.2 장치 ............................................................................................................................................... 40
F.3 시험편 ........................................................................................................................................... 40
F.4 절차 ............................................................................................................................................... 40
F.5 시험 보고서 .................................................................................................................................. 41
부속서 G (규정) 이음관/관 조립품에 대한 인장 시험 ............................................................................ 42
G.1 원리 ............................................................................................................................................... 42
G.2 장치 ............................................................................................................................................... 42
G.3 시험편 ........................................................................................................................................... 42
G.4 절차 ............................................................................................................................................... 42
G.5 시험 보고서 .................................................................................................................................. 42
KS M 3408-3:2023 해
설 ......................................................................................................................... 44
-ii-
KS M 3408-3:2023
머 리 말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관련 규정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개정한 한국산업표준이다.
이에 따라 KS M 3408-3:2020은 개정되어 이 표준으로 바뀌었다.
이 표준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다.
이 표준의 일부가 기술적 성질을 가진 특허권, 출원공개 이후의 특허출원, 실용신안권 또는 출원공개
후의 실용신안등록출원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주의를 환기한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산업표준심의회는 이러한 기술적 성질을 가진 특허권, 출원공개 이후의 특허출원, 실용신안권 또는
출원공개 후의 실용신안등록출원에 관계되는 확인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는다.
-iii-
KS M 3408-3:2023
개
요
이 표준은 2019년 제2판으로 발행된 ISO 4427-3, Plastics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and for
drainage and sewerage under pressure — Polyethylene (PE) — Part 3: Fittings를 기초로 대응하는 부분
(모양 및 치수)에 대해서는 대응국제표준을 번역하여 기술적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한국산업
표준이지만 대응국제표준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규정항목(측정방법 및 표시)을 한국산업표준으로서
추가하고 있다.
-iv-
한국산업표준
KS M 3408-3:2023
㉿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3부: 이음관
Plastics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 Polyethylene(PE) —
Part 3: Fittings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일반으로 사용되는 물의 이송용 및 처리 전 원수를 포함하는 인간 소비용 물의 이송을 목
적으로 하는 폴리에틸렌(PE) 이음관의 특성에 대하여 규정한다.
또한 이 표준은 이 표준에서 참고하는 시험방법에 대한 시험 인자에 대하여 규정한다.
KS M 3408의 다른 부에 해당하는 표준과 함께 이 표준은 아래의 조건하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 연결구 및 기타 재질의 기계식 연결구 등에 적용한다.
a) 최고 사용 압력(MOP)
2.5 MPa 이하
b) 기준 사용 온도 20 ℃
비고 1 20 ℃ ∼ 40 ℃의 온도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도로 적용할 경우에는 KS M 3408-1의
부속서 A를 참조한다.
KS M 3408 시리즈는 최고 사용 압력의 범위와 색상 및 첨가제에 대한 요구사항을 다룬다.
비고 2 적절한 요구사항, 관련 법규 및 시공 지침, 시방서를 고려하여 이러한 조건으로부터 적절히
선정을 하는 것은 이해 당사자 간의 책임이다.
이 표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이음관에 대해 적용한다.
a) 융착식 이음관
참조)
전기 융착 이음관(부속서 C 참조), 맞대기 융착 이음관, 소켓 융착 이음관(부속서 A
b) 가공식 이음관(부속서 B 참조)
c) 기계식(조임식) 이음관(부속서 D 참조)
d) 플랜지 이음관
비고 3 융착식 이음관의 종류는 소켓, 이경 소켓, 엘보, 티, 캡 및 안장형의 구조별로 세분되며, 기계
식 이음관의 종류는 소켓, 이경 소켓, 엘보, 45° 굽힘, 티, 플랜지형 및 벌브 소켓으로 세분
된다.
비고 4 치수 체제가 다른 관, 이음관 또는 관과 이음관의 연결에 사용하는 조합형 이음관에 대해서
1
KS M 3408-3:2020
는 부속서 E(참고)에 주어진다.
2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
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
을 적용한다.
KS C IEC 60335-1,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성 — 제1부: 일반 요구사항
KS C IEC 60364-1, 저압 전기설비 — 제1부: 기본 원칙, 일반 특성 평가 및 용어 정의
KS C IEC 60449, 건축 전기 설비의 전압 밴드
KS C IEC 60529, 외함의 밀폐 보호등급 구분(IP 코드)
KS C IEC 60947-1, 저압 개폐장치 및 제어장치 — 제1부: 일반 규정
KS M 3408-1,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1부: 일반사항
KS M 3408-2, 수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폴리에틸렌(PE) — 제2부: 관
KS M 6613, 수도용 고무
KS M ISO 1133-1, 플라스틱 —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용융 질량 흐름률(MFR) 및 용융 체적 흐름률
(MVR)의 측정 — 제1부: 표준 방법
KS M ISO 1167-1, 유체이송용 열가소성 플라스틱관, 이음관 및 조립품 — 내압저항성의 평가 — 제1부:
일반 방법
KS M ISO 3126, 플라스틱 배관계 — 플라스틱 배관 구성품 — 치수 측정
KS M ISO 11357-6, 플라스틱 — 시차 주사 열량계(DSC) — 제6부: 산화 유도 시간(등온 OIT) 및 산화
유도 온도(동적 OIT)의 측정
KS M ISO 11922-1, 유체 이송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 치수 및 허용차 — 제1부: 미터법
ISO 4427-5, Plastic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and for drainage and sewerage under pressure —
Polyethylene (PE) — Part 5 : Fitness for purpose of the system
ISO 4433-1, Thermoplastics pipes — Resistance to liquid chemicals — Classification — Part 1:
Immersion test method
ISO 4433-2, Thermoplastics pipes — Resistance to liquid chemicals — Classification — Part 2: Polyolefin
pipes
ISO 9624, Thermoplastics pipes for fluids under pressure — Mating dimensions of flange adapters and
loose backing flanges — Mating dimensions
ISO/TR 10358, Plastics pipes and fitting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Collection of data on combined
chemical-resistance
ISO 13951, Plastics piping systems — Test method for the resistance of plastic pipe/pipe or pipe/fitting
assemblies to tensile loading
ISO 13953, Polyethylene (PE) pipes and fittings — Determination of the tensile strength and failure mode
of test pieces from a butt-fused joint
ISO 13954, Plastics pipes and fittings — Peel decohesion test for polyethylene (PE) electrofusion
assemblies of nominal outside diameter greater than or equal to 90 mm
ISO 13955, Plastics pipes and fittings — Crushing decohesion test for polyethylene (PE) electrofusion
assemblies
ISO 13956, Plastics pipes and fittings — Decohesion test of polyethylene (PE) saddle fusion joints —
Evaluation of ductility of fusion joint interface by tear test
2
KS M 3408-3:2020
ISO 13957, Plastics pipes and fittings — Polyethylene (PE) tapping tees — Test method for impact
resistance
ISO 15853, Thermoplastics materials — Preparation of tubular test piece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hydrostatic strength of materials used for injection moulding
ISO 17885, Plastics piping system — Mechanical fittings for pressure piping systems — Specificaitons
ISO 21751, Plastics pipes and fittings — Decohesion test of electrofusion assemblies — Strip-bend test
EN 681-1, Elastomeric seals — Material requirements for pipe joint seals used in water and drainage
applications — Part 1: Vulcanized rubber
EN 681-2, Elastomeric seals — Material requirements for pipe joint seals used in water and drainage
applications — Part 2: Thermoplastics elastomers
3 용어와 정의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KS M 3408-1에 규정된 용어와 정의 및 다음을 적용한다.
참고 이 표준과 관련된 ISO 및 IEC의 용어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다.
— ISO 온라인 브라우징(browsing) 플랫폼: https://www.iso.org/obp
— IEC 일렉트로피디아(Electropedia): http://www.electropedia.org
3.1
전기 융착 소켓 이음관(electrofusion socket fitting)
스피곳 끝 부분 또는 관을 융착 연결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발열체를 내장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
3.2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electrofusion saddle fitting)
관을 융착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발열체를 내장하
는 폴리에틸렌 이음관
3.2.1
분기 티(tapping tee)
관에 구멍을 뚫는 천공기(cutter)를 갖는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 천공기는 설치 후에 분기 티 내부
에 남게 된다.
3.2.2
분기 안장형(branch saddle)
인접하는 관에 구멍을 뚫기 위해 보조 천공기가 필요한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
3.3
스피곳 이음관(spigot end fitting)
스피곳 길이의 바깥지름이 대응하는 관의 공칭 바깥지름과 일치하는 폴리에틸렌 이음관
3.4
소켓 융착 이음관(socket fusion fitting)
소켓 입구가 가열된 도구를 사용하여 스피곳 또는 관과 용융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이음관
3.5
가공식 이음관(fabricated fitting)
3
KS M 3408-3:2020
KS M 3408-2에 부합하는 관 및/또는 이 표준에 부합하는 사출 성형된 이음관으로부터 가공한 이음관
3.6
기계식(조임식) 이음관(mechanical fitting)
폴리에틸렌 관을 다른 폴리에틸렌 관 또는 배관 시스템의 다른 요소에 조립하기 위한 이음관
기계식 이음관은 현장 조립 또는 제조자에 의한 사전 조립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음관은 일반적
으로 압력 보전, 누설 차단 그리고 끝 부분 하중에의 저항을 대비하여 압축 부분을 포함한다.
