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lazznguyen

Korean Through Podcasts

advertisement
한국 어 한 조 각
KOREAN THROUGH
PODCASTS
By 이기연 and 홍현희
Korean Through Podcasts by 이기연 and 홍현희
Published by Gooseapple Books, LLC
209 Archer Street
Houston, TX, 77009
www.gooseapplebooks.com
Copyright © 2023 이기연, 홍현희
All rights reserved. No portion of this book may be reproduced in any form without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except as permitted by U.S. copyright law. For permissions contact:
support@gooseapplebooks.com
Cover, illustrations, and interior design by 김유진
Translated by Katarina Pollock and Chelsea Guerra
Proof-reading by 이기연
ISBN: 978-1-7376777-8-9 (print)
Prin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irst Published Date: June 2023
First Edition
G O O SE APPL E BO OKS
한 국 어 한 조각
KOREAN THROUGH PODCASTS
목
록
C O N TENTS
Introduction - 6
01
새해 목표와 다짐
02
입춘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04
배달 음식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06
커피
07
여름 휴가
08
종이책과 전자책
09
편지
10
아침 식사
New Year's Resolutions - 12
The First Day of Spring - 20
MBTI Personality Test - 28
Delivery Food - 37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 46
Coffee - 55
Summer Vacation - 64
Paperback Books & E-Books - 73
Letters - 83
Breakfast - 90
4
목
록
CO NT ENT S
11
결혼
Marriage - 99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13
꿈
14
잠
15
시험에 대해
16
17
18
19
20
Bonus
Episodes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 106
Dreams - 113
Sleep - 121
About Tests & Exams - 128
일과 노동
Work & Labor - 136
환경 오염
Evironmental Pollution - 145
종교
Religion - 152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 159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166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대학교 기숙사 생활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 174
University Dorm Life - 181
5
소
개
I NT RODUC T ION
THE AIM OF THIS
BOOK
This book is designed to help you understand and
enjoy the 'A Piece of Korean' podcast, as found on
Spotify, Apple Music, Google Podcasts, etc.
WHO IS
"A PIECE OF
KOREAN"?
'A Piece of Korean' is a group of certified Korean
teachers based in Seoul, South Korea. They run a
podcast and YouTube channel to help people learn
the Korean language.
WHAT IS THE
PODCAST?
The podcast is called '한국어 한 조각,' or, 'A Piece of
Korean,' and it can be found on Spotify, Apple Music, etc. It covers a wide variety of topics, including
popular culture, trends, stories and news. There are
currently over 100 episodes (and counting), 20 of
which were chosen for this book. All of the chosen
episodes were designed to help Korean learners
understand more about Korea, it's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HOW WAS THE
PODCAST MADE
INTO A BOOK?
Teachers 이기연 and 홍현희 selected the podcasts
they wished to include, wrote out the scripts for the
podcasts, and also added some other fun activities
to help Korean learners. These activities include
vocab lists, grammar tips, comprehension questions, conversation prompts and writing exercises.
The design of the book and the English translations
were done by Gooseapple Books - a small publishing company based in the US.
6
소
개
IN TROD UC T ION
WHO CAN USE
THIS BOOK?
This book is designed for students at an upper beginner
or intermediate Korean level. To use this book effectively,
you will need to know how to read and write 한글 (the
Korean alphabet) and you will need a foundation of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You will also need to
be able to understand some amount of spoken Korean.
PAIRING THIS
BOOK WITH THE
PODCAST
This book should be used alongside the podcast available on Spotify, Apple Music, etc. (see links later)
We encourage you to just simply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reading the script, even though it may be challenging. In fact, feel free to listen more than once. You
might be able to understand more than you expect!
Once you feel you've gotten all that you can out of listening, and now that you're primed from your listening
practice, you'll be able to read the script and understand
even more. This method will really boost your activ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HAT IS
INCLUDED IN
THIS BOOK?
This book includes 20 chapters. Each chapter covers one
podcast episode.
In each chapter you will find...
7
활
용
법
I NT RODUC T ION
AN
INTRODUCTION
PAGE
This page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podcast.
There is an illustration, some main key words, and a
QR link to the podcast on Spotify.
Note: podcast episodes are also available
on Apple Podcasts (see later).
A FULL SCRIPT
The full transcript of the episode is available for you
to read. In order to get the most out of your learning experience, we recommend reading the script
once you've listened to the podcast once or twice.
After that, you can read through the script, taking
your time to identify and translate parts that you
did not understand.
A VOCAB BANK
Twenty-four vocabulary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script and defined in English. Where the vocab
words appear in the script, they have been underlined.
GRAMMAR NOTES
Some higher-level grammar forms have been
highlighted in the script . You can read a short
explanation of these grammar forms on this page.
COMPREHENSION
QUESTIONS
There are three multiple-choice comprehension questions in each chapter to test you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ese questions are in 100% Korean.
Answers are provided in the bottom right corner of the
page.
8
활
용
법
IN TROD UC T ION
SPEAKING
PROMPTS
There are two speaking prompts in each chapter. We
recommend you use these speaking prompts with a
language partner, a tutor, or simply try answering them
yourself out loud.
WRITING
PROMPT
There is one writing prompt in each chapter. You should
try writing an answer to each question in your own
words. We then recommend you get your answers
checked by a Korean teacher or tutor, or by posting it
online for corrections.
ENGLISH TRANSLATIONS
At the end of each chapter there is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script. You can read this translation to support your
understanding of the podcast.
THIS SAME CHAPTER FORMAT IS REPEATED FOR ALL TWENTY CHAPTERS.
BONUS
EPISODES
At the end of this book you can discover two bonus episodes by A Piece of Korean. One is about how A Piece
of Korean got started, and the other is about university
dorm life. These episodes are exclusively available to
only those people who have purchased this book.
Please note that these bonus episodes only include the
script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thout any additional practice material.
9
활
용
법
I NT RODUC T ION
USEFUL LINKS
The A Piece of Korean
The A Piece of Korean
Podcast on Spotify
Podcast on Apple Podcasts
Vocabulary
Flashcards on Quizlet
QUESTIONS?
If you have questions for the podcast creator, please contact A Piece of Korean at:
sesange.korean@gmail.com
If you have questions for the publisher,
please contact Gooseapple Books at:
support@gooseapplebooks.com
Happy studying!
Thank you again for purchasing Korean Through Podcasts.
We hope you enjoy learning with us!
이기연, 홍현희
10
안녕하세요.
한국어 한 조각의 이 선생님/홍 선생님입니다.
한국어 한 조각의 전문 선생님들과 함께
재미있게 한국어를 공부해 보세요.
그럼 바로 시작해 볼까요?
Hello!
I'm Teacher Lee/Teacher Hong from A Piece of Korean.
I hope you enjoy studying Korean with our specialized Korean teachers.
Shall we get started?
Note: this general text introduces each podcast episode, but you will only encounter it here.
It has been excluded from the podcast scripts.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지키다
To keep/ stick to
설문조사
Questionnaire
01
이직
Changing jobs
포기하다
To give up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Resolution
새해 목표와
다짐
12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본문 MAIN TEXT
[1] 자, 오늘은 새해 목표, new year's resolution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해요.
여러분, 새해 목표는 다들 잘 세우셨나요?
한국의 한 조사 기관에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새해 목표에 대해서 설문 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결과를 보니까 2021년을 맞아서 사람들이 세운 목표는 다음과 같대요.
[2] 먼저 1위를 차지한 것은 이직과 취업이에요. 아무래도 경제가 어려우니까
취업하는 것이 목표인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리고 직장을 옮기고 싶은 사람들도 참 많네요.
그 다음으로 여행, 운동, 자격증 취득, 다이어트가 뒤를 이었는데요.
이 중에서 운동하고 다이어트라고 응답한 것을 합치면 절반을 넘는 사람들의 목표가
건강, 다이어트인 셈이에요.
특히 올해는, (올해 뿐만 아니라 작년에도) 코로나 때문에 건강에 관심이 더 많아진 것 같아요.
여러분도 운동, 다이어트를 목표로 세운 분들이 많이 계시지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3] 그런데 이 운동은 정말 꾸준히 하기가 어려운 것 같아요.
한 일주일, 이주일 하다 보면 저는 금새 지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꾸준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봤는데, 이렇게 하면 오래 할 수 있더라고요!
바로바로~! "힘들 땐 그만두고 다시 시작하기"입니다.
여기서 "다시 시작하는 게" 진짜 중요해요.
보통 힘들어서 그만 두고 포기하면 "어휴 나는 왜 그럴까" 후회를 하게 되잖아요.
그런데 그렇게 후회를 해도 괜찮아요. 포기해도 괜찮아요.
그리고 나서 다시 시작하면 되니까요!
[4] 예를 들어서 저는 일주일에 세 번 운동을 하기로 했는데, 어느 날은 너무 운동이 하기 싫은
거예요.
그래서 안 했어요. 그러니까 그 다음 주가 되어서
13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본문 MAIN TEXT
"어휴 어차피 지난 주에도 안 했는데, 이번 주도 하지 말까?"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런데 이제 그런 생각은 하지 않고,
"오케이 좋아! 지난 주에 안 했어? 괜찮아! 다시 시작하면 되지!"
또는 "오케이, 지난 주에 세 번 중에 한 번 했어? 괜찮아. 이번주에도 한 번만 해도 괜찮아.
포기하지만 말자!"
[5] 이렇게 편하게 마음을 먹으니까, 편해요.
죄책감, 내가 잘못했다는 마음도 안 들고 다시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중요한 것은 내가 그만두고, 포기했다면!
"오케이" 인정하고 다시 시작하는 것! 그게 중요한 것 같아요!
[6] 그리고 또 여러분 한번 생각해 보세요.
한 번 못했다고 포기한 사람하고, 한 번 못하고 나서 포기했지만 다시 시작한 사람하고,
또 여러번 다시 시작한 사람하고. 일 년이 지난 다음에 보면 결과가 어떨까요?
바로 포기한 사람은 일 년 동안 운동을 한 번만 한 거예요.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예를 들어서.
그런데 포기했지만 다시 시작하고, 또 포기하고 또 시작하고, 또 시작하고, 이런 사람은...?
일 년 동안 그래도 두 번, 세 번, 네 번... 열 번, 스무 번... 이렇게 넘게 한 거예요.
그러니까 결국 올해 목표인 "운동하기!를 지켰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7] 그런데, 제가 이렇게 말하면, 혹시 이런 사람도 있을 거예요.
"아~ 선생님... 저는 한 달이나 운동을 안 했는데요? 포기할까요?"
이렇게 물어본다면, 저는 그래도 괜찮다고 말해 줄 거예요!
왜냐하면 여러분, 일 년은 엄청 길어요~ 한 달, 두 달 안 했어요? 또는 못 했어요?
아직 2021년은 많이 남아있어요. 그리고 또 여러분 인생도 엄청 길어요. 많이 남아 있어요.
다시 시작하는 거, 그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14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본문 MAIN TEXT
[8] 자, 여러분도 저도 우리 모두, 화이팅 합시다~~!!
저도 올해 운동하고 독서, 열심히 포기하지 않고 또 다시 시작할 테니까요.
여러분도 뭐가 됐든 계획한 일을 계속 해 보세요.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
15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목표) 세우다
조사 기관
성인
to set/make (a goal)
a research institute
an adult
대상으로
as the target/subject
설문 조사
a survey/questionnaire
실시하다
to implement; to carry out sth
차지하다
to rank/place
이직
changing jobs
옮기다
to move/transfer to
자격증
a license/certification
취득
the acquisition/obtaining of sth
응답
an answer/response/reply
합치다
to combine; unite; join together
절반
half
넘다
go over/beyond; cross; pass; exceed
마찬가지
꾸준히
금새
지치다
후회하다
to be the same (way); identical
A/V-(으)ㄹ 테니까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strong
assumption about a future
event/occurrence.
'I strongly suspect that...'
to regret
guilt
엄청
Used to express a sequence
of two actions when the
first action has completely
finished. 'After doing...'
1) tired/worn out; 2) sick/tired of
죄책감
지키다
V-고 나다
quickly; easily
anyway; anyhow
극단적이다
Used when summarizing
information.
'You could say...' or
'it's practically...'
regularly; consistently
어차피
인정하다
A/V-(으)ㄴ/는 셈이다
to recognize; acknowledge; admit
to be extreme/excessive
to keep/protect
very; really; awfully; so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6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설문조사 내용과 다른것을 고르세요.
1. 어른을 대상으로 했다.
2. 남자에게만 조사했다.
3. 회사를 옮기고 싶은 사람이 많다
4. 과반수가 다이어트를 하고 싶다고 했다 [꼽았다]
Q2. 다음 중 '죄책감'은 어떤 마음 입니까?
1. 어차피 지난주에도 안 했으니까 하지 말자.
2. 지난주에 안 했어? 그래도 괜찮아.
3. 포기하지만 말자!
4. 또 포기했네. 나는 왜 이럴까?
Q3. 이 선생님이 운동을 꾸준히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개한 것은 무엇입니까?
1. 일주일에 세 번 하기
2. 한 번 해 보고 그만두기
3. 언제든지 다시 시작하기
4. 후회하지 말기
17
Answers: 2 / 4 / 3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목표를 세웠다가 금방 포기한 적이 있나요?
건강을 위해서 무엇을 하고 있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의 올해 목표와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을 써 보세요.
Write down your goals for this year and describe what you're doing to achieve them.
18
Ch01
01 새해 목표와 다짐 New Year's Resolutions
번역 TRANSLATION
[1] Okay, today we're going to talk about New
Year's goals and New Year's resolutions.
Did you all set your goals for the new year?
A Korean research institute surveyed adult men
and women on their New Year's resolu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goals people set for
2021 are as follows:
[5] And now that I've made this simple, easy
decision, I don't have to worry about it.
Without feeling guilty or like I've done something
wrong, I can just start again with a fresh mindset!
So the important thing if I've given up and quit is
this: I acknowledge it, say "okay" and I start over
again. I think that's what's important!"
[2] First, the top result was 'changing jobs and
finding employment.' However you look at it,
the economy has been difficult, so I think that's
why so many people are trying to find jobs. And
there were also a lot of people looking to change
jobs as well. After that was travel, exercise,
certifications, and dieting. Out of these, if you
combine diet and exercise, practically more than
half of the people had a goal for health and losing
weight.
Especially for this year (and not just this year,
but last year, too) I think there's a lot of people
interested in health because of Covid.
I'm sure there are a lot of you guys who've set
diet and exercise goals too, right?
I know I have.
[6] And also, just think about it - say there's a
person who gave up after they failed, and another person who gave up after failing, but then
started again, or even someone who restarted
several times.
What will their results look like after a year?
The person who gave up immediately will have
only exercised once all year. It's a bit extreme,
but just for examples sake.
However, the person who gave up, but starts
again, and gives up and starts again, and again,
what about that person...?
Over the course of the year, they've exercised
twice, three times, four times, ten times, twenty
times - maybe even more.
So in the end, wouldn't they still be able to say, "I
met my exercising goal this year!"
[3] But I think exercising regularly is quite difficult. I find that after a week or two, I quickly get
tired of it. So I found a good way to keep up with
it, and if I do it that way, I've discovered that I
can actually keep it going!
It's this! "When it's hard and you quit - start
again." And the part here about 'starting again' is
super important.
Usually if you stop and give up when it gets hard,
you think, "man, why am I like this?" and you end
up regretting it, right?
But it's okay to have regrets. It's even okay to
give up.
Because after that you can just start over again!
[4] For example, I decided to work out three
times a week, but one day I really didn't feel like
exercising. So I didn't. But then the next week
came around and I thought, "gosh, well, I didn't
do it last week, should I not bother this week,
either?"
But now I don't think that way - instead I think,
"okay, this is fine! I didn't do it last week? That's
alright! I'll just start again!" or, "okay, I only
worked out once out of my three days? That's
fine. Even if I just do it once this week too, that's
okay. Just don't give up!"
[7] But after saying all this, there'll probably still
be people who say:
"Oh, but Teacher Lee.. what if I haven't worked
out in a whole month? Then should I give up?"
If you ask me this - I'm going to tell you that it's
still okay!
Because, everyone, a year is a long time - you
haven't done it in a month? Two months? Maybe
you couldn't?
There's still lots of time left in 2021. And also your life is so long as well. You have so much life
left to live.
Starting over again, I think that's the most important thing!
[8] So everyone, lets all stay strong!!
This year I'm going to work out and read a lot,
and I'll start over again without giving up.
You guys too, whatever happens, stick with the
things you've planned on doing.
I'll always be cheering for you!
19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봄
Spring
달력
Calendar
02
입춘대길
Good luck for Spring
소원을 빌다
To make a wish
ㅇㅇ
THE FIRST DAY OF SPRING
Translation
입춘
20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본문 MAIN TEXT
[1]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입춘 (initial day of spring)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은 한국의 24절기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어요?
24, 스물넷. 뭐가 스물 네 개일까요?
바로 입춘을 시작으로 우수, 경칩, 등등등 또 입하, 입추, 입동 등 1년을 24개로, 마치 계절처럼
나눈 것을 말해요.
보통 15일에 한 번씩 세어서 1년에 24개가 나오는데요…
[2] 우리가 아는 계절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이렇게 네 개지요?
또 1년을 365일 달력으로 세는 것도 있지요?
그런데 이 절기라는 것은 태양이 가는 길에 따라서 1년을 24개로 나눈 것이에요.
옛날 옛날 한국이 농경 사회일 때, 농사를 짓는 사회였을 때, 그러니까 엄청 옛날이겠지요?
역사책에 의하면 조선시대 때 이 24절기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어요.
[3] 일반적으로 서양에서는 7일을 기준으로, 일주일씩 나눠서 생활을 했다고 보고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24절기를 이용해서 15일씩 나눠서 생활을 했다고 보고 있어요.
그래서 이 절기에 의하면 바로, 바로 어제가 입춘이었어요.
아, 그럼 입춘은 무엇이냐? 바로 1년의 시작, 봄이 시작된다는 뜻이에요.
네? 봄이요? 지금 2월인데요? 지금 한국은 너무 춥지 않아요? 맞아요. 어제도 눈이 왔고, 오늘
은 무려 최저 기온이 영하 6도까지 내려가는 아주 추운 날씨였어요.
그런데 어떻게 봄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4] 물론 지금은 우리가 농경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입춘, 봄의 시작이 맞지 않아요.
하지만 예전에 농사를 지을 때는 지금부터 농사를 준비하고 시작해야 한다는 거예요.
바로 일 년이 시작되니까요.
어때요? 참 신기한, 재미있는 달력, 계절이지요?
21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본문 MAIN TEXT
[5] 현대 사회에는 이 절기가 잘 맞지 않지만 아직도 입춘과 관련된 풍속이 남아 있어서
오늘 그것도 소개할까 하는데요.
바로 입춘, 1년의 시작, 봄이 시작될 때 옛날 사람들은
"자, 봄이 시작됩니다. 우리 가족, 우리 집, 우리 가게에 좋은 일만 있게 해 주세요~" 하고 소원을
빌었어요.
이 소원을 빌기 위해서 "입춘대길"이라는 네 글자를 종이에 써서 대문이나, 가게 문 등 입구에
붙여 놓아요.
지금도 한국에서는 이 입춘대길 글자를 붙여 놓는 집들, 가게들이 아직 좀 있어요.
비록 농사를 짓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봄이 시작되고, 우리 집에 좋은 일이 있으면 좋겠다,
그런 소원은 빌 수 있잖아요~
[6] 제가 아까 밖에 잠깐 나갔다 왔는데 저희 동네의 어떤 가게에 바로 이 입춘대길 글자가 붙어
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사진을 찍어 왔어요.
이 팟캐스트 썸네일 사진으로 올려 놓을게요. 여러분 구경해 보세요^^
그런데 여러분 이 사진 읽을 수 있나요?
하하 한글이 아니지요? 한자로 적혀 있어요.
이 절기라는 것이 중국에서 왔기 때문에 한자로 써 놓아요.
[7] 입춘은 봄이 시작된다는 뜻, 대길은 큰 행운을 뜻해요.
길이라는 글자는 '길하다'라는 형용사인데요. 행운, 운이 좋다는 뜻이에요.
그러니까, 여러분! 우리 봄을 맞이해서 올 한해 여러분과 여러분 가족 그리고 저, 모두에게 좋은
일만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여러분도 입춘 대길하세요~
22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절기
the seasonal divisions according to the
N에 의하면
lunar calendar
마치
나누다
like; as though
to divide (up); split (up)
세다
to count
달력
a calendar
태양
the sun
농경 사회
agrarian/farming society
농사를 짓다
to farm; to do farm work
기록
a record/trace/report
서양
the West; western
무려
as many as; as much as
최저 기온
영하
신기하다
below zero
novel/interesting/amazing/cool
contemporary; modern; present day
풍속
a custom
입춘대길
대문
front gate; main entrance
although; even though; even if
한자
Chinese characters
맞이하다
To express hopes and
wishes
'I hope that...'
to attach/stick/affix sth
비록
행운
V-기 바라다
good luck for spring
lettering/inscription, a letter/character
적히다
To talk about things you
intend/are thinking about
doing in the future
'I'm thinking of doing...'
to make a wish; to wish
글자
붙이다
V-(으)ㄹ까 하다
the low; the lowest temperature
현대
소원을 빌다
To be based on;
be caused by;
be grounded on
some noun
to be written/noted/jotted down
luck, good fortune
to greet/welcome/receive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23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절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세요.
1. 공식적인 달력으로 사용된다
2. 농사를 지을 때 유용하다
3. 한 달에 한 개가 있다
4. 서양에서도 사용한 적이 있다
Q2. 입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세요.
1. 겨울이 끝났다는 것을 알려 준다
2. 한 해의 행운을 빈다
3. 특별한 글자를 쓴다
4. 요즘 사람들은 기념하지 않는다
Q3. '길하다'와 같은 뜻을 고르세요.
1. 행복
2. 행운
3. 불운
4. 불행
24
Answers: 2 / 4 / 2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은 봄이 오면 무엇을 해요?
메모해 보세요
여러분 나라에는 다른 사람의 행운을 빌어줄 때
하는 특별한 풍습이 있어요?
메모해 보세요
Q. 작년 봄에 한 일이나 올 봄에 하고 싶은 일 또는 내년 봄에 하고 싶은 일에 대해서 써 보세요.
Write about what you did last spring, or what you'd like to do this spring or next spring.
25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번역 TRANSLATION
[1] For today's topic, I'm going to be talking about
'ipchun' - the initial day of spring. Have you all
heard about Korea's 24 seasonal divisions?1
There's twenty-four. And what might those
twenty-four be?
Starting off with 'ipchun'2, next comes 'usu,'3
'gyeongchip,'4 and so on, and then 'ip-ha,'5
'ipchu,'6 'ipdong,'7 etc. Like this we split the year
into twenty-four parts, just like we do with the
four seasons. Generally you count every fifteen
days and you end up with twenty-four divisions
in a year...
today was a very cold day with the low getting
down to as low as minus 6 degrees (21 degrees
fahrenheit). Then how could you you call this
spring?
[2] The seasons we're familiar with are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 these four right?
And we also count one year using a 365 day calendar, right? But these 'seasonal divisions' divide
the year up into 24 parts according to the path of
the sun.
Long ago, when Korea was an agrarian society,
when it was a farming society - gosh, it must
have been a really long time ago right?
According to the history books, there are records
of these 24 seasonal divisions being used all the
way back in the Joseon Dynasty8.
[5] In modern society, these seasonal divisions
don't line up very well, but we still have some
customs related to ipchun so I'm thinking of introducing them to you today.
On ipchun in the past, when the spring of a new
year had begun, people made a wish saying,
"Now then, spring is here. Please let only good
things happen to my family, my house, and my
shop."
To make this wish, you'd write the four characters 'ipchundaegil' on a piece of paper and attach
it to an entryway, like a gate or a shop door. Even
today there are still a few homes and stores in
Korea that put up the ipchundaegil lettering. Even
though they aren't farming, they can still make
a wish anyway, hoping that when spring starts
something good will happen for their family.
[3] I think that generally, in the west, life was divided up into weeks based on a seven-day standard, while in China and Korea, life was divided
up into fifteen day blocks using the 24 seasonal
divisions.
So according to these seasonal divisions, yesterday was none other than ipchun (the initial day of
spring). Ah, then what is ipchun? It means that
the year has started - that spring has started.
What? Spring? It's February now, though? Isn't
Korea still really cold right now?
That's right. Even just yesterday it snowed, and
[4] Of course, since we aren't a farming society
anymore, ipchun, doesn't really line up with the
start of spring. But in the past when we farmed,
it was from this day that we'd have to start the
farming preparations. Since it's the very beginning of the year. What do you think? It's a pretty
interesting seasonal calendar system, right?
[6] I went outside a little while ago and there was
a store in our neighborhood that had put up the
ipchundaegil sign. So I took a picture of it.
I'm going to put it as the thumbnail image for this
podcast. Everyone please have a look. ^^
Oh, but - can you all read this picture?
Haha, it's not the hangeul alphabet, is it? It's
1. The 24 seasonal divisions, or 'jeolgi' (절기), are mini-seasons that divide a calendar year. These
divisions are made according to the sun's ecliptic motion through the sky, with a new jeolgi beginning after every 15° change (which equates to approximately every 15 days). This calendar is used
to keep track of changing seasons, and also to help organize agricultural schedules; i.e. when to sow
different crops throughout the year.
2. 입춘 (立春) - the start of spring
3. 우수 (雨水) - the start of the spring rains and sprouting
4. 경칩 (驚蟄) - the end of hibernation (in the US this is celebrated on Groundhog's Day)
5. 입하 (立夏) - the start of summer
6. 입추 (立秋) - the start of fall
7. 입동 (立冬) - the start of winter
8. The Joseon Dynasty: the last dynastic kingdom of Korea, spanning from the year 1392 to 1910
26
Ch02
02 입춘 The First Day of Spring
번역 TRANSLATION
written using hanja9.
