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MoARcPSD|23222283 2 극한 SOLUTION 1 proof ) 함수 g : R → R, g(x) = (x − 2) 5 는 정의역에서 잘 정의 따라서 함수 g도 전사함수이다. 되고, f 의 역함수이므로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다. 2 11. 함수 f : X → Y 와 A ⊂ B ⊂ X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합을 보이시오. f (A) ⊂ f (B), 극한 연습문제 2.1 1. 수열 {xn }, {yn }, {zn } 이 각각 실수 2, 3, 0으로 수렴하고, {wn }은 ∞로 발산한다. 다음 수열의 수렴 여부를 확인하고, 수렴 하는 경우에는 수열의 극한을 구하시오. f (A ∪ B) = f (A) ∪ f (B). proof ) y ∈ f (A)이면 어떤 x ∈ A에 대해 y = f (x)이다. A ⊂ B 이므로 x ∈ B이어서 y = f (x) ∈ f (B)이다. 따라서 f (A) ⊂ f (B) 가 성립한다. a) {xn + 2yn } 이제 p ∈ f (A ∪ B)이면 어떤 q ∈ A ∪ B에 대해 p = f (q)이다.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8. 따라서 p = f (q) ∈ f (A) or p = f (q) ∈ f (B) b) {2xn − yn } 이므로, p ∈ f (A) ∪ f (B)이다. 그러므로 f (A ∪ B) ⊂ f (A) ∪ f (B)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1. 이다. 한편 A, B ⊂ A ∪ B이므로 f (A), f (B) ⊂ f (A ∪ B)이고, 따라서 c) {xn yn } f (A) ∪ f (B) ⊂ f (A ∪ B)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6. 이다. 이를 통해 f (A ∪ B) = f (A) ∪ f (B)임을 알 수 있다. d) {xn zn } 12. 함수 f : X → Y 와 A ⊂ B ⊂ X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합을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0. 보이시오. f (A ∩ B) ⊂ f (A) ∩ f (B). xn e) 그리고 f (A ∩ B) 6= f (A) ∩ f (B)인 예를 제시하시오. yn 2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 3 proof ) A ∩ B ⊂ A, B이므로 f (A ∩ B) ⊂ f (A), f (B)이고, 따라서 f (A ∩ B) ⊂ f (A) ∩ f (B)가 성립한다. 1 f) x n yn 함수 f : R → R, f (x) = |x|에 대해 A = (−1, 0), B = (0, 1)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1 . 6 로 놓으면 f (A) = f (B) = (0, 1)로 f (A) ∩ f (B) = (0, 1)이지만 f (A ∩ B) = ∅이므로 f (A ∩ B) 6= f (A) ∩ f (B)이다. zn g) xn 13. 두 함수 f : A → B, g : B → C의 합성함수 g ◦ f 가 일대일함 sol) 정리 2.1.2에 의하여 수렴. 극한값: 0. 수이면 f 도 일대일함수임을 보이시오. xn h) zn proof ) 함수 f 가 일대일함수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즉, f (x1 ) = f (x2 ) 이지만 x1 6= x2 를 만족하는 x1 , x2 ∈ A가 존재한다. 하지만 sol) 정리 2.1.5에 의하여 lim 1 = 0 이다. 정리 2.1.5에 의하여 n→∞ wn 함수 g ◦ f 가 일대일함수이고 f (x1 ) = f (x2 )이므로, 수렴. 극한값 : 0. (g ◦ f )(x1 ) = (g ◦ f )(x2 ) =⇒ x1 = x2 2. 다음 수열이 증가수열인지 판정하시오. 가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14. 두 함수 f : A → B, g : B → C의 합성함수 g ◦ f 가 전사함수 이면 g도 전사함수임을 보이시오. proof ) 함수 g ◦ f 가 전사함수이므로 (g ◦ f )(A) = g(f (A)) = C가 성립한다. 또한 f (A) ⊂ B이므로, g(f (A)) ⊂ g(B)가 성립하고, g(B) ⊂ C이므로 C = g(f (A)) ⊂ g(B) ⊂ C이고 g(B) = C이다. a) {n2 + 4n + 5} sol) an = n2 + 4n + 5라고 하자. 