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Youngmin Cha

CES 2023 Review;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ElectronicEquip - 복사본

advertisement
| 반도체ㆍ전기전자 | CES 2023 | 2023. 1. 10 |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 Mobility Centric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
CES2023 Summary
CES2023은 Human Security For All이란 캠페인을 내세우며 Sustainability를 위한 테크의 역할을 다시 한번 재조명했다.
놀라운 혁신과 청사진이 사라진 전시장은 Covid-19 이전 전성기와는 달리 전시장 곳곳에 빈바닥을 노출했고 분위기는 차분했다.
대신 인류와 기업들이 마주한 현실적인 위기(수요둔화, 공급망 리스크, ESG, 질병, 노동력 부족)를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해결하는 동시에 영속을 위한 진화(기술의 진보와
확장성) 과정을 보여주었다.
CES2023을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Mobility Centric”으로 정의하고
주요 테마로 1) Mobility, 2) 웹3.0 & 메타버스, 3) Digital Health, 4) Gaming & Services
인프라 기술로서 AI/Connectivity/Sensor, 방향성은 Sustainability를 제시한다.
모빌리티와 웨어러블 기기는 인류의 삶을 변화시킬 차세대 하드웨어 플랫폼이며 웹3.0 & 메타버스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될 것이다.
또한 플랫폼의 완성도를 높여주는데 가장 필수적인 인프라 기술로서 인공지능, 연결성/통신, 센서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모빌리티 전시 동향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기차 시장이 안정세에 접어들었고 자율주행 기술이 단계적으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완성차 OEM 뿐 아니라 빅테크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이 귀환했으며 전장부품 업체들이 보폭을 넓히기 시작했다.
전장산업 Tier1은 물론 Tier2~Tier3 전장부품 업체들이 전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자율주행 부품/솔루션 업체들이 대거 참여했다.
자율주행 산업 생태계 조성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는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곡선 진입과 차세대 플랫폼으로서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통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
Contents
Part Ⅰ
04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지속 가능한 인류의 삶과 존속을 위한 기업의 진화
Part Ⅱ
12
모빌리티
EV → 자율주행 & 사용자경험
Part Ⅲ
23
웹3.0 & 메타버스
AR/VR
Part Ⅳ
CES 2023 Review Ⅰ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35 Gaming & Services, Digital Health
Wearable: 심박수 → 뇌파
Part ⅴ
42
기업 분석
LG이노텍, LG전자, 삼성전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
Part I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국경 없는 테크
■ C.E.S
■ 주요 Topic & 혁신상 Trend
■ 핵심 기술 트렌드 & 테마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 기업을 둘러싼 시장 환경의 변화(위기), 기업의 전략(진화), 기업의 영속성
- Crisis: 1) 코로나 특수효과 소멸과 인플레이션/금리인상으로 IT 수요 둔화→Set/부품 재고 상승
2) 미중 기술패권 분쟁으로 공급망 리스크와 무역 갈등 심화
3) 기상이변, 질병, 노령화, 인구감소
- Evolution: 생존 경쟁 심화→첨단 기술 확보, 신성장 동력, 체질 개선
- Sustainability: 기업의 영속성 확보
- 2023년 미국 기술 소매 매출 -2.4%YoY 전망: 2022 $4,970억→2023E $4,850억
(2022 예상치 변경 이력: 2022.01 $5,050억 → 2022.07 $5,030억, Covid19 이전 $4,350억)
IT Set 수요 트렌드
(M, Unit)
DRAM 수요 Bit growth 전망
2019
2020
2021
1Q22
2022E
1,600
20%
17.9%
13.5%
15%
1,000
반도체 및
주요 부품 업황 둔화
800
600
400
19.9%
1,300 1,358
1,221
1,200
4Q22
25%
1,413
1,400
3Q22
10%
7.8%
5%
223 225 214 204
200
163
223
274
1.1%
195
156 166 173 124
0%
-2.2%
-5%
0
TV
NBPC
자료: Trendforce, 산업,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Tablet
SP
2022E
2023E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의 미래는 밝다
- “Innovation accelerates and bunches up during economic downturns only to be unleashed as the economy begins to recover,
ushering in powerful new waves of technological change” by Christopher Freeman, 1921-2010 British Economist _ Source: CTA 연설
(경제 침체기에는 오히려 혁신이 가속화되고 집중되기 때문에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하면 새롭고 강력한 기술 진화(변화의 물결)가 시작된다.)
- The Great Recession(2008-2009): 4G LTE 기반의 스마트폰이 출현하고 성장
2023 Recession? : 5G 기반의 IoT-Connected 생태계 구축, 퀀텀 컴퓨팅과 자율주행의 발전
- 기술 발전(혁신)의 방향성: Transformation(변화) → Automation(자동화) & Virtualization(가상)
자료: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6
Crisis, Evolution, Sustainability
● 기업의 영속을 위한 3대 디지털 기술과 생산 혁신 + ESG
-
3대 디지털 기술: Security(보안), Scalability(확장성-클라우드), Simulation(모의 실험-AI & Robotics, AR/VR)
-
생산 혁신(물류/공장 자동화): Speed(속도), Safety(안전), Saving(공간/가동시간 최적화)
자료: 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7
CES2023: Topic
● CES2023 전시 주제
-
웹3.0 & 메타버스가 새롭게 추가
-
웹3.0(블록체인, 암호화폐(NFT)가 포함) 의 장점인 보안 및 데이터 소유권의 개인화를 기반으로 메타버스가 구현될 것으로 전망
CES 2023 Topic
웹3.0
보안(Security),
데이터 소유권
Platform→Personal
블록체인,
암호화폐(NFT)
메타버스
New Topic
자료: 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8
CES2023: 혁신상 Trend
● CES2021~2023 혁신상 수상제품 트렌드
-
모빌리티, 차량 엔터테인먼트 및 안전, 웨어러블 부문의 제품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디지털 헬스, 가상/증강 현실 제품의 강세가 지속
Remark 디지털 헬스
Growth 모빌리티
Growth
Remark
Growth
New
New
카테고리
소프트웨어&모바일앱
스마트홈
지속가능성
가전
스마트시티
웨어러블 기술
내장기술
컴퓨터 주변장치 및 액세서리
가상/증강현실
모바일기기 및 액세서리
차량 엔터테인먼트 및 안전
로보틱스
접근성
게이밍
디지털 이미징 및 사진
스트리밍
컴퓨터 하드웨어 & 구성품
홈오디오&비디오 구성품 및 액세서리
피트니스&스포츠
사이버보안&개인정보보안
인간 보안
푸드&농업
헤드폰&개인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드론&첨단 항공 모빌리티
고성능 홈오디오&비디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및 액세서리
자료: 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Category
Digital Health
Vehicle Tech & Advanced Mobility
Software & Mobile Apps
Smart Home
Sustainability, Eco Design & Smart Energy
Home Appliances
Smart Cities
Wearable Technologies
Embedded Technology
Computer Peripherals & Accessories
Virtual & 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s & Accessories
In-Vehicle Entertainment & Safety
Robotics
Accessibility
Gaming
Digital Imaging & Photography
Streaming
Computer H/W & Component
Home Audio & Video Components & Accessories
Fitness & Sports
Cybersecurity & Personal Privacy
Human Security for All
Food & Ag Tech
Headphones & Personal Audio
Video Display
Drones& Advanced Air Mobility
High Performance Home Audio & Video
Portable Media Players & Accessories
2021
45
20
18
33
22
24
9
16
11
28
4
23
12
5
7
24
11
3
33
11
4
4
26
10
2
4
8
비중
11%
5%
4%
8%
5%
6%
2%
4%
3%
7%
1%
6%
3%
1%
2%
6%
3%
1%
8%
3%
1%
1%
6%
2%
0%
1%
2%
2022
77
40
34
43
34
31
19
19
17
44
19
24
11
13
9
31
13
9
35
17
11
10
31
12
7
6
6
비중
12%
6%
5%
7%
5%
5%
3%
3%
3%
7%
3%
4%
2%
2%
1%
5%
2%
1%
6%
3%
2%
2%
5%
2%
1%
1%
1%
2023
72
44
37
35
29
26
21
21
21
20
19
17
13
12
11
9
9
9
8
8
8
7
7
6
5
5
3
3
-
비중
15%
9%
8%
7%
6%
5%
4%
4%
4%
4%
4%
4%
3%
2%
2%
2%
2%
2%
2%
2%
2%
1%
1%
1%
1%
1%
1%
1%
-
YoY
-6%
10%
9%
-19%
-15%
-16%
11%
11%
24%
-55%
0%
-29%
18%
-8%
22%
-71%
-31%
0%
-77%
-53%
-27%
-30%
-84%
-58%
-57%
-50%
-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9
CES2023: 국경 없는 테크
● 모바일 중심 IT 기술의 타 기기로의 특화와 타 산업으로의 확장 트렌드 가속화
-
특화愷
분산愷
파편화(Fragmentation): 기초/기반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는 특화(가상현실, 디지털 헬스) 기기로의 발전