Since these seasonal divisions originated in China, we write it out using hanja.
[7] 'Ipchun' means 'spring has started,' and 'daegil' means 'lots of luck'.
The Chinese character 'gil' is used in the descriptive verb 'gilhada' (to be auspicious).
It means lucky, or having good luck.
So, everyone! In celebration of spring, I wish only
good things for you, your family, myself, and
everybody else this year.
I'm wishing all of you good luck for spring!
9. Hanja are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Many Korean
words have two forms - the Korean form (e.g. 입춘) and the hanja form (i.e. 立春)
27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현실적이다
To be down-to-earth
외향적이다
To be extroverted
03
경향
Tendency
성격
Personality
검사
Test
빛과 소금
THE MBTI PERSONALITY TEST
Light and salt
MBTI 성격
유형 검사
28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본문 MAIN TEXT
[1] 오늘 오랜만에 팟캐스트를 녹음하는 것 같아요.
갑자기 왜 이걸 하게 됐냐면 사실 저는 오늘부터 공식적으로 방학이거든요.
저는 두 군데의 학교에서 지금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한 곳은 지난주에 봄 학기가 끝나서 방
학을 했고, 한 군데는 오늘까지인데, 저는 어제가 마지막 출근이어서 오늘부터가 공식적으로 방
학입니다.
[2] 아, 방학을 하니까 확실히 몸의 긴장이 확 풀리는 것 같아요.
지금 녹음하는 시간이 오후 4시인데 오늘 오전에 8시쯤 일어나서 계속 누워 있었어요.
텔레비전에 유튜브 연결해 놓고 그냥 asmr처럼 들으면서 멍하게 보냈어요.
오늘 아침부터 여기 서울 날씨가 계속 흐리고 비도 오고 그래 가지고 더 멍해지네요.
[3] 그래서 오늘은 "여유롭게 팟캐스트 한번 녹음해 봐야겠다!" 생각하고 뭘 이야기해 볼까 하
다가 작년인가, 재작년인가부터 한국에서 꽤 유행하는 성격테스트가 있거든요. 그걸 오랜만에
한번 해 봤어요.
"엠비티아이"라고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게 갑자기 한국에서도 급유행이 되면서 '무슨 무슨 형이다, 무슨 무슨 타입이다' 이렇게 티비
에서도 소개하고 그러더라고요.
저는 오늘로서 세 번째 검사인 것 같은데 결과가 계속 바뀌어요.
[4] 이게 어떤 사람은 굉장히 한쪽으로 치우쳐서 외향적인 편, (extroverted). 이런 사람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완전 내향적이거나 내성적인 사람이 있을 텐데, 우리 모두가 모두 극단적인 성격
을 가진 건 아니잖아요.
어느 정도는 외향적이고 어느 정도는 내향적일 때가 있으니까. 저도 그때그때 마음에 따라서 이
게 자꾸 다르게 나오는 것 같아요.
제가 이 팟캐스트에다가 (어떻게) 링크를 걸어 놓을 테니까 여러분도 한번 해 보세요.
그냥 재미로.
29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본문 MAIN TEXT
[5] 그래서 제 오늘 결과는 ENFJ-T. 정의로운 사회 운동가가 나왔습니다. 제 유형은 일단 E(입
니다.) E는 '외향적'인데. 제가 지금 한 테스트가 그냥 유형만 나오는 게 아니고 각각의 항목을 숫
자로도 보여주는데 저는 이게 거의 반반이 나왔어요.
그러니까 E가 51%이고 내향, I가 49가 나왔거든요. 그러니까 저는 진짜 외향적이기도 하고
내향적이기도 한 것 같아요.
[6] 그 다음이 N인데, N은 직관적이냐 아니면 현실적이냐 이런 걸 보는 건데, 저는 직관이 나왔
고 이건 69%가 나왔습니다. 근데 이건 잘 모르겠어요. 제가 꽤 현실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는
데 이면에는 또 머릿속으로 상상하고 예측하는 면이 있나 봐요.
그리고 그 다음이 3번째가, 이성적이냐 감정을 따르냐를 보는 건데, 저는 이것도 49%하고 51%
나와서… 좀 아슬아슬하죠?
일단은 감정 쪽으로 나오긴 했지만 "이성도 놓치지 않는다!" 이런 뜻으로 보려고요.
[7] 그리고 그 다음에 J가 나왔어요. 계획이랑 자율성이 있는데 저는 계획 세우는 걸 정말 좋아
하거든요.
제 수치 중에서 이게 제일 높네요. 74%로 계획형이 나왔습니다. 뭐든지 미리 준비하고, 여행 갈
때도 계획을 꼼꼼하게 세우는 걸 좋아해요.
이게 제가 한국 사람이라서 빨리 빨리 하는 경향도 사실 없지는 않은데 이 빨리 빨리를 위해서
미리 준비를 하고 그러니까, 막상 일이 닥쳤을 때 빨리 해 버리는 편인 것 같아요.
[8] 그리고 제가 이걸 찾아보다가 진짜 마음에 드는 문구가 나왔는데, 바로 "MBTI 유형 중 상대
방에게 가장 부드럽게 말을 잘 하는 유형이다." 이겁니다.
제가 말하는 직업이다 보니까 너무 마음에 들더라고요. 그리고 직업 중에 교사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깜놀했어요. "어머, 왜 이렇게 잘 맞춰?"
[9] 좋은 말들도 많고 장점이나 단점도 설명을 해 주는데요. 그중에서 몇 개만 살펴보려고 해요.
30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본문 MAIN TEXT
우선 사회운동가형 사람은 카리스마와 충만한 열정을 지닌 타고난 리더형입니다.
정치가나 코치 혹은 교사와 같은 직군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사회운동이라고 하니까, 사람들을 이끌고 "이렇게 합시다~ 이게 좋습니다!" 자기가 옳
다고 생각하는 걸 강하게 이야기하겠죠?
그래서 "타고나다, 타고났어요," 내츄럴 본, "이미 본성 속에 리더가 있다." 이런 말이고요.
그래서 직업으로 정치가, 코치, 교사를 들었어요.
[10] 그리고 또 이런 표현도 있네요.
선한 일을 통하여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도록 사람들을 독려합니다.
'선하다'는 착하다의 한자어예요. "아이고 착하다~" 이런 말 하지요?
좋은 일을 하면서 이 세상에 빛과 소금이라고 했는데,
빛과 소금은 뭐 이제 관용어라고 봐야겠지요?
성경, 기독교에서 나온 말인걸로 아는데… 참고로 저는 종교가 불교라서 정확하게는 제가 모르
지만, 일반적으로 쓰는 말이에요.
빛과 소금이라고 하면 이 세상에 꼭 필요한 거를 말해요. 그래서 사람들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서 그 사람들 모두 이 세상에 다 필요한 사람이 되도록 독려하다, 응원하고 격려해서 힘나게 하
는 거예요.
[11] 그렇다고 합니다. 좋은 말이네요. 그리고 블라 블라 또 좋은 말이 있었고.
저하고 같은 유형의 유명인들이 있는데 일단 제일 유명한 사람이 버락 오바바. 전 미국 대통령이
나왔고요. 깜짝이야! 제가 대통령감인가봐요.
그리고 제가 좋아하는 배우인 제니퍼 로렌스도 이 유형이라고 합니다. 너무 좋네요.
[12] 여러분은 어떤 성격의 사람인가요? 여러분의 성향은 어떤가요? 다음에 우리 "한국어 한 조
각" 선생님한테도 테스트 해 보라고 해야겠어요.
그럼 여러분, 시간이 되시면 검사 한번 해 보시고 그걸 한국어로도 읽어 보세요^^
31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공식적
군데
치우치다
외향적이다
내(향/성)적이다
정의롭다
항목
official; public; formal
a counter for places/spots
to lean (towards); biased/partial
extroverted; outgoing
introverted; reserved; introspective
to be just; right; righteous
an item (of a list, article, page, etc)
직관적이다
intuitive
현실적이다
realistic; practical; observant
이면
a back/rear side; a hidden/dark side
이성
reason(ing); rationality; intellect
아슬아슬하다
자율성
to be a close/narrow call
autonomy
수치
a number/figure
막상
actually
문구
a phrase/sentence/expression
충만하다
to be full (of) or filled (with)
타고나다
to be born (with)
직군
fields; professions; job categories
본성
human nature; one's true nature
선하다
'light and salt'; essential people
독려하다
to encourage someone to do something
성경
기독교
불교
Used to imply there's a
feel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resulting from the
completion of some action.
A-(으)냐 / V-냐 / N(이)냐
An informal way to ask
questions.
A/V-더라고(요)
An expression used to state
a fact the speaker learned
through direct experience.
'I've found that...'
good; nice; good-natured/hearted
빛과 소금
관용어
V-아/어 버리다
an idiomatic phrase; an idiom
the (Holy/Christian) Bible
Christianity
Buddhism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32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이 사람의 성격 유형으로 같은 것을 고르세요.
1. 소극적이다
2. 외향적이다
3. 극단적이다
4. 현실적이다
Q2. 이 성격 유형 검사에 대해 맞는 것을 고르세요.
1. 한국에서 오래 전부터 유행하던 것이다
2. 티브이에서 자주 소개된다
3. 결과가 거의 바뀌지 않는다
4. 한국 대통령도 테스트를 했다
Q3.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세요.
1. 이 사람은 지금 방학이다
2. 이 사람은 이 검사를 처음 해 봤다
3. 이 사람은 검사 결과가 마음에 든다
4. 인터넷을 통해 이 검사를 해 볼 수 있다
33
Answers: 2 / 2 / 2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자신이 외향적인 편이라고 생각해요?
내 성격의 장점은 뭐예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MBTI 검사를 해 보고 여러분의 성격을 써 보세요.
Try out the MBTI personality test and write about your personality type.
34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번역 TRANSLATION
[1] I think it's been a while since I recorded a
podcast.
If you're wondering why I'm suddenly recording,
well actually, from today onwards, I'm officially
on vacation.
I'm teaching Korean at two schools at the moment - one of them finished spring semester and
went on vacation last week, and the other school
finishes today, so yesterday was my last day
going to work, and from now on I'm officially on
vacation.
[2] Ah, now that I'm on vacation, I think I can
definitely myself start to relax.
The time now when I'm recording is 4pm, and I've
been lying down ever since I woke up at around
8am.
I loaded up YouTube on my TV and spent the day
just staring off into space while I listened to it
like ASMR. The weather here in Seoul has been
cloudy and rainy since this morning, so that's
making me zone out even more.
[3] So today I casually thought, "Oh, I should
probably record a podcast!" and I was thinking
about what to talk about - there's this personality test that's been really popular in Korea since
maybe last year or the year before. It's been a
while, but I gave it another try.
Have you ever heard of 'MBTI'?1
Even in Korea it suddenly became an overnight
sensation, and it kept getting brought up on television too like, "I'm this style, I'm that personality
type."
I think today is my 3rd time taking the test, but
the result keeps changing.
[4] Of course, some people tend to lean more to
one side, like they tend to be pretty extroverted there are people like this.
And others may be completely introverted or reserved, but of course not all of us have an entire-
ly one-sided personality like this.
There are times when we're a bit more extroverted or a bit more introverted. For me too, my
mood depends on the moment, so I think that's
why my results keep coming out differently.
I'll put the link in this podcast (somehow), so you
guys should give it a try too.
Just for fun.
[5] So my result today was ENFJ-T.
I got 'the activist for a just society' - the 'Turbulent Protagonist' personality type. My first classification is E. That's 'Extroverted.' But the test
I just did doesn't only show the classification, it
also shows what percentage of each side I am in
numbers, and I'm almost half-and-half.
It said I'm 51% type E, and 49% type I, or 'Introverted'.
So it seems like I'm really both extroverted and
introverted.
[6] Next is N, and N shows you whether you're
intuitive or observant ('Sensing'), and I got 'iNtuitive' with a 69%.
But I'm not so sure about that. I thought I was
a pretty observant person, but I guess there's a
part of me that's imagining and predicting things
in my head.
And after that, the third one shows you whether
you're 'Thinking' rationally or following your 'Feelings,' and again for this one I got 49% and 51%
- pretty close, right?
Overall I did get 'Feeling', but still I'm going to look
at the results like, "It's not like I'm throwing away
my rationality either!"
[7] And after that I got J. It's planning ('Judging')
vs. autonomy ('Perceiving'), and I'm someone
who really likes making plans.
This one is the highest of all my numbers. I got
74% type J (planning). I prepare everything in
advance, and when I travel I like to meticulously
1
Myers Briggs Type Indicator (MBTI) is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Katharine
Cook Briggs and her daughter Isabel Briggs Myers. The test attempts to assign a value to each of
four categories: introversion or extroversion, sensing or intuition, thinking or feeling, and judging or
perceiving. One letter from each category is taken to produce a four-letter test result, such as 'INTJ'
or 'ESFP'.
In this podcast, the speaker was assigned 'ENFJ':
"A Protagonist (ENFJ) is a person with the Extroverted, Intuitive, Feeling, and Judging personality
traits. These warm, forthright types love helping others, and they tend to have strong ideas and values. They back their perspective with the creative energy to achieve their goals."
35
Ch03
03 MBTI 성격 유형 검사 THE MBTI Personality Test
번역 TRANSLATION
plan my schedule.
And well, I'm Korean, so it's not like I don't have
that tendency to be all 'go go go' 2 in the moment
- but in order to keep up with that pace, I tend to
prepare in advance, so that when things come up
I can just get them out of the way.
[8] And while I was researching all this, I found
a phrase I really liked, and it's this: "out of all the
MBTI types, this one speaks the most delicately
to other people." And I really like that, because
speaking is my job. Plus, 'teacher' is one of the
jobs listed for this type. So I was really surprised.
Like, "wow, why does it fit me so well?"
[9] It has a lot of good things to say and it also
explains som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Let's look at a couple of those.
First of all, the social activist type - 'The Protagonist' is a natural born leader, full of charisma and
passion.
It's a type commonly seen in professions like
politician, coach, or teacher.
And since they're named for social movements,
they lead people by saying "this is the way to
do it, it'll be great!" and they'll speak strongly on
what they think is right.
So there's a lot of talk about "being born for this,"
naturally being born for something, or "already
being a leader by nature."
And that's why they often take jobs as politicians,
coaches, or teachers.
and Christianity... and for full transparency I'm
Buddhist, so I don't know too much about it, but
it's a commonly used expression.
When they say 'light and salt', they mean things
that the world seriously needs. So you lead other
people in the right direction, and encourage them
to become the people this world needs; cheering them on and supporting them to give them
strength.
[11] Or so they say. It's a nice saying. And then
blah blah blah, it had some other nice things to
say...
It showed some famous people that have the
same personality type as me, and the most
famous one is Barack Obama. I got the previous
Present of the United States. Amazing! I guess
I've got that presidential feel.
And my favorite actress, Jennifer Lawrence, is
also this type. That's really cool.
[12] Everyone, what's your personality like? What
are your tendencies? Next time I'll have to get the
other Piece of Korean teachers to take the test as
well.
Well then everyone, if you have the time, try taking the test, and try reading it in Korean, too! ^^
[10] And there's also this expression: "encourage
others to become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through good deeds."
The word 'seonhada' here is the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the word 'chakhada' ('good/kind').
We say the phrase, "oh my, what a good kid!"3
Right?
Earlier I said, "in doing good deeds, you are the
light and salt of the world," but well, now we
need to look at 'light and salt' as an idiom, right?
I know it's a saying that comes from the Bible
2. There is a common Korean term, "빨리 빨리" which literally translates to "quickly quickly."
It is used to refer to the 'go go go,' or the 'rat race' atmosphere present in a lot of Korean society,
particularly for people that live in a big city like Seoul.
3. "아이고 착하다~" is a common expression used in different situations, but it's particularly used
when adults want to praise a child for doing something very nice or sweet.
36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간편하다
To be convenient
떡볶이
Tteokbokki
04
서비스
Freebies
앱
App
배달
Delivery
장바구니
DELIVERY FOOD
Basket/shopping cart
배달 음식
37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본문 MAIN TEXT
[1] 여러분은 요리를 자주 하시나요? 집에서 요리하는 것을 좋아하세요? 오늘은 음식과 요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하는데요. 그중에서도 한국의 배달 음식, 배달 문화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2] 여러분은 배달 음식을 자주 드시나요? 한국은 아주 늦은 시간까지, 또 여러분이 생각하는 거
의 모든 음식을 배달할 수 있어요.
언제라도 먹고 싶은 게 있으면, 요즘은 전화가 아니라 휴대폰 어플로 바로바로 주문을 할 수가
있는데요.
오히려 그래서 더 배달을 많이 시키게 되는 것 같아요. 너무 간편하니까.
한국의 유명한 배달 어플로는 "배달의 민족, 쿠팡 이츠, 요기요"가 있습니다.
[3] 저도 이 세개의 어플을 모두 가지고 있어요. 휴대폰에 모두 깔려 있어요.
휴대폰이나 컴퓨터에 "프로그램, 어플을 깔다", 깐다라고 말하는데요. 아마 많은 한국 사람들이
이 세 개의 어플들을 다 가지고 있을 거예요.
제가 최근에 먹은 배달 음식은 떡볶이예요. 사실 집 근처에 있는 가게라서 사람이 직접 가서 포
장을 해 와도 되지만, 이미 배달이라는 너무너무 편한 서비스에 익숙해져 버려서 배달을 시킬
수밖에 없었어요.
[4] 어플을 켜고 먹고 싶은 음식을 검색한 다음에 집 근처에 있는 가게 중에서 거리가 가까운 곳
이나, 저는 리뷰가 많은 식당을 골라요.
다른 사람들이 이미 먹어 보고 "서비스가 좋다, 맛있다, 양이 많다, 빨리 가져다 준다" 등등 평가
를 쓰는 걸 한국어로도 리뷰라고 해요.
그런데 저는 리뷰를 되게 중요하게 생각해요. 예전에 아무 가게나 골랐다가 몇 번 실패한 적이
있거든요.
아무튼 그래서 배달의 민족 어플을 열어서 떡볶이를 찾고 리뷰가 좋은 가게를 골랐어요.
그리고 이제 메뉴를 고릅니다.
38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본문 MAIN TEXT
[5] 떡볶이 1인분, 튀김 1인분, 순대도 1인분 그리고 김밥은 두 줄.
그리고 제가 시킨 이 가게는 특별한 메뉴가 있더라고요.
보통은 떡볶이 집에 그냥 일반 어묵이 있거든요.
"보통 어묵." 근데 여긴 "어묵 국수"라는 메뉴가 있어서 한번 시켜봤어요.
어묵 국물에 어묵하고 하얀 국수가 들어가 있는 음식이더라고요.
그런데 먹어 보니까 국물도 아주 시원하고 너무 맛있었어요.
[6]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시원하다'는 '차갑다, cold, ice'의 시원하다가 아니지요?
한국 사람들이 (이럴 때) 말하는 '시원하다'는 '속이 풀리는 것처럼 기분이 좋다,'
그럴 때 '아~ 시원하다~!' 이렇게 말해요.
[7] 그렇게 메뉴를 고르고 메뉴를 장바구니에 담습니다.
요즘 이런 어플에 있는 가게들이 이벤트를 참 많이 해요.
나중에 음식을 받아서 사진을 찍고 리뷰를 써 주겠다고 약속을 하면 서비스로 뭘 하나 더 줘요.
음료수라든지 아니면 튀김을 하나 더 넣어주든지 이런식으로요.
[8] 그리고 또 요즘 제가 신경쓰고 있는 게 하나 있는데요.
이런 배달 음식을 시킬 때 "일회용 포크나 젓가락을 빼 주세요," 빼 달라고 요청하는 기능이
있어요. 저는 그걸 꼭 해요.
집에서 먹는 거니까 어차피, 이미 집에 수저, 숟가락, 젓가락, 포크가 다 있잖아요.
그래서 굳이 받을 필요가 없어요.
그런데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배달 음식에는 일회용품을 쓰는데 요즘은 일회용품을 좀 덜 쓰자는
취지로 그런 요청을 할 수 있게 어플에 기능을 만들어놨어요. 너무 고맙죠.
그리고 '취지'라는 것은 조금 어려운 말이기는 한데,
어떤 일의 목적이나 중요한 의도라는 말이에요.
39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본문 MAIN TEXT
[9] 그 다음에 결제 수단을 선택합니다.
결제 수단, 돈을 내는 방법이에요. 보통은 카드 결제를 하지요. 또는 현금 결제라고 해서, 배달을
오는 사람에게 직접 그 자리에서 돈을 주고 결제할 수도 있지만 귀찮으니까, 어플에서 바로 카드
로 결제합니다.
요즘은 쿠폰도 많이 줘서 조금 더 싸게 먹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배달의 민족이라는 어플에서는 요일마다 특정 메뉴 쿠폰을 줄 때가 있는데요,
"금요일엔 치킨 메뉴는 삼천원 할인" 이런식으로요.
[10] 그렇게 결제까지 하고 나면 이제 집의 벨을 켜 놓고 기다리면 됩니다.
한국 사람은 뭐든지 빨리빨리 하잖아요.
보통 음식은 2~30분, 20분에서 30분 정도면 도착해요.
그러면 잘 받아서 "보나베띠" 맛있게 먹으면 됩니다.
여러분은 오늘 뭐 드셨어요?
여러분은 언제 배달을 시켜요? 자주 시켜요? 여러분의 배달 음식에 대해서도 알려 주세요~
40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배달하다/시키다
to get delivery; to order delivery
어플
a phone application
주문
an order
간편하다
어플을 깔다
포장하다
to be simple/convenient/easy
to download/install an app
1) pack/wrap; 2) get sth to go
서비스
1) a/the service; 2) a freebie
(프로그램을) 켜다
to turn on/open (a program)
검색하다
양
평가
1인분
search; browse; look (sth) up
quantity; amount
속이 풀리다
to satisfy one's stomach
장바구니
a (shopping) cart/basket
일회용
to care about; pay attention to
disposable; single-use
to request
기능
a function
굳이
not necessarily; not really
취지
an intent/aim
카드/현금 결제
For the speaker to quote a
command or request.
'I told you to do...'
'I asked you to...'
1) put sth into sth; 2) hold/contain
요청하다
결제 수단
V-아/어 달라고 하다
a one-person serving/portion
noodles (usually in broth)
신경쓰다
To leave some action in it's
completed state.
e.g. 'I left my phone off'
'I hung up my jacket' (and
left it there)
an evaluation
국수
담다
V-아/어 놓다
payment method
card/cash payment
특정
particular; specific; certain
할인
a discount; (some amount) off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41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배달에 대해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세요.
1. 이 사람은 배달 음식을 자주 시킨다
2. 떡볶이와 치킨 등 모든 메뉴가 배달된다
3. 늦은 밤에는 배달을 시킬 수 없다
4. 많은 사람들이 배달 어플을 가지고 있다
Q2. 이 사람이 오늘 주문한 음식이 아닌 것을 고르세요.
1. 떡볶이
2. 김밥
3. 국수
4. 보통 어묵
Q3. 배달 어플에 대해 들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세요.
1. 리뷰를 쓰면 할인을 해 주기도 한다
2. 어플에서 미리 결제 할 수 없다
3. 다른 사람이 쓴 리뷰는 사장만 볼 수 있다
4. 일회용품을 따로 요청해야만 한다
42
Answers: 3 / 4 / 1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오늘 뭐 먹었어요?
마지막으로 무엇을 배달시켰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배달 음식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써 보세요.
Write about the positives and negatives of take-out food.
43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번역 TRANSLATION
[1] Do you all cook often? Do you like cooking
at home? Today I'm going to be talking all about
food and cooking. And in particular I'd like to talk
about Korea's delivery food and delivery culture.
[2] Do you eat delivery food often? In Korea, you
can order delivery until very late at night, and you
can get almost any food you can think of delivered.
And whenever you want something to eat, rather
than having to call, you can just order it right
away with an app.
So I think that's why we've been having things
delivered a lot more. It's just so easy.
Some famous delivery apps in Korea are 'Baedal
Minjok' aka 'Baemin', 'Coupang Eats', and 'Yogiyo.'
[3] I have all three of these apps, too. They're all
installed on my phone.
For cellphones or computers we say 'download/
install a program or application'; we use the word
'ggalda' (download/install). I think a lot of Korean
people would probably have all three of these
apps.
One delivery food I've had recently is tteokbokki1.
Actually the store is close by, and people can go
there directly and pick up their own food, but I've
already gotten so used to the convenience of
delivery that I can't not have it delivered.
[4] After I open the app and look up the food I
want to eat, I choose a restaurant from one of
the shops around my house; a place that's close,
or one that has lots of reviews.
When other people have already tried something
and written an evaluation like "the service is
good, it's delicious, big portions, comes out fast,"
etc., we also call it a 'review' in Korean.
And I think reviews are very important. In the
past I used to just choose any old store, but it
didn't always work out.
Anyway, so I opened the Baedal Minjok app,
looked for tteokbokki, and picked a restaurant
with good reviews.
And this point I chose what I was getting.
[5] One serving of tteokbokki, one serving of fritters2, one serving of Korean blood sausage3, and
two rolls of kimbap4.
And the restaurant I ordered from has a special
item. Usually, at a tteokbokki place they have
regular fish cake5. 'Ordinary fish cake.' But here
they have a dish called 'fish cake soup,' so I tried
getting that.
It's a food that has fish cakes and white noodles
in fish cake broth.
Anyway, when I tried it, the soup was really refreshing and very tasty.
[6] By the way, the 'refreshing' used here isn't
the 'cool, cold, ice' meaning of 'refreshing' right?
The 'refreshing' that Koreans use (in times like
these) means 'I feel good, that really hit the spot';
at those times we'll say "ah~ how refreshing~!"