비고 1 이음관의 금속 부속은 폴리에틸렌 플랜지를 포함하는 나사산, 압축 연결, 융착 또는 플랜지된
연결에 의해 금속 관에 조립할 수 있다.
비고 2 일부 경우에 지지링이 그립링으로 작용할 수 있다.
3.7
전압 규정
전기 융착 이음관의 융착 과정 동안 공급되는 에너지의 조절은 전압 매개 변수에 따름.
3.8
전류 규정
전기 융착 이음관의 융착 과정 동안 공급되는 에너지의 조절은 전류 매개 변수에 따름.
4 재료
4.1
PE 콤파운드
이음관을 제조하기 위한 PE 콤파운드는 KS M 3408-1에 부합하여야 한다.
4.2
4.2.1
폴리에틸렌이 아닌 부품 재료
일반사항
이음관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와 구성품은 다음의 사용하고자 하는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저
항성이 있어야 한다.
a) 저장 중
b) 수송되는 유체의 영향하에서
c) 사용 환경과 조작 조건을 고려하여
폴리에틸렌이 아닌 부품에 대한 재료의 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은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다면 배관 시
스템의 PE 콤파운드의 성능과 동일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PE관과 접촉하는 이음관 재료는 관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응력 균열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4.2.2
금속 부품
부식의 가능성이 있는 금속제 부품은 적절하게 방식 처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습한 환경 하에서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종 금속 간의 접촉 부식을 피할 수 있는 조치
4
KS M 3408-3:2020
를 취해야 한다.
4.2.3
탄성체
수밀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탄성 재료는 EN 681-1, EN 681-2 또는 KS M 6613의 1종 1호의 품질 기준
에 부합하여야 한다.
4.2.4
다른 재료
그리스 또는 윤활제가 융착 부위에 스며 나오지 않아야 하고, 이음관의 장기 성능 및 수질에 악영향
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
5 일반 특성
5.1
겉모양
확대하지 않는 상태로 관을 관찰했을 때 이음관의 바깥쪽과 안쪽 표면은 매끈하고 깨끗해야 하고 흠
또는 공극이 없어야 하며, 이 표준에 대한 이음관의 부합을 저해하는 표면상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5.2
설계
이음관의 설계는 이음관을 관 또는 다른 요소에 조립할 때 전기 코일 및/또는 밀봉재가 잘못 배치되
지 않도록 해야 한다.
5.3
색상
이음관의 색상은 흑색 또는 청색이어야 한다. 가공식 이음관은 KS M 3408-2에 따라 관의 색상을 적용
한다.
비고 지상에 시공하는 모든 청색 구성요소는 자외선(UV)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4
전기 융착 이음관에 대한 전기적 특성
전기적 보호는 사용되는 전압, 전류의 강도 및 전력의 특성에 의존하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25 V 이상의 전압에서는 이음관 및 융착 공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이음관의 융착 작업을 했을 때
충전부에의 인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야 한다.
비고 1 이 형태의 이음관은 전기적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KS C IEC 60335-1, KS C IEC 60364-1, KS
C IEC 60449에 규정되어 있다. 활성 부분(활성화된 도체)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대한 보호는
KS C IEC 60529에 부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보호는 작업 조건 중의 기능에 해당된다.
비고 2 전형적인 전기 융착 단자 연결의 예는 부속서 C를 참조한다.
단자 핀의 표면 마감은 저항 공차 요구사항(공칭값 ±10 %)을 만족하기 위하여 최소 접촉 저항을 허
용한다.
5.5
공장 제작 연결구의 형태
5
KS M 3408-3:2020
다음의 요구사항은 공장에서 조립되거나 만들어진 연결구와 이음관에 적용한다.
융착 연결 후의 관과 이음관의 내외면은 확대하지 않는 상태로 관찰했을 때 이음관 제조자에 의해
선언되거나 융착 표시로 사용된 수용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는 용출물이 없어야 한다.
전기 융착 이음관에서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 연결했을 때 어떠한 용출물도 회선을 단락시키는 전
선 이동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연결하는 관의 내면에 과도한 주름이 없어야 한다.
5.6
수질에 미치는 영향
KS M 3408-1의 6절(수질에 대한 영향)에서 규정하는 요구사항에 따르도록 주의해야 한다.
6 기하학적 특성
6.1
치수 측정
이음관의 치수는 KS M ISO 3126에 따라 측정한다. 분쟁이 있을 경우, 치수의 측정은 제조 후 24시간
이상이 경과해야 하고 (23 ± 2) ℃에서 적어도 4시간 이상 상태 조절하여야 한다.
6.2
6.2.1
전기 융착 소켓의 치수
전기 융착 소켓의 지름과 길이
6.1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전기 융착 소켓의 지름과 길이(그림 1 참조)는 표 1에 부합하여야 한다.
용융 영역 중앙에서 이음관의 평균 안지름 D1은 dn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제조자는 클램프 작업
과 연결 조립에 대한 적합성을 결정하기 위해 D1과 L1의 실제 최댓값, 최솟값을 명시하여야 한다.
다른 치수의 소켓을 갖는 이음관의 경우, 대응하는 공칭 바깥지름에 대한 요구사항에 각각 부합해야
한다.
식별부호
D1 L3 + 0.5 L2 거리에서 입구의 평면에 평행인 면에서 측정한 용착 영역에서의 평균 안지름
D2 D2 ≥ (dn - 2emin)인 곳에서 이음관의 몸체를 통하는 유로의 최소 지름
L1 관 또는 이음관의 스피곳부의 삽입 길이, 마개가 없는 커플링의 경우 이음관의 전체 길이의 반
보다 크지 않다.
6
KS M 3408-3:2020
L2
L3
제조자가 명시한 융착 영역의 공칭 길이로, 소켓 내의 전열 선부의 길이
제조자가 명시한 이음관의 공칭 비가열 길이로, 5 mm보다 커야 하며, 이음관 입구와 융착 영역
시작점 사이의 거리
그림 1 — 전기 융착 소켓의 치수
표 1 — 전기 융착 소켓의 치수
단위: mm
6.2.2
삽입부 길이
이음관의
공칭 지름
융착부 길이
전류 규정
전압 규정
dn
L1, min
L1, min
L1, max
L2, min
16
20
25
32
40
50
63
75
90
110
125
140
160
180
200
225
250
280
315
355
400
450
500
560
630
20
20
20
20
20
20
23
25
28
32
35
38
42
46
50
55
73
81
89
99
110
122
135
147
161
25
25
25
25
25
28
31
35
40
53
58
62
68
74
80
88
95
104
115
127
140
155
170
188
209
41
41
41
44
49
55
63
70
79
82
87
92
98
105
112
120
130
140
150
165
180
195
215
235
255
10
10
10
10
10
10
11
12
13
15
16
18
20
21
23
26
33
35
39
42
47
51
56
61
67
관벽 두께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관 몸체 관벽 두께에서의 변화는 점진적이어야 한다.
a) 임의의 지점에서 이음관 몸체의 관벽 두께 E는 이음관과 관이 같은 MRS 등급의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졌을 때에는 이음관 삽입부 끝으로부터 2 L1/3의 거리에 위치한 모든 부분이 관의 최소 관
벽 두께(emin)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만약 이음관이 대응하는 관과 다른 MRS 등급의 폴리에틸
렌으로 만들어졌다면 이음관의 관벽 두께 E와 관의 최소 관벽 두께(emin)의 관계는 표 2에 부합하
여야 한다.
7
KS M 3408-3:2020
표 2 — 관과 이음관 두께와의 관계
재료
관
이음관
관벽 두께(emin)와
이음관 관벽 두께(E)와의 관계
PE 80
PE 100
E ≥ 0.8 emin
PE 100
PE 80
E ≥ 1.25 emin
b) a)에 규정된 것과 다른 관벽 두께 설계의 경우, 이음관과 결합되는 융착 연결부는 부가적으로 7.5
에 주어진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6.3
스피곳 이음관의 치수
6.1에 따라 측정했을 때 스피곳 치수는 표 3에 주어진 요구사항을 따라야 한다(그림 2 참조).