-
확장(Extension): IT 기기를 넘어서 자동차, 로봇과 같은 제품은 물론 농업, 해양, 우주 등 다양한 산업으로의 확장
건강/의료, 운동
Digital Heath
스마트
One Device, Multi Use
차세대 플랫폼/컴퓨팅
웹3.0 & 메타버스
오락, 스트리밍
Game & Service
해양
모바일 중심
Mobile Centric
특화愷분산愷파편화
Fragmentation, Focused
Music
Document
농업
보안, 감시, 정찰
확장
Extension
Game
Viewer
Pay
AI
Internet
Call
자료: 언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율주행
Autonomous, Maas
ESG
Electric/Battery
Camera
Video
모바일
우주 산업
운송/배송, 여객
Mobility
Health
IT
Sensor
Chat
5G
Messenger
Pay
Translation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0
CES2023: 국경 없는 테크
● CES2023의 핵심 기술 트렌드 IT 기술 혁신의 방향은 국가/산업의 장벽을 초월한 인류의 지속 가능한 삶과 기업의 존속을 향해 있음
-
CES2023의 핵심 테마를 1)Mobility, 2)웹3.0 & 메타버스, 3)Digital Health, 4)Game & Services,
인프라 기술로서 AI/Connectivity/Sensor, 방향성은 Sustainability를 제시함
Tech Trends
*AI(빅데이터, 클라우드, 반도체), Connectivity(연결성/통신), Mobility(자율주행, 센서), 메타버스(가상현실, XR)
Mobility
웹3.0 & 메타버스
Digital Health
Game & Services
Key Theme
IT 기술 발전:
발전: 수동/
수동/특화
Autonomous
/Mobility
AI/Connectivity/Sensor
자료: 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ustainability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1
Part Ⅱ
Mobility
자율주행 & MaaS
■ Mobility Centric: 빅테크의 귀환, 전장 부품/솔루션 업체 전면에 포진
■ Sony, BMW, NVIDIA
■ 자율주행 고도화 → MaaS 확대 (Feat. Display & Sound)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2
Mobility: Mobility Centric
● CES2023: “Mobility Centric”의 시작
-
Mobility 부문은 역대 최대의 규모로 West Hall에서 약 300개의 업체가 참여한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차 전시회로 탈바꿈
-
최신 자율 주행 기술, 전기 자동차 및 육상, 항공, 해상용 모빌리티 제품 전시
-
완성차OEM 중심으로 고군분투하던 Mobility 전시장에 빅테크(Google, MS, Amazon)가 귀환하고 전장부품 업체(엔시스, 온세미, 무라타 등)들이 전면에 포진
전장 산업 Tier1은 물론 Tier2~Tier3 전장부품 업체들이 전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자율주행 부품/솔루션 업체들이 대거 참여
→ 전기차 시장이 안정세에 접어든 가운데 자율주행 산업 생태계 조성 본격화로 해석
●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MasS(Mobility as a Service) 시대 도래
-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는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곡선 진입과 차세대 플랫폼으로서 MasS를 통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
Mobility as a Service
↓
User Experience
Electric
Autonomous
자료: 언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3
Mobility: 라이다의 습격
● 라이다의 습격
-
LVCC West Hall 전시장을 가득채운 다소 투박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바로 라이다가 인식한 Data를 영상으로 구현한 것
-
Tier1 전장업체 Valeo와 스타트업 Luminar는 물론 한국 스타트업 에스오에스랩, 중국 업체 Hesai 등 전세계 라이다 업체가 대부분 참여
-
라이다는 자율주행 기술에 있어 오랜 시간 논쟁의 대상(기능 vs. 가격)으로 여전히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춘 업체가 없는 부품
→ 2023년 벤츠, 볼보가 루미나의 고정형 라이다를 탑재하면서 라이다 산업의 분위기 긍정적
● 스타트업의 기술력 vs Tier 2~3 양산 경쟁력
-
기술력으로 무장한 스타트업들의 자율주행 산업 진출이 크게 늘었지만 완성차 OEM들은 여전히 신중한 자세를 취했음
-
Tech 업계의 눈길이 자율주행 산업을 향하는 가운데 루미나의 사례처럼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에게 반드시 기회가 올 것
Valeo
자료: 언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uminar(차량은 Volvo)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4
Mobility: 전장 부품 업체
● LG이노텍 CES 첫 입성
-
2023년 북미고객 향 납품을 예상하는 신규 Folded Zoom Camera와 전기차 업체에 공급 중인 전장 카메라를 전시
-
양산 제품 외 자율주행 산업의 핵심 부품 라이다, 레이더 및 AR/VR 기기용 ToF 센서까지 연구/개발 중인 제품들을 소개
-
초소형 IT 부품 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센서 솔루션을 가진 Tier2 전장업체로서 고객들의 자율주행 부품 생산 관련 협업 기회 많을 것
4D Radar
Folded Zoom Camera
Spin Type LiDAR
자료: LG이노텍,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Short Range LiDAR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5
Mobility: 전장 솔루션 업체
● “Simulation is Superpower“ 시뮬레이션 전문 미국 기업 Ansys
-
시뮬레이션 솔루션으로 차세대 전기 자전거에서 전기 자동차 인버터에 이르기까지 모빌리티 장비 개발 혁신
-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의 개발, 가상 프로토타이핑, 검증 및 안전 진단을 간소화/가속화
-
시뮬레이션의 힘으로 고객은 시장 출시 시간을 단축하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제품 설치 공간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
Ansys
자료: Ansys, MS, Amazon, ZF, 언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Azure 기반 자율 주행 차량 개발 협업, AWS 기반 엔시스 시뮬레이션
Tool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6
Mobility: 자율주행 기술 저변 확대
● 자율주행 기술의 확장성
-
자율주행 기술은 자동차, 로봇과 같은 제품은 물론 농업, 해양, 우주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하는 중
→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 환경에 비해 변수가 적어 자율주행 적용이 수월한 편이나, 해양/공중의 경우 각각의 기술적 난제가 존재함
-
자율주행 기술은 매우 보편적인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 자율주행 기술이 인간의 물리적/정신적 한계(체력, 인지, 판단, 제어, 집중)를 뛰어넘어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사고율 감소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해 사회적 비용감소와 상업적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
● 자동차가 아닌 타 디바이스가 가진 MaaS(Mobility as a Service)로서의 한계. 하지만 자율주행 부품 수요 확대 기회에 주목
-
Mobility의 미래는 MasS. 하지만 자동차가 아닌 Mobility 기기들은 MasS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움
-
산업/제품 별 자율주행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자율주행 부품(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스펙의 다양화 및 고도화
육상: 농업 - 존디어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해양: 브룬스(Brunswick)
공중: 드론, UAM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7
Mobility: Sony
● Afeela 공개: 혼자 합작하여 제작중인 자율주행차
-
2025년 중반부터 온라인 선주문→2026년 북미부터 차례로 출시 예정
→ 외부카메라 14개를 비롯해 총 45개의 센서를 탑재했으며 퀄컴의 SoC 기반의 디지털 섀시 플랫폼 장착
-
Epicgames와 제휴를 맺어 최고의 게임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고 외부의 장착형 Media Bar는 충전 및 차량의 정보를 표시 가능
● VisionS도 완성도가 높았지만 Afeela는 훌륭하다
-
자율주행 수준을 판가름하기 어려우나 Afeela는 차량 외부 내부 디자인이 과하지 않고 매우 자연스러워 편안함을 느낌
-
차량 내부에 적용된 디스플레이로는 소니의 컨텐츠(게임, 음악, 영화)를 기반으로 운전자/탑승자의 차량 내부 사용자 경험 극대화
외부의 디스플레이는 Communication, Status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것
자료: Sony,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8
Mobility: BMW
● I Vision Dee: Advanced HUD(Head Up Display) 공개
-
HUD 투영 범위가 차량 윈드스크린 전체로 확대되어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
→ 2025년 부터 출시 예정인 전기차 전략 모델 뉴 클래스(Neue Klasse) 제품군에 적용 예정
-
BMW 혼합 현실 슬라이더(Mixed Reality Slider)는 차량 제어 및 디지털 기능의 핵심을 담당. HUD 정보 표현 제어 및 차량 윈도우의 밝기 조정 기능
● iX Flow(Color Changing Car) CES2023에서 풀컬러로 업그레이드
-
기술 원리: 전자잉크 기술을 적용한 차량. 차의 윤곽에 맞춰 정밀하게 재단된 래핑에는 특수 안료를 함유한 수백만 개의 마이크로 캡슐이 들어 있음. 사용자가 색상 변경을
선택하면 전기장에 의한 자극이 일어나면서 안료가 캡슐 표면에 모이고, 이에 따라 자동차 외장이 원하는 색으로 변화하는 원리
-
변경한 색상을 계속 유지하는데 전기가 전혀 소모되지 않고, 색상에 따른 열에너지 흡수율의 차이로 차량의 열효율을 상승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돼 에너지 효율적
자료: BMW,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19
Mobility: NVIDIA
● Total Solution Provider
-