[7] I make my choices and then put them in my
shopping cart.
These days, stores on these apps have a lot of
sales going on.
If you promise to take a picture of the food you
get and write a review later, they'll give you
something extra as a freebie6. Like they might
add on a drink, or another order of fritters.
[8] And there is one other thing I'm conscious of
these days.
When ordering food for delivery like this, there's a
"please remove the disposable fork or chopsticks"
function that lets you request to have them taken
1
Tteokbokki (떡볶이) is a very popular dish in Korea, made from rice cakes in a spicy red sauce.
2
In Korean, the word '튀김' (fritters) can refer to all things deep-fried.
3
Korean blood sausage (순대) is a popular street food, generally made by steaming cow or pig's
intestines stuffed with various ingredients like rice, glass noodles, meat and vegetables.
4
Kimbap (김밥) is a popular lunch and takeout food made from a roll of cooked rice, filled with
ingredients like egg, cucumber, carrot and kimchi, and wrapped in a sheet of seaweed laver (김).
5
Fish cake (어묵) is a popular street food made of ground fish, mixed with salt, flour, starch, and
other ingredients, then cooked, steamed, grilled or fried.
6
It is common for Korean restaurants to offer freebies (e.g. an extra serving of something, or an
additional free item) to regular customers or people of note. This is called '서비스' (literally the English
word, 'service').
44
Ch04
04 배달 음식 Delivery Food
번역 TRANSLATION
out. I always do that.
Since you're eating at home anyway, you already
have all your spoons, chopsticks, and forks at
home, you know?
So you don't really need to get them.
But as a habit people will use the disposable
products that come with delivery food, so they
recently created a function in the app where you
can request to have it removed, with the aim of
using less disposable products. I'm really grateful
for that.
Also 'chwiji' (intent/aim) is kind of a difficult
word, but it means the goal or important purpose
of something.
[9] After that you choose a payment method.
'gyeoljae sudan' means the way you pay money.
Usually you pay by credit card, right? Alternatively, there's paying by cash, where you can pay the
delivery person directly on the spot, but it's annoying, so I pay directly on the app with a card.
These days they give out a lot of coupons too, so
you can eat for a little bit cheaper.
For example, the Baedal Minjok app sometimes
gives you a coupon for a specific category of the
menu each day of the week, like, "on Friday, fried
chicken is 3,000 won off!"
[10] Once you complete the payment, all you
have to do is turn on your doorbell7 and wait.
Koreans do everything quickly, you know. Usually
the food arrives in about 20 to 30 minutes.
Then you get your food and - "bon appetit!" - you
just dig in.
What did you all have to eat today?
When do you order delivery food? Do you order it
often? Tell me all about the foods you get delivered!
7
Most Korean homes/apartments have keypad entry doors instead of traditional lock-and-key
doors. These keypad doors come with a built-in electric doorbell that people can ring when they
arrive,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wall-mounted screen in the entryway. It's common for people to
turn off this alarm sound at times when they don't want to be disturbed.
45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네 쌍
Four couples
미나리
Minari (movie)
05
시리즈
Series
주인공
Main character
분위기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Atmosphere/vibe
영화 추천;
더 테이블
46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어떻게 지내고 계신가요?
한국어 한 조각 선생님들은, 저도 포함해서, 모두 별일 없이 잘 지내고 있어요.
요즘 날씨가 참 더워졌어요. 여름이네요.
오늘은 제가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여러분께 좋은 영화를 추천해 주려고 해요.
[2] 특히 한국어 공부에 도움이 '아마' 될 거라고 생각하는 영환데요. 예전에 저는 영어를 공부할
때, <비포 선셋>, <비포 선라이즈>, 이 '비포 시리즈' 영화를 되게 많이 봤어요. 자주 봤어요.
그리고 대본집, 책도 사서 읽기도 했고요. 영화가 예쁘기도 했지만, 두시간 넘게 두 주인공이
계속 이야기를 하잖아요. 이런 저런 얘기, 가벼운 이야기부터 진지한 얘기까지.
그런데 한국 영화에도 이렇게 약 한 시간 반 정도 계속 이야기만 하는 영화가 있어서,
딱 여러분이 생각났어요! '아, 이건 소개해 줘야겠다!' 이 영화는 넷플릭스에 있으니까, 여러분
꼭 찾아서 한번 보세요. 제목은 바로 <더테이블>입니다. 네. 탁자, 그 테이블이에요.
[3] 옴니버스 식 영화라고 해야 할 것 같아요. 네 쌍의 커플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테이블, 탁자가 나오고요. 어느날, 하루 동안 서울의 한 작은 카페에 있는 테이블에 찾
아온 손님들 이야기예요. "안녕~ 오랜만이야~ 어떻게 지냈어?" 이런 가벼운 대화부터, 살다보면
이런 일도 있고 저런 일도 있고. 깊은 대화까지 정말 많고 다양한 이야기를 해요.
[4] 첫 번째 커플은, 유명해진, 스타가 된 여배우가 전 남친을 오랜만에 만나서 하는 이야기인데
요. 이 여자 배우는 정유미 씨라고, 얼마 전 <82년생 김지영>이나 <보건교사 안은영>의 주인공
이었던 배우예요. 두 사람이 잔잔하게 이야기를 하지만 잘 들어보면 말에 뼈가 있어요. 말에 뼈
가 있다는 말은 "언중유골"이라고도 하는데 평범하게 들리는 말 속에 깊은 뜻이 있다는 말이에
요. 그래서 그냥 아무렇지 않게 던지는 말인데 잘 들어보면 다른 뜻이 있는 거죠. 그래서 그런 걸
생각하면서 들으면 재미있더라고요.
47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본문 MAIN TEXT
[5] 두 번째 커플은 간단히 말하면 사랑 이야기는 사랑 이야기인데, 처음에는 남자가 좀 얄미웠
는데 뒤로 가면 갈수록 귀여워져요. 사랑을 처음 시작할 때의 간질거리는 마음을 잘 표현한 것
같아요.
[6] 이런 식으로 네 쌍의 커플이 나오는데 그중에서도 제가 제일 좋아하는 쌍은 3번째 사람들이
에요. 늦은 오후 카페에서 두 여자가 만나요. 여기서 "쌍"은 두 개를 하나로 묶어서 셀 때 쓰는 말
이에요. 한 쌍, 두 쌍, 세 쌍 이렇게요. 아무튼 이 세 번째는 남/녀 커플, 남자와 여자의 이성적인
관계의 사람들이 아닌데요. 그래서 커플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한 쌍'이라고 말했어요.
[7] 아무튼 이 사람들은 가짜로 만나는 모녀지간인데요. 모녀지간은 어머니와 딸의 관계라는
뜻이에요. 제가 딸로 나오는 한예리라는 배우를 정말 좋아하는데요. 얼마전에 아카데미상에서
여러 부분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미나리>라는 영화에도 나오는 배우예요.
이 가짜 엄마와 딸의 이야기는 내용 자체는 "어? 이게 무슨 얘기지?" 잘 이해가 안 가고 복잡할
수도 있는데 결혼 사기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을 해요.
사기는 거짓말로 다른 사람들을 속인다는 거예요. 그래서 처음에는 듣다 보면, 좀 나쁘고 안 좋
은 느낌이 들어야 되는데 두 사람이 하는 이야기를 듣고, 또 두 사람의 연기를 보면 "어? 이게 처
음에 생각한 그런 게 아니구나"하고 느끼게 돼요.
[8]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엄청 차분하고 조용하고 약간 가라앉은 느낌인데요. 영상이 아주
깨끗하고 예뻐요. 음악도 잔잔하게 들리고요. 이런 분위기를 '서정적이다'라고 말해도 될 것 같
아요. '서정적이다'라는 말은 정서를 아주 많이 담고 있다는 뜻인데, 정서는 우리 마음속, 사람들
의 마음속에 생기는 다양한 감정이나 또는 그런 감정을 만드는 분위기를 말해요. 여러분의 마음
속에 어떤 느낌이 생기도록 하는 분위기를 보통 '서정적이다'라고 말해요. 그래서 이 영화는 정
말 서정적인 것 같고, 또 이런 서정적인 영화로 제가 추천해 드리고 싶은 영화가 "윤희에게"라는
영화를 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영화는 다음에 또 소개해 볼게요~
48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본문 MAIN TEXT
[9] 아무튼, '서정적이다'의 비슷한 말로는 '시적이다, 목가적이다' 이런 말도 있어요. 이 말은 조
금 어려우니까 굳이 외우지 않아도 괜찮아요. 저는 일할 때, 수업 자료를 만들 때 아주 조용한 환
경에서 일할 때도 있지만 가끔은 asmr처럼 작은 소리를 틀어 놓고 일할 때도 많은데, 이 영화가
그러기 딱 좋은 것 같아요. 카페에 앉아 있는데, 누가 옆에서 계속 이야기하고 있는 느낌!
[10] 각 커플들의 이야기가 그렇게 길지 않으니까 여러분 한 번에 한 커플의 이야기를 잘라서
여러 번 들어 보세요~ 한국어에 분명 도움이 될 거예요.
그리고 오늘 이 팟캐스트는 일주일 정도 여러 번 들어 보고, 다음 주나 다다음 주쯤에 제가 유튜
브에 스크립트와 함께, 여러분이 눈으로 글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을 만들어서 올리겠습니
다.
49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별일 없다
to be fine; have nothing wrong
대본집
a script book
진지하다
to be serious
딱
옴니버스
1) suddenly 2) perfectly/exactly
an omnibus/anthology
식
style/type
쌍
a pair
보건 교사
a school nurse
잔잔하다
to be calm/tranquil
말에 뼈가 있다
to have a hidden meaning
V-아/어 주다
To do an action for someone
else's benefit.
'I do X (for you)'
'Please do Y (for me)'
A/V-(으)면 A/V-(으)ㄹ수록
As one thing happens,
something else happens to
the same extent. e.g.
'The more X, the more Y'
[lit. "there are bones in the words"]
(말을) 던지다
얄밉다
간질거리다
묶다
이성적이다
사기
속이다
전체적이다
to blurt out; say whatever
to be hateful/mean
to feel ticklish
to tie/bind
between a man and a woman
fraud
to deceive/trick/fool somebody
overall; general
차분하다
to be calm
가라앉다
to settle/subside
영상
an image/picture; 2) a video
정서
sentiment; emotions; feelings
꼽다
to count (on one's fingers); point out
시적이다
to be poetic
목가적이다
to be idyllic
(소리를) 틀어 놓다
to play; to put on (a noise/sound)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50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이 사람이 이 영화를 추천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1. 영화가 재미있어서
2. 영화의 음악이 좋아서
3. 영화의 분위기가 서정적이어서
4. 한국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이라서
Q2. 이 영화에 나오지 않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1. 엄마와 딸
2. 슈퍼 스타인 배우
3. 처음 사랑을 시작하는 사람들
4. 헤어진 남자 친구
Q3. 영화의 제목이 왜 '더 테이블'입니까?
1. 카페가 배경이라서
2. 커피를 마시기 때문에
3. 영화에서 탁자가 예쁘게 나와서
4. 탁자를 찾아온 사람들 이야기라서
51
Answers: 4 / 1 / 4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어떤 영화를 좋아해요?
좋아하는 배우를 소개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최근에 본 영화 중에서 추천하고 싶은 영화를 소개해 주세요.
Introduce a movie that you've seen recently that you want to recommend.
52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번역 TRANSLATION
[1] How have you guys been doing?
The Piece of Korean teachers, including me, are
all doing well.
The weather has gotten quite hot recently - I
guess summer's here.
Today I'd like to recommend a good movie to all
of you who are studying Korean.
[2] It's a movie that I think would be particularly
helpful for studying Korean. In the past when
I was studying English, I watched a lot of the
'Before Series' movies like 'Before Sunset,' and
'Before Sunrise.' I watched them all the time. I
also bought the script books and read those, too.
The movies are beautiful, but they're basically
two plus hours of the two main characters just
talking. All sorts of conversations, from light topics to serious ones.
Incidentally, there's also a Korean movie that has
about an hour and a half of continuous conversation like this, so I thought, "Ah! I should tell them
about this!"
This movie is on Netflix, so you guys should
definitely check it out. The title is 'The Table.' Yes.
Takja. That table.
[3] I think it's an omnibus/anthology film. It's a
story about four couples, and as you can tell from
the title, there's also a takja, a table. It's a story
about one day in a small coffee shop in Seoul,
and the conversations of the people who end
up at that table. There's a huge variety of things
they talk about, from small talk like, "Hi, long time
no see! How have you been?" and general daily
things neither here nor there, but also a lot of
deep conversations as well.
[4] For the first couple, it's the story of a famous
actress who became a star and is meeting an old
boyfriend who she hasn't seen in a long time. The
actress who plays her is Jung Yu-mi, who also
starred in the movies 'Kim Ji-young, Born 1982'
and 'The School Nurse Files.' The couple talks
calmly, but if you listen carefully there are bones
in the words. The expression "there are bones in
the words" is talking about 'hidden meaning,' and
it's used in times when ordinary-sounding words
carry a deeper meaning inside. So they're just
talking casually, but if you listen closely, they're
really saying something else. So it's pretty interesting if you listen to them with that in mind.
[5] As for the second couple, to put it simply, this
is your typical love story, where at first the guy's
a bit of a jerk, but the farther back you look, the
more charming he gets. I think it does a good job
of expressing that fluttery feeling when you first
start to love someone.
[6] Four couples show up like this, and out of all
of them my favorite is the third pair. Two women
meet at the cafe late in the afternoon. Here, the
word 'pair' is used when we count two things
together as one thing. One pair, two pairs, three
pairs. Like this. Anyway, this third pair isn't a
male/female couple; they aren't a man and a
woman who are in a heterosexual relationship.
So that's why I didn't call them a couple, and just
called them 'a pair.'
[7] Anyway, these people have a fak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Monyeojigan'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and daughter.
I really like the actress Han Yae-ri who plays the
daughter. She also appeared in the movie 'Minari,' which was recently nominated for several
academy awards. The contents of this fake
mother and daughter's conversation make you
go, "Huh? What are they even talking about?" It's
hard to understand, and it can be confusing, but
they start off talking about marriage fraud. Fraud
is when you deceive other people through lies. So
when you hear it the first time, you're meant to
kind of get an uneasy feeling, but as you listen to
the two of them talk, and see their performance,
you end up feeling like, "Oh? So it's not what I
thought it was at first."
[8]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movie is very
calm, quiet, and a little subdued. The film is very
clean and elegant. And the music plays softly. I
think you can also call this kind of atmosphere
'poignant.' The word 'poignant' means that it
contains a lot of sentiment, and sentiment refers
to the various emotions that arise in our minds
- in people's minds - or the atmosphere that creates those emotions. An atmosphere that creates
a certain feeling in your heart is usually called a
'poignant' atmosphere. So I think this movie is really poignant, and I think I could also point out the
movie 'Moonlit Winter' as another poignant movie
I'd like to recommend to you. Next time I'll tell you
about that movie too!
53
Ch05
05 영화 추천; 더 테이블 Movie Recommendation; The Table
번역 TRANSLATION
[9] Anyway, there are also some similar words for
'poignant', like 'poetic' and 'idyllic.' These words
are a bit difficult, so you don't necessarily have
to memorize them. When I work, when I make
class materials, sometimes I work in a very quiet
environment, but there are also times where I put
on a little noise to work like ASMR, and I think this
movie is perfect for that. It feels like I'm sitting in
a cafe and someone is talking next to me!
[10] Each couple's story isn't that long, so try
taking one couple's story at a time and listen to
it several times - I'm sure it'll help you with your
Korean.
And listen to today's podcast a couple times this
week, and then next week or the week after,
I'll make a video with the script and upload it to
YouTube so that you guys can check out the text
for yourselves.
54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아메리카노
Americano
커피머신
Coffee machine
06
홈카페
Home cafe
디카페인
Decaf
얼죽아
COFFEE
Hardcore iced
americano drinker
커피
55
Ch06
06 커피 Coffee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혹시 제 모닝 루틴 영상, 예전에 유튜브에 올린 거 보셨나요?
제가 아침에 꼭 하는 일 중에 커피 마시기가 있거든요. 그런데 커피에 대해서 이야기를 시작하면
길어질 것 같아서 영상에서는 짧게 "어떤 커피를 마셨다" 이렇게만 이야기를 하고 넘어간 적이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그 커피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물론 이것도 나중에 다양한 모습, 커피를 마시는 모습이나 제가 자주 가는 카페 등 영상으로도
찍으면 좋을 것 같긴 한데요. 그런데 오늘은 영상으로 만들기에는 조금 (애매하고) 그렇게 대단
하지 않은 이야기도 있어서 그것을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2] 일단 저는, 흔히 말하는 "얼죽아"입니다. 얼죽아는 '얼어 죽어도 아이스 커피 또는 아이스 아
메리카(노)'를 줄인 말인데요. 전 얼죽아예요. 전 뜨거운 커피를 잘 못 마셔요. 추워도 얼음이 들
어간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십니다.
[3] 일단 커피 종류부터 몇 개 말해 볼까요? 가장 흔한 아메리카노 그리고 또 사람들이 많이들
마시는 라떼, 조금 단 바닐라 라떼, 초코맛이 나는 카페모카도 있지요? 그리고 또 요즘은 한국은
콜드브루 커피도 꽤 유행하고 있어요. 콜드브루. 그리고 또 뭐가 있을까요? 아, 카푸치노! 그리
고 에스프레소.
[4] 그런데 한국에서는 카푸치노는 그렇게 인기가 많은 것 같지는 않아요. 제 주변에서 마시는
사람을 한 번도 본 적이 없고, 아니 지금까지 살면서 아마 한 명 봤나 (싶어요). 저도 지금까지 살
면서 한 번 마셔 본 것 같아요. 카푸치노보다는 차라리 라떼를 마시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이거는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메뉴는 그렇고요.
[5] 이번에는 커피숍, 카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요?
한국의 커피전문점 브랜드 평판에 대해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조사를 한 게 있는데요.
2021년 6월 조사한 바에 의하면 1위는 스타벅스, 2위는 투썸플레이스 그 뒤로 메가커피, 이디
야, 빽다방 순이라고 합니다. 아마 1위하고 2위는 예상을 하셨을 것 같아요. 워낙에 한국 사람들
56
Ch06
06 커피 Coffee
본문 MAIN TEXT
이 좋아하고 자주 가는 카페니까요. 그런데 저는 커피빈도 자주 가거든요. 그런데 커피빈은 9위
더라고요. 여기 커피 맛있는데 매장이 별로 없어서 그런 것 같아요. 저희 동네만 해도, 제가 도보
로 갈 수 있는 거리에 스타벅스는 네 개인가 다섯 개 정도 있거든요. 반면 커피빈 매장은 하나밖
에 없어요. 일단 매장이 많지 않으니까 사람들이 자주 찾지 못하는 것 같아요.
여러분은 한국에서 어느 카페에 가 보셨어요? 좋아하는 브랜드가 있나요?
[6] 그리고 이번에는 카페 말고, 요즘 유행하는 "홈카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볼게요.
이 홈카페라는 개념은 사실 없었던 건 아닌데, 이번에 코로나 시대가 되면서 사회적으로 대두된
것 같아요. 한동안 한국은 카페에서 커피를 못 마시던 때가 있었거든요. 테이크아웃만 할 수 있
고. 이러면서 집 안에서 커피를 즐기는 행위가 주류로 자리를 잡게 된 것 같아요. 일상 생활의 일
부로 자리를 잡은 것 같아요.
[7] 집에서 차 마시고 커피 마시는 게 특별한 일인가 싶겠지만 이걸 좀 더 본격적으로 집에서 할
수 있게 꾸미는 사람들이 늘어났어요. 그래서 커피 머신, 에스프레소를 뽑을 수 있는 기계의 판
매량도 엄청 늘었고 또 캡슐 커피를 찾는 사람들도 많아졌고요. 저희 집도 네스프레소(Nespres
so)의 캡슐 머신이 있어서 가끔 이걸로도 마십니다.
[8] 또 인스타그램 같은 데서 해시태그로 홈카페를 찾아 보면 사진이 엄청 많이 나오는데요. 정
말 예쁘게 인테리어를 한 분들이 많더라고요. 이렇게 자기만의 카페를 꾸며서 자랑하고 또 친구
들을 집으로 초대해서 커피를 마시면서 수다 떨고. 티타임을 갖는 일이 꽤 많아진 것 같습니다.
[9] 제가 좀 뭐든지 경제하고 연관 짓는 습관이 있는데. 이것도 굳이 경제와 연관을 짓자면, 작년
에 나온 기사 중에 이런 게 있었어요."커피 머신/카누 매출 상승, 홈카페 상승세 불 지핀 거리두
기"이런 제목인데요 내용은 지금 말씀드린 것하고 비슷해요. 코로나 때문에 거리두기를 하면서
카페에 못 가게 됐어요. 그래서 집에서 커피를 즐기는 사람이 늘었어요. 이런 기사였어요.
57
Ch06
06 커피 Coffee
본문 MAIN TEXT
[10] 기사를 보면 아주 단적인 예로, 한국의 인스턴트 커피 중에 판매량 1위가 카누인데요.
카누라는 커피가 있는데 저도 자주 마시거든요. 어제도 마셨고 오늘도 마셨고.
이 카누라는 커피의 매출이 전년도 대비 17%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11] 또 커피 머신 중에 유명한 이탈리아 브랜드인 '드롱기,' (이탈리아 맞나요? 독일인가?)
드롱기라는 회사가 있잖아요. 여기는 무려 판매량이 전년 대비 40%나 증가했다고 해요.
그러니까 이 홈카페 시장이 상당히 커졌다는 말이지요. 그리고 그게 지금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고요. 혹시 이 기사가 궁금하신 분들은 제가 아까 말씀드린 기사 제목으로 찾아 보셔도 좋을
것 같고 아니면 그냥 기사 검색을 "홈카페"로 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2] 여러분은 언제 커피를 마시나요? 저처럼 아침에 일어나서? 아니면 일이나 공부를 하기 전
에? 친구를 만날 때? 그게 언제든지 상관 없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저는 커피를 마시는 시간이
중요해요. 왜냐하면 커피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어서 너무 많이 마시거나 좀 늦게 마시면 잠을 못
자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래서 제가 정한 규칙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오후 3시 이후에는 마시지 않는다 또는 꼭 마시고 싶다면 디카페인 커피를 마신다"입니
다.
[13] 카페인이 없는 것을 "디카페인"이라고 하는데 요즘엔 디카페인 커피도 많이 팔아요. 스타
벅스에서도 아메리카노를 주문할 때 "디카페인으로 주세요"라고 주문할 수도 있고요. 물론 추
가 금액을 내야 하지만. 그런데 이상한 게요. 제가 조금 더 젊었을 때, 이십 대 때는 저녁에 커피
를 마셔도 잘 잤거든요. 그런데 언젠가부터 오후나 저녁 때 커피를 마시면 그날은 잠을 못 자는
거예요. 그래서 이제는 "아, 나도 늙어서 그런가 보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건강을 위해 늦게 마
시는 커피는 피하려고 합니다.
[14] 여러분은 어떠세요? 커피 마셔도 잠을 잘 주무시나요? 아니면 저처럼 디카페인을 찾기도
하나요? 여러분의 커피 습관이나 커피 생활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
58
Ch06
06 커피 Coffee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올리다
to upload; to post [lit. to put up]
줄인 말
an abbreviation
차라리
rather than; instead
경향
전문점
평판
순
워낙에
도보(로)
개념
대두되다
a/the tendency
a (specialty) store/shop
reputation
(in) order
1) by nature; naturally 2) so/very
on/by foot
concept; idea; notion
to be on the rise; gain traction
행위
an act; the act
주류
(the) mainstream
자리잡다
full-blown/real/genuine/serious
꾸미다
to decorate; to spruce/fix up
판매량
연관 짓다
to relate/connect A to B
불을 지피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적이다
To say that you guess something to be true, based on
some direct experience
(e.g. seeing/hearing something first-hand).
'Huh, I guess it must be...'
sales (volume)
to boast/brag; to show off
상승세
A/V-(으)ㄴ/는가 보다
to brew (espresso)
자랑하다
매출
to say how/where one
receives information.
'According to...'
Often used with verbs like
알다, 물어보다, 찾다, 듣다.
to establish oneself (as)
본격적
(에스프레소를) 뽑다
V-(으)ㄴ 바에 의하면
sales
a rise; an upward trend/tendency
to light/build a fire; to ignite
(social) distancing
case-in-point; direct (example)
대비
a comparison; compared (with/to)
무려
as many as; as much as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59
Ch06
06 커피 Coffee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이 사람이 말한 것과 다른 것을 고르세요.
1. 유튜브에 관련 영상을 올린 적이 있다.
2. 이 사람이 커피 브랜드에 대해서 조사했다.
3. 요즘 한국에서는 홈카페가 유행하고 있다.
4. 나이가 들어서 카페인을 마시면 잠을 못 잔다고 생각한다.
Q2. 최근 한국 사회의 변화로 맞는 것을 고르세요.
1. 인스턴트 커피의 인기가 줄어들었다.
2. 커피 머신의 판매량이 늘고 있다.
3. 홈카페에 대한 SNS 게시글이 줄었다.
4. 코로나 때 커피숍의 인기가 더 늘었다.
Q3. 이 사람이 궁금한 것이 아닌 것을 고르세요.
1. 한국의 커피숍에 가 봤는지
2. 다른 사람들은 커피를 마시고 잘 자는지
3. 다른 사람들은 언제 커피를 마시는지
4. 커피는 왜 인기가 많은지
60
Answers: 2 / 2 / 4
Ch06
06 커피 Coffee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은 커피를 자주 마셔요?
여러분도 얼죽아예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 나라에서 인기 있는 커피숍과 여러분이 좋아하는 커피를 소개해 보세요.