표 3 — 스피곳의 치수
단위: mm
스피곳의
공칭
바깥지름
a
b
8
융착 끝 부분의
평균 바깥지름 a
D1, max
등급
등급
A
B
전기 융착용
정원도 최소 절단
구멍 고려
지름 길이
dn
D1, min
최대
D2
L1, min
16
16.0
-
16.3
0.3
9
25
20
20.0
-
20.3
0.3
13
25
25
25.0
-
25.3
0.4
18
25
32
32.0
-
32.3
0.5
25
25
40
40.0
-
40.4
0.6
31
25
50
50.0
-
50.4
0.8
39
25
63
63.0
-
63.4
0.9
49
25
75
75.0
-
75.5
1.2
59
25
90
90.0
-
90.6
1.4
71
28
110
110.0
-
110.7
1.7
87
32
125
125.0
-
125.8
1.9
99
35
140
140.0
-
140.9
2.1
111
38
160
160.0
-
161.0
2.4
127
42
180
180.0
-
181.1
2.7
143
46
200
200.0
-
201.2
3.0
159
50
225
225.0
-
226.4
3.4
179
55
250
250.0
-
251.5
3.8
199
60
280
280.0 282.6 281.7
4.2
223
75
315
315.0 317.9 316.9
4.8
251
75
355
355.0 358.2 357.2
5.4
283
75
400
400.0 403.3 402.4
6.0
319
75
450
450.0 454.1 452.7
6.8
359
100
500
500.0 504.5 503.0
7.5
399
100
560
560.0 565.0 563.4
8.4
447
100
630
630.0 635.0 633.8
9.5
503
100
등급 A와 등급 B의 허용차는 KS M ISO 11922-1에
짧은 관형부 길이 L2는 다음의 식에 근거한다.
소켓
융착용
맞대기 융착용
관형부 관형부 정원도
길이 b 길이
L2, min L2, min
41
10
41
11
41
12.5
44
14.6
49
17
55
20
63
24
70
25
79
28
82
32
87
35
92
-
98
-
105
-
112
-
120
-
130
-
140
-
150
-
165
-
180
-
195
-
215
-
235
-
255
-
따른다.
최대
-
-
-
-
-
-
1.5
1.6
1.8
2.2
2.5
2.8
3.2
3.6
4.0
4.5
5.0
9.8
11.1
12.5
14.0
15.6
17.5
19.6
22.1
절단 관형부 관형부
고려
길이
길이
길이 일반 c 특별 d
L1, min L2, min L2, min
-
-
-
-
-
-
-
-
-
-
-
-
-
-
-
-
-
-
5
16
5
6
19
6
6
22
6
8
28
8
8
32
8
8
35
8
8
40
8
8
45
8
8
50
8
10
55
10
10
60
10
10
70
10
10
80
10
10
90
12
10
95
12
15
60
15
20
60
15
20
60
15
20
60
20
KS M 3408-3:2020
dn ≤ 90, L2 = 0.6 dn + 25 mm
dn ≥ 110, L2 = dn/3 + 45 mm
c
d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공장에서 가공한 이음관에 사용된다.
E1
E
L2
D1
D2
L1
식별부호
D1 융착 끝 부분의 평균 바깥지름으로, L2(관형부 길이) 이내의 거리에서 입구의 평면에 평행한 임의
의 평행한 평면에서 측정한다.
D2 최소 구멍지름으로 이음관 몸체를 통하는 흐름 관로의 최소 지름. 지름의 측정은 융착 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E 이음관의 몸체 관벽 두께로, 이음관 벽의 임의의 지점에서 측정된 두께를 의미한다.
E1 입구로부터 L1의 최대 거리에서 임의의 지점에서 측정한 융착면 관벽 두께로, KS M 3408-2의 표
2(관벽 두께)에 규정된 맞대기 융착을 하고자 할 때의 관벽 두께가 편차와 동일하다. 작은 치수
에 대한 관벽 두께 E1은 적어도 3 mm이다.
L1 융착 끝 부분의 절단 고려 길이(cut back length)로 맞대기 융착 또는 재융착 필요에 의한 스피곳
끝의 초기 깊이와 일치한다. 이 길이는 관의 길이를 이음관의 스피곳 끝에 연결하여 구하며, 관
의 관벽 두께는 관의 전체 길이에 대한 E1과 동일하다.
L2 융착 끝 부분의 관형부 길이로 융착 끝 부분의 초기 길이와 동일하다. 이 관형부 길이는 어떠한
조합에 대해서도 고려하여야 한다.
— 맞대기 융착의 경우, 요구되는 클램프의 사용
— 전기 융착 이음관과의 조립
— 소켓 융착 이음관과의 조립
— 기계적 스크레이퍼(scraper)의 사용
그림 2 — 스피곳 이음관의 치수
6.4
소켓 융착 이음관의 치수
이러한 형태의 이음관의 묘사와 치수가 요구되는 경우, 부속서 A를 적용한다.
6.5
가공식 이음관의 치수
이러한 형태의 이음관의 묘사와 치수가 요구되는 경우, 부속서 B를 적용한다.
6.6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의 치수
9
KS M 3408-3:2020
분기 티와 분기 안장형의 출구는 6.3에 따라 스피곳되거나 6.2에 따른 전기 융착 소켓이어야 한다.
제조자는 기술 자료에 이음관의 전체 특성 치수를 명시하여야 한다. 이들 치수는 그림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새들의 최대 높이와 주관의 상부로부터 측정한 공급관의 높이를 포함하여야 한다.
h
H
L
식별부호
H 분기 티의 폭, 즉 주관의 상부에서 분기 티의 상부까지의 거리
h 서비스 관의 높이, 즉 주관의 상부와 서비스 관 축 사이의 거리
L 분기 티의 폭, 즉 관의 축과 서비스 티의 입구의 평면 사이의 거리
그림 3 — 전기 융착 안장형 이음관
6.7
기계식 이음관의 치수
기계식 이음관은 주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고, 폴리에틸렌 관에 일부 융착 또는 어댑터와 같은 다
른 관 구성요소와의 일부 기계적 연결에 사용하는 기계식 이음관은 적용하는 PE 배관 시스템의 기
하학적 특성에 부합하여야 한다.
폴리에틸렌이 아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제조한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의 치
수는 부속서 D에 따른다.
6.8
이완 지지 플랜지와 플랜지 어댑터의 치수
이완 지지 플랜지와 플랜지 어댑터의 치수는 ISO 9624에 따라야 한다.
7 기계적 특성
7.1
일반사항
이음관은 KS M 3408-2에 부합하는 관과 조립되거나 관에 융착된 하나 이상의 이음관의 조립품으로
시험한다.
각 조립품은 같은 압력 등급의 구성요소(관과 이음관)로 준비한다.
10
KS M 3408-3:2020
7.2
상태 조절
적용할 시험방법에 의해 명시하지 않은 경우, 시험편은 표 4에 따라 시험하기 전에 (23 ± 2) ℃의 항
온에서 상태 조절하여야 한다.
7.3
요구사항
표 4에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표에 주어진 시험 인자를 사용하여 시험하였을 때 이음관은 표 4에
주어진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기계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은 부속서 D의 요구사항을 따르거나 ISO 17885에 주어진 요구사항을 만족하여
야 한다.
표 4 — 기계적 특성
특성
내압 시험
(20 ℃)
내압 시험
(80 ℃)
내압 시험
(80 ℃)
a
b
요구사항
시험 조건
시험 인자
끝 부분 마개
상태 조절
시험편 수 b
시험 유형
시험 기간 동안 시험편에
시험 온도
파괴가 없을 것.
시험 시간
정수(원주) 응력
PE 80
PE 100
끝 부분 마개
상태 조절
시험편 수 b
시험 유형
시험 기간 동안 시험편에
시험 온도
파괴가 없을 것.
시험 시간
정수(원주) 응력
PE 80
PE 100
끝 부분 마개
상태 조절
시험편 수 b
시험 유형
시험 기간 동안 시험편에
시험 온도
파괴가 없을 것.
시험 시간
정수(원주) 응력
PE 80
PE 100
수치
A형 a
KS M ISO 1167-1
3
수중-수압
20 ℃
100 h
시험방법
KS M ISO 1167-1
c
10.0 MPa
12.0 MPa
A형 a
KS M ISO 1167-1
3
수중-수압
80 ℃
165 h d
KS M ISO 1167-1
c
4.5 MPa
5.4 MPa
A형 a
KS M ISO 1167-1
3
수중-수압
80 ℃
1 000 h
KS M ISO 1167-1
c
4.0 MPa
5.0 MPa
공칭 바깥지름이 500 mm 이상인 관일 경우 b형 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시험편 수는 이 표에서 설명하는 특성에 대한 값을 입증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의 수량을 표
시한다. 시험편의 수는 공장 제품 관리 및 공정 관리를 위해 요구되며 제조자의 품질 계획에 등
재되어야 한다.
11
KS M 3408-3:2020
c
정수(원주)응력은 이음관의 표준 치수비(SDR)를 사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조기 연성 파괴는 고려하지 않았다. 재시험 과정은 7.4를 참조한다.
d
7.4
80 ℃에서 파괴의 경우 재시험
165시간보다 적은 시간에서의 취성 파괴는 파괴로 구성될 수 있다. 165시간 시험에서, 만약 시험편이
165시간보다 적은 시간에 연성 파괴 형태를 가진다면 재시험은 표 5에 주어진 응력/시간 지점을 통
과하는 선으로부터 얻은 선택된 응력에 대한 최소 요구 시간을 얻기 위하여 선택된 더 낮은 응력에
서 수행하여야 한다.