Cloud, AI Data Factory(데이터 센터), 자율주행 S/W까지 전체 자율주행 산업 전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
-
NVIDIA Drive SIM(플랫폼): 데이터 센터를 통해 매일 수백만번의 자율주행 S/W를 테스트 할 수 있음
1)주차, 운전, 운행 시 다양한 App 등 기능을 포함
2)기존 차량은 주행, 운전석 디스플레이, 주차, 모니터링 등 각각의 운영체제가 필요하지만 NVIDIA Drive SIM은 자동차 S/W 아키텍쳐를 단순화, 중앙집중화
-
Drive Thor SoC는 자동차의 여러 기능을 병렬로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로보틱스 중앙 컴퓨터
-
향후 10년간 자율주행 지원 차량은 현재 1천만대에서 35년에는 12억대로 10배 이상 증가할 것
-
폭스콘과 함께 자율주행 플랫폼 협업 발표: 향후 폭스콘은 NVIDIA 플랫폼을 기반으로 EV를 제작할 것으로 예상
-
NVIDIA는 GeForce Now를 자동차 스크린에 탑재할 수 있도록 현대차, BYD, Polestar 등과 협업 중
자료: Nvidi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0
Mobility: BAIDU
● CES에서 자취를 감춘 중국 기업. 하지만 중국에서는 이미 자율주행 혁신이 빠르게 진행
-
GM Cruise 로보택시는 샌프란시스코, BAIDU 뤄보(아폴로 고)는 베이징에서 유료 서비스 허가를 받고 운행 중(Level 4)
-
뤄보콰이파오(아폴로 고) 전용 앱이나 바이두 지도 앱에서 로보택시를 호출하고 베이징 6개 외곽 시범 구역에서 이용 가능하며, 승하차는 정해진 지점을 이용
-
현재는 안전요원이 안전요원이 보조석에 상주해 있지만 2022년 12월 말 안전요원이 없어도 되는 “완전자율 주행” 허가를 획득(Level 5)
● 중국 우한, 충칭에서는 이미 완전자율 주행 + 바이두 우한 일부 지역에 한해 밤 11까지 저녁 시간 대 운영 허가 획득
-
자율주행 로보택시 상용화 시대는 이미 미국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눈앞에 성큼 다가오고 있음
● 로보택시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감 높음. 택시, 우버와 유사하기만 해도 사용 의사 충분. → MasS 시대는 예상보다 빠르게 전개될 가능성 높음
자료: 언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1
Mobility: Display & Sound
● 자율주행기술 고도화→MaaS 확대 (Feat. Display & Sound)
-
Covid-19 이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강조되는 Mobility MaaS는 엔터테인먼트 경험
→ 자율주행 실현과 관계없이 디스플레이와 사운드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경험 강화 시도는 지속
● Immersive(몰입감) 경험 니즈 확대될 것
-
현재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전면 대시보드 영역을 기반으로 대형화 및 디자인을 형성하고 있지만 영상시청 시 몰입감을 느끼기 부족
→ HUD 또는 Projector 활용하여 윈드스크린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거나, 차량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or 롤러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탑재 기회 증가
-
밀폐된 차량 공간에서 몰입감 경험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은 사운드
→ 공간활용이 중요한 자동차에서 LG디스플레이 필름타입 액추에이터의 사업 기회가 증가할 것
LG디스플레이 Full Dash Board OLED 스크린_벤츠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G디스플레이 OLED 스크린_GM 캐딜락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사운드 솔루션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2
Part Ⅲ
웹3.0 & 메타버스
AR, VR
■ 웹3.0 & 메타버스
■ AR
■ VR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3
웹3.0 & 메타버스
● 웹3.0 – 메타버스 – AR/VR/XR(가상/증강/혼합) 기기
-
Web2.0의 불완전성(플랫폼 기업의 Data 독점권과 부가가치 창출, 해킹 우려 등)→웹3.0 필요성(데이터 안전성:분산화, 창작자 중심의 플랫폼:수익창출 등)
-
웹3.0의 플랫폼: 메타버스 (AI, 블록체인, NFT 기반)
-
메타버스 핵심 Device: AR/VR
● 웹3.0 & 메타버스 CES2023 전면에 배치
-
메타버스 전용 플로어 등장
-
CoinDesk의 웹3.0 스튜디오에서 블록체인, NFT 최신동향 발표
자료: Global Data Future Tech Repor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4
웹3.0 & 메타버스
● Web 패러다임의 변화
자료: ETRI,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5
웹3.0 & 메타버스
● 메타버스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 배제 필요:
이상과 현실의 격차 여전
-
H/W, S/W, Contents가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어느 것도
Reality를 충족 시키지 못함
-
메타버스에 대한 Reality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쟁 지속: “Ready Player One” or “Immersive Internet version”
● “제한적인 Reality 메타버스” 에도 불구하고 AR/VR 기기 Needs와 성장성은 여전함: Entertainment, Social, Simulation, Education, Virtual Meeting..
“The Metaverse is Closer Than you think”_CTA 연설
메타버스는 “Ready Player One”?
or “Immersive Internet version”?
메타버스의 Reality 논쟁에도 불구하고
AR/VR Needs와 성장은 지속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6
VR: 가상현실 기기
● CES2023 Sony 약 6년만에 신제품 PSVR2 공개: 2023년 2월 22일 출시 예정이며 선주문 가능
-
호라이즌, 레지던트이블을 비롯하여 30개 이상의 기임을 VR용으로 개발 중
-
기대 신작인 그랑 투리스모도 가능하며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 할 것
-
전작 대비 크게 향상된 해상도(940x1080→2000x2040), 더 넓어진 시야각(96→110), 섬세해진 햅틱기능을 제공
-
PSVR2 체험을 위한 대기줄이 전시 기간 내 지속 (공개 첫날은 예약 대기조차 어려움)
● VR의 주력 컨텐츠는 여전히 게임이 대세
● 몰입감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진동, 온도를 활용한 조끼, 장갑) 액세서리와 후각을 지원하는 기능까지 도입
Digital Scent Technology
VR Type 별 수요 전망
HTC Vive
Oculus Rift
(M, Unit)
40
Sony PlayStation VR
CES 2023 신제품 공개
Smartphone-based VR (M)
Console-based VR (M)
PC-based VR (M)
Standalone VR (M)
35
2022~2025
CAGR: 31%
3D ToF:
LG이노텍, 나무가
FPCB:
뉴프렉스
pOLED: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FMM: APS홀딩스
증착:선익시스템
Meta Oculus Quest
HTC
Pico
30
25
20
[ VR 연관 기업]
15
10
5
0
2014
2015
2016
2017
2018
자료: SA, 소니,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19
2020
2021
2022E
2023E
2024E
2025E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7
XR: 혼합현실 기기
● CES2023 HTC VIVE XR Elite 공개
-
2022년 2월 출시 및 가격 $1,099이며 전작 대비 무게는 50%, 크기는 60% 감소
-
Stand Alone 디바이스이지만 wifi6e를 지원하여 PC와 연결하여 구동 가능
-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기능 구현, Eye Tracking(눈 추적) 기능은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추후 별도 액세서리로 탑재 가능
-
4개의 FoV(광각) 카메라가 탑재되었으며 기기 중앙에 컬러와 뎁스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있음
● 사용자 경험 확대: VR과의 차별화를 위한 고민
-
메타버스 게이트, AR/VR 게임, 다양한 업무, 이동 환경에서 사용 가능
-
메타버스 플랫폼 Viverse: 다양한 캐릭터 생성, 예술작품 전시, 폴리곤/이더리움과 동일한 표준 NFT를 지원, XR/VR 컨텐츠를 구독 서비스 계획
자료: HT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8
AR: 증강현실 기기
● AR의 확장성: 2022~2027년 CAGR 145% 고성장세 전망
-
AR 시장은 게임에 대한 의존도가 큰 VR과 달리 컨텐츠에 대한 확장성이 매우 큼
-
VR의 경우 PC, Console을 활용하거나 유사한 운영체제 기반을 갖춘 Stand Alone Device 필요하지만
-
AR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와 Application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
● CES2023 AR 세트 업체 혼자가 아닌 부품 업체들의 활약
-
광학(반사형) 부품 업체에 대한 글로벌 빅테크, 세트업체들의 투자 확대: 주목할 업체로 LetinAR(레티널)이 있으며 2023년 성장의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
LetinAR
AR Type 별 수요 전망
Magic Leap, Hololens
Dual (Transparent )Display for 2 eyes
(M, Unit)
60
Slot-in
Monocular
Binocular
Contact Lens
2022~2027
CAGR: 145%
50
40
30
20
Google Glass:
Single Display for 1 eye
only
Mojo Vision
Smart Contact Lens
10
0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E 2023E 2024E 2025E 2026E 2027E
자료: 레티널, SA, 언론, Tom’s Hardware,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29
주요 VR기기 비교
모델명
HTC Vive XR Elite
Meta Quest Pro
Pico 4 Pro
PSVR2
제조사
HTC
Meta
Pico(바이트댄스)
Sony
Standalone XR
Standalone VR
Standalone VR
Console 연결 구동
2023.2(예상)
2022.10.25
2022.11.30
2023.2.22(예상)
$1,099
$1,500
$530
$550
해상도
1920x1920
1800x1920
2160x2160
2000x2040
주사율
90 Hz
90 Hz
90 Hz
120Hz
무게
625g
722g
586g
560g
FoV
110도
106도
105도
110도
타입
출시일
가격
칩셋
Qualcomm Snapdragon XR2 Qualcomm Snapdragon XR2+ Qualcomm Snapdragon XR2
Console 연결 구동
메모리
12GB
12GB