Write about a coffee shop that is popular in your country, and what coffee you like.
61
Ch06
06 커피 Coffee
번역 TRANSLATION
[1] By any chance, have you all seen the morning routine video I uploaded on YouTube a while
back?
One of the things I always do in the morning
is drink coffee. But I thought if I started talking
about coffee it would've gotten too long, so in the
video I just briefly said, "I drank some coffee" and
moved on. So today, I'm thinking I'll talk about
coffee in more detail.
Of course, I do also think it'd be nice to film these
things in a video later on - all kinds of things, like
me drinking coffee, the cafes I frequent, etc. But
today's topic is a bit vague and not that great for
making a video, so I'm thinking I'll just talk about
it.
[2] First of all, I'm what you'd commonly call an
'uhl-juga.' Uhl-juga is short for "even if I freeze to
death, it's iced americano1 for me." I'm an uhl-juga. I can't really drink hot coffee. Even if it's cold
out, I'll drink an americano with ice.
[3] First, shall we start off by talking about some
types of coffee? The most common is the americano, and lots of people also drink lattes, slightly
sweet vanilla lattes, and there's also chocolate-flavored mochas, right? And coldbrew coffee
is quite trendy in Korea these days. Coldbrew.
And what else is there? Ah, cappuccino! And
espresso.
[4] But I don't think cappuccinos are that popular
in Korea. I've never seen anyone around me drink
one - well no, maybe I've seen it once. I think I've
probably even tried it once, myself.
But it seems like people have a tendency to drink
lattes rather than cappuccinos.
However, this is just my personal opinion.
Those are the coffee options in Korea.
[5] Shall we talk about coffee shops and cafes
now?
The Korea Corporate Reputation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a survey on the brand reputation
of Korean coffee shops.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in June of
2021, Starbucks ranked first, with A Twosome
Place coming in second, followed by Mega Coffee, Ediya, and Paik's Coffee in that order. I think
first and second place are probably what you'd
1
expect. Since these have always been cafes Korean people like and visit often. Personally I also
go to The Coffee Bean a lot. But The Coffee Bean
was in ninth place. Their coffee is good, but they
don't have many stores, so I think that's why.
In my neighborhood alone, there are about four
or five Starbucks within walking distance of me.
On the other hand, there's only one Coffee Bean
cafe. I don't think many people can find it in the
first place because there aren't many locations.
Which cafes have you all been to in Korea?
Do you have a favorite?
[6] And now, rather than those cafes I'd like to
talk about the 'home cafes' that have been trending these days.
Actually, it's not that home cafes didn't exist
before, but they seem to be culturally on the rise
since Covid. Because for a while, there were
times when you couldn't drink coffee at a cafe in
Korea. You could only get it to-go.
As time went on, I think the act of enjoying coffee at home became more mainstream. It seems
to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part of daily life.
[7] I guess some people might think just drinking
tea and coffee at home isn't that special, but
lately more and more people have been creating
their own full-blown cafes at home. So sales of
both coffee machines and espresso machin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more people
are seeking out single-use coffee pods. We also
have a machine for Nespresso pods at home, so
sometimes I use that too.
[8] And if you search the home cafe hashtag on
sites like Instagram, a whole lot of pictures come
up. There are lots of people who have done up
their cafe spaces really nicely. So you can decorate and show off your own cafe, invite friends
to your house, and chat while drinking coffee. It
seems like tea time is becoming more commonplace.
[9] I have a habit of relating everything to the
economy. If I were to relate this to the economy
as well, there was this article that came out last
year.
The title is, "Coffee machine/Kanu sales rise, social distancing ignites rising trend of home cafes."
Americano (아메리카노) is a shot of espresso (usually single or double) diluted with water.
62
Ch06
06 커피 Coffee
번역 TRANSLATION
The contents of the article are similar to what
I was just talking about. People couldn't go to
cafes while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 So the
number of people enjoying coffee at home has
increased. Things like that.
[14] How about you? Do you sleep well even if
you drink coffee? Or do you also look for decaf
like me?
Please tell me all about your coffee habits and
how coffee fits into your lives!~
[10] If you read the article, Kanu is case-in-point
the number one selling instant coffee in Korea.
There's this coffee called Kanu, and I drink it often, too. I drank it both yesterday and today. They
said that the sales of Kanu coffee increased by
more than 17%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11] Another coffee machine, the famous Italian
brand 'De'Longhi' (It's Italy, right? Is it Germany?)
There's this company called De'Longhi. Sales
there are said to have increased by as much as
4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o this means that the home cafe market has
grown considerably. And it's continuing to do so
even now. If by any chance you're curious about
this article, I think you can search for it with the
article title that I mentioned earlier, or I think you
could just do a search for the article using "home
cafe".
[12] When do you guys drink coffee? When you
wake up in the morning like me? Or before you
work or study? When meeting a friend? I'm sure
there will be people who don't care, and just drink
it any time. But for me, the time I drink my coffee
matters. Because coffee has caffeine in it, so if I
drink too much, or if I drink it a bit late in the day,
there are times when I can't sleep.
So there's one rule I've set for myself.
And that rule is; "I don't drink coffee after 3pm,
but if I really want to have some, then I'll have
decaf."
[13] Things that are caffeine-free are called
'decaffeinated,' and these days, they sell a lot of
decaf coffees, too. Even at Starbucks when you
order an americano, you can say, "decaf, please!"
Of course, you have to pay extra.
But it's strange... when I was a little younger,
when I was in my twenties, I slept well even if I
drank coffee in the evening.
But for some time now, it's been that if I drink
coffee in the afternoon or evening, then I don't
sleep well that night. So now I'm thinking, "Ah,
it must be because I'm getting old," so for my
health, I'm trying to avoid drinking coffee too late.
63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산
Mountains
바다
Seaside
07
한여름
Midsummer
호캉스
Staycation
힐링
SUMMER VACATION
Healing/rejuvenating
여름 휴가
64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본문 MAIN TEXT
[1] 요즘 한국은 마치 동남아시아의 스콜처럼 낮에 갑자기 소나기가 막 쏟아지다가 또 갑자기 쨍
하고 해가 나서 더워요. 요 며칠 그런 날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게 여름이라 그런 거겠죠?
한국은 보통 6월 초에 장마가 와서 비가 한 2주간 내리는데 올해는 장마가 엄청 늦춰져서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쯤부터 장마가 시작된다고 하네요.
[2] 이렇게 장마가 지나고 한여름이 되면 슬슬 여름 휴가를 준비할 텐데요. 물론 올해도 작년처
럼 코로나 때문에 예전같이 자유로운 여행이 가능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쉬어야 할 때는 맞잖아
요, 너무 더우니까. 여러분은 여름 휴가 계획을 세우셨나요? 전 아직 세우지는 않았지만 지금 계
속 고민하고 있어요.
"어디로 갈까? 가기는 갈까? 얼마나 갈까?" 하고요.
[3] 보통 한국에서는 휴가하면 바다나 산, 이렇게 두 개의 선택지를 떠올리는 것 같아요. 어쨌든
자연을 찾아간다는 건 마찬가지지만 두 개의 성격이 참 다르죠? 산에 가서 등산을 하거나 캠핑
을 하거나 나무에 둘러싸여서 힐링하는 걸 선호하는 사람도 있고 바다에 가서 수영을 하거나 다
양한 액티비티를 즐기거나 또는 그저 해변가에 누워서 바다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힐링
이 되어서 바다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고요.
[4] 저는 휴가는 무조건 바다! '바다파'인데요. 그런데 재미있는 게 막상 제가 언제 어떻게 힐링
을 받는지 생각해보면 초록색 나무를 볼 때 에너지를 받는다는 거예요. 그래도 휴가는 바다로 가
야한다고 생각하지만요. 저는 일상 생활이나 일에 지쳐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는 산이나 나무
가 좀 있는 공원에 가지만, 휴가는 바다로 가는 걸 좋아하고 또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편이
에요.
그래서 "내가 왜 그러지?" 생각을 해 보니까 이런 이유인 것 같아요.
[5] 제 고향은 산으로 둘러 쌓인 도시였어요. 그런 지역을 "분지"라고 하는데 어느 방향을 바라
보든 다 산이 보이는 거예요. 동쪽을 봐도 산, 서쪽을 봐도 산, 이렇게 사면이 다 산이었어요.
65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본문 MAIN TEXT
그래서 "어딘가로 떠난다," 멀리 간다고 하면 일단 산을 넘어야 되는 거죠. 그래서 어렸을 때는
가족하고 산을 넘어서, 그 산 너머에 있는 다른 곳을 가는 게 여행이었고 휴가였어요. 그리고 보
통 산을 넘어서 가면 바다나, 강, 호수 같은 물이 있는 곳으로 갔고요.
[6] 그렇게 벌써 오래 살다 보니까 지금처럼 이렇게 커서도 휴가, 여행 하면 물, 바다를 빼 놓을
수가 없더라고요. 여행을 가서 물을 안 본다? 그건 저한테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에요. 여행을 가서
산을 본다? 그건 저한테는 여행이 아니에요. 물론 이런 이유는 정말 제 개인적인 이유고요.
[7] 각자 다양한 이유, 다양한 성장 배경, 생활 환경에 따라서 선호하는 휴가지가 다를 거라고 생
각을 해요. 어떤 사람은 저와 반대로 바닷가에 오래 살았기 때문에 산으로 휴가를 가는 게 당연
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잖아요. 이런 걸 취향차이라고 하죠.
그런데 휴가나 여행을 갈 때, 같이 가는 사람하고 이런 성향이 맞는 것이 엄청 중요한 것 같아요.
나는 바다에 가고 싶은데, 누구는 "바다에 가기 싫고 지겨워. 산에 갈래" 이러면 같이 못 가겠죠?
[8] 참! 그런데 이 여름 휴가의 새로운 트렌드로서 (작년이 아니에요) 재작년부터 "호캉스"라는
것이 아주 유행하고 있어요. 언제부터라고 딱 집어서 말하기는 좀 어려운데, 어느샌가 우리 생활
속에서 일반적인 취미, 여행이나 휴가의 한 종류로 받아들여지는 것 같은데요. 바로 프랑스어인
"바캉스"와 "호텔"을 합쳐서 호캉스라고 해요.
"어디 멀리 길게, 오래 휴가를 가는 것도 하나의 스트레스다! 준비하는 거, 예약하는 거, 알아보
는 거, 이런 것도 다 귀찮고 힘들다. 그저 쉬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어느샌가 많아졌는데, 그래서 "그럼 그냥 호텔에 가서 쉬어야겠다"
이렇게 된 거예요.
[9] 또, 보통 휴가를 해외로 가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그 비행기값 등을 세이브(save)해서 "차
라리 좋은 호텔에서 지내다 오자" 이렇게 생각을 바꾸게 됐습니다. 생각의 전환이라고 할까요?
서울에서도 고급 호텔들이 꽤 있는데, 그래서 그런 호텔에서도 이런 호캉스족, 호캉스를 즐기는
66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본문 MAIN TEXT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패키지 상품을 내 놓고 있어요.
[10] 저도 친구하고 몇 번 간 적이 있는데요. 어디 멀리 갈 시간도, 마음의 여유도 없고 또 이것
저것 알아보기는 귀찮은데 여행 온 느낌을 내면서 좀 쉬고 싶을 때, 그때 가까운 호텔로 갔습니
다. 저녁에 맥주, 와인 한 잔 하고 밤새도록 수다도 떨고요. 아침엔 레스토랑에서 조식도 먹고요.
그게 진짜 힐링 되고 휴가 느낌이 나더라고요. 호캉스에 대해서는 다음에 또 길게 이야기할 기회
를 제가 한번 만들어 볼게요. 저도 호캉스를 무척 좋아하거든요.
[11] 아무튼 이렇게 휴가, 여름 휴가, 산이나 바다, 또는 호캉스로 즐기든, 이제 휴가의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여러분은 이번 여름 휴가를 어떻게 보내실 건가요? 계획이나 좋은 생각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67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소나기
막
쏟아지다
쨍하다
장마
늦추다
슬슬
선택지
a (sudden) shower
suddenly; as soon as; just; right when
to pour/rain down
bright/blazing
to delay
slowly; leisurely; gently
choices; options
to come to mind; to think of
마찬가지
to be the same (way); identical
힐링
to be surrounded by
to be healing/rejuvenating/therapeutic
선호하다
to prefer
그저
just/only
바라보다
막상
지치다
to gaze/watch/stare at
actually
four sides/faces
넘다
go over/beyond; cross; pass; exceed
너머
beyond/over/across
성향이 맞다
집다
받아들이다
밤새도록
조식
V-다 보니(까)
When you realize
something in the midst
of some action.
'I was doing... when I
realized that...'
A/V-(으)ㄹ 텐데요
To hedge against a future
outcome/suggestion/
assertion.
'(But) it's supposed to be...'
'(But) there's probably...'
1) tired; worn out; 2) sick/tired of
사면
성장 배경
An act of reporting another
person's speech as interpreted by the speaker.
'They said that...'
the rainy season
떠올리다
둘러싸이다
V-ㄴ/는다고 하다
one's background/upbringing
one's disposition fits/matches
to pinpoint; to put one's finger on
to accept something
all night long
breakfast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68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요즘 한국 날씨는 어떻습니까?
1. 하늘이 맑고 날씨가 좋다.
2. 갑자기 비가 쏟아진다.
3. 아직 따뜻하다.
4. 시원하다.
Q2. 이 사람이 휴가를 바다로 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 등산이나 캠핑을 싫어해서
2. 어렸을 때 산을 많이 봐서
3. 바다에서 수영하고 싶어서
4. 물을 보고 자라서
Q3. 다음 중 호캉스에 대해 맞는 내용을 고르세요.
1. '호캉스'는 한국어이다.
2. 멀리 떠나기 힘든 사람이 하는 것이다.
3. 멀어도 비싼 호텔에 가는 것이다.
4. 한국의 전통적인 휴가 방식이다.
69
Answers: 2 / 2 / 2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언제 휴가를 갈 거예요?
산을 좋아해요? 바다를 더 좋아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의 다음 휴가 계획을 써 보세요.
Write about your summer vacation plans.
70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번역 TRANSLATION
[1] Recently in Korea, it's been raining like we're
in Southeast Asia; sudden showers will be just
pouring down, and then just as suddenly it'll be
bright, sunny, and hot. It's been going on like this
for a few days. I guess it must be summer, huh?
In Korea, the rainy season usually comes in early
June, and then it rains for like two weeks, but
this year the rainy season has been delayed so
much that they say it's starting this weekend or
sometime next week.
tains; if you looked west: mountains; there were
mountains on all four sides. So if you're like, "I'm
going somewhere," or if you say, "I'm going far
away," then you have to cross the mountains
first. So when I was young, a trip or vacation
meant crossing the mountains with my family
and going to places beyond those mountains.
And usually when we crossed the mountains,
we'd go to a place with water, like an ocean,
river, or lake.
[2] Usually when the rainy season passes and
summer arrives, people start slowly preparing
for summer vacation. Of course, like last year,
traveling as freely as we used to this year isn't
possible thanks to the coronavirus, but it's still a
time where you should take it easy, right? Since
it's so hot.
Have you all made plans for your summer vacation? I haven't yet, but I'm thinking about it now.
Like, "Where should I go? Should I even go? How
long should I go for?"
[6] Having lived there for such a long time, and
even now that I'm all grown up, when I vacation
or travel I can't leave out the water - the ocean.
Going on a trip and not seeing water? That's
impossible for me. Going on a trip to see mountains? For me, that's not a vacation. Of course,
this is just my own personal reason.
[3] In Korea, when we go on vacation I think
these two options usually come to mind: either
the beach or the mountains. Either way, they're
the same in the sense that you're 'returning
to nature,' but these two have pretty different
vibes, right? Some people prefer going to the
mountains to hike, camp, or relax surrounded
by the trees, and some people prefer the sea,
because going to the sea and swimming, playing
around, or even just lying on the beach gazing at
the sea is relaxing enough.
[4] For me, a vacation should be at the ocean!
I'm team ocean. But the funny thing is, if I think
about when and how I actually feel refreshed,
then I'd say I get my energy from being around
trees. But even so, I think that on a vacation I
have to go to the beach. When I'm worn out and
stressed from my daily life or work, I go to a park
with some mountains or trees, but on vacation I
like to go to the sea, and I tend to think of going
to the beach as the natural choice for a vacation.
So I thought to myself, "why am I like this?" and it
seems like this is the reason...
[5] My hometown was a city surrounded by
mountains. This kind of area is called a 'basin,'
where no matter which direction you look, you
can see mountains. If you looked east: moun-
[7] I think that each person's preferred vacation
destination will differ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reasons, personal upbringing and daily surroundings. Unlike me, someone may think that
going on vacation to the mountains is natural
because they've always lived by the sea. To each
their own, right?
But when you go on vacation or travel, I think
it's really important that your disposition matches the person you're going with. If I want to go
to the beach, but they say, "I don't want to go
to the beach, I'm sick of it. I want to go to the
mountains," then we probably won't be able to
go together, right?
[8] Oh! But 'hocance,' (staycations) have been
a new trend in summer vacations. They've been
very 'in' ever since - ah, not last year, maybe the
year before last? It's a bit difficult to pinpoint exactly when, but it seems that somewhere along
the way, regularly going on a staycation has become a hobby for some people; we've accepted
them as a new kind of vacation or trip. The word
'hocance' is a combination of the French word
'vacance' and the English word 'hotel'.
It's stressful going far away on a long vacation!
Getting ready, making reservations, doing the
research - those things are all annoying and difficult. All you really need to do is just rest!
At some point, so many people had come to think
like this, that now it's like everyone's saying,
"Well, I guess I'll just go relax at a hotel."
71
Ch07
07 여름 휴가 Summer Vacation
번역 TRANSLATION
[9] Additionally, lots of people usually go abroad
on vacation, and after changing their minds and
being like, "Let's just stay here at a nice hotel
instead," they get to save all the money they
would've spent on the plane ticket and other
expenses. It's quite a change of tune, right?
There are also quite a few high-end hotels in
Seoul. So even those hotels are offering a variety of package deals for these staycationers, for
those who enjoy hocance.
[10] I've done a staycation with a friend a few
times too. When I couldn't afford to spend the
time or energy on traveling far, and researching
stuff would've been a pain, but I still wanted to
relax and feel like I was on a trip, that's when I
went to a nearby hotel. We'd have a glass of beer
or wine in the evening and chat all night. And
in the morning we'd go out to a restaurant for
breakfast.
It was really refreshing and it still felt like a real
vacation. I'll try to come up with another opportunity where I can talk at length about staycations.
Since I do really like them.
[11] Anyway, whether you're taking R&R, having
summer vacation, be it at the mountains or the
sea, or even at a hocance, vacation season is
here. How are you guys going to spend this summer vacation? Let me know if you have any good
plans or ideas!
72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피로하다
To be fatigued
회의감
Doubt
08
전자책 리더기
E-reader
도서관
Library
아날로그
PAPERBACK BOOKS & E-BOOKS
Analog
종이책과
전자책
73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본문 MAIN TEXT
[1] 여러분은 책 읽는 것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어렸을 때 도서관에서 상도 받았을 정도로 책 읽
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물론 바쁠 때는 못 읽을 때도 있지만 그래도 살아 있는 동안은 꾸준히 읽
으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2] 그런데 요즘은 책이라고 하면 종이로 된, 무거운, 두꺼운 책만 있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으로,
아이패드로 또 탭 등으로 읽을 수 있는 종이가 아닌 전자책을 읽는 사람들도 아주 많아졌어요.
그런데 휴대폰 화면 같은 oled나, lcd 화면으로 글을 읽으면 눈에도 안 좋으니까, 몇몇 회사들이
전자책 리더기를 만들었지요. 이 기계를 사용하면 눈도 피로하지도 않고 편하게 읽을 수 있어요.
[3] 이런 전자책을 읽을 수 있게 만든 기계, 리더기라고 하는데, 여기서 "기"는 기계 할 때 "기"예
요. 그래서 전자책을 read, 읽을 수 있는 기계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한국어로는 전자책이지만,
사람들이 e-book, 알파벳 e를 써서, 이북이라고도 많이 불러요. 그래서 저도 전자책 리더기, 이
북리더기가 있습니다.
[4] 제 첫 전자책 리더기는 미국 아마존에서 나온 킨들인데요. 아직도 집에 있거든요. 이게 한
7~8년 전, 8~9년 전 정도에 산 것 같은데, 얼마 전에 켜 보니까 아직 잘 되더라고요. 그런데 이
킨들로는 한국 서점을 이용할 수가 없어서 결국 한국에서도 전자책 리더기를 샀어요. 이것도 한
5~6년 전쯤인 것 같아요. 아무튼 이렇게 이 기계는 오래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 책을 한
번에 한 권씩 읽는 사람도 있지만 저 같은 경우는, 한 번에 두세 권씩 동시에 읽기도 하거든요.
그럼 그 두세 권을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나? 그럼 너무 무겁잖아요.
[5] 그런데 이 전자책 리더기에는 책을 엄청 많이 담을 수 있어요. 제가 본, 예전에 나온 전자책
리더기 광고에 의하면, 그 회사 기준으로는 1,000권까지 담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물론 이것도 제가 꽤 예전에 들은 것이기 때문에 아마 요즘 나오는 전자책 리더기에는 더 많이
넣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렇게 기계 하나에 책을 많이 담아서 가지고 다닐 수 있으니까 책을 하
나 읽다가, "어? 다른 거 읽고 싶은데?" 그럼 바로 다른 책을 펼칠 수가 있어요. 이제 또 큰 장점
74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본문 MAIN TEXT
인 것 같아요.
[6] 특히 이 점은, 여행 갈 때 빛을 발하는데요. 여기서 "빛을 발하다," 발한다는 말은 자기 능력
을 다 드러낸다, 자기가 갖고 있는 가치를 충분히 아주 빛나게 한다, 잘한다, 이런 뜻이에요. 그
래서 여러 권을 가지고 다닐 수 있다는 것이, 이것이 빛을 발하는 순간은 바로 여행 갈 때죠.
여행가서 휴양지, 바닷가 이런 데서 여유롭게 책을 읽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7] 그런데 거기서 책을 딱 펼쳤는데, 아 읽다 보니까 "별로야, 다른 책이 읽고 싶어." 그럼 종이
책의 경우는 다른 책으로 바꿔 읽기가 힘들잖아요. 여행 갈 때 책을 많이 가지고 가지는 못하니
까요. 무거워서. 하지만 전자책 리더기에는 내가 구입한, 내가 넣은 전자책들이 다 들어가 있으
니까 거의 뭐 도서관을 들고 다니는 거나 마찬가지죠. 그러니까 여행가서 내가 진짜 읽고 싶은
책을 딱 골라서 읽을 수가 있죠. 이게 정말 너무 좋더라고요.
[8] 아무튼 그래서 저는 꽤 오랫동안 완전히 전자책 리더기파였어요. "이것만 맞다"고 생각한 사
람이었어요. "책은 무조건 전자책이지, 종이책을 사람들이 자꾸, 많이 사면 나무를 많이 써야 하
니까 환경도 파괴하고." 또 저 같은 경우에는 집이 좁은데, 책이 많아지면 집이 너무 좁아지거든
요. 이사갈 때 짐도 많아지고. 그래서 무조건 전자책을 사서 봤어요. 주변 사람들한테도 전자책
리더기를 엄청 추천했고요. 책을 안 읽는 사람도 전자책 리더기로 읽으면 평소보다는 더 읽게 된
다! 왜냐하면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동시에 여러 권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그때그때 기분에 맞
춰 골라서 읽을 수 있으니까요.
[9] 그렇게 전자책을 찬양하던 저였는데. 올해부터인가 조금씩 후회, 아니 후회까지는 아니고요.
회의감이 들기 시작했어요. 여기서 회의감이란 "의심이 드는 느낌"이란 뜻이에요. 의심. "이게
맞나? 이게 진짜 나한테 좋은 건가? 내가 잘하고 있는 건가?" 그런 생각이요. 왜냐하면 이게 한
국만 그런 건지 모르겠는데, 작가가 책을 내면 그게 바로 전자책으로 안 나오는 경우가 너무 많
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좋아하는 작가가 신간을 내서 너무 읽고 싶은데 전자책은 바로 안 나오
75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본문 MAIN TEXT
고, 또 언제 출간될지 모른다고 하는 경우도 좀 있었어요.
[10] 그럼 그때부터 고민이 시작되는 거죠. "아, 읽고 싶은데, 종이책 사? 말아? 기다려? 종이책
을 사면 그동안 내가 지켜온 내 신념, 나무를 지키자는 내 신념은 어떻게 되는 거지?"
이런 고민, 회의감이 계속 들더라고요. 그럼에도 끝까지 버티다가 전자책이 출간되면 사서 본
적도 있고 아니면 아직도 못 본 책도 있어요.
[11] 그런데 작년부터인가,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코로나로 사람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
면서 책을 읽는 사람들이 점점 늘었다고 하더라고요. 그때 동네 도서관에 대한 소식을 들었어
요. 제가 사는 곳은 서울의 마포구인데, 마포구에도 지역 도서관이 굉장히 많고 그 중에서도 꽤
큰 도서관이 저희 집 근처에 있더라고요.
이게 참 신기한 게 관심이 없을 때는 거길 지나가도 그게 눈에 안 보여요. 그런데 관심을 갖고 찾
아보니까 진짜 가까운 데에 있더라고요! 그래서 도서관에 갔습니다.
[12] 다행히 제가 예전에 다른 구에 살 때 그 구에 있는 도서관에서 회원 가입을 했었는데, 그 회
원 정보를 그대로 쓸 수가 있더라고요. 이게 서울시 도서관이 통합된 것 같아요, 시스템이. 그래
서 가입도 안 하고 바로 책을 빌릴 수 있었어요.