그러면 모든 자연수 n ≥ 1에 대해 h i 2 an+1 − an = (n + 1) + 4 (n + 1) + 5 − n2 + 4n + 5 = 2n + 5 > 0 10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 lOMoARcPSD|23222283 2 극한 SOLUTION 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이다. b) {n2 − n} sol) an = n2 − 4n + 5 라고 하자. 그러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 − an = (n + 1)2 − (n + 1) − (n2 − n) = 2n > 0 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이다.. c) {2n } sol) an = 2n 라고 하자. 그러면 모든 자연수 n ≥ 1에 대해 an+1 − an = 2n > 0 이다.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이다. n d) {(−1) } n sol) an = (−1) 라 하면 an+1 − an = ( 2, −2, n 이 홀수일 때 n 이 짝수일 때 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도, 감소수열도 아니다. e) 1 2− 2 n 1 라 하면 모든 자연수 n ≥ 1에 대해 n2 1 1 an+1 − an = 2 − − 2− 2 (n + 1)2 n 1 1 = 2− n (n + 1)2 2n + 1 >0 = 4 n + 2n3 + n2 sol) an = 2 − 이다. 이제 n 이 홀수일 때 an+1 − an 는 음수값을 가지고 n 이 짝수일 때 양수값을 가지므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도, 감소수 열도 아니다. (n + 2)2 2n+2 (n + 2)2 sol) an = 라 하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n+2 h) (n + 3)2 (n + 2)2 − 2n+3 2n+2 2 −n2 − 2n + 1 (n + 3) − 2(n + 2)2 = = n+3 2 2n+3 2 −n − n − n − 1 = 2n+3 −n2 − n −n2 − n − 1 + 1 < = <0 n+3 2 2n+3 (n + 2)2 은 감소소열이다. 이다. 따라서 2n+2 n+2 2 i) (n + 2)2 2n+2 라 하자. 그러면 모든 n에 대하여 sol) an = (n + 2)2 an+1 − an = 2n+3 2n+3 − (n + 3)2 (n + 2)2 2(n + 2)2 − (n + 3)2 n2 + 2n − 1 n+2 = 2n+2 = 2 (n + 3)2 (n + 2)2 (n + 3)2 (n + 2)2 2 2 n +n+n−1 n +n+1−1 = 2n+2 ≥ 2n+2 (n + 3)2 (n + 2)2 (n + 3)2 (n + 2)2 n2 + n = 2n+2 >0 (n + 3)2 (n + 2)2 an+1 − an = 이다.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이다. n 1 f) −1 − 2 n 1 라 하면 모든 자연수 n ≥ 1에 대해 sol) an = −1 − 2 n+1 1 >0 an+1 − an = 2 이다.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증가수열이다. n 1 g) 2 − − 2 n 1 sol) an = 2 − − 라 하면 2 n n+1 n 1 3 1 1 − − = − an+1 − an = − 2 2 2 2 이다. 따라서 2n+2 (n + 2)2 는 증가수열이다. 3. {xn } 이 감소수열이라 하자. 어떤 상수 m ∈ R 이 존재하여 모든 n ∈ N 에 대해 xn ≥ m 이면 {xn } 은 수렴함을 증명하시오. proof ) {xn } 이 감소수열이므로 {−xn } 은 증가수열이다. 그리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xn ≤ −m 이다. 따라서 단조수렴정리에 의하여 {−xn } 은 어떤 실수 x로 수렴한다. 또 정리 2.1.2에 의하여 {xn }은 −x로 수렴한다. 4. a1 = 1, an+1 = (2a2n + 1)1/5 ,(n ≥ 1) 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시 오. sol)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an ≤ an+1 < 3 임을 증명하자. n = 1 일 때 a1 = 1 ≤ 31/5 < 3 이므로 성립한다. 이제 n = k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즉, ak ≤ ak+1 < 3 이라 하자. 그러면 1/5 ak+2 = 2a2k+1 + 1 < 191/5 < 2431/5 = 3 11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 lOMoARcPSD|23222283 2 극한 SOLUTION 이고 ak+2 = 2a2k+1 + 1 1/5 > (2a2k + 1)1/5 = ak+1 이다. 