8GB
Console 연결 구동
저장공간
128GB
256GB
512GB
Console 연결 구동
2H
2H
3H
미공개
배터리시간
자료: VRcompare,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0
HTC 주요 VR기기 비교
모델명
HTC Vive XR Elite
HTC Vive Pro 2
HTC Vive Focus 3
제조사
HTC
HTC
HTC
Standalone VR
PC연결 구동
Standalone VR
출시일
2023.2
2021.6.3
2021.6.27
가격
$1,099
$1,399
$1,300
해상도
1920x1920
2448x2448
2448x2448
주사율
90 Hz
120 Hz
90 Hz
무게
625g
850g
785g
FoV
110도
116도
116도
칩셋
Qualcomm Snapdragon XR2
PC연결 구동
Qualcomm Snapdragon XR2
12GB
PC연결 구동
8GB
128GB
PC연결 구동
128GB
2H
6H
2H
타입
메모리
저장공간
배터리시간
자료: VRcompare,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1
Meta(Oculus) 주요 VR기기 비교
모델명
Meta Quest Pro
Oculus Quest2
Oculus Quest
제조사
Meta
Oculus
Oculus
Standalone VR
Standalone VR
Standalone VR
2022.10.25
2020.10.13
2019.5.21
$1,500
$399
$399
해상도
1800x1920
1832x1920
1440x1600
주사율
90 Hz
120 Hz
72 Hz
무게
722g
503g
571g
FoV
106도
97도
93도
칩셋
Qualcomm Snapdragon XR2+
Qualcomm Snapdragon XR2
Qualcomm Snapdragon 835
12GB
6GB
4GB
256GB
128GB
64GB
2H
3H
3H
타입
출시일
가격
메모리
저장공간
배터리시간
자료: VRcompare,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2
Pico 주요 VR기기 비교
모델명
Pico 4 Pro
Pico Neo 3 Pro
Pico Neo 2
제조사
Pico(바이트댄스)
Pico(바이트댄스)
Pico(바이트댄스)
타입
Standalone VR
Standalone VR
Standalone VR
2022.11.30
2021.5.10
2020.5.27
$530
$699
$699
해상도
2160x2160
1832x1920
2048x2160
주사율
90 Hz
90 Hz
75 Hz
무게
586g
620g
670g
FoV
105도
98도
101도
칩셋
Qualcomm Snapdragon XR2
Qualcomm Snapdragon XR2
Qualcomm Snapdragon 845
8GB
6GB
6GB
512GB
128GB
128GB
3H
3H
3H
출시일
가격
메모리
저장공간
배터리시간
자료: VRcompare,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3
Sony 주요 VR기기 비교
모델명
PSVR2
PSVR
제조사
Sony
Sony
Console 연결 구동
Console 연결 구동
2023.2.22
2016.10.13
$550
$299
해상도
2000x2040
960x1080
주사율
120Hz
120Hz
무게
560g
600g
FoV
110도
96도
칩셋
Console 연결 구동
Console 연결 구동
메모리
Console 연결 구동
Console 연결 구동
저장공간
Console 연결 구동
Console 연결 구동
미공개
10H
타입
출시일
가격
배터리시간
자료: VRcompare,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4
Part Ⅳ
Gaming & Services, Digital Health
Immersive, Healthcare
■ TV, Monitor, AR/VR
■ Wearable Device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5
Gaming & Services
● 게임 & 비디오 스트리밍
- 게임: 2019년 16시간/주 → 2022년 24시간/주
1)초기: 도피, 오락, 경쟁
2)현재: 사교를 위한 목적 추가 → 연결성 → 게임은 사회화를 위한 매개체
3)소비자의 50%가 펜데믹 이후 비디오 게임을 더 많이 사용할 계획이며, 39%가 동일하게, 10%가 덜 사용할 계획
- 비디오 스트리밍: 펜데믹 이후 소비자들은 더 많이 서비스에 가입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음
1)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소비 규모가 2021년 ~2023년 까지 유지될 것
2)소비자의 59%가 펜데믹 이후 비디오 스트리밍을 더 많이 사용할 계획이며, 36%가 동일하게, 5%가 덜 사용할 계획
자료: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6
Gaming & Services
● CES=오락실 化: 몰입감 구현을 위한 노력 여전
- Covid-19 특수 효과가 사라진 현재 추가적인 엔터프라이즈, 일반 소비자용 PC 수요의 성장은 제한적인 가운데 업체들은 CES에 오락실을 만듦
→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디바이스(TV, PC, Monitor, VR)에는 어김없이 게임 컨텐츠를 활용
- Covid-19 이전과 비교했을 때 게임을 통해 소구 포인트를 접근하는 방식 동일한계노출
→ 디스플레이 역시 커브드, 와이드, 해상도, 응답속도 등 변화 제한적이나 OLED 탑재 제품이 증가 추세
- VR의 경우 몰입감을 위한 액세서리 다양화 및 기능 강화
→ 머리에 쓰고 손으로 조작하는 것에서 디바이스의 업그레이드와 함께 센서(진동, 열)가 탑재된 장갑, 조끼, 티셔츠 등의 종류와 기능의 고도화
자료: C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7
Gaming & Services
● CES2023 LGE OLED 10주년 신제품 공개 & “금성오락실 in 라스베가스”
- OLED M: 97”, 4K해상도, 120Hz 주사율 스펙의 무선 OLED TV로 사용자 경험을 확대
- OLED T: 투명 OLED 스크린, 향후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판을 활용하여 고화질 영상을 즐길 수 있는 TV로 출시 가능
- Born to Game이란 표현과 어울리게 OLED의 장점 Flex, 화질, 240Hz 주사율을 활용한 Gaming 모니터를 통해 몰입감을 높임
● SSE TV Line-up 확대 전개: 2023년 Micro LED 76”, OLED 77” 출시 예정
- 100” 이상 초대형 크기 위주의 Micro LED가 Main Size 영역에 진입. 향후 63”, 50”로 라인업이 확대 전개
- 2022년 출시된 55”, 65” 사이즈에 이어 1H23년 77” 출시로 OLED 생태계에 본격 참여
- 오디세이 네오 G9 게이밍 모니터에 대형 커브드 OLED 패널을 탑재하며 TV와 Monitor까지 대형 OLED 제품군 빠르게 확보
LG전자 부스 전경
자료: LG전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OLED M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8
Gaming & Services
● AMD, 노트북용 프로세서 라이젠 7040 시리즈 공개
- 최대 8코어 16스레드 / 부스트 클럭 5.2GHz / RDNA3 그래픽스 / 라이젠 AI활용 가능 / TSMC 4nm 공정으로 제작
- 최고 사양제품 7940HS는 경쟁사 인텔(i-7 1280P)과 애플(M1 Pro, M2) 대비 최대 멀티프로세싱 +34%, AI엔진 +20%, 게임 +21% 성능 우위
- 낮은 전력(15~45W)으로 작동하여 최대 30시간까지 비디오 시청이 가능하며 2023년 3월부터 구매 가능
● 다양한 고사용 게임용 신제품도 선보여
- 7045HX시리즈: 6900HX 대비 게임 내 최대 41% 성능 향상, RX 7600M XT 8GB도 공개
- 7800X3D: 게이밍 성능이 강조되는 제품으로 기존 5800X3D 대비 최소 10% 이상 성능 향상
- 라이젠9 7950X3D: L2+L3 Cache 144MB로 인텔의 i9-13900K 대비 최대 +24% 성능 우위
AMD 라이젠 7040 시리즈
자료:AMD,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라이젠 7040 시리즈 성능 비교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39
Digital Health
● Digital + Healthcare 트렌드 지속 성장
- CTA는 지속적으로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과 원격모니터링 사용 확대를 통해 피트니스 등록 및 디지털 치료를 포함한 서비스에서 2023년 +9%YoY 기대
- CES2023 Digital Health의 3가지 테마
1)디지털 치료학, 2)원격 의료, 3)Fitness Tech
● 심박수에서 뇌파 측정까지 Digital Health Tech의 고도화에 주목
- 스마트 밴드/워치로 시작된 Wearable Device의 다양화와 기술 발전으로 Health Care 시장 내 Digital의 침투 가속화
- iMedysinc(아이메디신)이 건식 뇌파측정기 아이싱크웨이브 신모델을 CES에서 처음 공개. 미국 식품의약국(FDA) 510K 시판 전 허가 승인.
→ AI알고리즘을 통해 측정한 뇌파를 성별과 연령별 건강인 뇌파 데이터와 비교해 인지장애, 각종 뇌질환, 우울증을 조기 선별하고 분석.
CTA: New Frontiers in Health Tech Innovation
자료:CTA, iMedysinc,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아이메디신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0
Digital Health
● 다쏘시스템(Dassault System)의 버추얼 트윈
- 다쏘시스템은 프랑스 소재의 3D익스피리언스 기업으로 리빙 하트와 리빙 브레인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을 공유함
- 전시관에 설치된 카메라 앞에 서면 몇 초 후 실제보다 큰 가상 모델인 버추얼 트윈 모델이 나타남
- 버추얼 트윈 모델은 심장과 뇌를 증강현실로 구현한 모델로 환자 상태를 재현하고, 치료방안을 테스트하는 용도로 사용됨
● 모빌리티에 디지털헬스를 접목시키다
- 다쏘시스템은 버추얼 트윈을 미래 모빌리티 경험에도 접목시킴
- 차량 동기화 앱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아바타를 통해 바람직한 좌석 위치 및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
자료: 다쏘시스템, 언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1
Part Ⅴ
기업 분석
기업 Comments
■ LG이노텍
■ LG전자
■ 삼성전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2
LG이노텍 (011070) : 악재 반영, 주가 반등 기회는 온다
● 4Q22 프리뷰: 예상치 못한 악재가 아쉽다
Buy (유지)
- 4Q22 실적은 매출액 6.0조원(+11.9%QoQ, +5.4%YoY), 영업이익 1,897억원 (-57.3%QoQ, -55.9%YoY)으로
목표주가 (하향)
400,000 원
현재주가 (01/09)
272,000 원
상승여력
47.1 %
KOSPI(1/9)
2,350.19 pt
시가총액
64,375 억원
발행주식수
23,667 천주
52주 최고가 / 최저가
411,500 / 252,500 원
90일 일평균 거래대금
739.64 억원
외국인 지분율
23.7 %
배당수익률(22.12E)
1.1 %
BPS(22.12E)
178,443 원
1개월
-3.4 %
6개월
-19.5 %
12개월
1.2 %
LG전자 (외 2인)
40.8 %
국민연금공단 (외 1인)
10.0 %
KOSPI대비 상대수익률
주주구성
LG이노텍
KOSPI
3,500
400,000
3,000
- 매출 비중이 높은 광학솔루션과 패키지 기판 부문의 타격이 불가피하나, 전장은 흑자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추정한다.