표 5 — 80 ℃에서 내압 시험 재시험 조건
응력
MPa
PE 80
시험 시간
h
4.5
4.4
4.3
4.2
4.1
4.0
7.5
응력
MPa
165
233
331
474
685
1 000
PE 100
시험 시간
h
5.4
5.3
5.2
5.1
5.0
165
256
399
629
1 000
성능 요구사항
6.2.2 b)에 주어진 관벽 두께 모양의 경우, 전기 융착 소켓 이음관은 부가적으로 표 6에 주어진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표 6 — 성능 요구사항
항목
요구사항
단기 내압
시험
파괴 압력은 이음관이 설계
된 최대의 두께에서 계산한
(2 × MRS) a와 동등하거나
커야 한다.
예) 최소 압력
PE 80 SDR 11 : 32 bar
PE 100 SDR 11 : 40 bar
인장 하중
저항
a
12
시험 인자
관 마개
가압 방향
상태 조절 시간
시험 형태
압력 증가 속도
시험 온도
시험편 수
시험 온도
25 %까지 연신 후, 기밀
시험편 수
이 유지되고b, 결함(항복)
시험 속도
이 없을 것.
신장률
수치
A형
자유
12시간
수중-수압
5 bar/min
20 ℃
1개
23 ℃
1개
(5 ± 1.25) mm/min
25 %
시험방법
부속서 F
부속서 G
예를 들어, PE 100(MRS 10 MPa), SDR 11일 경우, KS M ISO 1167-1의 7.4에 따라 원주응력을
압력값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𝑝=
b
시험 조건
2×𝜎
2 × 10
=
= 2.0 (MPa)
[SDR] − 1 11 − 1
기밀은 상온에서 질소를 채우고 비눗방울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KS M 3408-3:2020
8 물리적 특성
8.1
상태 조절
적용할 시험방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표 7의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시험편을 (23 ± 2) ℃의 항
온에서 상태 조절하여야 한다.
8.2
요구사항
지시된 시험 인자를 사용하여 표 7에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이음관은 표 7에 주어
진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표 7 — 물리적 특성
항목
요구사항
용융 질량 흐름률 가공 후 변화값
(MFR)
±20 % b
산화 유도 시간
전기 융착 소켓
이음관에 대한 결
합 저항성
전기 융착 새들형
이음관에 대한
결합 저항성 d
≥20분
시험 조건
시험 인자
하중
시험 온도
시험 시간
시험편 수
시험 온도
시험편 수
취성 파괴에서 초기 시험 온도
파열 길이가 L2/3 이하 시험편 수
취성 파괴에서 표면
시험 온도
파열 Ld ≤ 50 %, 및
시험편 수
Ad ≤ 25 %
a
a
a
a
맞대기 융착 이음
파괴 시험
관, 스피곳된 이
연성 파괴: 합격
음관에 대한 인장
취성 파괴: 불합격
강도 e
시험 온도
시험편 수
분기 티의
저항성
시험 온도
충격기의 질량
높이
상태 조절 시간
기밀성 시험
a
b
c
d
e
충격 파괴가 없을 것.
누수가 없을 것.
a
수치
5.0 kg
190 ℃
10 min
3
200 ℃ c
3
시험방법
KS M ISO
1133-1
KS M ISO 11357-6
23 ℃
3
ISO 13954
또는
ISO 13955
23 ℃
3
ISO 13956
23 ℃
90 ≤ dn < 110: 2
110 ≤ dn < 180: 4
180 ≤ dn < 315: 6
315 ≤ dn: 7
(0 ± 2) ℃
(2 500 ± 20) g
(2 000 ± 10) mm
대기 중 4 h
2.5 kPa, 5 min
ISO 13953
ISO 13957
시험편 수는 표에서 설명하는 특성에 대한 값을 입증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의 수량을 표시한
다. 시험편의 수는 공장 제품 관리 및 공정 관리를 위해 요구되며 제조자의 품질 계획에 등재되
어야 한다.
콤파운드로 측정한 값에 관하여 이음관에서 측정한 값
시험은 간접 시험으로 210 ℃에서도 할 수 있다. 다만, 200 ℃에서의 결과와의 명확한 관계에 의
해 제공하여야 하며, 논쟁이 있을 경우 시험 온도는 200 ℃이어야 한다.
dn 450 이상의 경우 ISO 21751에 따라 스트립 굽힘 시험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공식 이음관은 시험편을 평평한 면의 표면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13
KS M 3408-3:2020
9 관이 화학적 물질에 접촉할 때의 화학적 특성
특수한 설비의 경우, 이음관의 내화학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면 이음관은 ISO 4433-1과 ISO
4433-2에 따라 분류하여야 한다.
비고 ISO/TR 10358은 폴리에틸렌 이음관의 내화학성에 관한 지침서이다.
10 요구 성능
이음관을 이 표준에 부합하여 서로 조립하거나 KS M 3408의 다른 부에 부합하는 구성요소에 조립하
였을 때, 연결부는 ISO 4427-5에 주어진 요구사항에 부합하여야 한다.
11 표시
11.1 일반사항
11.1.1 모든 이음관에는 영구적으로 읽기 쉽도록 표시를 하여야 하며, 표시가 균열이나 다른 파괴 형
태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11.1.2 인쇄를 할 경우, 인쇄한 정보의 색상은 제품의 바탕색과 달라야 한다.
11.1.3 표시는 확대하지 않고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비고 시공 중에 야기된 페인트, 긁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봉함, 세제 사용 등에 의해 표시 사항
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제조자가 규정하거나 동의한 바가 아니면 제조자의 책임이 아니다.
11.1.4 이음관의 최소 스피곳 길이에 대한 표시는 없어도 된다.
11.2 이음관의 최소 표시 사항
최소 표시 사항은 표 8에 부합하여야 한다.
표 8 — 이음관의 최소 표시 사항
항목
제조업체명 및 상표명
공칭 지름과 관열/SDR
재료 및 등급
제조자의 설명
a
표시
이름 또는 기호
예: dn 110/S 5 또는 dn 110/SDR 11
예: PE 80
a
제조자가 전국적 및/또는 국제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생산할 경우에
는 연월을 포함한 생산 시기와 생산지를 추적할 수 있는 명확한 숫
자나 부호
11.3 라벨에의 최소 표시 사항
이음관 또는 개별 포장에 부착된 라벨에 표 9에 주어진 부가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라벨은 설치할
시점에 손상 없이 쉽게 읽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품질이어야 한다.
14
KS M 3408-3:2020
표 9 — 라벨의 최소 표시 사항
항목
KS M 3408-3
표준 번호
압력 등급
표시
a
예: PN 12.5
허용 오차(스피곳 이음관에 한함.) dn ≥ 280 mm
예: 등급 A
SDR 융착 범위(전기 융착 이음관에 한함.)
예: SDR 11, SDR 26
a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bar 단위에 의한 압력 등급으로 나타냄.
11.4 융착 시스템 인식
융착식 이음관은 융착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융착 매개 변수를 인식하기 위해 수치적, 전기 기
계적 또는 자체 규칙 등의 시스템을 가져야 한다.
수치적 인식 목적으로 바코드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바코드 라벨을 이음관에 부착해야 하며, 라벨의
오염이 방지되어야 한다.
12 포장
이음관은 제품의 성능 악화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대량 또는 개별로 포장해야 한다.
포장은 제조자의 이름, 형태, 부품의 치수, 단위의 수 및 특정 저장 조건이 적힌 적어도 하나의 라벨
을 가져야 한다.
15
KS M 3408-3:2020
부속서 A
(규정)
소켓 융착 이음관
적용할 소켓 융착 이음관의 치수는 다음의 표에 부합하여야 한다. 말단부에서의 지름은 입구에서의
지름보다 크지 않다.
표 A.1 — 공칭 치수 16에서 63을 포함하는 소켓 치수
단위: mm
소켓의
소켓의 평균 안지름
공칭
정원도
공칭
치수
안지름
입구
말단부
DN/OD
dn
D1, min D1, max D2, min D2, max 최대
16
20
25
32
40
50
63
16
20
25
32
40
50
63
15.2
19.2
24.1
31.1
39.1
49.0
62.0 a
15.5
19.5
24.5
31.5
39.4
49.4
62.4 a
15.1
19.0
23.9
30.9
38.8
48.7
61.6
15.4
19.3
24.3
31.3
39.2
49.2
62.1
0.4
0.4
0.4
0.5
0.5
0.6
0.6
최소
구멍
지름
D3
소켓으로의
소켓의 가열된 소켓
길이
관 투과
기준
길이 (L-2.5) (L) (L-3.5) (L-1)
Lmin
L2, min L2, max L3, min L3, max
9
13
18
25
31
39
49
13.3
14.5
16.0
18.1
20.5
23.5
27.4
10.8
12.0
13.5
15.6
18.0
21.0
24.9
13.3
14.5
16.0
18.1
20.5
23.5
27.4
9.8
11.0
12.5
14.6
17.0
20.0
23.9
12.3
13.5
15.0
17.1
19.5
22.5
26.4
비고 최대 L2 = L mm, 최소 L2는 (L - 2.5) mm로부터 계산된다.