따라서 n = k + 1 일때도 성립하고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an+1 < 3 이다. {an } 은 증가수 열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3 이므로 단조수렴 정리에 의하여 {an } 은 수렴한다. 연습문제 2.2 . 1. 주어진 함수의 좌극한과 우극한을 구하시오. 아래에서 [a]는 실수 a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중에 최대의 정수이다. |x| |x| , lim+ x x→0 x x→0 |x| |x| sol) x > 0일 때 = 1, x < 0일 때 = −1 이므로 x x a) lim− |x| |x| 5. 수열 {an }이 a1 = 2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 = lim = lim− −1 = −1, lim+ = lim+ 1 = 1 an + 6 x x→0− x x→0 x→0 x→0 을 만족할 때 {an }이 수렴함을 증명하고 극한값을 구하시 2 이다. 오. sol)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an+1 < 6 임을 증명하자. n = 1 일 때 a1 = 2 ≤ 4 = a2 < 6 1 1 , lim b) lim 이므로 성립한다. 이제 n = k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즉, x→0+ x x→0− x ak ≤ ak+1 < 6 이라 하자. 그러면 sol) x = 6 0일때 12 ak+1 + 6 < =6 ak+2 = 1 1 1 2 2 ≤ −1≤ x x x 이고 임을 이용하면 ak + 6 ak+1 + 6 ≥ = ak+1 ak+2 = 2 2 1 1 lim− = −∞, lim+ =∞ 이다. 따라서 n = k + 1 일때도 성립한다.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x x x→0 x→0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an+1 < 6 이다. {an } 이 증가수 열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6 이므로 단조수렴정리에 이다. an + 6 에 n이 의하여 {an }은 어떤 실수 α로 수렴한다. an+1 = 2 c) lim [tan x], lim [tan x] α+6 − + x→ π x→ π 무한히 커지는 극한을 취해보면 α = 이고 그러므로 α = 6 2 2 2 sol) b) 와 같이 가우스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면 이다. 따라서 lim a = 6 이다. n→∞ n 6. a1 = 1 이고 an+1 = [tan x] = −∞ lim [tan x] = ∞, lim π+ − x→ π 2 1 an + 4일 때 {an }의 수렴 여부와 수렴하 2 x→ 2 이다. 면 극한값을 구하시오. sol)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모든 자연수n에 대하여 an ≤ √ √ 1 − cos2 x 1 − cos2 x 9 , lim+ = a2 < 8 d) lim− an+1 < 8 임을 증명하자. n = 1일 때 a1 < x x x→0 x→0 2 √ 이므로 성립한다. 이제 n = k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즉, sol) 1 − cos2 x = |sin x|임을 이용하면 ak ≤ ak+1 < 8 이라 하자. 그러면 √ √ 1 − cos2 x 1 − cos2 x 1 1 = −1, lim =1 lim ak+2 = ak+1 + 4 < · 8 + 4 = 8 x x x→0+ x→0− 2 2 이다. 이고 ak+2 = 1 1 ak+1 + 4 ≥ ak + 4 = ak+1 2 2 2. 다음 극한이 존재하는지 판정하고, 존재할 경우 그 극한값을 이다. n = k + 1 일때도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모든 구하시오.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an+1 < 8 이 성립한다. {an }은 증가수 열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 8 이므로 단조수렴정리에 x |x| − a) lim 1 x→0 x |x| 의하여 {an }은 어떤 실수 α로 수렴한다. an+1 = an + 4 에 n이 2 1 무한이 커지는 극한을 취해보면 α = α + 4 이므로 α = 8 이다. sol) lim |x| − x = lim (1 − 1) = 0 이고 2 x |x| x→0+ x→0+ 따라서 lim an = 8 이다. n→∞ |x| x lim = lim− [−1 − (−1)] = 0 이므로 정리 2.2.4에 − x |x| x→0− x→0 12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 