● 2023년 어려운 시황에도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기업
- 2023년 실적은 매출액 20.4조원(+6.7%YoY), 영업이익 1.5조원 (+16.7%YoY)으로 추정한다.
- 전략고객이 신제품 전모델에 48M 카메라를 탑재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동사는 SCM 내 단독으로 폴디드줌 신형
카메라 모듈 공급을 앞두고 있어 ASP 상승 효과로 외형성장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전망한다.
- 또한 폴디드줌 관련 카메라 모듈 생산은 물론 핵심부품 액추에이터를 직접 내재화하며 원가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과거 대비 Capex 규모가 높아진 상황에서 초기 모델 양산 수율과 가동률 확보가 중요하다.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00,000원 하향
- 목표주가 조정(-13.0%)의 배경은 환율효과 및 단기 물량 회복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2023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22.7% 하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다만 악재에 따른 실적 우려감은 주가에 이미 반영(고점 대비 -32.5%)된 만큼 현
주가 12M Fwd 기준 P/B 1.2x와 P/E 6.2x는 매수 구간으로 판단한다.
(십억원)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2,500
300,000
250,000
2,000
200,000
1,500
150,000
1,000
100,000
500
50,000
0
21/01
- 영업이익이 예상 대비 크게 하회하는 배경은 1) 중국 정저우 아이폰 공장 생산 차질, 2) 환율 영향 때문이다.
Financial Data
450,000
350,000
컨센서스 영업이익 4,910억원을 크게 하회(-61.4%)할 것으로 추정한다.
21/07
22/01
22/07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3/01
EPS
증감률
(원)
(%)
EBITDA
PER
EV/EBITDA
PBR
ROE
(배)
(배)
(배)
(%)
2020
9,542
681
443
236
9,978
130.8
1,350
18.3
4.0
1.8
10.2
2021
14,946
1,264
1,193
888
37,536
276.2
2,034
9.7
4.7
2.6
30.9
2022E
19,072
1,291
1,195
889
37,552
0.0
2,237
7.2
3.4
1.5
23.6
2023E
20,352
1,507
1,384
1,030
43,538
15.9
2,896
6.2
2.6
1.2
21.9
2024E
21,980
1,603
1,470
1,094
46,242
6.2
3,060
5.9
2.2
1.0
19.2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3
LG이노텍 (011070)
분기별 실적 전망
(단위 : 십억원)
매출액
광학솔루션
1Q22
3,089
2Q22
2,804
3Q22
4,439
4Q22E
5,099
1Q23E
2,973
2Q23E
2,460
3Q23E
4,847
4Q23E
6,018
2021
11,846
2022E
15,430
2023E
16,298
YoY
QoQ
33%
-37%
72%
-9%
48%
58%
4%
15%
-4%
-42%
-12%
-17%
9%
97%
18%
24%
75%
30%
6%
415
452
436
410
421
436
463
500
1,571
1,712
1,819
YoY
QoQ
16%
-3%
25%
9%
3%
-4%
-4%
-6%
1%
3%
-3%
4%
6%
6%
22%
8%
26%
9%
6%
314
331
381
404
414
422
437
455
1,062
1,429
1,727
YoY
QoQ
18%
8%
32%
5%
48%
15%
39%
6%
32%
2%
28%
2%
15%
4%
13%
4%
-11%
35%
21%
134
117
131
118
123
121
133
130
467
501
508
YoY
QoQ
14%
18%
3,952
29%
-31%
253
104
(3)
12
367
6%
-15%
8.2%
25.2%
-0.9%
9.1%
9.3%
3%
-13%
3,703
57%
-6%
180
115
-11
6
290
91%
-21%
6.4%
25.4%
-3.2%
5.1%
7.8%
8%
12%
5,387
42%
46%
315
118
1
11
445
32%
53%
7.1%
27.0%
0.2%
8.5%
8.3%
4%
-10%
6,030
5%
12%
138
46
1
5
190
-56%
-57%
2.7%
11.2%
0.3%
4.2%
3.1%
-8%
4%
3,931
-1%
-35%
190
83
6
6
286
-22%
51%
6.4%
19.8%
1.5%
4.6%
7.3%
3%
-2%
3,439
-7%
-13%
96
80
8
7
191
-34%
-33%
3.9%
18.4%
1.9%
5.7%
5.6%
1%
10%
5,879
9%
71%
368
98
10
8
484
9%
153%
7.6%
21.2%
2.2%
6.3%
8.2%
10%
-2%
7,103
18%
21%
427
101
11
6
546
188%
13%
7.1%
20.3%
2.4%
4.9%
7.7%
120%
7%
1%
14,946
57%
19,072
28%
20,352
7%
961
361
-66
8
1,264
86%
886
383
-11
34
1,291
2%
1,082
363
35
27
1,507
17%
8.1%
23.0%
-6.2%
1.7%
8.5%
5.7%
22.4%
-0.8%
6.9%
6.8%
6.6%
20.0%
2.0%
5.4%
7.4%
기판소재
전장부품
기타
합계
YoY
QoQ
영업이익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기타
합계
YoY
QoQ
엉업이익률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기타
합계
주: IFRS 연결 기준, 자료: LG이노텍,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4
LG이노텍 (011070)
주요 업체별 2022, 2023년 매출/영업이익 컨센서스
2022E
(조원)
2023E
301.8
289.2
83.5
86.2
45.8
43.4
34.4
34.4
19.8
21.0
9.6 9.8
8.1
3.5
3.9
1.3
1.6
1.2
1.7
-2.4
매출액
영업이익
삼성전자
주: Bloomberg,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매출액
영업이익
SK하이닉스
매출액
영업이익
LG전자
매출액
영업이익
삼성전기
매출액
영업이익
LG이노텍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5
LG이노텍 (011070)
P/B 밴드
P/B 표준편차
(원)
500,000
Price
2.0x
1.8x
1.5x
1.3x
1.0x
(x)
2.5
12m forward P/BV
+2sd
+1sd
Average
-1sd
-2sd
2.2
400,000
2.0x
1.9
300,000
1.7x
1.6
200,000
1.4x
1.3
1.1x
1.0
100,000
0.8x
0.7
0
17/01
18/01
19/01
20/01
21/01
22/01
0.4
23/01
P/E 밴드
17/01
18/01
19/01
20/01
21/01
22/01
23/01
P/E 표준편차
(x)
(원)
Price
20x
16x
12x
8x
12m forward P/E
+1sd
-1sd
4x
500,000
35
+2sd
Average
-2sd
30
400,000
28x
25
21x
20
300,000
15
200,000
13x
10
5
100,000
6x
0
0
17/01
18/01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01
20/01
21/01
22/01
23/01
-5
17/01
-1x
18/01
19/01
20/01
21/01
22/01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6
LG이노텍 (011070)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단위: 십억원)
2020
2021
2022E
2023E
2024E
(단위: 십억원)
2020
2021
매출액
9,542
14,946
19,072
20,352
21,980
유동자산
3,162
4,113
4,624
5,561
6,976
매출총이익
1,290
2,131
2,353
2,358
2,612
695
566
970
1,210
2,338
판매비 및 관리비
609
866
1,061
851
1,009
1,132
1,927
1,923
2,328
2,480
영업이익
681
1,264
1,291
1,507
1,603
2,877
3,628
4,721
5,460
5,639
EBITDA
1,350
2,034
2,237
2,896
3,060
관계기업투자 등
443
1,193
1,195
1,384
1,470
유형자산
세전계속사업손익
법인세비용
112
314
310
353
375
당기순이익
236
888
889
1,030
1,094
매출총이익률 (%)
13.5
14.3
12.3
11.6
11.9
7.1
8.5
6.8
7.4
7.3
14.1
13.6
11.7
14.2
13.9
당기순이익률 (%)
2.5
5.9
4.7
5.1
5.0
ROA (%)
4.0
12.9
10.4
10.1
9.3
ROE (%)
10.2
30.9
23.6
21.9
19.2
영업이익률 (%)
EBITDA마진률 (%)
현금흐름표
(단위: 십억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비유동자산
자산총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부채총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2022E
2023E
2024E
3
4
0
0
0
2,368
3,146
4,252
4,965
5,124
6,039
7,741
9,345
11,021
12,614
2,284
3,310
3,779
4,298
4,532
1,327
1,117
1,343
1,540
1,876
3,611
4,427
5,122
5,838
6,409
118
118
118
118
118
1,134
1,134
1,134
1,134
1,134
1,222
2,048
2,957
3,916
4,940
2,428
3,314
4,223
5,183
6,206
2020
2021
투자지표
2020
2021
2022E
2023E
2024E
영업활동현금흐름
950
1,178
1,684
2,239
2,494
당기순이익(손실)
236
888
889
1,030
1,094
2022E
2023E
2024E
P/E
18.3
9.7
7.2