최대 L3 = (L - 1) mm, 최소 L3 = (L - 3.5) mm이다.
a
다시 감을 수 있는 클램프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62.4 mm의 최대 지름은 0.1 mm 증가한 62.5 mm
가 된다. 반대로 벗겨내는 기술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62.0 mm의 최소 지름은 0.1 mm 줄어서
61.9 mm가 된다.
표 A.2 — 이음관에 대한 공칭 치수 75에서 125를 포함하는 소켓 치수
단위: mm
공칭
치수
DN/OD
75
90
110
125
관의 평균
바깥지름
dem,min dem,max
75.0
90.0
110.0
125.0
75.5
90.6
110.6
125.6
소켓의
정원도
소켓의 평균 안지름
공칭
입구
말단부
안지름
dn
D1, min D1, max D 2, min D 2, max 최대
75
90
110
125
74.3
89.3
109.4
124.4
74.8
89.9
110.0
125.0
73.0
87.9
107.7
122.6
73.5
88.5
108.3
123.2
0.7
1.0
1.0
1.0
최소
구멍
지름
D3
59
71
87
99
비고 최대 L2 = L mm, 최소 L2는 (L - 4) mm로부터 계산된다.
최대 L3 = (L - 1) mm, 최소 L3 = (L - 5) mm이다.
16
소켓의 가열된 소켓 소켓으로의
길이
관 투과
기준
길이 (L-4) (L) (L-5) (L-1)
Lmin L2, min L2, max L3, min L3, max
30
33
37
40
26
29
33
36
30
33
37
40
25
28
32
35
29
32
36
39
KS M 3408-3:2020
식별부호
D1 소켓 입구의 평균 안지름, 즉 소켓 입구의 평면을 갖는 소켓 확장부의 교차점에서 원의 평균 지름
D2 소켓 말단부의 평균 안지름, 즉 소켓의 기준 길이 L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입구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원의 평균 지름
D3 최소 구멍지름, 즉 이음관 몸체를 통해 유체가 통과하는 최소 지름
L 소켓의 기준 길이, 즉 계산 목적으로 이용하는 소켓의 이론적인 최소 길이
L1 실제 소켓 길이, 즉 입구에서 어깨 부위까지의 길이
L2 이음관의 가열 길이, 즉 소켓 속으로 가열 기구의 삽입 길이
L3 삽입 깊이, 즉 소켓 속으로 가열된 관 끝의 깊이
L4 관의 가열 길이, 즉 가열 기구 속으로 관 끝의 삽입 깊이
그림 A.1 — 소켓과 관 치수에 대한 기호
17
KS M 3408-3:2020
부속서 B
(규정)
가공식 이음관
B.1 일반사항
가공식 이음관의 치수는 표 B.1과 표 B.2에 부합하여야 한다.
이 이음관 제작에 사용되는 관은 KS M 3408-2에 적합하여야 한다.
이 부속서는 맞대기 융착 접합에 의한 가공식 이음관에만 적용할 수 있다. 압출 접합과 같은 다른
접합 기술이 사용되었다면 추가적인 등급 강하 인자를 고려하여야 한다.
가공식 이음관에 대한 PN 등급은 사용한 관의 PN 등급과 B.3과 B.5에 주어진 기하학적인 등급 강
하 인자로부터 유도된다.
제조자는 이음관의 설계와 압력 등급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제시한 PN에 적합함을 제조자가 선언한다.
경우에 따라 가공식 이음관은 사출된 이음관이나 낮은 단계의 SDR 시리즈 관(관벽 두께는 더 두꺼
운 관)의 내부를 가공하여 만든다.
이러한 이음관의 등급 강하 인자는 이 부속서에 주어진 것과는 다르다.
18
KS M 3408-3:2020
B.2 치수
표 B.1 — 이음관 치수
단위: mm
공칭
바깥지름
dn
이음관의
최소 관형 길이
le, min
90
110
125
140
160
180
200
225
250
280
315
355
400
450
500
560
630
710
800
900
1 000
1 200
1 400
1 60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250
250
300
300
300
300
350
350
350
350
350
400
400
400
550
550
공칭 굽힘 반지름
공칭 분기 길이
이음관의 공칭각
r
z

이음관 제조자가
제시
이음관 제조자가
제시
예: 1.5 × d
이음관 제조자가 허용차 ±2°
2×d
제시
2.5 × d
관의 굽힘에 대한
3×d
최대 허용차는
±5°이어야 한다.
B.3 분절된 굽힘(segmented bends)
관 부분으로 제작된 가공식 굽힘은 다음에 주어진 그림을 따를 필요는 없다. 다만, 지시하는 치수는
고려하여야 한다. 전체 치수는 이음관 제조자가 제조자의 기술서에 제공하여야 한다.
19
KS M 3408-3:2020



dn
dn
dn
a) 90° 굽힘
b) 45° 굽힘
c) 30° 굽힘
식별부호
dn 이음관의 공칭 바깥지름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le 융착 끝 부분의 관형 길이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이 관형 길이는 맞대기 융착의 경우 요
구되는 클램프의 사용, 전기 융착 이음관과의 조립, 소켓 융착 이음관의 조립 및 기계적 스크레
이퍼의 사용을 허용한다.
r
이음관의 공칭 굽힘 반지름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z
축 방향으로 이음관 분기의 공칭 길이
 이음관의 공칭각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그림 B.1 — 분절된 굽힘
관 부분으로 제작된 가공식 굽힘은 다음의 PN 계산에 대한 등급 강하 법칙을 추천한다.
PN=fB × PNpipe
여기에서
fB
:굽힘 부분 모양에 관계한 등급 강하 인자
PNpipe :사용된 관의 공칭 압력

dn
식별부호
 절단각
dn 이음관의 공칭 바깥지름
그림 B.2 — 부분 모양
20
KS M 3408-3:2020
표 B.2 — 굽힘에 대한 등급 강하 인자
절단각

등급 강하 인자
fB
≤7.5°
1.0
7.5° <  ≤ 15°
0.8
절단각 의 최댓값은 15°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B.4 관 굽힘
가공식 관 굽힘(pipe bends)은 아래에 주어진 도면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다만, 지시된 치수는 고려
하여야 한다. 전체 치수는 이음관 제작자가 제작자의 기술적 자료에 제공하여야 한다.
a) 90° 관 굽힘
b) 45° 관 굽힘
식별부호
dn 이음관의 공칭 바깥지름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le 융착 끝 부분의 관형 길이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이 관형 길이는 맞대기 융착의 경우 요
구되는 클램프의 사용, 전기 융착 이음관과의 조립, 소켓 융착 이음관의 조립 및 기계적 스크레
이퍼의 사용을 허용한다.
r
이음관의 공칭 굽힘 반지름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z
축 방향으로 이음관 분기의 공칭 길이
 이음관의 공칭각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그림 B.3 — 관 굽힘
비고 1 이음관의 저장 또는 취급 중에 관 굽힘 각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다.
굽힘 후 관 굽힘의 최소 관벽 두께는 KS M 3408-2와 일치하여야 한다.
비고 2 해체 기술은 제조 공정의 일치성을 선언하는 데 사용된다.
21
KS M 3408-3:2020
관으로부터 가공한 굽힘은 압력 강하 요소를 적용하지 않는다.
B.5 분절 티(segmented tees)
관의 부분으로부터 제조한 가공식 티는 아래에 주어진 도면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다만, 지시된 치
수는 고려하여야 한다. 전체 치수는 이음관 제작자가 제작자의 기술적 자료에 제공하여야 한다.


=
a) 90° 티
b) 60° 티
식별부호
dn 이음관의 공칭 바깥지름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le 융착 끝 부분의 관형 길이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이 관형 길이는 맞대기 융착의 경우 요
구되는 클램프의 사용, 전기 융착 이음관과의 조립, 소켓 융착 이음관의 조립 및 기계적 스크레
이퍼의 사용을 허용한다.
z
축 방향으로 이음관 분기의 공칭 길이
 이음관의 공칭각으로, 표 B.1에 부합하여야 한다.
그림 B.4 — 분절 티
관 부분으로 제작된 가공식 굽힘은 다음의 PN 계산에 대한 등급 강하 법칙을 적용한다.
PN = fB × PNpipe
여기에서
fB
:티에 대한 등급 강하 인자(=0.5)
PNpipe :사용된 관의 공칭 압력
22
KS M 3408-3:2020
부속서 C
(참고)
전기 융착 이음관 단자 연결의 예
그림 C.1과 그림 C.2는 출력 48 V 이하에 사용하기 위한 단자 연결을 예시한다(A형, B형).