그렇게 종이책을 빌려서 보게 되었는데요. 이게 또 종이책을 읽다 보니까, 내가 직접 손으로 종
이를 만지면서 읽는 느낌이 너무 좋은 거예요. 그동안 제가 너무 종이책을 안 읽다 읽어서 그런
지 몰라도 확실히 기계로 읽는 거랑은 좀 다른, 아날로그적인 느낌이 있어요. 그 종이가 주는 적
절한 무게감도 나쁘지 않았고.
종이를 넘길 때 (나는) 바스락거리는 종이 소리, 종이를 손으로 만질 때 느껴지는 부드러움. 이런
느낌이 다시 생생하게 살아나서 '너무 종이책을 외면하면 안 되겠다'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13] 그래서 요즘은 전자책 리더기로 대부분을 읽기는 하지만 전자책이 없거나, 종이의 느낌을
느끼고 싶을 때는 도서관에서 빌려다 보기도 합니다.
76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본문 MAIN TEXT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전자책과 종이책, 종이책과 전자책, 어떤 걸 더 선호하시나요?
여러분 근처에도 도서관이 있습니까? 언제 마지막으로 도서관에 갔습니까?
77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상을 받다
꾸준히
피로하다
잘 되다
-씩
to get an award
regularly; consistently
to exhaust/fatigue/strain sth
to go/work well
at the same time; simultaneously
담다
1) put sth into sth; 2) hold/contain
기준
standard(s)
순간
to open; unfurl
a moment
휴양지
a vacation spot; a resort
무조건
definitely; no matter what; always
파괴하다
말씀드리다
찬양하다
신간
출간되다
신념
버티다
구
회원 가입
정보
to destroy
to say (honoring the listener)
to praise sth
a new release
A/V-더라고(요)
An expression used to state
a fact the speaker learned
through direct experience.
'I've found that...'
V-다시피
To confirm a fact that the
listener already knows. e.g.
듣다시피 - as you can hear
보다시피 - as you can see
알다시피 - as you know
to be published
beliefs; principles; convictions
to hold out; to endure
district; precinct
member registration/sign up
information
통합되다
to be united/combined
적절하다
to be right/proper/suitable (for)
바스락거리다
An expression used to ask
a question indirectly/softly/
gently.
each; respectively; apiece
동시
펼치다
A-(으)ㄴ가요?, V-나요
to rustle/whisper
생생하다
to be vivid/fresh
외면하다
to look/turn away; to disregard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78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전자책에 대한 설명 중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세요.
1. 전용 기계가 필요하다.
2. 한 번에 여러 권을 가지고 다닐 수 있다.
3. 특히 여행 갈 때 편리하다.
4. 종이책과 동시에 출간이 된다.
Q2. 다음 중 본문의 '빛을 발하다'와 다르게 쓰인 문장을 고르세요.
1. 내 능력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 왔다.
2. 지루한 비행 시간에 전자책 리더기가 빛을 발했다.
3. 새로운 전등이 밝게 빛을 발했다.
4. 오늘이야 말로 내 실력이 빛을 발할 것이다.
Q3. 다음 중 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세요.
1. 최근 들어 책을 읽기 시작했다.
2. 종이책보다는 전자책을 찬양하는 편이다.
3.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물건을 자주 사 준다.
4. 집 근처 도서관에 가서 회원가입을 했다.
79
Answers: 4/ 3/ 2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 집 근처에 도서관이 있어요?
요즘 어떤 책을 읽고 있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은 전자책을 많이 읽어요? 종이책을 많이 읽어요? 그 이유는 무엇이에요?
Do you read a lot of e-books, or paperback books? Why?
80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번역 TRANSLATION
[1] Do you all like reading books? When I was
young, I loved reading so much that I even got an
award from the library. Of course, there are times
when I'm busy and I can't read much, but I'm
still trying to make sure I keep reading regularly
throughout my life.
[2] But these days, when it comes to books,
thick, heavy, physical books aren't the only
option; there are lots of people reading paperless
electronic books, which can be read on smartphones, iPads, tablets, etc. However, reading text
on an OLED or LCD screen - like on a cellphone
screen - isn't good for your eyes, so several
companies have created electronic book readers.
When you use these devices, you can read comfortably without straining your eyes.
[3] The devices that allow us to read these
electronic books are called ridogi (readers), and
the 'gi' here is the same 'gi' used in the word
'gigyeh' (machine). So this means it's a machine
that can read electronic books. Additionally, in
Korean they're also called electronic books, but
many people call them e-books using the alphabet letter 'e' as well. On that note, I also have an
e-book reader.
[4] My first e-reader was a Kindle, which was
released through Amazon. I still have it at home.
I think I bought it about seven or eight, maybe
eight or nine years ago, but I turned it on recently, and it was still working. But the Kindle isn't
compatible with bookstores in Korea, so I ended
up buying an e-reader in Korea too. I think that
was about five or six years ago. Anyway, these
devi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last
for a long time, and while there are people who
read one book at a time, I actually read two or
three at once. So then - would I have to always
carry around two or three books at a time?
That'd be way too heavy.
[5] But these e-book readers can hold a lot of
books. According to a commercial I saw for an
e-reader that came out a while back, they could
hold up to 1,000 books by that company's standards. Of course, this was something I heard
quite a while ago, so I think you can probably put
even more books on the e-readers coming out
nowadays. Since you can carry a lot of books on
one device like this, you could be reading a book
and go, "Ah, I want to read something else," and
then just open another book right away. I think
that's another huge advantage.
[6] The time that this advantage really shines is
when you're traveling. In the phrase "bi-cheul
balhada," the word balhada means something
like: one's skills are revealed, one's value fully
shines, one is really good at something. So being
able to carry around multiple books - the moment
this really shines is when you're traveling, right?
How great is it to be on vacation, leisurely reading somewhere like a resort or beach?
[7] So let's say I've just opened my book at the
beach, but now that I'm reading it I'm like, "This
one's not very good, I want to read something
else." Then, in a physical book scenario, switching to another book could be difficult, right?
I can't take that many books with me when
I travel, since they're heavy. But an e-reader
contains all the e-books I've bought or downloaded, so it's almost like carrying around an entire
library! That means on my trip I can choose whatever book I feel like reading. It's just the best.
[8] Anyway, that's why I've been completely
team e-reader for quite a while now. I was one
of the people who thought, "Electronic books
are the way to go!" and, "When people keep on
buying lots of physical books, it uses up so many
trees, and it hurts the environment." And in my
case, my house is small, so if I had a lot of books,
my house would feel even smaller. And when you
move there's a lot to pack. So I always bought
e-books to read. I also highly recommended
e-readers to those around me. Even people who
don't read will read more than usual if they use
an e-reader! Because, like I said before, since you
can read several books at the same time, you can
choose whatever fits your mood in the moment.
[9] I used to praise e-books like that, but from
this year I've been kind of regretting - well no, I
guess I wouldn't go so far as to say I regret it.
I've started to feel skeptical. Here, skepticism
means 'a feeling of doubt.' Doubting. These kind
of thoughts: "Is this right? Is this the best for me?
Am I doing the right thing?" Because I don't know
if this is only in Korea, but there are too many
cases where an author publishes a book and
it isn't directly released as an e-book. So there
81
Ch08
08 종이책과 전자책 Paperback Books & E-Books
번역 TRANSLATION
have been a few times where my favorite author
had a new release, and I really wanted to read it,
but the e-book didn't come out right away, and I
didn't know when it would be published.
What about you? E-readers and physical books,
physical books and e-readers, which one do you
prefer? Do you have a library nearby, too? When
was the last time you went to one?
[10] So since then I've started thinking, "Ah, I
want to read it... do I just buy the physical book?
Should I not? Do I wait? If I buy the physical book,
then what happens to the convictions I've had all
this time - my beliefs on protecting the trees?"
I keep having these worries, these doubts. Even
so, I've stayed true to the end; I wait to buy my
e-books until they're released, even if there are
some I still can't read yet.
[11] But since maybe last year, as all of you
know, the number of people reading books has
increased as people have been spending more
time at home due to COVID-19. That's when I
heard about my local library. I live in Mapo-gu,
Seoul. There are many local libraries in Mapo-gu,
and one of them is a fairly large library near my
house. The funny thing is, when you aren't paying attention to it, you won't see the library even
if you're walking right past it. But when I actually
took an interest in it and went looking for it, it
was really close! So that's where I went.
[12] Fortunately, when I lived in another district,
I registered as a member at the library in that
district, and I could use that membership information as-is. I think this is due to the integrated
system of the Seoul Metropolitan Libraries. So I
was able to borrow a book right away without
even signing up.
So that's how I came to borrow a paper book to
read. Reading a physical book again, I was struck
by how nice it feels to touch the pages with my
own hands. I don't know if it's because I haven't
read paper books for so long, but it's definitely
different from reading them on a device - it's got
that old-school feel. The comfortable weight of
the paper wasn't bad either. The rustling sound
of paper when you turn the pages, the soft feel
of the pages in my hands... I felt these things
again so vividly, and I thought: "Maybe I shouldn't
entirely turn my back on physical books."
[13] So these days, I read most of my books
with an e-reader, but when there's no e-book,
or when I want the feeling of the pages, I'll also
borrow them from the library.
82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메신저
Messenger
즐거움
Enjoyment
09
진지한
Earnest
카드
Card
고마움
LETTERS
Thankfulness
편지
83
Ch09
09 편지 Letters
본문 MAIN TEXT
[1] 여러분은 누군가와 연락을 하거나 누군가에게 전달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을 때 어떻게 해
요? 요즘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휴대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앱은 카카오톡이에요.
가장 유명하죠. 물론 라인이나 텔레그램, 왓츠앱, 위챗 이런 것도 있기는 한데 한국 사람은 카카
오톡을 제일 많이 써요.
[2] 카카오톡 같은 이런 메신저 앱은 바로바로 그때그때 내가 하고 전하고 싶은 말을 글자로, 또
는 요즘은 음성으로 보낼 수 있다는 게 아주 큰 장점인 것 같아요. 그런데 오히려 이렇게 즉각적
으로 보내고 받을 수 있다 보니까 오래 생각하고 꺼낸 이야기나 진지한 이야기를 할 때는 이런
앱을 사용하기가 좀 저는 망설여지더라고요.
워낙에 이런 메신저는 인스턴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혹시나 내 이야기가 진지하게 받아들여
지지 않으면 어쩌나? 이런 고민이 들 때도 있거든요.
[3] 그럴 때 생각나는 것이 바로 편지인 것 같아요. 물론 요즘 같은 인터넷 시대에 이메일도 있는
데 "편지, 손편지, 종이로 된 편지"하고 깜짝 놀랄 수 있지만 저는 그래도 아직 편지만큼 마음을
전달하기에 좋은 매체가 없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사실 편지나 카드는 어떤 일을 축하할 때 가
장 많이 쓰기는 해요. 예를 들면, 새해 카드, 크리스마스 카드, 생일 카드 이렇게요.
[4] 저는 예전부터 연말이나 새해가 되면 그 해에 고마웠던 사람들에게 엽서나 편지를 보내는 것
을 즐겨 했었어요. 받는 사람의 취향을 생각하면서 카드를 고르는 일부터 시작인데요.
카드를 고르고 거기에 어울리는 펜 색깔도 골라요. 그리고 몇 년 전부터는 그 사람에게 해 주고
싶은 명언, 격언 같은 것도 미리미리 찾아 놓고요.
그렇게 준비를 마치고 한 장 한 장 상대방을 생각하면서 그동안 해 주고 싶었던 이야기나 미안한
일, 고마운 일을 열심히 씁니다. 그리고 어떻게 전달을 하느냐? 저는 의외로 우체국은 안 가요.
직접 만나서 얼굴을 보고 전달을 합니다. "짠~ 편지 써 왔어~ 지금 보지 말고 집에 가서 봐." 이
렇게 직접 전달해요.
84
Ch09
09 편지 Letters
본문 MAIN TEXT
[5] 왜 그렇게 하지? 제가 생각을 해 보니까, 편지를 부치려면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그럼 주소
를 미리 물어봐야 되잖아요. 그럼 그 순간 이미 서프라이즈가 깨지는 것 같아서 저는 주소를 안
물어보고 그냥 전달을 하는 거죠, 직접 만나서.
[6] 그런데 이것도 사실 작년에는 못 했어요. 연말에 만날 수가 있어야지요. 코로나 때문에 모임
이 금지되어서. 그래서 작년엔 그냥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보내긴 했는데, 이게 뭔가, 일 년을
제대로 시원하게 못 끝낸 거 같고, 영 마무리를 못 한 것 같아서 기분이 썩 유쾌하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몇몇의 엽서는 제 책상 위의 어느 책 사이에 꽂혀 있어요. 누구 거였지? 아무튼 못 준 게
아직 남아 있어요. 그런데 그걸 이제 와서, 2021년 8월이 되어 가지고 주는 것도 좀 그렇잖아요.
그래서 이제 그 분한테는 미안하지만 작년 건 그냥 스킵하고, 건너뛰고, 올해 말에 새로 써서 주
려고요.
[7] 여러분은 어때요? 편지나 엽서를 쓰나요? 썼다면 언제 누구한테 마지막으로 썼어요?
또는 언제 마지막으로 받아 봤어요?
편지라는 건 내가 누군가에 쓰는 것도 또 누군가한테서 받는 것도 모두 큰 즐거움이고 좋은 추억
이 되는 거니까 여러분, 이번주에는 그냥 뜬금없이 아무한테나 편지나 엽서를 써 보세요.
전달하지 않으면 어때요. 쓰는 동안 내가 그 사람을 생각했다는 것이 중요하지요.
85
Ch09
09 편지 Letters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전달하다
어플리케이션/앱
to deliver/convey/communicate
an application/app
바로바로
immediately; right away
그때그때
each situation; case-by-case
음성
즉각적이다
(이야기를) 꺼내다
망설이다
voice
to be immediate/instant
to strike up (a conversation/topic)
to hesitate
시대
a generation
매체
a medium; media
엽서
a post card
즐겨하다
to enjoy
취향
a taste/preference
명언
a famous/well-known/wise saying
격언
a proverb/saying/adage
마치다
to complete/conclude/end/finish
의외로
unexpectedly/surprisingly
(편지를) 부치다
깨지다
금지되다
영
마무리를 하다
썩
A/V-거든(요)
Used to give reasons, afterthoughts, or add additional information to help
explain the things one has
said (usually in the previous
sentence).
N만큼
To say that something is
done to the extent of the
noun.
'As much as...'
A-아/어지다
To talk about things
changing/becoming/
ending up some way.
to send/mail a letter
something breaks/shatters/cracks
to be prohibited/banned
1) not at all; 2) totally/completely
to finish/wrap up
too/quite/very
유쾌하다
be be happy/cheerful/feel good
꽂히다
to be stuck/wedged/stabbed in
건너뛰다
to jump/skip/leap (over)
뜬금없다
to be out of the blue; random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86
Ch09
09 편지 Letters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메신저 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세요.
1. 한국 사람들은 카카오톡을 많이 사용한다.
2. 내가 하고 싶은 말을 글이나 음성으로 보낼 수 있다.
3. 내가 하고 싶은 말을 바로바로 보낼 수 있다.
4. 진지한 이야기를 하기에 좋은 앱이다.
Q2. 이 사람이 편지를 쓸 때 하는 일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 예쁜 편지지를 산다.
2. 편지지와 어울리는 펜을 고른다.
3. 상대방의 주소를 물어본다.
4. 유명한 명언을 찾는다.
Q3. 이 글의 중심 생각을 고르세요.
1. 고마운 마음을 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매년 편지를 꼭 써야 한다.
3. 편지를 쓰고 못 보내도 괜찮다.
4. 이메일이나 메신저 앱이 편리하다.
87
Answers: 4 / 3 / 1
Ch09
09 편지 Letters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은 언제 편지나 카드를 써요?
마지막으로 누구에게 어떤 편지를 보냈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편지를 쓰고 싶은 사람을 생각하고 그 사람에게 편지를 써 보세요.
Think of someone you'd like to write to and try writing them a letter.
88
Ch09
09 편지 Letters
번역 TRANSLATION
[1] What do you guys do when you want to talk
with somebody, or when you have something you
want to tell someone?
These days the most commonly used phone
messaging app in Korea is KakaoTalk. It's the
most well-known. Of course there are also other
apps like Line, Telegram, WhatsApp, WeChat,
etc., but Korean people use KakaoTalk the most.
[2] I think a really big advantage of a messaging
app like KakaoTalk is that I can send whatever
I want to say right then and there by text - or
these days as a voice message. But since we're
able to send and receive things instantaneously like this, I find I hesitate to use these apps
when I'm bringing up something I've thought a
lot about, or for having serious conversations.
Since these messaging apps naturally have such
a strong association with spontaneity, what if by
some chance people don't take what I have to
say seriously? I worry about that sometimes.
[3] And in those times, I think I turn to writing
letters. Of course nowadays in the age of the
internet we even have email, so you might be
surprised, like - "letters? Handwritten letters?
Letters written on paper?" But I still think there's
no better medium to convey your feelings than
a letter. In fact, whenever I'm celebrating something, I still use letters and cards most of the
time. Like New Year's cards, Christmas cards,
birthday cards, things like that.
[4] For a long time now, at the end of the year
or the start of the New Year, I've been enjoying
sending postcards and letters to the people I've
been thankful for that year.
I'd start by choosing a card while thinking about
what might be to their liking.
I'd pick both the card, and a pen color that suits
it. And starting a few years back, I've started
collecting and including sayings or quotes that I'd
like to give them.
After all that preparation, I go card by card,
thinking about each person while I write down
all the things I want to say to them, or the things
I'm sorry for, or thankful for. And how do I deliver it? Surprisingly, I don't go to the post office. I
meet them face to face and hand over the letter
personally. I deliver it in person like, "Tada! I wrote
you a letter! Don't open it now, look at it once you
get home."
[5] Why do I do that? I've given it some thought,
and it's because if I'm going to mail them a letter,
then I have to know their address, so that means
I need to ask them for their address in advance.
And, well, at that point it seems like the surprise
is already ruined, so I don't ask for their address I just deliver it in person.
[6] But actually, I wasn't able to do it last year.
We should have been able to meet up at the
end of the year, but... meet-ups were banned
because of Covid. So last year I just sent messages via KakaoTalk, but, I don't know, it felt like
I couldn't finish off the year properly, like I wasn't
able to really wrap things up, so I didn't feel that
great about it. So I still have some postcards
wedged between books on my desk. Ah - who
were they for, again? Well, either way, there are
still some left that I couldn't give out. But at this
point it seems a bit weird to give them out, since
it's already August of 2021. So I feel kind of bad
for those people, but I'm going to just skip right
over last year's letters and write new ones to
give out at the end of this year.
[7] What about you guys? Do you write letters or
post cards? If you've written one, who was the
last person you wrote to?
And when was the last time you received one?
For me, whether it's writing a letter to someone
or receiving a letter from someone, letters are all
such a joy, and they're so meaningful.
So everyone, how about trying to write a letter or
post card to someone out of the blue this week?
And, well, so what if you don't give it to them?
Just the fact that you thought about that person
while you were writing is what matters.
89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죽
Porridge
챙겨 먹다
To take care of meals
10
엄마
Mom
밥과 찌개
Rice and stew
밥상
BREAKFAST
Dining table
아침 식사
90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아침 식사 하셨나요? 여러분은 아침을 꼭 챙겨 드세요? 아니면 너무 바빠서 안 먹고
그냥 일하러, 공부하러 가시나요? 저는 학생 때는 엄마가 챙겨 주신 밥을 꼭 먹고 학교에 다녔었
는데 어른이 되고, 회사원이 되고 나서는 사실은 별로 안 먹고 다녔어요. 여러분도 아마 경험하
셔서 아시다시피 아침에 워낙 바쁘고 밥을 차리는 것도 귀찮고 정리하는 것도 참 귀찮잖아요.
[2]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이제 제가 좀 더 내 몸을 챙겨야 하는 그런 나이가 되고 나서는 아침을
꼭 챙겨 먹도록 하고 있어요. 아주 간단하게라도, 뭐라도 위 속에, 몸 속에 넣고 나서 활동을 시
작해요. 그래서 오늘은 한국인의 아침 식사에 대해서 좀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3] 보통 생각하는 한국인의 아침 식사, 그러면 여러분은 뭐가 생각나세요? 여러분이 드라마나
영화에서 본 장면에는 일단 밥, 그리고 국이나 찌개 그리고 몇 가지 반찬들이 올라간 밥상이 나
올 거예요. 이게 정말 전형적인 한국 사람의 아침 식사인데요. 문제는 이 전통적이기까지 한 밥
상의 모습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거예요. 물론, 이게 큰 문제는 아니지요, 사실은.
[4] 이 밥상을 잘 생각해 보면, 누가 차리죠? 보통 한 집안의 어머니나 부부라면 아내가 차리지
요. 그런데 이제 현대 사회에 오면서 여자도 사회 생활을 하게 됐기 때문에 아침에 여자가 밥을
차리고 회사까지 간다는 것은 너무 힘들어요. 그래서 사람들의 생각이 점점 바뀐 거예요. 아침에
여자인 나도 일을 하러 가야 하는데, 저렇게 거대하게 밥을 차려서 먹어야 하나? 그리고 또 간편
식이 나온 것도 이런 밥상의 변화에 크게 일조를 했다고 볼 수 있어요.
[5] 간편식이라고 해서 전자렌지에 "띵" 돌리는 그런 인스턴트만 말씀 드리는 것이 아니라
우유하고 시리얼 또는 빵 또 요즘엔 도시락 제품도 많이 나오고요. 또 저희 언니는 보니까 닭가
슴살로 된 만두를 아침에 먹더라고요. 이런 간편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아침에 꼭 찌개와 밥으
로 이루어진 밥상을 차릴 필요가 없어졌어요. 그렇게 힘들게 할 필요가 없어졌어요.
91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본문 MAIN TEXT
[6] 물론 저도 저희 본가, 부모님이 살고 계신 집에 가면 엄마가 아직도 아침에 밥을 차려 주세
요. 찌개와 밥이 올라간 (밥상). 그런데 너무 힘드시니까 제가 알아서 먹겠다고 해도 일 년에 한
두 번이니까 차려 주시려고 하세요. 대신 항상 그렇게 드시는 건 아니라고 하셨어요.
오랜만에 만난 자식이라서 그렇게 해 주시는 거고 평소에는 그렇게까지 거대하게 차리지 않은,
전날 남은 찌개를 데우거나 밤에 미리 해 둔 밥을 드신다고 하셨습니다. 아무래도 저희 부모님
세대는 나이가 좀 있으시기 때문에 요즘 사람들처럼 그렇게 간편식을 선호하지는 않아요. 그래
서 일단 밥을 차려 드시기는 한다고 하셨습니다.
[7] 그럼 이런 전통적인 밥상 말고 요즘 사람들이 먹는 걸 한번 생각해 볼까요? 일단 아까 말씀
드린 것처럼 저희 언니는 다이어트 목적이 아니지만 일단 닭가슴살 만두를 먹어요. 전자렌지에
3~4분 정도 돌리기만 하면 영양만점의 맛있는 만두를 먹을 수 있어서 좋아하는 것 같아요. 아침
에 스스로 준비하면서 세수하기 전에 전자렌지에 넣어 놓고 세수를 하고 나서 꺼내 놓고 화장을
하면서 조금 식은 만두를 먹는 거죠.
[8] 그리고 저의 경우는 아침은 이제 거의 정해졌는데 저는 오트밀이나 시리얼을 우유나 요거트
에 말아 먹어요. 아, 뮤즐리를 먹을 때도 있고요. 거의 몇 년 째 이런 식으로 먹고 있는데요. 솔직
히 시리얼만 먹는다고 하면 맛없잖아요. 그래서 저는 몇 개의 시리얼, 오트밀을 구비해 놓고 두
세 가지씩 섞어서 먹어요. 그리고 거기에 초코맛, 초콜릿 맛 그래놀라 같은 것을 좀 넣어서 맛있
게 만들고요. 또 영양도 놓칠 수 없기 때문에 냉동 블루베리를 좀 넣어 줘요. 이렇게 아침 식사
대용으로 나오는 간편식들도 있고요.
[9] 제 동생의 경우, (참고로 저는 부모님과 같이 안 살고, 언니, 동생과 셋, 이렇게 세 가족이 같
이 살고 있어요. 아무튼 제 동생의 경우) 아침을 거의 안 먹기는 해요. 그래도 가끔 먹을 때 보면
제 동생은 베이글파예요. 베이글을 좋아해서 살짝 구워서 크림 치즈를 발라 먹더라고요. 그리고
스크램블 에그도 하고 소시지도 구워 먹어요. 지금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나니까 저희 셋 중에
동생이 제일 부지런하네요. 아침에 가스불을 쓰다니!
92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본문 MAIN TEXT
물론 회사원이기 때문에 매일 이렇게 먹지는 못하고요. 시간이 될 때나 주말에 그렇게 먹습니다.
[10] 그리고 또 제가 아는 분 중에는 아침에 "마녀스프," 해독 주스 이런 걸 드시는 분도 계세요.
이런 새로운 음식이 나온 것도 사실은 다이어트 때문이기는 한데, 꼭 살을 빼기 위해서가 아니라
해독, 몸 속안의 안 좋은 것들을 빼기 위해, 디톡스를 위해서 드신다고 해요. 또 이런 마녀스프나
해독주스는 한 번에 많이 만들어 놓고 며칠은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평일에는 이렇게 드신다고 하
셨습니다. 아침도 챙기고 건강도 챙기는 일석이조네요.
[11] 그런데 제가 사실은 제일 좋아하는 아침 식사는 따로 있어요. 그런데 한국식이 아닌데요.