6.2
5.9
P/B
1.8
2.6
1.5
1.2
1.0
EV/EBITDA
4.0
4.7
3.4
2.6
2.2
P/CF
3.6
4.5
3.4
2.7
2.5
배당수익률 (%)
0.4
0.8
1.1
1.1
1.1
비현금수익비용가감
954
1,030
1,008
1,386
1,452
영업활동 자산부채변동
-291
-845
-121
-178
-52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177
-825
261
-406
-152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315
598
-174
509
224
- 826
- 1,008
- 1,911
- 2,123
- 1,631
매출액
19.6
56.6
27.6
6.7
8.0
유형자산처분(취득)
-738
-1,000
-1,832
-2,035
-1,545
영업이익
43.0
85.6
2.2
16.7
6.3
무형자산감소(증가)
-73
-83
-71
-78
-76
EPS
130.8
276.2
0.0
15.9
6.2
기타투자활동
-15
75
-7
-9
-10
안정성 (%)
- 167
- 310
557
124
266
부채비율
148.7
133.6
121.3
112.6
103.3
-160
-293
628
195
337
유동비율
138.4
124.3
122.4
129.4
153.9
-7
-17
-71
-71
-71
주당지표 (원)
투자활동현금흐름
재무활동현금흐름
차입금의증가(감소)
자본의증가(감소)
7
17
71
71
71
EPS
9,978
37,536
37,552
43,538
46,242
-105
-129
405
240
1,128
BPS
102,576
140,034
178,443
218,976
262,214
800
695
566
970
1,210
DPS
700
3,000
3,000
3,000
3,000
배당금의 지급
현금의 증가
기초현금
성장성 (%)
자료: LG이노텍,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7
LG전자 (066570) : 전장에 거는 기대감이 커질 수 밖에
● 4Q22 잠정실적: 별도 기준 이익은 시장 기대치 부합
Buy (유지)
- 4Q22 실적은 매출액 21.9조원(+3.2%QoQ, +4.1%YoY), 영업이익 655억원 (-91.2%QoQ, -90.3%YoY)으로
목표주가 (유지)
115,000 원
현재주가 (01/09)
95,100 원
상승여력
20.9 %
KOSPI(1/9)
2,350.19 pt
시가총액
155,629 억원
발행주식수
163,648 천주
52주 최고가 / 최저가
146,000 / 77,800 원
90일 일평균 거래대금
648.6 억원
외국인 지분율
26.6 %
배당수익률(22.12P)
0.9 %
BPS(22.12P)
106,080 원
1개월
6.1 %
6개월
3.4 %
12개월
-10.4 %
LG (외 3인)
33.7 %
국민연금공단 (외 1인)
7.5 %
KOSPI대비 상대수익률
주주구성
LG전자
매출이 -7.7%YoY 감소(기존 예상 한자릿수 중반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적자가 지속됐다.
- 전장은 신모델 개발 비용 및 신규 공장 건설에 따른 오퍼레이션 비용 발생에도 BEP 수준 흑자를 기록
● 2023년: 전장 앞으로. 가전은 원가/운임 비용 하락에 기대
- 2023년 실적은 매출액 83.7조원(+0.1%YoY), 영업이익 3.2조원 (-9.6%YoY)으로 추정한다.
-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전장 사업은 수주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Tier1 업체로서의
지위 강화와 전장 사업의 추가 기회 창출을 위해 ADAS 부문 등 추가 투자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한다.
- TV는 재고가 개선(8주→7주)되고 있으며 가전은 원자재 및 운임 비용 하락에 따른 원가 개선 기대감이 유효하다.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5,000원 유지
- IT, 가전 수요 부진에 따른 실적 우려감은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다. 이제는 원가(원부자재 및 운임 비용) 개선 효과와 재고
정상화 국면 진입에 주목할 시기이다. 현 주가 12M Fwd 기준 P/B 0.9x는 매수 구간으로 판단한다.
3,500
3,000
150,000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2,000
1,500
1,000
50,000
500
0
21/07
22/01
22/07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3/01
EPS
증감률
(원)
(%)
(십억원)
매출액
2020
58,058
3,905
3,343
2,064
2021
74,722
3,864
3,543
1,415
6,239
2022P
83,470
3,547
2,960
1,975
2023E
83,654
4,152
3,566
2024E
86,163
5,195
4,455
2,500
100,000
21/01
- 가전은 판매 부진 심화로 매출, 영업이익(BEP 수준)이 감소했으며, TV는 유럽 지역에서의 판매 감소 영향으로
Financial Data
KOSPI
200,000
컨센서스 영업이익 4,470억원을 하회(-85.3%) 했다.
11,952 10,999.5
EBITDA
PER
EV/EBITDA
PBR
ROE
(배)
(배)
(배)
(%)
6,421
11.3
4.4
1.6
13.2
-47.8
6,703
22.1
4.2
1.4
6.3
9,148
46.6
6,539
10.4
3.1
0.9
8.3
2,457
5,407
-40.9
7,313
17.6
2.5
0.9
4.6
3,070
6,780
25.4
8,284
14.0
2.2
0.8
5.5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8
LG전자 (066570)
분기별 실적 전망
(단위 : 십억원)
매출액
H&A
YoY
QoQ
HE
YoY
QoQ
VS
YoY
QoQ
BS
3Q22
7,473
4Q22P
6,434
1Q23E
7,084
2Q23E
7,417
3Q23E
7,106
4Q23E
6,381
2021
27,110
2022P
29,945
2023E
27,988
19%
22%
18%
1%
6%
-7%
-1%
-14%
-11%
10%
-8%
5%
-5%
-4%
-1%
-10%
22%
10%
-7%
4,065
3,458
3,712
4,603
3,857
3,514
3,690
4,446
17,219
15,838
15,507
1%
-18%
-14%
-15%
-11%
7%
-8%
24%
-5%
-16%
2%
-9%
-1%
5%
-3%
21%
31%
-8%
-2%
1,878
2,031
2,345
2,430
2,469
2,501
2,641
2,776
7,194
8,683
10,386
-1%
12%
8%
8%
35%
16%
45%
4%
31%
2%
23%
1%
13%
6%
14%
5%
24%
21%
20%
2,017
1,538
1,429
1,494
1,650
1,522
1,503
1,591
6,963
6,478
6,266
8%
17%
-9%
-24%
-15%
-7%
-13%
4%
-18%
11%
-1%
-8%
5%
-1%
6%
6%
16%
-7%
-3%
1448
667
830
795
771
838
754
792
2,070
3,740
3,155
YoY
QoQ
236%
163%
21,111
19%
0%
16%
-54%
19,464
14%
-8%
61%
24%
21,177
13%
9%
44%
-4%
21,860
4%
3%
-47%
-3%
19,763
-6%
-10%
26%
9%
19,230
-1%
-3%
-9%
-10%
21,573
2%
12%
0%
5%
23,088
6%
7%
12%
81%
-16%
74,722
29%
83,612
12%
83,654
0%
448
188
-6
37
869
432
-19
50
14
25
228
-55
96
-14
47
26
-97
19
-78
15
319
-35
79
-7
19
401
-18
93
44
25
291
18
100
44
26
83
31
75
40
17
2,222
1,100
-933
144
90
1,134
17
159
-41
956
1,094
-3
347
121
86
1,881
6%
177%
5.6%
4.6%
-0.3%
2.0%
60.0%
8.9%
792
-10%
-58%
5.4%
-0.5%
2.5%
0.7%
3.7%
4.1%
747
38%
-6%
3.1%
-1.5%
4.1%
-0.6%
5.7%
3.5%
66
-90%
-91%
0.4%
-2.1%
0.8%
-3.2%
1.9%
0.3%
661
-65%
908%
4.5%
-0.9%
3.2%
-0.3%
2.4%
3.3%
736
-7%
11%
5.4%
-0.5%
3.7%
1.8%
3.0%
3.8%
964
29%
31%
4.1%
0.5%
3.8%
1.7%
3.4%
4.5%
791
1108%
-18%
1.3%
0.7%
2.7%
1.4%
2.1%
3.4%
3,864
-1%
3,485
-10%
3,152
-10%
8.2%
6.4%
-13.0%
2.0%
4.4%
5.2%
3.8%
0.1%
1.8%
-0.5%
25.6%
4.2%
3.9%
0.0%
3.3%
1.2%
2.7%
3.8%
합계
YoY
QoQ
H&A
HE
VS
BS
기타
합계
YoY
QoQ
엉업이익률 H&A
HE
VS
BS
기타
합계
2Q22
8,068
YoY
QoQ
기타
영업이익
1Q22
7,970
주: IFRS 연결 기준, 자료: LG전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49
LG전자 (066570)
P/B 밴드
P/B 표준편차
(원)
Price
1.4x
0.8x
200,000
(x)
1.6x
1.1x
0.5x
2.2
12m forward P/BV
+2sd
+1sd
Average
-1sd
-2sd
1.9
150,000
100,000
1.6
1.6x
1.3
1.3x
1.0x
1.0
50,000
0.8x
0.7
0.5x
0
17/01
18/01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01
20/01
21/01
22/01
23/01
0.4
17/01
18/01
19/01
20/01
21/01
22/01
23/01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0
LG전자 (066570)
손익계산서
(단위: 십억원)
재무상태표
2020
2021
2022P
2023E
2024E
(단위: 십억원)
매출액
58,058
74,722
83,470
83,654
86,163
유동자산
매출총이익
15,509
18,873
19,975
19,582
20,056
판매비 및 관리비
11,604
15,009
16,428
15,430
14,861
영업이익
3,905
3,864
3,547
4,152
5,195
EBITDA
6,421
6,703
6,539
7,313
8,284
관계기업투자 등
세전계속사업손익
3,343
3,543
2,960
3,566