단위: mm
C1
C3
H
H1
C2
C4
식별부호
C1 단자 바깥지름
C2 통전 단자 지름
C3 단자 안지름
C4 하측의 최대 지름
H 단자의 내측 깊이
H1 통전 단자와 단자 상단과의 거리
C1 ≥ 11.8
C2 = 4.0 ± 0.1
C3 ≤ 9.5 ± 1.0
C4 ≤ 6.0
H ≥ 12.0
H1 = 3.2 ± 0.5
그림 C.1 — A형 연결
23
KS M 3408-3:2020
단위: mm
C1
C3
H
H1
C2
식별부호
C1 단자 바깥지름
C2 통전 단자 지름
C3 단자 안지름
H 단자의 내측 깊이
H1 통전 단자와 단자 상단과의 거리
C1 = 13.0 ± 0.5
C2 = 4.7 ± 0.1
C3 = 10.0 - 0.1/+0.5
H ≥ 15.5
H1 = 4.5 ± 0.5
그림 C.2 — B형 연결
그림 C.3은 출력 250 V까지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전기 융착 단자 연결을 예시한다(C형).
단위: mm
C1
H1
C3
C2
식별부호
C1 단자
C2 통전
C3 단자
H1 통전
바깥지름
단자 지름
안지름
단자와 소켓 상단과의 거리로,
C1 ≥ C3 + 2.0
C2 ≥ 2.0 ± 0.1
C3 ≥ C2 + 4.0
H1은 IP 2X(KS C IEC 60947-1에 따른 보호율)를 확보한다.
그림 C.3 — C형 연결
24
KS M 3408-3:2020
부속서 D
(규정)
기계식(조임식) 이음관
이 부속서는 현재 국내에서 널리 생산, 유통되고 있는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이음관의 몸체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주체로 하여 사출 성형기에 의하여 제
조한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에 대하여 적용한다.
D.1 재료
D.1.1 일반사항
이음관 제조에 사용하는 중합체는 품질이 양호하고, 수질에 나쁜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또한 내
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본 블랙을 사용할 경우, 카본 블랙의 입자 평균 지름은 0.03 m 이하이
어야 하고 무게당 2 % ∼ 3 % 배합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여야 한다.
이음관의 몸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표 D.1에 규정한 폴리프로필렌 콤파운드를 사용하여야 하고,
D.1.2의 재료의 장기 거동 시험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D.1 —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의 폴리프로필렌 재료
재료
약어
최소 요구 강도(MRS)
MPa
규정한 설계 응력, s
MPa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PP-H
10
6.3
폴리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PP-B
8
6.3
폴리프로필렌 랜덤 중합체
PP-R
8
6.3
비고 이 부속서에 부합하는 이음관의 제조는 이 표에 규정한 폴리프로필렌 콤파운드의 사용을 원
칙으로 하지만, 해당 원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D.1.2의 품질 기준을 만족
하는 폴리프로필렌의 사용도 잠정적으로 가능하다.
기타 구성요소인 스토퍼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며, 고무 링은 KS M 6613의 1종 1호
의 품질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D.1.2 재료의 장기 거동 시험
이음관 몸체의 재료에 대한 장기 거동은 이음관의 몸체와 동일한 재료로부터 ISO 15853에 따라 생
산된 50 mm 이상의 바깥지름을 가지는 사출 성형한 관 시험편에 대해 시험하여야 한다. 시험편의
관벽 두께는 같은 재료의 동일한 치수의 PN 6 종류 관의 관벽 두께 이상이어야 하고 PN 16 종류 관
의 관벽 두께 이하이어야 한다.
시험편을 KS M ISO 1167-1에 따른 절차에 따라 압력 시험하였을 때, 표 D.2에 주어진 요구사항을 만
족하여야 한다.
25
KS M 3408-3:2020
표 D.2 — 기계식(조임식) 이음관 재료의 성능
재료
시험 온도
℃
시험 기간
h
유도 응력
MPa
PP-H
95
1 000
3.5
PP-B
95
1 000
2.6
PP-R
95
1 000
3.5
기준
시험 동안 파괴되지 않을 것.
D.2 품질 기준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은 내압 시험 및 수밀성 시험에 의한 품질 기준에 의한다.
D.2.1 이음관의 내압 시험
사출 성형한 이음관을 표 D.3에 주어진 시험 인자를 사용하여 KS M ISO 1167-1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표 D.3에 주어진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비고 시험에서의 요구사항은 이음관의 PN에 관련된다.
표 D.3 —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의 내압 특성
재료
PP-H
PP-B
PP-R
시험 온도
℃
시험 기간
h
시험 압력
bar
기준
20
95
20
95
20
95
1
1 000
1
1 000
1
1 000
3.3 × PN
0.55 × PN
2.5 × PN
0.4 × PN
2.5 × PN
0.55 × PN
시험 동안 이상(누수, 파괴, 균열)
이 없을 것.
D.2.2 이음관/관 조립품의 수밀성 시험
이음관과 관을 연결한 관/이음관 조립품으로 KS M ISO 1167-1에 따라 시험하여 표 D.4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표 D.4 — 이음관/관 조립품의 수밀 특성
이음관의
재료
PP-H
PP-B
PP-R
관의
재료
PE 80
PE 100
PE 80
PE 100
시험 기간
h
시험 온도
℃
시험 압력
bar
1 000
40
1.1 × PN
1 000
40
0.8 × PN
기준
시험 동안 연결부에 누
수나 관의 균열이 없을
것.
D.3 치수
기계식(조임식) 이음관의 치수는 표 D.5 ∼ 표 D.11에 주어지며, 모든 치수는 참고 치수이다.
26
KS M 3408-3:2020
표 D.5 — 소켓
l
d
l
t
단위: mm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16
16.5
30.0
1.6
20
20.5
30.0
2.1
25
25.6
35.0
2.3
32
32.6
40.0
3.0
40
40.6
40.0
3.7
50
50.7
43.0
4.6
63
63.8
46.0
5.8
75
76.2
50.0
6.8
90
91.1
60.0
8.2
110
111.2
85.0
10.0
125
126.3
85.0
11.4
140
141.4
97.0
12.7
160
161.5
105.0
14.6
공칭 지름
27
KS M 3408-3:2020
표 D.6 — 이경 소켓
l
t
t
d
d
l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 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 min
25 × 20
25.6
35.0
2.3
20.5
30.0
2.1
32 × 20
32.6
40.0
3.0
20.5
30.0
2.1
32 × 25
32.6
40.0
3.0
25.6
35.0
2.3
40 × 20
40.6
40.0
3.7
20.5
30.0
2.1
40 × 25
40.6
40.0
3.7
25.6
35.0
2.3
40 × 32
40.6
40.0
3.7
32.6
40.0
3.0
50 × 20
50.7
43.0
4.6
20.5
30.0
2.1
50 × 25
50.7
43.0
4.6
25.6
35.0
2.3
50 × 32
50.7
43.0
4.6
32.6
40.0
3.0
50 × 40
50.7
43.0
4.6
40.6
40.0
3.7
63 × 20
63.8
46.0
5.8
20.5
30.0
2.1
63 × 25
63.8
46.0
5.8
25.6
35.0
2.3
63 × 32
63.8
46.0
5.8
32.6
40.0
3.0
63 × 40
63.8
46.0
5.8
40.6
40.0
3.7
63 × 50
63.8
46.0
5.8
50.7
43.0
4.6
75 × 63
76.2
50.0
6.8
63.8
46.0
5.8
90 × 63
91.1
60.0
8.2
63.8
46.0
5.8
90 × 75
91.1
60.0
8.2
76.2
50.0
6.8
110 × 63
111.2
85.0
10.0
63.8
46.0
5.8
110 × 75
111.2
85.0
10.0
76.2
50.0
6.8
공칭 지름
28
KS M 3408-3:2020
표 D.6 — 이경 소켓(계속)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 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 min
110 × 90
111.2
85.0
10.0
91.1
60.0
8.2
140 × 63
141.4
97.0
12.7
63.8
46.0
5.8
140 × 75
141.4
97.0
12.7
76.2
50.0
6.8
140 × 90
141.4
97.0
12.7
91.1
60.0
8.2
140 × 110
141.4
97.0
12.7
111.2
85.0
10.0
160 × 63
161.5
105.0
14.6
63.8
46.0
5.8
160 × 75
161.5
105.0
14.6
76.2
50.0
6.8
160 × 90
161.5
105.0
14.6
91.1
60.0
8.2
160 × 110
161.5
105.0
14.6
111.2
85.0
10.0
160 × 140
161.5
105.0
14.6
141.4
97.0
12.7
공칭 지름
29
KS M 3408-3:2020
표 D.7 — 엘보
t
d
l
l
t
d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16
16.5
30.0
1.6
20
20.5
30.0
2.1
25
25.6
35.0
2.3
32