예전에 대만하고 홍콩인가에 갔었을 때 호텔에서 흰 죽을 먹었어요. 그리고 또 홍콩에서는 "콩
지"라고 하는 것도 먹었는데요. 너무 좋더라고요. 아침에 흰 죽을 먹으니까 속도 편하고 또 무엇
보다 어쨌든 아침에 밥을 먹었다는 생각에 속이 든든했어요. 그래서 한국에 와서도 "아, 아침에
흰 죽 먹고 싶다" 생각을 계속 했지만, 만들기 귀찮기 때문에 아직도 못 먹고 있습니다.
[12] 그리고 한국 사람들은 죽은 아플 때 먹는 음식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평소에는 먹을 기회
가 별로 없네요. 그래서 저는 꼭 아시아권 나라에 여행을 가면 조식으로 죽을 먹습니다. 물론 다
른 것도 먹기 때문에 죽도 먹습니다. 이야기가 조금 다른 데로 빗나갔는데요. 지금 한국인의 아
침 식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었죠.
[13] 이렇게 한국인의 밥상은 정말 다양하게 바뀌고 있습니다. 물론 밥과 찌개를 드시는 분들도
여전히 계실 거예요. 하지만 이제는 하나의 옵션, 선택권만 있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메뉴, 다양한 제품, 다양한 음식 중에 자신의 생활 패턴에 맞거나 자신의 입에 맞는 것을 먹을 수
있게 됐어요. 여러분의 아침 식사는 어떠신가요? 제대로 챙겨 드시나요? 아니면 오늘은 바빠서
패스? 또 여러분 나라의 아침 식사는 어떤 모습인가요? 궁금하네요.
93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식사를) 챙기다
(밥을) 차리다
위
장면
전형적이다
거대하다
간편식(사)
일조를 하다
to take care of (one's meals)
to fix/prepare/take care of (meals)
stomach
a scene
to be typical/average
to be huge/great/enormous
ready-made/convenient/instant food
to be a help; to contribute to
본가
the house one grows up in
자식
child/offspring (formal)
데우다
to heat up; to warm up
목적
영양만점
식다
(밥 등을) 말다
구비하다
섞다
놓치다
대용
a purpose/object/goal
nutritious/nutritional
to cool off; cool down
to mix (rice) in with sth
A-다니, V-ㄴ/는다니
Reacting in surprise or displeasure to something.
'I can't believe that...!'
'To think that...!'
a substitute; alternate
to cover/spread/plaster
속이 든든하다
To leave some action in it's
completed state.
e.g. 'I left my phone off'
'I hung up my jacket' (and
left it there)
to lose/miss (out on sth)
바르다
속이 편하다
V-아/어 놓다
to mix
for reference; for your information
일석이조
To confirm a fact that the
listener already knows. e.g.
듣다시피 - as you can hear
보다시피 - as you can see
알다시피 - as you know
to be furnished/equipped with
참고로
해독
V-다시피
a detox
two birds with one stone
to be easy on the stomach
to feel full/full-bellied
빗나가다
to get side-tracked/off-topic
입에 맞다
to suit one's palate/tastes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94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다음 중 전형적인 한국인의 아침 식사가 아닌 것을 고르세요.
1. 밥과 김치찌개
2. 밥과 미역국
3. 김밥과 떡볶이
4. 김치와 밥
Q2. 한국인의 아침 식사가 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 사람들이 밥상 차리는 것을 귀찮아해서
2.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서
3. 여자들의 사회 생활이 늘어서
4. 간편식은 맛이 없어서
Q3. 이 선생님 가족의 아침 식사가 아닌 것을 고르세요.
1. 전자렌지로 데운 닭가슴살 만두
2. 우유에 만 시리얼이나 뮤즐리
3. 스크램블 에그와 소시지
4. 한 번에 많이 만들 수 있는 마녀스프
95
Answers: 3 / 3 / 4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오늘 아침에 뭐 먹었어요?
아침을 잘 챙겨 먹는 편이에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 나라 사람들은 아침으로 무엇을 먹어요? 또는 여러분 가족의 아침 식사를 소개해 주세요.
What do people in your country eat for breakfast? What about your own family?
96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번역 TRANSLATION
[1] Did you guys have breakfast? Do you feel like
you need to have breakfast? Or do you not eat
because you're too busy, and you just go straight
to work or school? When I was a student, I
always ate what my mom prepared for me, but
now as an adult who works in an office, I don't
really eat breakfast anymore. As you all probably
know from experience, mornings are hectic, and
it's too much trouble to cook a whole meal, and
even more so to clean it all up.
[2] However, since a few years back, I've reached
an age where I have to start being a bit more
conscious of my health, so I'm making sure to
eat breakfast. I only start my day after I put
something in my stomach, in my body, even if
it's just something simple. So today I'm going to
talk a little bit about what Korean people have for
breakfast.
[3] When you think of an ordinary Korean breakfast, what comes to mind? In the scenes you've
seen in dramas and movies, you've probably
seen a table with rice, soup or stew, and some
side dishes. This is the breakfast of your average
Korean person. The problem is, this traditional
breakfast is gradually disappearing over time. Of
course, it's not like it's actually a big problem or
anything.
[4] When you think about this breakfast spread,
who prepares it? Usually in a household it's the
mom, or if there's a couple, then it's the wife. But
in these modern times, since women have come
to have careers of their own, it's really hard for
them to both prepare all the meals and also go to
work. So the way people think has slowly been
changing. As a woman, I have to go to work in
the morning, so do I really have to make a humongous breakfast, too?
Also the introduction of instant foods has played
a big role in changing the traditional Korean
breakfast.
[5] When I refer to 'ganpyeonshik', I'm not just
talking about the instant foods that are like
"ding!" in the microwave.
There's also milk and cereal, bread, and nowadays there are even a lot of pre-packaged meals.
And there are also dumplings like the chicken
breast dumplings my sister has for breakfast.
Since there's so many of these instant foods,
there's no need to set up a full breakfast spread
with rice and soup now. There's no reason to
make so much work for ourselves.
[6] Of course, when I go to my family home the home where my parents live - my mom still
makes breakfast for me in the morning.
A whole breakfast with soup and rice. And even if
I say I'll fix my own breakfast because I know it's
a lot of work, she still says she'll make it for me
since it's she only gets to once or twice a year.
But she tells me she doesn't always eat like that
herself. She says she does it because it's for her
daughter, who she hasn't seen in a long time, but
normally she doesn't prepare that big of a breakfast - she just heats up yesterday's leftover soup
or they have rice she prepared the night before.
In any case, since my parents are from an older
generation, they don't prefer instant foods the
way most people do nowadays. But either way,
she said they still cook some kind of breakfast.
[7] So shall we think about what people are eating these days instead of the traditional breakfast
spread? As I mentioned before, my sister eats
chicken breast dumplings, but it's not for a diet.
I think she likes it because you just put them in
the microwave for 3-4 minutes, and then you can
have delicious, nutritious dumplings. In the morning she prepares it herself - she puts them in the
microwave before washing her face, then after
she's done washing her face she takes them out,
and after they've cooled down a bit, she eats
them while she does her makeup.
[8] And in my case my breakfast is pretty much
fixed - I eat oatmeal or cereal with milk or yogurt. Oh, and sometimes I have muesli. I've been
eating breakfast this way for a few years now. To
be honest, eating cereal by itself is a bit unappetizing. So I stock up on a few types of cereal and
oatmeal, and mix two or three of them together.
And I also add a bit of chocolate to it to make it
tastier, like some chocolate flavored granola or
something like that. And since you can't skip out
on nutrition, I also add a few frozen blueberries.
So in this way we now have all sorts of instant
food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breakfast
meals.
97
Ch10
10 아침 식사 Breakfast
번역 TRANSLATION
[9] In my younger sister's1 case, (for reference,
I don't live with my parents. My older sister,
younger sister and I make three, so the three
of us live together as a family. Anyway, in my
younger sister's case) she hardly ever eats breakfast. But still, when I have seen her eat breakfast, she's team bagel. She loves bagels, so she
eats them toasted with a bit with cream cheese
spread on top. Sometimes she also has scrambled eggs or cooks some sausages. Now that I'm
saying all this, I guess of the three of us, she's
the most on top of things. I can't believe she uses
the stove in the morning! Of course, she works
in an office, so she can't eat like that every day.
Just when she has the time, or on the weekends.
[10] And there's someone I know who also has
stuff like witch soup or detox drinks in the morning. Actually, these things did come about thanks
to some kind of diet, but she2 said she has them
not necessarily to lose weight, but to detox,
cleanse, and remove toxins from her body. She
also said that you can make a lot of witch soup or
detox drinks all at once and then eat it for a few
days, so that's what she does during the week.
Taking care of breakfast and your health at the
same time - that's two birds with one stone!
gotten a bit side-tracked! We were talking about
the things Korean people eat for breakfast.
[13] So this is how the Korean breakfast menu is
changing in a variety of ways. Of course, there'll
still be people who eat rice and stew. But now
that we don't live in a time where there's only
one option, one choice, we've gained the ability
to eat from various menus, products, and foods
that suit our individual lifestyles and our own
tastes.
Everyone, what is your breakfast like? Are you
making sure to eat all your meals? Or are you like,
"I'm busy today, so I'll skip it"? And also, what
does breakfast food look like in your country?
I'm curious!
[11] But actually, my favorite breakfast is something else. And it's not Korean. A while ago when
I went to - was it Taiwan and Hong Kong? - I ate
some white porridge at the hotel. I also ate something called kongji in Hong Kong. They were both
so good. Eating white porridge in the morning
was really easy on my stomach, and more than
that, it filled me up and made me feel like I'd had
a real meal. So even when I came back to Korea
I kept thinking like, "Oh man, I want to eat white
porridge in the morning," but making it takes a lot
of work, so I still haven't gotten around to it.
[12] And I also think that porridge is a food that
Korean people eat when they're sick. So I don't
usually have that many opportunities to eat it.
That's why when I travel to Asian countries I
always eat porridge for breakfast. Of course, I eat
other things as well as porridge3. It seems I've
1
'She/her' pronouns included in translation after confirmation from 'A Piece of Korean'
2
'She/her' pronouns included in translation after confirmation from 'A Piece of Korean'
3
In the script, '때문에' is simply used as a result of the speaker's flow of thought, so the meaning of 'because' was not intended.
98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결혼
Marriage
약혼식
Engagement ceremony
11
스드메
Studio, Dress, Makeup
비혼
Singledom
이혼
Divorce
재혼
MARRIAGE
Remarriage
결혼
99
Ch11
11 결혼 Marriage
본문 MAIN TEXT
[1] 얼마 전에 저는 결혼식에 다녀왔어요. 코로나 속에서도 멋진 미래를 함께 시작하기로 한 신
랑 신부의 모습이 정말 아름다웠어요. 오늘은 결혼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해요. 학생들과 이야기
해 보면 나라마다 결혼 문화가 많이 다른데요.
[2] 한국은 글로벌 시대가 되면서 결혼에 대한 문화가 많이 달라졌습니다.
일단 결혼하는 시기가 늦어졌어요. 제 부모님이 결혼하던 시절에는 25살 정도에 결혼을 했죠.
지금은 30대 초반에 결혼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옛날에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회
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20살부터 돈을 버니까 25살에는 결혼을 해도 괜찮은 나이였
죠. 요즘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학교에 갈 뿐만 아니라 또 다양한 경험을 쌓는 시간을 가지면
서 졸업이 늦어지고 취업하는 나이도 예전보다 늦어졌어요. 빠르면 20대 중반부터 돈을 모으기
시작해서 결혼하는 시기가 늦어진 것 같아요.
[3] 그리고 예전에는 약혼식을 하고 나서 결혼식을 했어요. 하지만 요즘은 약혼식은 없고 바로
결혼식을 합니다. 그래서 약혼자, 약혼녀라는 표현보다는 여자는 예비신부 또는 줄여서 예신, 그
리고 남자는 예비신랑 또는 예랑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해요.
한국에서 결혼을 할 때는 보통 결혼식장에서 많이 해요. 가끔 교회나 특별한 장소에서 결혼식을
하기도 하는데 대부분은 결혼식장에서 많이 해요. 요즘은 가족들과 몇 명의 지인들만 초대해서
하는 스몰 웨딩도 유행이에요.
[4] 이 결혼을 할 때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스드메입니다.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을 합쳐서
스드메라고 해요. 스튜디오는 결혼식 전에 찍는 웨딩 촬영을 뜻해요. 그리고 드레스는 웨딩드레
스를, 메이크업은 머리와 신부 화장을 이야기해요. 가장 예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드레스숍도
신중하게 고르고 메이크업과 머리도 잘하는 곳을 신중하게 고르죠. 그리고 이 예쁜 모습을 기억
하기 위해 웨딩 촬영을 해요. 이렇게 모든 것이 완벽할 수 있도록 많은 준비를 통해 결혼을 하게
됩니다.
100
Ch11
11 결혼 Marriage
본문 MAIN TEXT
[5] 이번에는 결혼과 관련된 단어에 대해 알아볼게요. 아직 한 번도 결혼해 보지 않은 사람들을
미혼이라고 해요. 그리고 이렇게 미혼인 사람이 처음 하는 결혼을 초혼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결
혼해서 항상 행복했으면 좋겠지만 모든 사람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죠. 그래서 결혼하고 헤어지
는 경우도 있어요. 이걸 이혼이라고 합니다. 이혼한 후에 또 다른 좋은 사람을 만나서 다시 결혼
하는 걸 재혼이라고 해요.
[6] 앞서 얘기 한 것처럼 요즘 시대가 변하면서 결혼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이 생겼어요. 한
국에서 결혼은 남자의 가족과 여자의 가족이 합쳐져 한 가족이 된다고 생각해서 매우 중요한 문
제거든요. 서로의 생활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싸우는 일도 많기도 해서 두 사람의 많은 노력,
그리고 이해와 배려가 필요해요. 그러면서 천천히 한 가족이 되어 가죠. 게다가 이혼은 쉽지 않
은 결정이에요.
[7] 그래서 연애는 할지라도 결혼은 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많이 생겼죠. 이들을 비혼주의자
라고 합니다. 그리고 연애도 결혼도 관심이 없는 사람은 독신주의자라고 하고요. 이혼을 한 사람
을 이혼남, 이혼녀라고 하기도 하지만 돌아온 싱글이라고 해서 돌싱이라고 하기도 한답니다. 늦
게까지 결혼을 안하고 있는 사람들은 골드미스, 골드미스터라고 표현하기도 해요.
예전이라면 이혼한 사람들이나 너무 늦게까지 결혼을 안 하는 사람들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은 예전보다는 더 많이 나아진 것 같아요. 혼자 살 능력이 있다면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아졌거든요.
[8] 이렇게 시대가 변하고 다른 나라와 많은 교류를 하면서 결혼에 대한 생각도 많이 달라졌고
이로 인해 다양한 표현도 생겨났어요. 여러분의 나라에서의 결혼 문화는 예전과 지금 어떻게 달
라졌는지 궁금하네요.
댓글로 이야기를 들려 주세요~
101
Ch11
11 결혼 Marriage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신랑
groom
신부
bride
시기
1) time/moment; 2) opportunity
시절
days/years (e.g. "my student days")
초반
early (phase/stage)
돈을 벌다
to earn/make money
쌓다
to accumulate; pile up; stack up
중반
middle (of a period); mid-
모으다
to collect/gather
약혼식
engagement ceremony/party
약혼자
fiance (male)
약혼녀
fiancee (female)
예비
줄이다
결혼식장
(soon-)to-be; __-to-be; preliminary
to shorten/reduce/decrease
a wedding hall
교회
a church
지인
an acquaintance/friend
합치다
촬영
Expressing that something is
not only one thing, but also
another.
'Not only X, but also Y'
N보다
Used when making
comparisons between
nouns.
'Compared to...'
A/V-(으)ㄹ지라도
Given some possible situation, the result doesn't
change or is contrary.
'Even if I fail, I'll still try.'
'Even though you're poor,
you shouldn't steal things.'
to combine; unite; join together
shooting; filming; photography
신중하다
to take caution/discretion
관련되다
to be related/connected to
앞서
before, earlier, previously
이해
understanding; comprehension
배려
consideration for; regard for
결정
a decision
인식
awareness; recognition; cognizance
교류
exchange; interchange
인하다
A/V-(으)ㄹ 뿐만 아니라
due to; caused by; resulting from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02
Ch11
11 결혼 Marriage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예전과 요즘 달라진 결혼 문화를 고르세요.
1. 옛날에는 결혼을 늦게 하는 편이었다.
2. 요즘에는 돈을 빨리 모을 수 있어서 결혼도 빨리 한다.
3. 지금도 예전처럼 결혼식은 꼭 해야 한다.
4. 최근에는 스몰 웨딩이 유행이다.
Q2. 다음 중 '스드메'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 사진 촬영
2. 결혼식장
3. 메이크업
4. 웨딩드레스
Q3. 이혼을 한 사람을 부르는 단어는 무엇입니까?
1. 돌싱
2. 비혼주의자
3. 독신주의자
4. 골드미스터
103
Answers: 4/ 2/ 1
Ch11
11 결혼 Marriage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의 나라에서 결혼은
보통 몇 살에 해요?
아직 결혼을 안했다면, 어디에서 어떻게, 언
제 결혼하고 싶어요? 결혼을 했다면 어디에
서 어떻게, 언제 결혼했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의 나라에서의 결혼 문화는 예전과 지금 어떻게 달라졌는지 써 보세요.
Write about how the wedding culture in your country has changed from past to present.
104
Ch11
11 결혼 Marriage
번역 TRANSLATION
[1] I went to a wedding a little while ago. It was
so nice seeing the bride and groom prepare for
a bright future together even during Covid. So
today I'm going to be talking about marriage.
Talking with my students, I've found that different countries have very different cultures around
marriage.
[2] As Korea has become more globalized, it's
marriage culture has changed a lot. For one
thing, the age at which people get married has
been pushed back. Back when my parents got
married, the average age for marriage was about
25. Nowadays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getting married in their early 30's. In the past,
there were lots of people who graduated high
school and straight to work in an office. Since
people started earning money from the age of 20,
25 was a pretty good age to get married. These
days, most people not only go to college - they
also need time to build up work experience, so
people are graduating later and starting work at a
later age as well. Now people start saving money
in their mid 20's at the earliest, so I think that's
why the marriage age has been postponed.
[3] And also in the past, people would get married after getting engaged. But now, people just
get married right away without getting engaged.
So, rather than the term fiance or fiancee, women are using yebi shinbu (bride-to-be) or ye-shin
for short, and men are using yebi shillang (groomto-be) or ye-rang more often. Lots of people get
married in wedding halls in Korea. Sometimes
people get married in a church or at some special
location, but mostly people use wedding halls.
Small weddings are also popular these days,
where you only invite your family and friends.
[4]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you get married is SDM - made by combining 'studio', 'dress',
and 'make-up'. The studio is the place people go
to take wedding photos before the ceremony.
Dress means the wedding dress, and make-up
refers to the bridal hair and make-up. In order to
look their best, people carefully choose a dress
shop, as well as a place that specializes in makeup and hair. And they take wedding photos to
commemorate how nice they look in the moment.
When we get married there's a lot of preparation
1
involved to make sure everything is perfect.
[5] Now let's look at some words related to marriage. People who have never been married are
called mihon (single). And the first marriage that
these single people have is called chohon (first
marriage). Everyone wishes for a happily ever after, but of course that doesn't always happen. So
there are also people who get married and then
separate. We call those people ihon (divorced).
Those who get divorced, and then get married
again after they meet someone new are called
jaehon (remarried).
[6] As I said before, times are changing and there
are now lots of people who don't want to get
married at all. In Korea, marriage is a very important issue because it's thought that the man's
family and the woman's family combine to create
one family. Because each person has their own
lifestyle, fights can be frequent, so both people need to put forth effort, understanding, and
compassion. If they do, then over time they can
slowly become one family. Besides, divorce is not
an easy decision.
[7] So now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don't
want to get married, even though they're dating. These are called bihonju-ija (people with no
interest in marriage). And people that have no
interest in marriage or dating are called dokshinju-ija (celibates). Divorced people are sometimes
called ihon-nam (divorced men) and ihon-nyeo
(divorced women) but since they're people who
have gone back to being single, they are also
called dolshing1. People who don't get married
even when they're older are sometimes called
'gold miss' and 'gold mister'. In the past, people
who were divorced or who didn't get married
were often perceived poorly, but I think it's gotten
a lot better these days. More and more people
are thinking that if they have the ability to live
alone, then they don't have to get married.
[8] As times have changed, and as we've interacted with other countries, thoughts on marriage have also changed a lot, and this has led
to lots of new words being created. Everyone,
I'm curious how marriage culture in your country
has changed over time. Please let us know in the
comments!
Dolshing (돌싱) - a combination of '돌아온' (returned) plus 싱글 (single)
105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옥스포드
Oxford
재벌
Jaebol
12
먹방
Mukbang
파이팅
Fighting
ㅇㅇ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Translation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106
Ch12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본문 MAIN TEXT
[1] 매년 사전을 만드는 출판사에서는 새로운 단어들을 사전에 추가합니다. 한국에서는 얼마 전
영국의 옥스퍼드 사전에 한국어 단어들이 추가되었다고 해서 큰 화제가 되고 있어요. 다른 나라
사전에 한국어 단어가 추가된다는 건 참 자랑스럽고 뿌듯한 일인 것 같아요. 그만큼 외국에서
한국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는 거니까요. 사전에 올라간 단어들을 보니 참 흐뭇했어요. 특히
이번에는 다른 해보다 더 많은 단어들이 추가되었다고 해서 더 기뻤어요.
그래서 오늘은 옥스퍼드 사전에 등록된 단어들 중 몇 가지를 같이 한번 살펴보려고 해요.
[2] 먼저 한류, 코리안 웨이브입니다. 한류, 코리안 웨이브는 한국 문화의 물결이라고 해요. 한국
의 대중문화가 다른 나라에서 유행하는 현상을 뜻하는 건데요. 바다에서 파도가 치면 물결이 생
기면서 물이 멀리까지 움직이는데 그 모습을 따라 만들어진 말이에요.
[3] 두 번째 단어는 "스킨십"입니다. "스킨십"은 좋아하는 사람과 손을 잡거나 안아주는 것처럼
서로 닿는 걸 "스킨십"이라고 해요. 피부를 뜻하는 스킨(skin)과 연대를 뜻하는 kinship이 합쳐
진 단어예요. 즉, 피부와 피부가 닿아서 연대감이 생긴다는 거죠.
[4] 세 번째 단어는 파이팅입니다. "힘내"를 다른 표현으로 화이팅 또는 파이팅이라고 해요. 응
원이나 격려할 때 많이 쓰는 표현이에요. 영어로 fight, 싸우다라는 뜻에서 나온 말인데 운동 경
기에서 선수들끼리 "잘 싸우자 힘내자"라는 구호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5] 네 번째 단어는 콩글리시입니다. 콩글리시는 코리아와 잉글리시가 합쳐진 단어예요. 이 콩글
리시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요 먼저, 한국식 발음으로 영어를 말할 때 콩글리시라고 해요. 두 번
째는 영어 같기도 한데 영어 단어는 아니고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를 이야기해요. 예를 들면,
영어로 "셀프 카메라"를 줄여서 셀피(selfie)라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셀카"라고 해요. 그리고
아까 설명했던 스킨십, 파이팅도 콩글리시에 포함이 돼요.
[6] 다섯 번째 단어는 먹방입니다. 먹방은 먹는 방송을 줄여서 먹방이라고 해요. 유튜브에서 음
107
Ch12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본문 MAIN TEXT
식을 먹는 영상들을 많이 볼 수 있죠? 이걸 먹방이라고 해요.
[7] 여섯 번째 단어는 치맥입니다. 치킨과 맥주가 합쳐진 단어예요. 드라마에서 많이 나오면서
유명해진 단어죠. 치킨과 다른 음식을 합쳐서도 만들 수 있어요. 치킨과 콜라는 치콜, 치킨과 밥
은 치밥이라고 해요.
[8] 일곱 번째 단어는 재벌이에요. 삼성이나 현대 같은 대기업은 삼성전자, 삼성 자동차, 현대백
화점, 현대건설처럼 회사 종류가 여러 개인데요. 이 회사의 대표들은 모두 가족이에요. 이렇게
가족들이 운영하는 기업 집단을 재벌이라고 해요.
[9] 마지막 단어는 대박입니다. 아주 좋은 일이 있거나 놀라운 일이 있을 때 사용해요. 예를 들어
서 먹방을 볼 때 아주 많이 먹으면 놀라서 "대박!"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또는 복권에 당첨되거
나 방탄소년단을 직접 만나면 정말 기분이 좋겠죠? 이럴 때도 "대박!"이라고 할 수 있어요.
[10] 여기까지 옥스퍼드 사전에 올라간 단어 몇 가지를 살펴봤는데요. 여러분들은 언제 파이팅
을 말하는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대박을 말하고 싶은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제가 파이팅!! 대
박!!이라고 해 드릴게요.
108
Ch12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출판사
추가하다
화제
자랑스럽다
뿌듯하다
(사전)에 올라가다
a publisher; publishing company
to add
a conversation topic/subject
to be proud (of/that)
to feel satisfied/proud of oneself
to climb into (the dictionary)
흐뭇하다
to be pleased/content/delighted
등록되다
to be registered; signed up
살펴보다
to look at; examine
물결
a wave
현상
a phenomenon
(파도가) 치다
big waves; a swell/surge
생기다
to occur/happen/appear
움직이다
to move
서로
each other; one another
닿다
to touch/brush against
합치다
to combine; unite; join together
연대감
sense of solidarity/kinship; a bond
격려하다
구호
줄이다
포함이 되다
대기업
대표
Indicates that your
statement is a supposition
or guess.
'I think...' 'I guess...'
or 'it seems...'
N처럼
Indicates that something
is like some noun. Used to
create similes and
metaphors.