lOMoARcPSD|23222283 2 극한 SOLUTION 의해 극한값이 존재하고, 그 값은 0 이다. i) lim x sin x→∞ b) lim x→1 3x + 1 x2 + 1 sol) x ≥ 1 x 2 에 대해 π sol) lim (3x + 1) = 4 이고 lim x2 + 1 = 2이므로 정리 2.2.1에 x→1 cos x→1 의해 극한값이 존재하고, 그 값은 2 이다. x2 + x − 2 x→1 x−1 c) lim 이고 lim cos x→∞ 2 (x + 2)(x − 1) x +x−2 = lim = lim (x + 2) = 3. x→1 x→1 x→1 x−1 x−1 sol) lim 1 − 3x2 x→∞ 3x2 + x j) lim x→0 sin x x sin x 1 = lim tsin = 1. t→∞ x t sin x k) lim x→∞ x x→0 1 1 − 3x2 −3 x2 − 3 = = lim = −1. 1 2 x→∞ 3x + x x→∞ 3 + 3 x sol) lim sin x 1 1 ≤ 이고 lim = 0이므로 정리 x→∞ x x x sin x = 0이다. 2.2.5에 의해 lim x→∞ x 2x − 3 x→−∞ x2 + 2 sol) x 6= 0에 대해 e) lim 3 2 2x − 3 0 x − x2 = = 0. = lim x→−∞ x2 + 2 x→−∞ 1 + 22 1 x √ 3 x−1 f) lim x→1 x − 1 sol) lim cos x x→0 x l) lim cos x cos x = ∞, lim = −∞이므로 극한값은 존재 x→0− x x 하지 않는다. sol) lim x→0+ sol) x→1 1 1 = 1이므로 lim x sin = 1이다. x→∞ x x sol) lim d) lim lim 1 1 ≤ x sin ≤1 x x √ 3 √ 3 x−1 x−1 = lim 2 √ 1 x→1 (x 3 + x 3 + 1)( 3 x − 1) x−1 1 1 = . = lim 2 1 x→1 x 3 + x 3 + 1 3 m) lim+ ln x x→0 sol) lim+ ln x = −∞. (정리 3.7.12 참조) x→0 g) lim sin x n) lim (ln (2x + 1) − ln (x)) sol) 모든 자연수 n ≥ 1에 대해 sol) x > 1일 때 x→∞ x→∞ sin(2nπ) = 0, 1 sin((2n + )π) = 1 2 이므로, 어떤 양수 M > 0을 고르더라도 x = 2nπ > M 를 만족 하는 자연수 n은 무한히 많으므로 sin x는 x가 충분히 크더라도 유일한 값으로 수렴하지 못한다. 따라서,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 다. 1 h) lim x sin x→0 x 1 ln 2 ≤ ln 2 + x ≤ ln 2 + 1 = ln 2이므로 x lim (ln (2x + 1) − ln (x)) = ln 2이다. 이고 lim ln 2 + x→∞ 1 x 정리 x→∞ o) lim x→0 sin 4x sin 2x sin 4x 2x 4x sin 4x sol) lim = lim · · = 2. 1 x→0 x→0 sin 2x 4x sin 2x 2x ≤ |x|이고 lim |x| = 0이므로 정리 sol) x 6= 0에 대해 x sin x→0 x 1 4−x √ 2.2.3에 의해 lim x sin = 0이다. p) lim x→0 x→4 x 5 − x2 + 9 13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 2.2.3에 의해 lOMoARcPSD|23222283 2 극한 SOLUTION sol) √ (4 − x)(5 + x2 + 9) 4−x √ = lim 2 x→4 5 − 16 − x2 x + 9 x→4 √ 5 5 + x2 + 9 = . = lim x→4 4+x 4 lim sol) (거짓) 반례: 함수 f, g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 1, x > 0 f (x) = , g(x) = x, 0, x ≤ 0 f (g(x)) = f (x)이고, a = 0일 때 lim g(x) = 0이지만 x→0 q) lim x→0 2 1 + x (x − 1) x (x + 2) lim f (g(x)) = f (0+) = 1, x→0+ 이므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sol) lim x→0 lim f (g(x)) = f (0−) = 0 x→0− 1 2 + x (x − 1) x (x + 2) = lim x→0 3 3 =− . (x − 1)(x + 2) 2 3. 다음 명제가 참이면 증명하고, 거짓이면 반례를 제시하시오. e) 함수 f : R → R에 대해 어떤 상수 M > 0이 존재하여 모든 실수 x에 대해 |f (x)| ≤ M 이면 lim xf (x) = 0이다. x→0 proof ) (참) 주어진 조건에 의해 a)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 g (x)이면 lim f (x) < lim g (x) x→a 이다. sol) (거짓) 반례 : 함수 f, g : R → R 를 ( 0, f (x) = −1, x→a |xf (x)| ≤ M |x|, x∈R 이 성립하고 lim M |x| = 0이므로 비교정리 혹은 샌드위치 정리에 x→0 의해 lim xf (x) = 0이다. x→0 x 6= 0 , x=0 g(x) = |x| 4. 