32.6
40.0
3.0
40
40.6
40.0
3.7
50
50.7
43.0
4.6
63
63.8
46.0
5.8
75
76.2
50.0
6.8
90
91.1
60.0
8.2
110
111.2
85.0
10.0
125
126.3
85.0
11.4
140
141.4
97.0
12.7
160
161.5
105.0
14.6
공칭 지름
30
KS M 3408-3:2020
표 D.8 — 45° 굽힘
d
t
l
t
l
d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16
16.5
30.0
1.6
20
20.5
30.0
2.1
25
25.6
35.0
2.3
32
32.6
40.0
3.0
40
40.6
40.0
3.7
50
50.7
43.0
4.6
63
63.8
46.0
5.8
75
76.2
50.0
6.8
90
91.1
60.0
8.2
110
111.2
85.0
10.0
125
126.3
85.0
11.4
140
141.4
97.0
12.7
160
161.5
105.0
14.6
공칭 지름
31
KS M 3408-3:2020
d
d
t
표 D.9 — 티
l
t
l
l
t
d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 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 min
16 × 16
16.5
30
1.6
16.5
30
1.6
20 × 16
20.5
30
2.1
16.5
30
1.6
20 × 20
20.5
30
2.1
20.5
30
2.1
25 × 20
25.6
35.0
2.3
20.5
30.0
2.1
25 × 25
25.6
35.0
2.3
25.6
35.0
2.3
32 × 20
32.6
40.0
3.0
20.5
30.0
2.1
32 × 25
32.6
40.0
3.0
25.6
35.0
2.3
32 × 32
32.6
40.0
3.0
32.6
40.0
3.0
40 × 20
40.6
40.0
3.7
20.5
30.0
2.1
40 × 25
40.6
40.0
3.7
25.6
35.0
2.3
40 × 32
40.6
40.0
3.7
32.6
40.0
3.0
40 × 40
40.6
40.0
3.7
40.6
40.0
3.7
50 × 20
50.7
43.0
4.6
20.5
30.0
2.1
50 × 25
50.7
43.0
4.6
25.6
35.0
2.3
50 × 32
50.7
43.0
4.6
32.6
40.0
3.0
50 × 40
50.7
43.0
4.6
40.6
40.0
3.7
50 × 50
50.7
43.0
4.6
50.7
43.0
4.6
공칭 지름
32
KS M 3408-3:2020
표 D.9 — 티(계속)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 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 min
63 × 20
63.8
46.0
5.8
20.5
30.0
2.1
63 × 25
63.8
46.0
5.8
25.6
35.0
2.3
63 × 32
63.8
46.0
5.8
32.6
40.0
3.0
63 × 40
63.8
46.0
5.8
40.6
40.0
3.7
63 × 50
63.8
46.0
5.8
50.7
43.0
4.6
63 × 63
63.8
46.0
5.8
63.8
46.0
5.8
75 × 63
76.2
50.0
6.8
63.8
46.0
5.8
75 × 75
76.2
50.0
6.8
76.2
50.0
6.8
90 × 63
91.1
60.0
8.2
63.8
46.0
5.8
90 × 75
91.1
60.0
8.2
76.2
50.0
6.8
90 × 90
91.1
60.0
8.2
91.1
60.0
8.2
110 × 63
111.2
85.0
10.0
63.8
46.0
5.8
110 × 75
111.2
85.0
10.0
76.2
50.0
6.8
110 × 90
111.2
85.0
10.0
91.1
60.0
8.2
110 × 110
111.2
85.0
10.0
111.2
85.0
10.0
140 × 63
141.4
97.0
12.7
63.8
46.0
5.8
140 × 75
141.4
97.0
12.7
76.2
50.0
6.8
140 × 90
141.4
97.0
12.7
91.1
60.0
8.2
140 × 110
141.4
97.0
12.7
111.2
85.0
10.0
140 × 140
141.4
97.0
12.7
141.4
97.0
12.7
160 × 63
161.5
105.0
14.6
63.8
46.0
5.8
160 × 75
161.5
105.0
14.6
76.2
50.0
6.8
160 × 90
161.5
105.0
14.6
91.1
60.0
8.2
160 × 110
161.5
105.0
14.6
111.2
85.0
10.0
160 × 140
161.5
105.0
14.6
141.4
97.0
12.7
160 × 160
161.5
105.0
14.6
161.5
105.0
14.6
공칭 지름
33
KS M 3408-3:2020
표 D.10 — 플랜지형
t
t
d
D
l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플랜지의
바깥지름
D
32
32.6
40.0
3.0
115.0
40
40.6
40.0
3.7
140.0
50
50.7
43.0
4.6
150.0
63
63.8
46.0
5.8
165.0
75
76.2
50.0
6.8
185.0
90
91.1
60.0
8.2
200.0
110
111.2
85.0
10.0
220.0
125
126.3
85.0
11.4
250.0
140
141.4
97.0
12.7
270.0
160
161.5
105.0
14.6
285.0
공칭 지름
비고 플랜지의 바깥지름, D의 허용 범위는 ±3 %이다.
34
KS M 3408-3:2020
표 D.11 — 벌브 소켓
l
d
t
단위: mm
기호
관 삽입부의
최소 안지름
d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
lmin
이음관의
최소 두께
tmin
16
16.5
30.0
1.6
20
20.5
30.0
2.1
25
25.6
35.0
2.3
32
32.6
40.0
3.0
40
40.6
40.0
3.7
50
50.7
43.0
4.6
63
63.8
46.0
5.8
75
76.2
50.0
6.8
90
91.1
60.0
8.2
110
111.2
85.0
10.0
125
126.3
85.0
11.4
140
141.4
97.0
12.7
160
161.5
105.0
14.6
공칭 지름
35
KS M 3408-3:2020
부속서 E
(참고)
조합형 이음관
E.1 적용범위
이 부속서는 KS M 3408-2에 따라 각각 제조한 수도용 폴리에틸렌 관이 서로 치수가 상이하므로 이
에 따른 이음관 표준도 KS M 3408-3와 KS M 3408-3:2004의 부속서 H(수도용 폴리에틸렌 관의 이음
관)로 구분함에 있어서 치수 체제가 다른 관, 이음관 또는 관과 이음관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조
합형 이음관의 치수에 대하여 규정한다.
치수 체제가 다른 관, 이음관 또는 관과 이음관의 연결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조합형 이음관은 양끝
을 연결하는 데 있어 서로 다른 치수를 적용하기 때문에 이음관의 바깥지름 또는 안지름이 점진적으
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모양을 가지게 된다.
조합형 이음관은 이 부속서에서 정하는 치수 외에 다른 모든 사항은 이 표준에서 정하는 규정에 부
합하여야 한다.
비고 이 부속서에서 규정하는 조합형 이음관의 치수에 따른 호칭은 이 표준에서 규정하는 공칭 또
는 호칭과 구별하고자 숫자 다음에 “C”를 붙여 표시한다.
E.2 조합형 전기 융착 이음관의 치수
KS M 3408-2와 KS M 3408-3에서 규정한 치수에 따라 제조한 관이나 이음관을 KS M 3408-2:2004의 부
속서 D(수도용 폴리에틸렌 관)의 치수를 적용한 관이나 KS M 3408-3:2004의 부속서 H의 치수를 적용
한 이음관과 연결 시에는 조합형 전기 융착 이음관 말단부의 하나는 이 표준의 표 1, 표 2 및 표 3의
치수와 부합하여야 한다. 말단부의 다른 하나는 표 E.1의 치수와 부합하여야 한다.
L1
L3
그림 E.1 — 조합형 전기 융착 이음관
비고 그림 E.1의 기호 설명은 그림 1과 동일하다.
36
D1
L2
KS M 3408-3:2020
표 E.1 — 조합형 전기 융착 이음관의 치수
단위: mm
기호
호칭
이음관의 평균 안지름
관 삽입부의
전열선 부의
비가열
최소 길이
최소 길이
최소 길이
L1, min
L2, min
L3, min
D1, min
D1, max
16C
21.8
22.2
30
15
20C
27.3
27.9
33
18
25C
34.4
35.0
35
20
30C
42.4
43.3
38
23
40C
48.4
49.4
41
24
50C
60.5
61.7
46
28
65C
76.6
78.1
52
32
75C
89.7
91.5
58
37
100C
114.8
116.6
71
44
125C
141.0
143.1
79
46
150C
166.1
168.6
88
50
200C
217.4
220.7
103
60
250C
268.7
272.7
113
63
300C
320.0
324.8
123
66
5
비고 관 삽입부의 최소 길이는 참고 치수이다.
E.3 조합형 소켓 융착 이음관의 치수
t 1
KS M 3408-2와 KS M 3408-3에서 규정한 치수에 따라 제조한 관이나 이음관을 KS M 3408-2:2004의 부
속서 D의 치수를 적용한 관이나 KS M 3408-3:2004의 부속서 H의 치수를 적용한 이음관과 연결 시에
는 조합형 소켓 융착 이음관 말단부의 하나는 이 표준의 표 B.1 및 표 B.2의 치수와 부합하여야 한
다. 말단부의 다른 하나는 표 E.2의 치수와 부합하여야 한다.
t 1
테이퍼 I/T
L
그림 E.2 — 조합형 소켓 융착 이음관
37
KS M 3408-3:2020
표 E.2 — 조합형 소켓 융착 이음관의 치수
단위: mm
기호
호칭
소켓의 평균 안지름
이음관의
관벽 두께
소켓의 기준
길이
d1, min
d1, max
t1
Lmin
16C
21.1
21.7
4.0
16
20C
26.6
27.3
5.0
18
25C
33.5
34.4
5.5
19
30C
41.3
42.4
6.5
22
40C
47.3
48.5
7.0
24
50C
59.2
60.7
8.0
27
65C
74.9
76.8
10.0
30
비고 이음관의 관벽 두께 t1의 허용 범위는 ±10 %로 한다.