'Like a ...'
A/V-(으)면서
Indicates that two actions
occur at the same time.
'While doing X, I do Y'
'As X happens, Y happens'
to encourage; to cheer up
a slogan; chant; rallying cry
to shorten/reduce/decrease
to be included
a major/large company
a representative
운영하다
to run/operate sth
집단
a group/collective
당첨되다
A/V-(으)ㄴ/는 것 같다
to win (a prize)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09
Ch12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은 무엇입니까?
1. 매년 옥스퍼드 사전에 새 단어가 추가된다.
2. 이 사람은 한국어 단어가 사전에 추가되어 기쁘다.
3. 한국어 단어가 등록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4. 한국에서만 유행하는 현상을 설명했다.
Q2. 다음 중 '콩글리시'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 스킨십
2. 파이팅
3. 셀카
4. 먹방
Q3. 치킨 때문에 유명해진 단어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 치맥 : 치킨과 맥주
2. 치콜 : 치킨과 콜라
3. 치소 : 치킨과 소주
4. 치밥 : 치킨과 밥
110
Answers: 4 / 4 / 3
Ch12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의 나라에도 콩글리시와 비슷한 것이
있나요?
한류 중에서 가장 관심있는 것은 무엇인가
요? (예 : 드라마, 노래, 영화 등)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은 어떤 상황에서 "파이팅!", "대박"이라고 말하고 싶은지 써 보세요.
Write about the sort of situations you'd want to say "fighting!" and "daebak!" in.
111
Ch12
12 옥스포드 사전 속 한국어 Korean Words in the Oxford Dictionary
번역 TRANSLATION
[1] Every year, the publishers of the dictionary
add new words to it. Not long ago, some Korean words were added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which has become quite a hot topic
in Korea. I think the fact that Korean words are
being added to dictionaries in other countries
is something to be proud of, and it feels like a
real accomplishment. It really shows how much
interest there is in Korea from other countries. I
was absolutely delighted to see those new words
in the dictionary. And this year even more words
were added than in the previous years, so I was
even happier about that. So today we're going to
take a look at some of the words that have been
added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2] First is 'hallyu' or 'the Korean Wave.' Hallyu
- the Korean wave - is the spreading wave of
Korean culture. It refers to the phenomenon of
Korean pop culture gaining popularity in other
countries. When the ocean's great swells hit the
coastline, they become waves that spread out far
and wide - the word hallyu was coined with this
image in mind.
[3] The second word is 'skinship'. Skinship is
physical affection with people that you like, such
as holding hands or giving hugs. It's a combination of the word 'skin' and the word 'kinship,'
meaning 'affinity/harmony'. Therefore, it's the
feeling of affinity that comes from skin-to-skin
contact.
[4] The third word is 'fighting'. We say 'fighting,'
or 'pigh-ting,' as a way of saying "you've got
this!" It's an expression often used to cheer people on or give encouragement. In English, 'fight'
means to argue or battle, but the Korean usage
of the word originated from the chants that
sports players say to each other during a match,
like, "Keep fighting! You've got this!"
are only used in Korea. For example, in English,
'self-camera' is shortened to 'selfie' but in Korea
we say 'selka'. And the words I explained before
('skinship' and 'fighting') are also included in
Konglish.
[6] The fifth word is 'mukbang.' Mukbang is a
short form of the phrase "mung-neun bangsong"1. You can see a lot of videos of people
eating on YouTube, right? These are mukbangs.
[7] The sixth word is 'chimaek.' It's a combination
of fried chicken and beer2. It's used a lot in dramas so it's gotten pretty popular. You can make
other words by combining 'chi-kin' with other
foods, too. Like chicken and coca-cola is 'chi-kol'
and chicken and rice is 'chi-bap.'
[8] The seventh word is 'chaebol.' Big conglomerates like Samsung and Hyundai have various
incorporated companies like Samsung Electronics, Samsung Motors, Hyundai Malls and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The leaders of these
companies are all members of the same family.
And the family members that run these affiliated
companies are called chaebols.
[9] The last word is 'daebak.' It's used when
something really good happens, or when you're
amazed by something. For example, you watch
a mukbang and you're amazed that they ate so
much - "daebak!" Like that. Or if you win the
lottery or you meet BTS in person - that'd feel
amazing, right? You'd say, "daebak!" then too.
[10] Today we looked at some words that were
added to The Oxford Dictionary. Everyone, when
would you say "fighting," or in what situation
would you want to say "daebak"? Leave them in
the comments! I'll also give you a "fighting!" or a
"daebak!" in return!
[5] The fourth word is 'konglish.' 'Konglish' is
a word made by combining 'Korea' and 'English.' The word Konglish can have two kinds of
meanings. First, English words said with Korean
pronunciation - we call that 'Konglish'. Second,
there are words that are similar to English, but
are not actually English words and are words that
1
2
Mung-neun bang-song (먹는 방송) - literally "eating broadcast" or "televised eating"
Chimaek (치맥) is a combination of the words 치킨 (fried chicken) and beer (맥주)
112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길몽
Lucky dream
악몽
Nightmare
13
용
Dragon
돼지
Pig
호랑이
Tiger
돈
DREAMS
Money
꿈
113
Ch13
13 꿈 Dreams
본문 MAIN TEXT
[1] 좋은 아침이에요 여러분~
어젯밤에 여러분들은 어떤 꿈을 꾸었나요? 좋은 꿈을 꿨나요 아님 나쁜 꿈을 꿨나요? 제 친구는
전날 좋은 꿈을 꿔서 오늘 복권을 샀다고 해요. 오늘은 이 꿈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한국에서는 꿈마다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꿈에 대한 단어도 같이 공부해 봐요.
[2] 먼저 좋은 꿈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게요. 이 좋은 꿈은 길몽이라고 해요. 길몽(吉夢)은 한자
어로 길(吉)은 '운이 좋다.'라는 의미이고 몽(夢)은 꿈을 뜻해요. 한국에서는 그럼 어떤 꿈이 좋
은 꿈일까요?
[3] 한국에서는 돼지가 나오거나 똥, 오줌이 나오는 꿈, 그리고 용, 호랑이가 나오는 꿈은 정말
좋은 꿈이에요. 돼지는 옛날에 키워서 팔았기 때문에 재물을 의미해요. 그래서 돼지꿈은 정말
좋은 꿈이라고 해요.
용이나 호랑이는 한국에서 보통 신성한 동물이라고 생각해요. 신성한 동물이 꿈에 나오면 정말
특별하겠죠? 그만큼 좋은 일이 생길 꿈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꿈에서 연예인이나 대통령처럼
아주 유명한 사람을 만나면 승진이나 계획한 일이 잘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4] 이번에는 똥, 오줌에 대한 꿈도 이야기해 볼게요. 똥이나 오줌은 정말 더럽죠? 하지만 한국
에서는 좋은 꿈에 속한답니다. 이와 관련된 아주 대표적인 이야기가 있는데요. 옛날에 한 소녀
가 산 정상에서 소변을 봤는데 온 세상이 잠기는 꿈을 꾸었어요. 다음 날 일어나서도 생각이 나
서 이 소녀는 기분이 이상하고 안 좋았대요. 소녀의 기분이 하루 종일 안 좋아 보여서 소녀의 여
동생이 물어봤대요. 그래서 소녀는 여동생에게 꿈에 대한 이야기를 모두 해주었어요. 그런데 여
동생은 오히려 꿈 이야기를 듣고 특별하다고 생각했대요.
그래서 언니로부터 그 꿈을 샀는데 나중에 이 여동생은 왕비가 되었다고 해요. 정말 대단한 꿈이
었던 거예요. 그리고 얘기한 것처럼 이렇게 꿈은 살 수도 있고 팔 수도 있기도 해요. 그냥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사는 거라 꼭 꿈값을 줘야 한답니다.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좋은 꿈을 꾸면
복권을 사러 가요! 혹시 1등할 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하면서 말이죠.
114
Ch13
13 꿈 Dreams
본문 MAIN TEXT
[5] 이번엔 반대로 나쁜 꿈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나쁜 꿈은 다른 이름으로 악몽 또는 흉몽이라고 해요. 악몽(惡夢)의 악은 '무섭고 안 좋다.'라는
의미예요. 흉몽(凶夢)의 흉도 '불길하다, 안 좋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아까 이야기한 것처
럼 몽(夢)은 꿈이라는 뜻이에요. 합쳐서 안 좋고 나쁜 꿈을 이야기해요. 귀신이 나오거나 쫓기는
꿈은 무슨 일이 생기지 않게 신중하고 조심해야 돼요. 그리고 꿈에 음식을 먹으면 아플 수 있다
고 해요. 정말 안 좋은 꿈은 이가 빠지는 꿈이에요. 이가 빠지면 가족 중 한 사람에게 안 좋은 일
이 생길 수 있어서 흉몽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이런 날은 항상 조심해서 하루를 보내려고
해요.
[6] 이 밖에도 여러 가지 특별한 꿈들이 있는데요. 먼저 미래에 있을 일을 미리 꾸는 꿈을 예지몽
이라고 해요. 쉽게 꾸는 꿈은 아니죠. 그리고 의미 없이 꾸는 꿈은 개꿈이라고 해요. 마지막으로
정말 특별한 꿈이 있는데요. 바로 태몽입니다. 태몽은 아기가 생겼을 때 꾸는 꿈이에요. 부부뿐
만 아니라 친구나 다른 가족들이 대신 꾸기도 합니다. 호랑이, 용, 잉어와 같은 특별한 동물이나
생선이 다가와 안기기도 하고, 과일이나 열매를 받는 꿈도 태몽이에요. 이 꿈을 꿔 본 사람들은
정말 다른 꿈이랑 느낌이 전혀 다르다고 해요. 제 태몽은 옆집 할머니한테서 고추를 받는 꿈이었
다고 해요. 제 남동생의 태몽은 바닷가에서 보석을 줍는 꿈이었고요. 물론 태몽이 없는 사람들도
많이 있지만 한국에서는 종종 친구들과 태몽이 뭐였는지 서로 물어보기도 한답니다.
[7] 얼마 전에 학생들과 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요. 돼지가 좋은 동물이 아닌 나라
에서는 한국과 달리 돼지꿈은 나쁜 꿈이었어요. 그리고 어떤 나라에서는 뱀에게 물리면 남자친
구나 여자친구가 생기는 꿈이라고 하더라고요. 또, 결혼식장에 가는 꿈은 악몽, 장례식장에 가
는 꿈은 길몽인 나라도 있었어요. 나라마다 꿈에 대한 의미가 달라서 참 흥미로웠어요.
여러분들의 나라에서는 어떤 꿈이 좋은 꿈인가요? 또, 나쁜 꿈은 어떤 꿈이에요? 꿈에 대한 이야
기를 댓글로 남겨 주세요.
115
Ch13
13 꿈 Dreams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똥
feces; poop
오줌
urine; pee
재물
wealth; riches
신성한
sacred; holy; divine
연예인
a celebrity/entertainer
대통령
the president
승진
속하다
대표적인
a promotion
to belong to; be affiliated with
representative; typical
소녀
a (young) girl
정상
the top/peak/summit
소변을 보다
잠기다
to urinate/pee
to be flooded; submerged
왕비
a queen
꿈값
the price/payment for a dream
신중하다
이가 빠지다
Indicates cause and
effect.
'Because (of)...'
V-ㄴ/는답니다
Informs the listener of a fact
they may not know, that
you've learned from somewhere else.
'From what I've heard...'
'Apparently...' 'Actually...'
A/V-더라고(요)
An expression used to state
a fact the speaker learned
through direct experience.
'I've found that...'
to be careful/cautious
one's teeth fall out
대신
instead; rather
잉어
a carp
안기다
A/V-기 때문에
to embrace/hug
열매
small berries; nuts; seeds
고추
a chili pepper
보석
a jewel
줍다
to pick sth up
장례식당
a funeral parlor
흥미롭다
to be interesting/exciting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16
Ch13
13 꿈 Dreams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한국에서 좋은 의미의 꿈을 고르세요.
1. 용을 만나는 꿈
2. 이가 빠지는 꿈
3. 귀신에게 쫓기는 꿈
4. 연예인을 만나지 않는 꿈
Q2. 소녀의 언니가 꿈을 산 이유는 무엇입니까?
1. 동생의 기분이 너무 안 좋아 보였기 때문에
2. 굉장히 나쁜 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3. 산 정상에 가고 싶기 때문에
4. 꿈 내용이 특별하고 생각했기 때문에
Q3. 홍 선생님의 태몽은 무엇입니까?
1. 특별한 동물이 다가와 안긴 꿈
2. 맛있는 과일을 받는 꿈
3. 이웃집 할머니가 고추를 주신 꿈
4. 바닷가에서 보석을 줍는 꿈
117
Answers: 1 / 4 / 3
Ch13
13 꿈 Dreams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좋은 꿈을 꾸면 무엇을 하고 싶어요?
기억에 남는 꿈 하나를 소개해주세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의 나라에서 어떤 꿈이 좋은 꿈인지 어떤 꿈이 나쁜 꿈인지 써 보세요.
Write about what dreams are good and bad in your country/ culture.
118
Ch13
13 꿈 Dreams
번역 TRANSLATION
[1] Good morning everyone!
What did you dream about last night? Did you
have good dreams? Or bad dreams? My friend
told me she had a good dream yesterday so she
bought a lottery ticket today. Let's learn about
dreams today! We'll learn about each dream having a meaning in Korea, and together we'll study
some new words about dreams.
[2] First let's talk about good dreams. We call
good dreams gilmong (lucky dreams). In Chinese
characters, the symbol for 'gil' means 'good luck'
and the symbol for 'mong' means 'dream.'
So what sort of dreams are good dreams in Korea?
[3] In Korea, if you have a dream with a pig, or
one with feces or urine, or if dragons or tigers appear, that's a really good dream. In the past, pigs
were raised to sell, so they signify wealth. So
we say that pig dreams are really great dreams.
And we usually think of dragons and tigers as
being sacred animals in Korea. It's pretty special
to have a sacred animal appear in your dream,
right? A dream like this portends something just
as special happening to you in real life.
Also, if you meet a really famous person, like a
celebrity or president, it means that you could
get promoted, or your plans will pan out.
[4] Now let's try talking about the dreams with
feces and urine. Feces and urine are pretty gross,
right? But in Korea, they signify good dreams.
There's a story related to this idea that explains it
pretty well.
Once upon a time, a girl had a dream where she
peed on a mountaintop and flooded the whole
world. Even after she woke up the next day, she
kept thinking about the dream, and she felt a bit
strange and out of sorts. She felt that way all day
long until her younger sister noticed and asked
her what was wrong. So she told her sister all
about the dream. But strangely, after hearing the
story, the younger sister thought it sounded rather special. So it's said that she bought the dream
from her older sister and later became queen. It
must've been a truly amazing dream!
And as I mentioned, dreams can be bought and
sold like this. It's not just a saying, you have to
directly buy the dream yourself, so you need to
offer some sort of payment1.
Nowadays, lots of people go buy lottery tickets
when they have good dreams! You never know there's always the hope that you'll win, right?
[5] Now let's learn about the opposite: bad
dreams.
There's different words for bad dreams, like
'ang-mong' or 'hyoong-mong.' In the Chinese
characters for ang-mong, the symbol for 'ak'
means 'bad' or 'scary.' Similarly, in hyoong-mong,
the symbol for 'hyoong' means 'ominous' or
'bad.' And as I said earlier, 'mong' means 'dream.'
Combining them together gives us 'bad dreams'
or 'ominous dreams.' If you have a dream with
a ghost, or one where you're being chased, you
should take care and be cautious so that nothing
bad happens. And if you eat in a dream it means
you might get hurt or sick. A really bad dream is
one where your teeth fall out. If that happens, it
means something bad might happen to one of
your family members - dreams like these are 'hyoong-mong'. I always try to be careful on those
days.
[6] Other than these, there are many other
special dreams. A dream about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is called a 'yejimong' (prophetic
dream). That's not a dream you have every day,
right? And also nonsense dreams are called 'gaeggoom'2. Lastly, there's one very special dream.
And that's a 'taemong.' A taemong is a conception dream3. They're not just for couples; friends
and other family members can also have one for
1
Buying & Selling Dreams: if you have a very lucky dream (e.g. one featuring a dragon or pig)
you can sell that dream to another person in exchange for money - likely just a small amount - or
other goods, often some token or charm. The person that purchases the dream is then thought to
inherit that good luck. Inversely, if you're in need of some good luck, you can offer to buy a lucky
dream from a friend or family member as well.
2
Gaeggoom (개꿈) - literally "dog dreams"
3
Conception dreams (태몽) are dreams that are said to foretell the conception or birth of a child,
dreamt by the future mother or people close to her. The topic of the dream is believed to influence
the future of the baby. You can also buy conception dreams from others if you feel they are a
119
Ch13
13 꿈 Dreams
번역 TRANSLATION
you. Dreams with tigers, dragons, carp and other
significant animals, or one where a fish comes up
and embraces you, or one where you're receiving
fruit or nuts - these are all conception dreams.
Each conception dream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the feeling can be completely different,
too.
My mom said my conception dream was one
where she got peppers from the old lady next
door. My younger brother's conception dream
was one where she picked up a jewel at the
beach. Of course, there's lots of people who don't
have conception dreams, but in Korea, it's pretty
common for friends to ask each other what their
conception dreams were.
[7] A short while ago I talked with my students
about dreams. Unlike Korea, in countries where
pigs aren't seen as lucky animals, pig dreams
were bad dreams. And in one country, they said
being bitten by a snake meant that you'll get a
boyfriend or girlfriend. There was also a country
where having a wedding was a bad dream, and
going to a funeral was a lucky dream. It was so
interesting how every country ha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dreams.
Everyone, what signifies a good dream in your
country? What about a bad dream?
Let me know about your dreams in the comments!
good omen for your future child.
120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숙면
A sound sleep
불면증
Insomnia
14
식곤증
A food coma
춘곤증
Spring fatigue
잠
SLEEP
Sleep
잠
121
Ch14
14 잠 Sleep
본문 MAIN TEXT
[1] 여러분들은 지난 밤에 푹 잘 잤나요? 저는 너무 잘 자서 기분이 아주 좋습니다.
지난 시간에 꿈에 대해서 이야기해 봤는데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잠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먼저 "잠을 자다"의 다른 표현들부터 알아볼게요.
[2] 잠은 수면, 취침이라는 고급 단어들이 있어요. 뉴스 기사나 책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들이
에요. 잠을 자다는 고급 표현으로 "수면을 취하다"라고 해요. 여기서 "취하다"는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해요. 잠을 자기 위해 행동을 하죠. 그래서 "수면을 취하다"라고 합니다. 또한,
"취침을 하다"도 같은 뜻을 가지고 있어요.
잠을 정말 잘 자서 푹 쉰 기분이 들 때가 있죠? 이렇게 잠을 푹 잘 잤을 때 숙면이라고 해요. 하
지만 스트레스나 걱정이 많거나, 자려고 노력해도 잠을 잘 못 자는 사람들이 있죠. 이걸 불면이
라고 해요. 같은 이유로 계속 잠을 못 자는 날이 많아지면 불면증이라는 하나의 증상으로 보기
도 합니다.
이렇게 잠도 증상이 있는데요. 배가 너무 부르면 신기하게 잠이 옵니다. 이걸 식곤증이라고 해
요. 또, 한국에서는 추운 겨울이 지나 따뜻한 봄이 오면 많은 사람들이 낮에 졸기 시작해요.
봄에만 특히 그래서 이걸 춘곤증이라고 해요.
[3] 그리고 우리는 잠을 자면 여러 가지 행동이 나오기도 하는데요. 이걸 잠버릇이라고 해요. 잠
버릇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잠을 자면서 코로 드르렁 드르렁하고 소
리내는 건 코골이, 이를 뿌드득 갈면서 소리내는 건 이갈이, 잠을 자면서 말을 하는 건 잠꼬대라
고 해요. 저는 정말 피곤한 날에는 코골이가 좀 있답니다. 가족들이나 친구들이 잠꼬대를 하는
건 정말 재미있어요.
[4] 마지막으로 시간과 관련된 잠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게요. 시간에 따라 잠과 관련된 단어들이
있어요.
먼저,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아는 단어, 늦게까지 자는 잠을 늦잠이라고 합니다.
또, 아침에 자는 잠은 아침잠, 낮에 자는 잠은 낮잠이라고 해요. 새벽에 자는 잠은 새벽잠이라
122
Ch14
14 잠 Sleep
본문 MAIN TEXT
고 이야기해요. 그럼 밤에 자는 잠은 뭘까요? 네, 맞아요. 바로 밤잠이에요.
할머니나 할아버지들은 일찍 주무시고 새벽에 일어나시는 분들이 많아요. 이걸 "새벽잠이 없다"
라고 이야기해요. 그리고 아침잠이 많아서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다고 표현하기도 해요. 밤에
늦게 잠들어서 푹 자지 못할 때는 "밤잠이 부족하다"라고 한답니다.
[5] 요즘은 밤에 늦게까지 안 자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이런 사람들을 올빼미족이라고 해요. 저
는 올빼미족이라 밤에 이것저것 하는게 많아요. 대신 늦게 자는 만큼 아침잠이 많아서 주말에는
늦게까지 자는 늦잠을 좋아해요. 여러분들 중에는 저처럼 올빼미족이 있나요? 잠을 잘 때 여러
분들은 어떤 잠버릇이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댓글로 저에게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 주세요.
123
Ch14
14 잠 Sleep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푹
deeply; well; soundly
고급
advanced; high-level
행동
an act; action; behavior
숙면
a deep sleep; a sound sleep
불면
a sleepless night; poor night's sleep
불면증
증상
insomnia
a symptom
신기하다
novel/interesting/amazing/cool
잠이 오다
to feel sleepy
식곤증
졸다
잠버릇
sleep habits
드르렁
a snorting (sound); a snore
to make a sound
코골이
snoring
뿌드득
a grinding/grating (sound)
teeth grinding
잠꼬대
sleep talking
아침잠
sleeping-in ; a morning lie-in
낮잠
a nap; an afternoon nap
새벽
after midnight and before dawn
잠들다
부족하다
올빼미
To talk about things
changing/becoming/
ending up some way.
N(이)라고 하다
To talk about what
something is called.
'It's called...'
'We call it...'
to rub/grind/file
이갈이
주무시다
A-아/어지다
to doze/drowse; nod off
spring fatigue; spring fever
갈다
Used when performing an
action to accomplish something.
'In order to...'
'For the sake of...'
a food coma
춘곤증
소리(를) 내다
V-기 위해서
to sleep (honorific)
to fall asleep
to be insufficient; inadequate
a night owl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24
Ch14
14 잠 Sleep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다음 중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은 무엇입니까?
1. 스트레스나 걱정이 많으면 잠을 푹 자기 어렵다.
2. 잠을 잘 때 여러 가지 행동이 나오기도 한다.
3. 아침잠이 많은 사람은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다.
4. 할머니나 할아버지들은 늦은 저녁까지 잠을 안 주무신다.
Q2. 봄에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낮에 조는 증상은 무엇입니까?
1. 춘곤증
2. 식곤증
3. 불면증
4. 숙면증
Q3. 밤에 늦게까지 안 자는 사람들을 뭐라고 합니까?
1. 고양이족
2. 올빼미족
3. 부엉이족
4. 박쥐족
125
Answers: 4 / 1 / 2
Ch14
14 잠 Sleep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은 낮잠을 자주 자는 편인가요?
메모해 보세요
여러분은 올빼미족인가요?
몇 시에 보통 잠을 자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은 아침잠, 낮잠, 밤잠, 새벽잠 중에 어떤 것이 많은가요? 그리고 피곤하면 어떤 잠버릇
이 있는지 써 보세요.
When do you get the most sleep? The morning, the afternoon, the evening, or the early
hours of the morning? What are your sleep habits like when you're tired?
126
Ch14
14 잠 Sleep
번역 TRANSLATION
[1] Did you guys sleep well last night? I had an
amazing night's sleep so I'm feeling great today.
Last time we talked about dreams. So following
the last episode, this time we're going to talk
about sleep. First, let's take a look at some different expressions for 'sleeping.'
[2] There are some advanced words for sleep like
'su-myeon' and 'chwichim.' They're words you
often see on news broadcasts or in books. 'Sumyeon-eul chwihada' is an advanced expression
for 'to sleep.' The 'chwi-hada' part here means to
do some action. This means that 'to sleep' is an
action. So we say 'su-myeon-eul chwihada.' And
the expression 'chwichi-meul hada' carries the
same meaning...
There are times when you sleep really well and
you feel well-rested, right? When you get a good
nights sleep like that, we call it 'soong-myeon' (a
deep/sound sleep). But there are people who are
so worried and stressed, they can't sleep even if
they try, right? We call that 'bul-myeon' (sleeplessness). In the same vein, if you're unable to
sleep for days, we might see that as a symptom
of 'bul-myeon-jeung' (insomnia). And sleep can
also be a symptom of other things. When you're
super full, you magically just fall asleep. We call
that 'shikkon-jeung' (a food coma).
And in Korea, when a brisk winter is followed
by a balmy spring, many people start getting
drowsy during the day. This happens particularly
in spring, so we call it 'choongon-jeung' (spring
fatigue).
you guys are the most familiar with: 'neut-jam'
(oversleeping) - that's when you get up late.
Next, sleeping during the morning is called
'achim-jam' (sleeping in), sleeping during the
afternoon is called 'nat-jam' (a nap). Sleeping
during the early morning hours (~4am - 6am)
is called 'sae-byeok-jam.' Then what's sleeping
during the night called? You guessed it. It's 'bamjam.'
Many elderly people go to bed early and then
wake up in the wee hours of the morning. They'll
say, "I'm up before the sun." And some people
also say that they find it hard to get up in the
morning after they sleep in late. When you go to
bed late and don't sleep well, you can say, "I'm
short on sleep."