4,455
유형자산
2024E
27,488
33,331
35,250
37,949
6,052
8,468
10,380
11,608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7,591
8,643
10,607
10,351
11,100
24,965
25,994
27,975
28,190
27,965
비유동자산
979
845
1,109
1,386
당기순이익
1,415
1,975
2,457
3,070
26.7
25.3
23.9
23.4
23.3
6.7
5.2
4.2
5.0
6.0
부채총계
11.1
9.0
7.8
8.7
9.6
자본금
당기순이익률 (%)
3.6
1.9
2.4
2.9
3.6
ROA (%)
4.2
2.0
2.6
1.4
1.7
ROE (%)
13.2
6.3
8.3
4.6
5.5
현금흐름표
2023E
5,896
596
EBITDA마진률 (%)
2022P
23,239
2,064
영업이익률 (%)
2021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법인세비용
매출총이익률 (%)
2020
자산총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4,628
5,342
5,233
5,446
5,667
13,974
14,701
15,956
15,652
15,022
48,204
53,481
61,306
63,440
65,914
20,207
23,620
28,015
29,293
30,170
10,455
9,764
10,590
10,704
11,335
30,662
33,383
38,605
39,997
41,505
904
904
904
904
904
2,923
3,044
3,048
3,048
3,048
13,653
14,434
16,383
17,125
18,091
17,542
20,098
22,700
23,443
24,409
2020
2021
2022P
2023E
2024E
투자지표
(단위: 십억원)
2020
2021
2022P
2023E
2024E
영업활동현금흐름
4,629
2,677
4,793
6,454
4,901
당기순이익(손실)
2,064
1,415
1,975
2,457
3,070
P/E
11.3
22.1
10.4
17.6
14.0
P/B
1.6
1.4
0.9
0.9
0.8
EV/EBITDA
4.4
4.2
3.1
2.5
2.2
P/CF
3.4
2.8
2.9
3.3
3.1
배당수익률 (%)
0.9
0.6
0.9
0.9
0.9
비현금수익비용가감
5,024
7,586
4,024
2,719
2,416
영업활동 자산부채변동
-1,537
-5,415
-218
1,278
-585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1,522
-685
-229
257
-750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2,531
-388
2,703
950
536
- 2,315
- 2,466
- 3,412
- 4,616
- 4,103
매출액
-6.8
28.7
11.7
0.2
3.0
-2,147
-2,337
-2,736
-2,355
-1,943
영업이익
60.3
-1.1
-8.2
17.0
25.1
-769
-598
-498
-652
-535
EPS
10,999.5
-47.8
46.6
-40.9
25.4
93
-82
안정성 (%)
430
부채비율
174.8
166.1
170.1
170.6
170.0
유동비율
115.0
116.4
119.0
120.3
125.8
투자활동현금흐름
유형자산처분(취득)
무형자산감소(증가)
기타투자활동
-144
-72
-203
- 994
- 282
차입금의증가(감소)
-759
-464
756
228
584
자본의증가(감소)
-235
-291
-154
-154
-154
재무활동현금흐름
521
74
성장성 (%)
주당지표 (원)
235
291
154
154
154
EPS
11,952
6,239
9,148
5,407
6,780
현금의 증가
1,119
155
2,417
1,912
1,228
BPS
85,368
95,284
106,080
110,184
115,525
기초현금
4,777
5,896
6,052
8,468
10,380
DPS
1,200
850
850
850
850
배당금의 지급
자료: LG전자,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1
삼성전기 (009150): 한파의 여파
● 4Q22 프리뷰: 쉽게 꺾이지 않는 한파
Hold (하향)
- 4Q22 실적은 매출액 2.0조원(-14.8%QoQ, -16.4%YoY), 영업이익 1,152억원 (-63.0%QoQ, -63.6%YoY)으로
목표주가 (유지)
150,000 원
현재주가 (01/09)
146,700 원
상승여력
2.2 %
KOSPI(1/9)
2,350.19 pt
시가총액
109,053 억원
발행주식수
컨센서스 영업이익 1,721억원을 하회(-33.1%)할 것으로 추정한다.
- IT 수요 부진으로 적정 재고 레벨(1.5개월)을 맞추기 위해 MLCC 가동율이 3Q22 60%후반→ 4Q22 60%미만으로
낮아진 것으로 파악한다. 매출 부진과 함께 고정비 상승으로 영업이익률은 3Q22 12.2%→ 4Q22 2.1%까지 추가
하락한 것으로 추정한다. 1H23 국내 전략고객과 중국 고객들의 신제품 출시로 부품 수요 반등을 기대할 수 있지만
2021년 수준의 가동률 회복은 2023년 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2023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5.9%YoY)
74,694 천주
52주 최고가 / 최저가
191,500 / 112,000 원
90일 일평균 거래대금
593.17 억원
외국인 지분율
29.4 %
배당수익률(22.12E)
1.4 %
BPS(22.12E)
96,927 원
● 2023년: 한파의 여파
- 2023년 실적은 매출액 9.2조원(-2.5%YoY), 영업이익 1.0조원 (-16.4%YoY)으로 추정한다.
- IT 세트 고객들은 “2022년 긍정적 수요 전망+공격적 출하 경쟁 =재고 부담 가중”으로 인한 충격에서 여전히 벗어나질
못했다. 업황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업체들은 “2023년 출하량+부품 재고” 계획을 보수적으로 수립할 것이다.
1개월
7.4 %
6개월
8.6 %
12개월
-1.7 %
- 업황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중국 락다운 해제에 따른 사업 환경 개선 기대감으로 바닥에서 이미 30.4%
삼성전자 (외 6인)
23.9 %
상승했다. 하지만 차별화가 부족한 신제품 출시 효과는 일시적이며 가동률 회복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국민연금공단 (외 1인)
8.8 %
KOSPI대비 상대수익률
주주구성
삼성전기
단기 구간 내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투자의견을 Hold로 하향한다.
Financial Data
KOSPI
250,000
● 투자의견 Hold 하향, 목표주가 150,000원 유지
3,500
3,000
200,000
(십억원)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2,500
150,000
2,000
100,000
1,500
1,000
50,000
500
0
21/01
21/07
22/01
22/07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0
23/01
EPS
증감률
(원)
(%)
EBITDA
PER
EV/EBITDA
PBR
ROE
(배)
(배)
(배)
(%)
2020
7,753
913
869
624
8,251
17.4
1,754
21.6
7.9
2.4
10.9
2021
9,675
1,487
1,491
915
12,192
47.8
2,353
16.2
6.3
2.3
14.3
2022E
9,486
1,197
1,321
966
13,141
7.8
2,133
11.1
5.1
1.5
13.5
2023E
9,245
1,000
1,094
791
10,793
-17.9
2,105
13.5
4.9
1.4
10.1
2024E
9,985
1,257
1,356
980
13,395
24.1
2,363
10.9
4.1
1.3
11.4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2
삼성전기 (009150)
분기별 실적 전망
(단위 : 십억원)
1Q22
2Q22
3Q22
4Q22E
1Q23E
2Q23E
3Q23E
4Q23E
2021
2022E
2023E
매출액
1,229
1,140
930
850
912
955
1,066
1,025
4,778
4,149
3,958
YoY
13%
-5%
-30%
-28%
-26%
-16%
15%
21%
31%
-13.2%
-4.6%
QoQ
5%
-7%
-18%
-9%
7%
5%
12%
-4%
868
779
901
696
817
756
813
766
3,220
3,244
3,152
YoY
3%
-4%
14%
-10%
-6%
-3%
-10%
10%
15%
0.8%
-2.9%
QoQ
12%
-10%
16%
-23%
17%
-8%
8%
-6%
520
536
553
485
510
531
556
539
1,677
2,093
2,136
YoY
44%
35%
26%
1%
-2%
-1%
1%
11%
8%
24.8%
2.0%
QoQ
8%
3%
3%
-12%
5%
4%
5%
-3%
2,617
2,456
2,384
2,030
2,239
2,241
2,436
2,329
9,675
9,486
9,245
YoY
14%
2%
-6%
-16%
-14%
-9%
2%
15%
21%
-2%
-3%
QoQ
8%
-6%
-3%
-15%
10%
0%
9%
-4%
262
218
114
18
47
94
137
155
1,065
611
432
44
23
51
2
38
23
42
22
161
121
126
패키지
104
120
146
95
97
105
126
114
261
465
442
합계
411
360
311
115
183
222
305
291
1,487
1,197
1,000
YoY
15%
1%
-32%
-64%
-55%
-38%
-2%
152%
78%
-20%
-16%
QoQ
30%
-12%
-14%
-63%
59%
21%
38%
-5%
21.3%
19.1%
12.2%
2.1%
5.2%
9.8%
12.8%
15.1%
22.3%
14.7%
10.9%
5.1%
2.9%
5.7%
0.3%
4.7%
3.1%
5.2%
2.9%
5.0%
3.7%
4.0%
패키지
20.1%
22.3%
26.4%
19.6%
19.1%
19.7%
22.7%
21.1%
15.6%
22.2%
20.7%
합계
15.7%
14.7%
13.0%
5.7%
8.2%
9.9%
12.5%
12.5%
15.4%
12.6%
10.8%
컴포넌트솔루션
광학통신
패키지
합계
영업이익
컴포넌트솔루션
광학통신
엉업이익률 컴포넌트솔루션
광학통신
주: IFRS 연결 기준, 자료: 삼성전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3
삼성전기 (009150)
P/B 밴드