E.4 조합형 맞대기 융착 이음관의 치수
KS M 3408-2와 KS M 3408-3에서 규정한 치수에 따라 제조한 관이나 이음관을 KS M 3408-2:2004의 부
속서 D의 치수를 적용한 관이나 KS M 3408-3:2004의 부속서 H의 치수를 적용한 이음관과 연결 시에
는 조합형 소켓 융착 이음관 말단부의 하나는 이 표준의 표 1 및 표 2의 치수와 부합하여야 한다.
말단부의 다른 하나는 표 E.3의 치수와 부합하여야 한다.
d0
L1
D0
t1
t2
L2
식별부호
D0 이음관
d0 이음관
t1 이음관
t2 이음관
L1 이음관
L2 이음관
융착부의 평균 바깥지름으로, 입구의 평면에 평행한 길이 L2 범위에서 측정함.
몸체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최소 구멍지름으로, 융착 비드는 포함하지 않음.
입구로부터 길이 L1 이내의 범위에 있는 임의 지점에서 측정한 이음관 융착부의 두께
몸체의 임의 지점에서의 두께
절단부의 길이(융착 시 융착 실패에 따른 절단, 면취, 용융 등을 고려한 초기 길이)
관형부의 길이
그림 E.3 — 조합형 맞대기 융착 이음관
38
KS M 3408-3:2020
표 E.3 — 조합형 맞대기 융착 이음관의 치수
단위: mm
기호
이음관의 평균
바깥지름
D0, min
D0, max
유로의 최소
구멍지름
dmin
75C
88.70
89.30
100C
113.65
125C
150C
호칭
t1, min
t1, max
이음관
몸체 두께
t2
68
8.1
9.2
14.6
114.35
87
10.4
11.7
18.8
139.35
140.65
108
12.7
14.2
23.0
164.25
165.75
127
15.3
17.0
27.0
융착부의 두께
절단부의
최소 길이
L1, min
관형부의
최소 길이
L2, min
28
85
33
38
43
비고 이음관의 몸체 두께는 참고 치수이다.
39
KS M 3408-3:2020
부속서 F
(규정)
단기 내압 시험방법
F.1
원리
관의 파괴를 억제하면서 이음관 내 또는 관-이음관 연결구 내의 원주 파괴가 생길 수 있도록 충분한
감쇠 자유 길이를 가진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관으로 조립한 전기 융착 이음관으로 구성된 시험편은
온도 조절이 유지되는 환경에 놓고 시험편의 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내부 수압을 증가시
키도록 되어 있다.
이 시험방법은 이음관/관 시공품의 단기 파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F.2
F.2.1
장치
항온 수조
KS M ISO 1167-1의 요구사항에 따르고, (20 ± 2) ℃에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F.2.2
압력 시험 설비
KS M ISO 1167-1의 요구사항에 따르고, 시험편이 터질 때까지 (0.5 ± 0.1) MPa/min의 속도로 연속적
으로 내부 수압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F.2.3
압력 게이지
전 범위 오차가 적어도 1 %인 정확도를 갖고 있어야 하고, 도달되는 최고 압력을 나타내는 바늘을
갖고 있어야 한다. 게이지는 거의 중간 범위에서 파괴 압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게이지는 서지(전류의 동요)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게이지는 압력 공급선 내에 과도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시험편의 내부 압력을 나타낼 수 있는
압력 체제 내에 있는 장소에 위치하여야 한다.
F.3
시험편
시험편은 폴리에틸렌 관에 연결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소켓 융착 이음관의 시공품이어야 하고 dn을
초과하지 않는 타입의 이음관 사이의 최소 자유관 길이를 가져야 한다.
사용되는 관은 이음관이 고안된 가장 두꺼운 관이어야 한다.
시험편은 KS M ISO 1167-1에 도식화된 형태의 A형 관마개로 기밀하여야 한다.
F.4
절차
시험편에 관마개를 부착하고 상온의 물로 채운다. 시험편을 압력원에 연결하고, 시험용 시공품 내에
40
KS M 3408-3:2020
막힌 공기가 없도록 한다. 시험편을 항온조에 담그고 알맞은 관 두께에 대하여 적어도 KS M ISO
1167-1에 명시된 기간 동안 (20 ± 2) ℃로 조절한다.
시험편에 파괴가 생길 때까지 (0.5 ± 0.1) MPa/min의 균일한 속도로 압력을 증가시킨다. 파괴 시의
압력을 기록한다. 시험 후 시험편을 검사하고 파괴 위치와 파괴 유형을 기록한다.
F.5
시험 보고서
시험 보고서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a) 이 표준의 인용(즉, KS M 3408-3:2023)
b) 제조자, 원료의 종류 그리고 이음관과 관의 크기를 포함한 사용되는 관과 전기 융착 이음관의 식
별에 필요한 상세한 기술
c) 시험편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한 융착 연결 과정의 상세한 기술
d) 파괴 압력
e) 파괴 시간
f) 파괴 위치
g) 파괴 유형, 예를 들면 이음관 내의 연성 파괴, 융착 접촉면을 따라 난 취성 파괴
h)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예를 들면 이 표준에 기술하지 않은 사고나 운전에 대한 상세
한 기술
i) 시험 일자
41
KS M 3408-3:2020
부속서 G
(규정)
이음관/관 조립품에 대한 인장 시험
G.1 원리
전기 융착 이음관과 두 개의 폴리에틸렌 관의 연결 부위로 구성된 시험편은 연성 파괴가 발생할 때
까지 일정한 선속으로 인장 하중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 시험은 일정한 온도에서 실시하며, 외부의 기계적 간섭에 의해 관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 하중의
발생을 모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음관 또는 융착 연결구의 연결 부위의 파괴는 파괴 유형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G.2 장치
일반적으로 ISO 13951에 따르며, 인장 시험 기기의 부가적 요구사항은 (5 ± 1.25) mm/min 의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시험편의 신율이 25 % 정도 되도록 해야 한다.
G.3 시험편
ISO 13951의 표준에 따른다.
dn ≥ 180 mm일 때 이음관/관 시공품의 인장 시험 시 사용할 수 있는 시험 장비의 한계를 넘어선 경
우에 연결부 시험을 적합화 할 수 있다. 그러나 부분 시험편의 시험은 만일 완전한 관/연결구 시공품
의 시험과 상관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실행하지 않아야 한다.
G.4 절차
ISO 13951을 따른다. 하지만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된다는 조건은 없다.
인장 속도는 5 mm/min ± 25 %의 범위로 유지하며, 시험편의 신장률이 25 %에 도달할 때까지 유지
한다.
G.5 시험 보고서
시험 보고서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a) 이 표준의 인용(즉, KS M 3408-3:2023)
b) 제조자, 원료의 종류 그리고 이음관과 관의 크기를 포함한 사용되는 관과 전기 융착 이음관의 식
별에 필요한 상세한 기술
c) 시험편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한 융착 연결 과정의 상세한 기술
42
KS M 3408-3:2020
d) 시험 온도
e) 시험편을 25 % 신장한 후 이음관과 융착부의 완전성과 수밀성
f)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예를 들면 이 표준에 기술하지 않은 사고나 운전에 대한 상세
한 기술
g)
시험 일자
43
KS M 3408-3:2020
KS M 3408-3:2023
해 설
이 해설은 본체 및 부속서(규정)에 규정한 사항, 부속서(참고)에 기재한 사항 및 이들과 관련된 사항
을 설명하는 것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니다.
(2020년 개정)
이번의 주요 개정 사항은 플라스틱 관체계에 대한 표준 명칭 통일을 위하여 플라스틱 배관계를 플라
스틱 배관 시스템으로 수정하고 일부 인용표준의 변경사항을 적용하여 개정하였으며, 민원인의 요청
에 따라 부속서 B의 내용을 좀더 이해하기 쉽도록 문장을 수정하였다.
(2023년 개정)
인용표준의 변경사항(제정ㆍ개정ㆍ폐지)을 적용하고 다른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표준과 용어의 일치
등을 반영하여 개정함. ISO 4427-3의 개정사항 반영
1. 인용표준의 표준명 수정 및 ISO 21751 추가
2. 표 6의 요구사항 및 비고 수정.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 추가
3. 표 7의 ISO 개정사항 반영
44
㉿ KS M 3408-3:2023
KSKSKS
KSKSK
KSKS
KSK
KS
KSK
KSKS
KSKSK
KSKSKS
Plastics piping systems for water supply —
Polyethylene(PE) — Part 3: Fittings
ICS 23.040.60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