상수 a ∈ R 에 대해 함수 f 가 구간 [a, ∞)에서 감소함수(정의 3.3.1)라 하자. 어떤 상수 m ∈ R이 존재하여 모든 x ∈ [a, ∞)에 로 정의하면 R에서 f (x) < g(x) 이지만 lim f (x) = lim g(x) = 0 대해 f (x) ≥ m이면 x → ∞ 일 때 f (x)가 수렴함을 보이시오. x→0 x→0 이다. proof ) 함수 f 가 구간 [a, ∞)에서 감소함수이므로 함수−f 는 구 b) lim f (x) = ∞ 이고 lim g (x) = 0 이면 lim f (x) g (x) = 0 간 [a, ∞)에서 증가함수이다. 모든 x ∈ [a, ∞)에 대해 f (x) ≥ m x→a x→a x→a 이므로, 모든 x ∈ [a, ∞)에 대해 −f (x) ≤ m이다. 정리 2.2.7에 이다. 의하여 x → ∞일때 −f (x)는 어떤 실수 l로 수렴한다. 정리 2.2.1 에 의하여 lim f (x) = −l 이다. n→∞ sol) (거짓) 1 반례: f (x) = 2 , g(x) = x2 , a = 0로 두면 lim f (x) = 연습문제 2.3 . x→0 x 1. 주어진 함수가 x = 0에서 연속인지 판정하시오. ∞, lim g(x) = 0이지만 lim f (x) g (x) = 1 6= 0이다. x2 x→0 x→0 a) y = x sol) x = 0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x = 0에서 연속이 f (x) c) lim f (x) = 1이고 lim g(x) = 0이면 lim = ∞ 이거나 아니다. x→a x→a x→a g(x) f (x) = −∞이다. lim x→a g(x) b) y = x − [x] sol) lim (x − [x]) = lim x = 0 이고 x→0+ x→0+ sol) (거짓) lim− x−[x] = lim− (x+1) = 1 이므로 x = 0에서 연속이 아니다. 반례: f (x) = 1, g(x) = x, a = 0으로 두면 lim f (x) = 1 x→0 x→0 x→0 1 f (x) = 의 극한은 존재 c) y = [x − [x]] 이고 lim g(x) = 0 이지만 x → 0일 때 x→0 g(x) x lim [x − [x]] = lim [x] = 0 이고 lim [x − [x]] = 하지 않으며, 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도 발산하지 않는다. sol) x→0 + x→0+ x→0− lim− [x + 1] = 0 이고 [0 − [0]] = 0 이므로 x = 0에서 연속 x→0 d) lim g(x) = b이면, lim f (g(x)) = f (b)이다. x→a x→a 이다. 14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 lOMoARcPSD|23222283 SOLUTION d) y = [|x|] sol) lim [|x|] = 0 이고 [|0|] = 0 이므로 x = 0에서 연속이다. 2 극한 이므로 x = 0에서 연속이 되도록 함숫값을 정의할 수 없다. x→0 sin(x + 1) x2 + x e) y = |[x]| sol) x = −1, 0 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이 점들에서 sol) lim |[x]| = 0 이고 lim |[x]| = 1이므로 x = 0에서 연속이 sin(x + 1) x→0+ x→0− 불연속이다. f (−1) = lim = −1 로 정의하면 주어 아니다. x→−1 x2 + x 진 함수가 x = −1에서 연속이 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sin(x + 1) sin(x + 1) = ∞ 이고 lim = −∞ 이므로 x = 0 2. 주어진 함수들의 불연속점을 모두 찾고, 각 불연속점에서 그 lim+ 2 − x +x x2 + x x→0 x→0 함수가 연속이 되도록 정의할 수 있는지 답하시오.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함숫값을 정의할 수 없다. g) f (x) = cos x x2 − 2x + 1 h) f (x) = x − π2 x−1 π sol) x = 1에서 함수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x = 1에서 불연속이 sol) x = 2 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x = π2 에서 불연 π cos x x2 − 2x + 1 = limπ 다. f (1) = lim = lim (x − 1) = 0로 정의하면 새로 속이다. f π = −1로 정의하면 새로 정의된 x→ 2 x − 2 x→1 x→1 x−1 2 정의된 함수는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 된다. 