P/B 표준편차
(원)
300,000
Price
2.4x
2.1x
1.7x
1.4x
1.0x
(x)
2.8
12m forward P/BV
+2sd
+1sd
Average
-1sd
-2sd
2.5
250,000
2.3x
2.2
200,000
2.0x
1.9
150,000
1.7x
1.6
1.4x
1.3
100,000
1.1x
1.0
50,000
0.7
0
17/01
18/01
19/01
20/01
21/01
0.4
17/01
22/01
P/E 밴드
(원)
18/01
19/01
20/01
21/01
22/01
P/E 표준편차
Price
21x
18x
15x
12x
9x
(x)
23
300,000
12m forward P/E
+2sd
+1sd
Average
-1sd
-2sd
21
250,000
19
19x
17
200,000
16x
15
150,000
100,000
50,000
0
17/01
14x
13
11
12x
9
10x
7
18/01
자료: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9/01
20/01
21/01
22/01
23/01
5
17/01
18/01
19/01
20/01
21/01
22/01
23/01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4
삼성전기 (009150)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단위: 십억원)
2020
2021
매출액
7,753
9,675
9,486
9,245
9,985
매출총이익
1,969
2,548
2,229
2,047
2,317
판매비 및 관리비
1,056
1,061
1,032
1,047
1,061
영업이익
913
1,487
1,197
1,000
1,257
EBITDA
1,754
2,353
2,133
2,105
2,363
관계기업투자 등
869
1,491
1,321
1,094
1,356
유형자산
세전계속사업손익
2022E
2023E
2024E
(단위: 십억원)
2020
2021
유동자산
4,150
4,598
5,252
6,090
7,219
1,480
1,185
1,713
2,178
2,953
996
1,288
1,319
1,458
1,605
5,075
5,343
6,184
6,285
6,298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비유동자산
법인세비용
185
414
341
304
376
당기순이익
624
915
966
791
980
매출총이익률 (%)
25.4
26.3
23.5
22.1
23.2
영업이익률 (%)
11.8
15.4
12.6
10.8
12.6
부채총계
EBITDA마진률 (%)
22.6
24.3
22.5
22.8
23.7
자본금
당기순이익률 (%)
8.0
9.5
10.2
8.6
9.8
ROA (%)
6.7
9.3
9.0
6.6
7.6
ROE (%)
10.9
14.3
13.5
10.1
11.4
현금흐름표
(단위: 십억원)
자산총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2022E
2023E
2024E
274
345
307
319
332
4,424
4,639
5,483
5,562
5,552
9,225
9,941
11,436
12,374
13,517
1,915
2,235
2,828
3,019
3,207
1,400
836
922
1,037
1,170
3,315
3,070
3,750
4,056
4,378
388
388
388
388
388
1,045
1,054
1,054
1,054
1,054
4,073
4,807
5,610
6,242
7,063
5,910
6,871
7,686
8,318
9,139
2020
2021
투자지표
2020
2021
2022E
2023E
2024E
영업활동현금흐름
1,588
1,731
1,892
1,778
1,963
당기순이익(손실)
624
915
966
791
980
2022E
2023E
2024E
P/E
21.6
16.2
11.1
13.5
10.9
P/B
2.4
2.3
1.5
1.4
1.3
EV/EBITDA
7.9
6.3
5.1
4.9
4.1
P/CF
7.7
6.2
5.7
5.8
5.3
배당수익률 (%)
0.8
1.1
1.4
1.4
1.4
1,175
1,575
1,035
1,162
1,141
영업활동 자산부채변동
-51
-624
196
-174
-158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33
-196
250
-139
-147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257
129
-270
172
169
-732
-845
-1,556
-1,255
-1,163
매출액
0.5
24.8
-1.9
-2.5
8.0
유형자산처분(취득)
-710
-826
-1,381
-1,165
-1,070
영업이익
23.2
62.9
-19.5
-16.4
25.6
무형자산감소(증가)
-24
-31
-47
-41
-43
EPS
17.4
47.8
7.8
-17.9
24.1
1
12
-118
-10
-10
안정성 (%)
-209
-1,181
103
-58
-25
부채비율
56.1
44.7
48.8
48.8
47.9
차입금의증가(감소)
-79
-995
296
101
134
유동비율
216.7
205.8
185.7
201.7
225.1
자본의증가(감소)
-83
-131
-159
-159
-159
비현금수익비용가감
투자활동현금흐름
기타투자활동
재무활동현금흐름
성장성 (%)
주당지표 (원)
83
131
159
159
159
EPS
8,251
12,192
13,141
10,793
13,395
현금의 증가
630
-253
527
465
776
BPS
74,385
86,584
96,927
105,070
115,650
기초현금
855
1,485
1,185
1,713
2,178
DPS
1,400
2,100
2,100
2,100
2,100
배당금의 지급
자료: 삼성전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5
LG이노텍 목표주가 추이
(원)
500,000
투자의견 변동내역
주가
목표주가
400,000
300,000
200,000
100,000
0
21/01
21/07
22/01
22/07
23/01
LG전자 목표주가 추이
(원)
250,000
일시
투자의견
2020.01.20
2020.03.25
2020.04.29
2020.07.07
2021.01.26
2021.03.22
2021.04.01
2022.01.11
2022.01.11
2022.05.03
2022.05.25
2023.01.10
Buy
Buy
Buy
Buy
Buy
Buy
변경
신규
Buy
Buy
Buy
Buy
목표가격
180,000
150,000
176,000
230,000
243,000
276,000
커버리지제외
김광수
380,000
400,000
460,000
400,000
최고대비
괴리율(%)
최저대비
-12.2
-9.0
1.4
-8.5
-5.3
34.2
평균대비
일시
투자의견
목표가격
일시
투자의견
목표가격
일시
투자의견
목표가격
최고대비
괴리율(%)
최저대비
평균대비
최고대비
괴리율(%)
최저대비
평균대비
최고대비
괴리율(%)
최저대비
평균대비
-24.5
-18.7
-12.5
-28.3
-12.8
-15.6
8.3
-8.3
-15.2
-5.6
-14.3
-30.2
투자의견 변동내역
주가
목표주가
200,000
150,000
100,000
일시
투자의견
2021.02.01
2021.04.01
2022.01.11
2022.01.11
2022.05.25
2022.10.11
Buy
변경
변경
Buy
Buy
Buy
목표가격
195,000
커버리지제외
김광수
181,000
150,000
115,000
최고대비
괴리율(%)
최저대비
평균대비
-9.7
-25.0
-19.3
-29.3
-32.5
-37.5
50,000
0
21/01
21/07
22/01
22/07
23/01
삼성전기 목표주가 추이
(원)
300,000
투자의견 변동내역
주가
목표주가
250,000
일시
투자의견
2021.01.14
Buy
변경
변경
Buy
Buy
Buy
Buy
Hold
2021.04.01
2022.01.11
2022.01.11
2022.07.05
2022.10.06
2022.10.27
2023.01.10
200,000
150,000
100,000
목표가격
257,000
커버리지제외
김광수
232,000
200,000
160,000
150,000
150,000
최고대비
괴리율(%)
최저대비
평균대비
-15.6
-29.0
-17.5
-27.0
-23.4
-2.7
-31.0
-32.9
-26.0
-9.9
50,000
0
21/01
21/07
22/01
22/07
23/01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6
Compliance Notice
본 자료에 기재된 내용들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작성자: 김광수)
본 자료는 고객의 증권투자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본부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유가증권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 수 없습니다.
_ 동 자료는 제공시점 현재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_ 동 자료의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현재당사에서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_ 동 자료의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현재 당사의 조사분석 담당자 및 그 배우자 등 관련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_ 동 자료의 추천종목에 해당하는 회사는 당사와 계열회사 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투자등급 및 적용 기준
구분
Sector
(업종)
Company
(기업)
투자등급 guide line
(투자기간 6~12개월)
투자등급
적용기준
(향후12개월)
시가총액 대비
Overweight (비중확대)
업종 비중 기준
Neutral (중립)
투자등급 3단계
Underweight (비중축소)
절대수익률 기준
Buy (매수)
+15% 이상 기대
투자등급 3단계
Hold (보유)
-15% ~ +15% 기대
Sell (매도)
-15% 이하 기대
합계
투자의견
비율
비고
93.0%
7.0%
2018년 10월 25일부터 당사 투자등급 적용기준이
기존 ±20%에서 ±15%로 변경
100.0%
투자의견 비율은 2022.1.1 ~ 2023. 12. 31
당사 리서치센터의 의견공표 종목들의 맨마지막 공표의견을 기준으로 한 투자등급별 비중임
(최근 1년간 누적 기준. 분기별 갱신)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57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