함수는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 된다. a) f (x) = x−1 3.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3x + 2 3 sol) x = 1, 2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이 점들에서 불연 a) 방정식 x − x − 1 = 0은 구간 [1, 2]에서 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x−1 1 속이다. f (1) = lim 2 = lim = −1 로 정의하면 x→1 x − 3x + 2 x→1 x − 2 proof ) f = x3 − x − 1 이라 정의하자. f (1) = −1 이고 f (2) = 5 x = 1에서 연속이 된다. x = 2에서는 극한이 발산하기 때문에 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f (c) = 0 을 만족하는 c가 (1, 2)에 x = 2에서 연속이 되도록 함숫값을 정의할 수 없다.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3 − x − 1 = 0 은 구간 [1, 2]에서 근을 가진다. ln|x + 1| c) f (x) = x x sol) x = −1, 0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이 점들에서 b) 방정식 3x = e 은 구간 (0, ∞)에서 적어도 두 개의 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1 ln|x + 1| 불연속이다. f (0) = lim = lim ln(x + 1) x = ln e = 1 x→0 x→0 x 로 정의하면 주어진 함수를 x = 0 에서 연속이 되도록 정의할 수 proof ) f (x) = ex − 3x라 정의하자. f (0) = 1 > 0 이고 있다.하지만 lim f (x) = ∞이므로 x = −1에서는 연속이 되도록 f (1) = e − 3 < 0 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 (x) = 0 x→−1 함숫값을 정의할 수 없다. 은 0과 1사이에 적어도 1개의 근을 가진다. 또한 f (1) = e − 3 < 0 이고 f (4) = e4 − 12 > 0 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 (x) = 0은 1과 4사이에서도 적어도 1개의 근을 가진다. 따라서 1 d) f (x) = x sin 3x = ex 는 (0, ∞)에서 적어도 두 개의 근을 가진다. x sol) x = 0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x = 0에서 불연속 1 이다. f (0) = lim x sin = 0 으로 정의하면 새로 정의된 함수는 c) 방정식 x3 − 4x + 1 = 0 은 세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x→0 x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 된다. b) f (x) = x2 proof ) 우선 주어진 방정식은 3차 방정식 이므로 최대 3개의 1 실근을 가진다. 함수 f : R → R를 f (x) = x3 − 4x + 1 로 e) f (x) = x2 cos x 정의하자. f (−3) = −14 < 0 이고 f (−1) = 4 > 0 이므로 사 sol) x = 0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x = 0에서 불연속 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 (x) = 0은 (−3, −1)에서 적어도 1 1 이다. f (0) = lim x2 cos = 0으로 정의하면 새로 정의된 함수는 개의 실근을 가진다. 또, f (−1) = 4 > 0 이고 f (1) = −2 < 0 x→0 x 이므로 방정식 f (x) = 0은 (−1, 1) 에서 적어도 1개의 실근을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 된다. 가지고 f (1) = −2 < 0 이고 f (3) = 16 > 0이므로 방정식 f (x) = 0은 (1, 3)에서 적어도 1개의 실근을 가진다. 따라서, 방정 √ 1 − cos2 x 식 x3 − 4x + 1 = 0은 세 개의 실근을 가진다. f) f (x) = x sol) x = 0에서 함숫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x =√0에서 불연속이 √ d) 방정식 π sin x = x 는 최소한 세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1 − cos2 x 1 − cos2 x 다. 하지만 lim− = −1이고 lim+ =1 x x x→0 x→0 15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 lOMoARcPSD|23222283 3 미분 SOLUTION proof ) 함수 f : R → R를 f (x) = π sin x − x로 정의하자. π π = − < 0, f (−π) = π > 0, f − 2 2 π π f = > 0, f (π) = −π < 0 2 2 π π π π , ,π 이므로 방정식 f (x) = 0은 구간 −π, − , − , 2 2 2 2 에서 각각 적어도 1개의 근을 가진다. 따라서 방정식 π sin x = x 는 최소한 세 개의 실근을 가진다. 위 보조정리로부터 α 6= 0인 실수에 대해 xn → α, yn → α를 만 족하는 유리수열 {xn }과 무리수열 {yn }이 존재한다. 따라서, f 가 연속이라고 가정하면 f (α) = f ( lim xn ) = lim f (xn ) = 0, n→∞ n→∞ f (α) = f ( lim yn ) = lim f (yn ) = lim yn = α n→∞ n→∞ n→∞ 가 되어 α = 0이어야 한다. 하지만 이는 α 6= 0이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함수 f 는 x = 0에서만 연속이다. 4. 함수 y = |x|가 연속함수임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연속함수 f 에 대하여 y = |f (x)|가 연속임을 보이시오. proof ) 임의의 x, c ∈ R 에 대하여 x 6= c 이고 |x − c| → 0이면 미분 3 연습문제 3.1 . 1.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x| − |c|| ≤ |x − c| → 0 이므로 y = |x| 는 연속함수이다. 이제 임의의 함수 f 가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라고 가정하자. c ∈ R 을 고정하면 f 가 실수전체에서 연속이므로 임의의 x ∈ R에 대하 여 x 6= c이고 |x − c| → 0 이면 |f (x) − f (c)| → 0이다. 삼각부등 식에 의하여 a) y = (x3 + 1)(x2 + x + 1) sol) y 0 = (x3 + 1)0 · (x2 + x + 1) + (x3 + 1) · (x2 + x + 1)0 = (3x2 ) · (x2 + x + 1) + (x3 + 1) · (2x + 1) ||f (x)| − |f (c)|| ≤ |f (x) − f (c)| = (3x4 + 3x3 + 3x2 ) + (2x4 + x3 + 2x + 1)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함수 f 가 연속이면 |f | 도 연속함수이다. = 5x4 + 4x3 + 3x2 + 2x + 1. 5. 함수 f : R → R 가 x 가 유리수일 때는 f (x) = 0이고, x가 무 리수일 때는 f (x) = x이다. 이 함수가 연속인 점을 모두 찾으시오. b) y = (x + 1)(x2 + 1)(3x − 1) sol) sol) |f (x)| ≤ |x| 이고 lim |x| = 0 이므로 정리 2.2.5에 의하여 y 0 = (x + 1)0 (x2 + 1)(3x − 1) + (x + 1)(x2 + 1)0 (3x − 1) x→0 lim f (x) = 0 = f (0) 이다. 따라서 f 는 x = 0에서 연속이다. + (x + 1)(x2 + 1)(3x − 1)0 x→0 이제 x = 0을 제외한 실수들에서 불연속임을 밝히자. 보조정리 하나를 소개한다: lemma) 임의의 실수 α ∈ R에 대해 α로 수렴하는 유리수열 {xn } 과 무리수열 {yn }이 존재한다. proof ) α ∈ R 에 대해 √ 2 [nα] , yn = + xn xn = n n 라 하면 {xn }은 유리수열이고 {yn }은 무리수열이다 (단, [x]는 x 보다 작은 최대의 정수). 또한, α− = (x2 + 1)(3x − 1) + 2x(x + 1)(3x − 1) + 3(x + 1)(x2 + 1) = (3x3 − x2 + 3x − 1) + (6x3 + 4x2 − 2x) + (3x3 + 3x2 + 3x + 3) = 12x3 + 6x2 + 4x + 2. c) y = sol) (x + 2)0 (x2 + 3x − 1) − (x + 2)(x2 + 3x − 1)0 (x2 + 3x − 1)2 2 (x + 3x − 1) − (x + 2)(2x + 3) = (x2 + 3x − 1)2 2 −x − 4x − 7 = 2 . (x + 3x − 1)2 y0 = 1 ≤ xn ≤ α n 이므로 조임정리 혹은 비교정리에 의해 n → ∞일 때 xn → α, √ 2 lim yn = lim + lim xn = α n→∞ n→∞ n n→∞ 이므로 yn → α 이다. x+2 x2 + 3x − 1 d) y = x2 x + 2 x+1 x +1 16 Downloaded by ??? (soccerj829@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