[5] Nowadays lots of people don't go to bed until
late at night. We call them 'ol-bbaemijok' (night
owls). I'm a night owl so I get a lot of stuff done
at night. And the later I stay up at night, the more
I sleep in in the morning, so on weekends I love
sleeping in late.
Are any of you guys night owls like me? I'm also
curious what sleeping habits you guys have when
you sleep. Tell me all about it in the comments!
[3] And while we sleep there are various things
we do as well. These are called 'jam-beoreut'
(sleeping habits). Sleeping habits include many
different things. If you snort through your nose
while you sleep, that's called 'ko-goli' (snoring); if
you make a grinding noise with your teeth, thats
'i-gali' (teeth-grinding); and if you talk while you
sleep, that's 'jam-kkodae' (sleep talking). I snore
a little bit on days when I'm really tired. And it's
pretty funny when my family members or friends
talk in their sleep.
[4] Lastly, let's talk about sleep as it relates to
time.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there are
different words for sleep1. First up is the word
1
Unlike English, Korean has lots of time-related words for sleep. This is not necessarily the time
one goes to bed - rather it's the time of the day/night when one is already asleep.
127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중간고사
Mid-term
시험지
Test paper
15
면접 시험
Job interview
답안지
Answer sheet
시험장
ABOUT TESTS & EXAMS
Exam room
시험에 대해
128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안녕하세요!
요즘 많은 학교에서 중간 고사가 끝났어요. 혹시 여러분 중에도 시험 본 사람 있나요? 좋은 결과
가 있기를 바랄게요.
그럼 오늘은 시험에 대한 단어를 같이 공부해 봐요.
학교에서는 매 학기 두 번씩 시험을 봐요. 학기 중간에 첫 번째 시험이 있죠? 그래서 이 시험을
중간고사라고 해요. 학기가 끝날 때 보는 시험은 학기의 '기'와 시간의 끝, 마지막이라는 뜻의
'말'이라는 단어를 합쳐서 기말고사라고 해요.
[2] 시험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요. 자격증을 위한 자격증 시험, 외국어 실력을 확인할 수 있는
외국어 시험, 대학교에 입학하려면 봐야 하는 대학 입학시험 등이 있어요.
한국은 회사에 들어갈 때도 시험이 있어요. 인성과 적성 검사를 하는 시험이에요. 이걸 인적성시
험이라고 해요. 인터뷰를 보는 건 면접시험이라고 하고요.
그리고 컴퓨터로 보는 시험은 온라인 시험, 종이 시험지로 보는 시험은 필기시험 또는 지필 시험
이라고 해요. 그림을 그리거나 노래를 부르는 시험은 실기 시험이고요.
[3] 이번에는 시험 볼 때 사용되는 단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게요.
우리가 시험을 보는 장소는 시험장이라고 해요. 보통 학교에서 시험을 많이 봅니다. 그래서 교실
에서 시험을 보는데 시험이 시작되기 전에 꼭 교실에 들어가야 합니다. 이걸 입실이라고 해요.
반대로 시험이 끝나고 나오는 걸 퇴실이라고 해요. 그리고 시험을 보는 사람은 응시자 또는 수험
생이라는 단어를 써요. 시험을 볼 때 감독을 하는 사람은 감독관이라고 하고요.
[4] 시험을 보는 건 시험지에 있는 문제를 푸는 거예요. 문제를 다른 말로 문항이라고 해요. 문제
의 종류도 두 종류가 있어요. 먼저 1번부터 5번까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를 객관식 문제
라고 해요. 단어나 문장 또는 긴 작문을 쓰는 건 주관식 문제라고 하고요.
[5] 그리고 시험의 답을 쓰는 종이는 답안지라고 합니다. 답안지에는 이름을 쓰죠. 이름을 다른
129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본문 MAIN TEXT
말로 성명이라고 해요. 또 응시 번호 즉 수험 번호를 씁니다.
시험을 보는 동안에는 시험을 보는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서 감독관이 신분증도 확인합니다. 한
국에서는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이 신분증이에요. 외국인들은 외국인등록증과 여권이 신분증
입니다.
[6] 문제를 푸는데 가끔 답을 모를 때가 있어요. 이렇게 답이 정말 생각이 안 나면 아무 답이나
고를 때가 있죠. 이걸 "찍다."라고 해요. 시험을 볼 때 하면 안 되는 행동을 부정행위라고 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행동은 시험 중에 몰래 답을 보는 행동이에요. 이렇게 몰래 답을 보는 행동은 "컨
닝하다."라고 해요. 그리고 답이 적힌 종이는 컨닝 페이퍼라고 하고요.
[7] 시험이 끝나면 결과가 나옵니다. 시험 결과가 좋으면 "시험에 붙다, 합격하다, 시험을 패스하
다."라고 합니다. 반대로 시험 결과가 안 좋으면 "시험에 떨어지다." 또는 "불합격하다."라고 해
요. 중요한 시험은 주변 사람들이 합격하라고 선물을 주기도 해요. 집중을 잘 할 수 있게 초콜릿
이나 사탕을 주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런데 단어의 특별한 의미에 맞춰 선물을 준비하기도 합니
다. 먼저 화장실 휴지 선물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문제를 풀다."의 "풀다."와 화장실 휴지의 "휴
지를 풀다."는 같은 단어를 써요. 그래서 문제를 잘 해결하라는 의미로 휴지를 선물합니다
[8] 그리고 포크를 선물하기도 합니다. 포크는 음식을 찍어서 먹는 도구예요. 아까 문제가 어려
우면 "아무 답이나 찍는다."고 했죠? 잘 찍어서 맞추길 바라는 마음으로 포크를 선물하는 사람도
있어요. 마지막으로 유명한 선물은 바로 엿이에요. 이 엿은 사탕처럼 달콤한데 끈적끈적해서 잘
떨어지지 않아요. 그래서 시험에 잘 붙으라는 의미로 선물해요.
오늘 정말 다양한 단어들도 배우고 한국의 시험 문화에 대해서도 배워봤는데요. 여러분의 나라
에서는 시험 볼 때 보통 어떤 선물을 주는지 궁금하네요. 댓글로 저에게 알려 주세요.
130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중간 고사
결과
자격증
midterm exam
result
certificate/license
실력
skill/ability
인성
character/personality
적성
aptitude
검사
an exam/inspection/test/check
시험지
test paper/exam paper
필기
'written'; to write down; take notes
실기
practice; practical skill
반대로
감독
문제를 풀다
작문
답안지
supervision
to solve a problem
paragraph; essay
answer sheet
participant number
수험 번호
seat number
고르다
부정행위
몰래
적히다
집중을 하다
맞추다
(휴지를) 풀다
엿
끈적끈적하다
To talk about conditional
intentions and desires.
'If you intend to....'
'If you want to...'
A/V-아/어야 하다
To talk about things you
should/must do.
'I have to...' 'I should...'
'I need to...'
conversely; contrarily
응시 번호
생각이 나다
A/V-(으)려면
A/V-(으)ㄴ/는데
To add to, contrast with, or
preface information.
Commonly translated to
'and,' 'but,' or 'so.'
to remember; to recall
to choose
cheating; foul play
secretly
to be written down; noted down
to concentrate
to match/put together/puzzle out
to pull off toilet paper
Korean hard taffy
sticky; adhesive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31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학교에 들어갈 때 보는 시험을 고르세요.
1. 인성 검사
2. 적성 검사
3. 인터뷰
4. 입학 시험
Q2. 다음 중 답안지에 쓰는 것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 성명
2. 응시 번호
3. 국적
4. 수험 번호
Q3. '시험 결과가 좋다'는 의미와 다른 것은 무엇입니까?
1. 시험에 떨어지다
2. 시험을 패스하다
3. 시험에 붙다
4. 시험에 합격하다
132
Answers: 4 / 3 / 1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정답이 생각 안 나서 찍어본 적 있어요?
어떤 문제였어요? 맞혔어요?
학교 시험 외에 다른 시험을 본 적이 있어
요? 어떤 시험을 본 적 있어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시험을 볼 때 보통 어떤 선물을 주는지 써 보세요.
Write down what kind of gifts you usually give when you take a test in your country.
133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번역 TRANSLATION
[1] Hi everyone!
Lately a lot of schools have just finished their
midterms. By chance, are any of you taking your
exams right now? I hope you do well.
Today, let's go over some words about exams.
During every semester at school there are two
tests. You take the first one half-way ('joonggan') through the semester, right? So we call this
'joong-gan-gosa' (midterm). The word for the
final test in the semester combines the syllable
'gi' meaning 'time', and 'mal' meaning 'last/final',
so you get the word 'gimal-gosa' (final exam).
[2]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tests. There
are licensing exams to get qualifications, foreign
language exams to verify your foreign language
skills, entrance exams you have to take to get
into college, etc.
In Korea there's even a test to get into a workplace. It's an exam that tests your personality
and aptitude. We call it the 'injeok-seong' test1.
And we call the interview portion the 'myeon-jeop' test (job interview).
Also, exams you take on a computer are 'online
tests', and tests you take on exam papers are
called 'pil-gi' or 'ji-pil' tests (written exams). Tests
for drawing or singing are called 'shil-gi' tests
(practical exams).
[3] Now let's talk about the words you use when
you're taking a test.
The place where you take a test is called a
'shihom-jang' (testing center). Usually we take
a lot of exams at school. So when you're taking
a test in your classroom you have to be there
before the test starts. This is called 'ip-shil' (exam
admittance). Conversely, leaving once the test
is done is called 'tweh-shil'. And we also use the
words 'eung-shija' (examinee) and 'suhom-seng'
(test-taker) to describe those who are taking the
test. The person supervising the test is called
'gamdok-kwan' (examiner).
[4] Taking a test involves solving 'moon-jae'
(problems) on the test paper. Another word for
1
2
3
4
5
problem is 'moonhang'. There are also two types
of problems. First, there are the ones where you
choose one answer from a selection of one to
five choices - those are called 'gaek-gwanshik'
(multiple choice) questions. Ones where you
write words, sentences, or long compositions are
called 'ju-gwanshik' (short answer/essay questions).
[5] Also, the paper that you write your answers
on is called the 'daban-ji' (answer sheet). Of
course, you write your name on the answer
sheet. Another word for 'name' in Korean is
'seong-myeong'. You also write your participant
number and your seat number on the sheet.
During the test, the examiner checks identification cards to verify those taking the exam. In
Korea, resident registration cards and driver's
licenses are valid forms of ID. For foreigners, foreigner identification cards and passports are valid
forms of ID.
[6] Sometimes when you're solving a problem
you don't know the answer. When you really
can't think of the answer, you just pick anything,
right? We call this 'jjik-da' (taking a stab at it).
The one thing you should never do during a test
is 'bujeong-hengwi' (cheating), and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this is secretly looking
at the answers during the test. Secretly looking
at answers like this is called 'conning-hada'2 (to
cheat). And the paper with the answers on it is
called a 'conning' paper (cheat sheet).
[7] After the exam is over, the results come out.
If your test results are good, you say, 'shihom-eh
but-tta'3, 'hapkyeo-kada' (to pass), or 'shihom-eul
pehssu-hada'4. Conversely, if the results aren't
good, you say 'shihom-eh tteo-rojida'5 (to fail the
test) or 'bul-hapkyeo-kada' (to not pass).
For important tests, people around you will give
you gifts to help you pass. Lots of people give
chocolate or candy to help you concentrate. But
we also sometimes make use of wordplay when
we give gifts.
First let's talk about gifting toilet paper. The verb
The 'injeok-seong' test - combines the words '인성' (personality) and '적성' (aptitude)
'Conning hada' means 'cheating' but is derived from the English word 'cunning'
'Shihom-eh but-tta' is literally 'to stick/adhere to the test'
'Pehssu-hada' uses the English word 'pass'
'Shihom-eh tteo-rojida' is literally 'to fall off/not stick to the test'
134
Ch15
15 시험에 대해 About Tests & Exams
번역 TRANSLATION
'pul-da' from the phrase 'moonjae-reul pul-da'
(to unravel a problem) is also used in the phrase
'hyuji-reul pul-da' (to unravel toilet paper). So
people gift toilet paper with the hope that you'll
be able to unravel, i.e. solve, all the problems.
[8] Forks are also given as gifts. Forks are a tool
used to stab and pick up food. Earlier we talked
about how when a question is difficult, you'll just
take a stab at it, right? So there are also those
who give forks hoping you'll take a good stab
with your guesses. The last well-known gift to
give is yeot (Korean hard taffy). Yeot is sweet
like candy, but it's sticky so it won't come off of
things very easily. So they'll give it to you hoping
you do well [literally - 'stick well'] on the test.
Today we learned a lot of words about tests, and
we learned about Korean test culture as well. I'm
curious what gifts you guys usually give each
other in your country when you take exams.
Let me know in the comments!
135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생활비
Living costs
기업
16
A business
근로자
A worker
월급
Monthly wage/salary
세금
Tax
근무
WORK & LABOR
Work
일과 노동
136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벌써 7월의 마지막 주네요. 7월, 잘 보냈나요?
저는 방학이라서 푹 쉬면서 재충전을 하고 있어요. 한국의 많은 대학생들은 방학에 쉬기도 하
지만 자격증이나 외국어 공부를 하기도 하고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해요. 이렇게 방학에 열심히
아르바이트를 해서 돈을 모아 여행 경비를 마련하기도 하고 생활비로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오늘은 일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 볼까 해요.
[2] 어떤 한 곳에서 임시로 일하는 걸 아르바이트라고 합니다. 보통 아르바이트는 시간당 시급으
로 급여가 정해져요. 그리고 너무 적게 주지 않도록 한 시간에 기업이 근로자에게 줘야 하는 최
저 금액이 있는데요. 이것을 최저 시급이라고 해요. 이것보다 적게 주면 안 되고 매년 물가가
오르면서 달라질 수 있어요. 나라마다 최저 시급도 기준도 다르죠. 그리고 일한 기간에 따라 하
루에서 3개월까지는 단기 알바라고 하고 3개월 이상은 장기 알바라고 해요.
[3] 그럼 회사는 어떨까요? 회사에서는 보통 일정 기간 동안 근무하는 경우 계약직이라고 해요.
이 계약직은 일반적으로 최대 2년까지만 가능해요. 2년 이상 한 직장에서 근무를 하면 반드시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하는 규정이 있거든요.
[4] 어떤 나라에서는 매년 계약을 하지만 한국에서는 보통 한 번 회사에 들어갈 때 계약서를
쓰고 계속 근무를 해요. 이렇게 정해진 기간 없이 계속 일하게 되면 정규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에 고정적으로 일하면 매달 월급을 받죠. 한 달은 월급, 1년 동안 받은 총 월
급의 금액을 연봉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회사를 지원하기 전에 월급 또는 연봉이 얼마인지
확인을 많이 해요. 그리고 이 월급에는 세금과 4대 보험의 금액이 포함되어 있어요. 4대 보험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이렇게 네 가지의 보험을 말해요. 정부가 급여에서
일부 가져가는데 이 돈은 나중에 아프거나 일하다가 다쳤을 때 또는 나이 들어서 일을 더 이상
할 수 없을 때 돌려받을 수 있어요.
[5] 그리고 회사가 잘 돼서 돈을 많이 벌게 되거나 직원들이 열심히 일하면 특별 급여가 나오는
137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본문 MAIN TEXT
데요. 이걸 성과급 또는 보너스라고 해요. 또, 이렇게 열심히 일하다 보면 신입 사원에서 대리로,
과장님, 부장님이 되기도 하죠? 이렇게 직급이 올라가는 걸 승진 또는 진급이라고 해요. 월급도
높아지고 책임감도 더 많아지죠.
[6] 그런데 가끔 열심히 일해도 이 회사나 일이 안 맞는다고 생각이 들기도 해요. 이럴 때 다른
회사로 옮겨서 일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걸 이직이라고 해요. 일을 정말 잘하는 사람은 다른
회사에서 데려오고 싶어 하기도 합니다. 다른 회사에서 오라고 제의하는 것을 스카우트라고 해
요. 이렇게 이직하면 연봉이 훨씬 높아질 수 있어요.
[7] 열심히 일하면 잘 쉬는 것도 중요하죠? 그래서 회사에서는 휴가를 줍니다. 회사에 따라 여름
에 모든 직원이 일정 기간 동안 같이 쉬는 여름휴가 기간이 있기도 하고 직원들이 각자 알아서
쉬는 회사도 있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내가 쉬고 싶은 날 쉬는 것을 연차 또는 월차라고 해요.
또한, 결혼이나 가족의 장례식 때문에도 휴가를 쓸 수도 있고 아이를 낳기 위한 출산 휴가도 있
어요. 아이를 낳고 나서 아이와의 시간을 가질 수 있게 일정 기간 쉴 수도 있는데, 이것을 육아
휴직이라고 해요.
[8] 아, 그리고 요즘 한국에는 흥미로운 변화가 생겼어요. 다른 나라에서도 이야기가 되고 있는
주제인데요. 바로 주 4일 근무제입니다. 주 4일 근무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만 근무하고 금,
토, 일은 쉬는 걸 이야기하죠. 한국의 인터넷 대표 기업인 네이버에서는 최근 직원들의 의견에
따라 주 4일 근무제가 시행되기 시작했고 여러 회사에서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요.
사실 한국은 주 5일 근무, 토요일, 일요일 즉, 주말 모두 쉬게 된 지 얼마 안 됐어요.
2001년부터 주 5일 근무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오고 본격적으로 2004년부터 공공기관이 주 5
일 근무로 바뀌었거든요.
[9] 한국은 원래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휴일이 따로 없다가 공장이 생기고 회사들이 생기면서 주
138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본문 MAIN TEXT
6일로 일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지금도 일부 회사에서는 여전히 주 6일 근무를 하기도 한답
니다. 그래서 2001년에 한국에서는 주 5일 근무는 경제가 무너질지도 모른다고 걱정하는 사람
들이 많았어요. 지금은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지만 불과 20년밖에 안 된 일이네요.
[10] 많은 나라에서 주 4일 근무가 더 업무에 효율적이라는 말을 하고 있지만, 주 4일 근무에 대
해 부정적인 의견도 꽤 있는 편이에요. 그래도 이미 시행되고 있는 곳들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주 4일만 일하는 회사들이 많이 생길 것 같아요. 여러 가지로 근무에 변화도 생길 것 같고요.
여러분들은 주 4일 근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댓글로 남겨 주세요.
139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자격증
certificate/license
여행 경비
travel expenses
생활비
living expenses
임시로
temporarily
시간당
hourly
급여
정해지다
기업
근로자
최저 시급
pay/wage/salary
to be fixed/set/determined
company/business/enterprise
a worker
minimum wage
물가
the price; cost of living
일정 기간
a certain period of time
최대
정규직
the biggest/largest; the maximum
a permanent employee
전환
a change/switch/conversion
규정
a rule/regulation/code
고정적
tax
보험
insurance
책임감
제의하다
출산
시행되다
농사를 짓다
효율적
부정적인
The present progressive
tense. For things you are
currently doing.
'I am verb-ing.'
V-기도 하다
To talk about two
situations existing at the
same time. 'Sometimes it's
also X (and/but
sometimes it's also Y).'
A/V-(으)면 안 되다
Indicates that some action is
not allowed/prohibited.
'You can't...'
'... is not allowed.'
fixed/regular
세금
신입사원
V-고 있다
a new employee; new hir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make an offer/proposal
childbirth/labor
go into effect; be implemented
to farm; to do farm work
efficient/effective
negative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40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한국의 대학생들이 방학에 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1. 외국어 공부를 열심히 한다.
2. 각종 자격증을 취득한다.
3. 취업 준비는 하지 않는다.
4. 아르바이트를 해서 돈을 모은다.
Q2. 직장에서 계약직은 얼마나 오래 일하면 정규직이 됩니까?
1. 3개월 이상
2. 6개월 이하
3. 1년 이하
4. 2년 이상
Q3. 아이와 시간을 가질 수 있게 일정 기간 쉬는 것은 무엇입니까?
1. 결혼 휴가
2. 육아 휴직
3. 특별 휴직
4. 출산 휴가
141
Answers: 3/ 4/ 2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은 휴가나 방학 동안 보통 무엇을
해요?
여러분의 나라는 근무 형태가 어떻게 돼요?
주5일이에요? 주6일이에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해보고 싶어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 써 보세요.
What sort of work do you want to try? Why?
142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번역 TRANSLATION
[1] Everyone, it's already the last week of July!
Did you guys have a good July?
It's my vacation time so I'm just relaxing and
recharging. Lo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relax
during summer vacation, but many also study for
certifications or foreign languages, or work parttime jobs. They work hard part-time during their
break to save up money, scraping it together for
travel money and using it on living expenses.
So today I'm going to try talking about work.
[2] Working in one place temporarily is called
'areu-baiteu' (a part-time/temp job). These jobs
usually pay an hourly wage. And there's also an
established minimum amount so that companies
can't give their workers too little for that hour.
We call that the 'chwehjo-shigeup' (the minimum
wage). Companies can't give less than this, and
it can change as the cost of living goes up each
year. Of course,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minimum wage and different standards of living.
Also, depending on the time worked, we call jobs
lasting up to three months 'dan-gi alba' (shortterm part-time jobs) and jobs lasting more than
three months 'jang-gi alba' (long-term part-time
jobs).
[3] So what about a company? If you're working
at a company for a fixed amount of time, you're
called a 'gyeh-yak-jjik' (contract worker). This is
generally something you can only do for up to
two years at the most. That's because there's
a regulation where if you work at one place for
more than two years, then that company must
transition you to full-time.
[4] Also if the company does well and makes a lot
of money, or if the workers work especially hard,
there are bonuses. We call this 'seonggwa-geup'
(performance-related pay) or 'bonus.' Additionally, if you continue to work hard, you can go
from a new hire to a team leader, division leader, or department head, right? This increase in
rank is called 'seungjin' (promotion) or 'jin-geup'
(advancement). Of course your monthly pay and
your responsibilities both increase too.
[5] But even if you work hard, sometimes you'll
feel that you're just not a good fit at a company,
or with your job. There are people who move to
other companies in times like these. This is called
'i-jik' (changing jobs/turnover).
Sometimes a company will want to bring over
someone from another company who's really
good at their job. An offer from another company
is called 'scouting.' If you make a move like this,
your salary can really go through the roof.
[6] When you're working hard, its important to
take a break sometimes, right? So companies
offer vacation time. Some companies have a
fixed vacation time during the summer where
all the employees are off at the same time, and
some companies let the employees decide when
to take time off on their own. And normal days
when you just want to take time off are called
'yeon-cha' or 'wol-cha' (annual or monthly paid
leave).
You can also take time off for weddings or funerals, and you can take 'choolsan hyugah' (maternity leave) when having a baby. After the baby
is born, you can also take a certain period off to
spend time with your newborn, and that's called
'yoogah hyujik' (parental leave).
[7] Oh - and there's been an interesting change
happening in Korea these days. It's a topic that's
also being talked about in other countries: the
four-day work week. The four-day work week is
where you work from Monday to Thursday, and
then you have Friday, Saturday and Sunday off.
'Naver,' Korea's leading Internet company, recently started implementing a four-day workweek based on the opinions of its employees, and
now other companies are talking about it too.
Actually it hasn't been that long since Korea
started a five-day work week, with everyone
getting time off on the weekend - that being Saturday and Sunday. Talk about the five-day work
week started in 2001, and public institutions
officially switched to working five days a week in
2004.
[8] Because Korea was originally primarily agricultural in the past, there were no specific
holidays, but when factories and offices started
appearing, we began working six days a week.
And even now, I hear some companies still have
a six-day work week. So in 2001, many people in Korea were worried that a five-day work
week would collapse the economy. It's become a
normal part of life now, but it's only been twenty
years since then.
143
Ch16
16 일과 노동 Work & Labor
번역 TRANSLATION
[9] In many countries there's a lot of talk about
how working a four-day work week is more
efficient, but there are also quite a few negative
opinions about the four-day work week as well.
But still, because some places have implemented
it already, I think there will be more places that
only have a four-day work week in the future.
And I think lots of other things about working will
change as well. What do you guys think about
the four-day work week?
Let me know in the comments!
144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대기오염
Air pollution
수질오염
Water pollution
17
토양오염
Ground pollution
산불
Forest fires
지구 온난화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환경 오염
145
Ch17
17 환경 오염 Environmental Pollution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벌써 8월의 마지막 주네요. 아직도 한국은 날씨가 참 더워요. 지구 온난화 현상 때문
에 매년 더 더워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환경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해요.
[2] 요즘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가 심각해져서 큰 태풍이 오기도 하고 심각한 가뭄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리고 기온 상승으로 인해 산불 문제도 여러 번 생겼고요. 환경 오염도 점점 심각해지
고 있죠. 환경 오염 중에 공기가 오염되면 대기 오염, 물이 오염되면 수질 오염, 땅이 오염되면
토양 오염이라고 해요. 이렇게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이제는 깨끗한 물을 마시거나 사용하기 위
해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추가로 여과를 할 수 있는 도구들을 이용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물을 사 먹기도 하고요. 게다가 차나 공장이 많은 곳에 가면 대기 오염 때문에 숨쉬기가
어렵기도 해요.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점점 드러나는 것 같아요. 그래서 환경 보호를 위해 많은
것들이 바뀌고 있어요.
[3] 몇 년 전부터 한국에서는 에너지의 날인 8월 22일에 지구의 열을 식히자고 5분 동안 소등
즉, 불 끄기 행사를 하고 있어요. 바로 며칠 전이 에너지의 날이었는데, 저도 집에서 참여했답니
다. 방송 안내에 따라 불을 끄고 밖을 보니 많은 집들이 함께 참여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어
요. 함께 참여하니 마음이 참 뿌듯했답니다.
그리고 커피숍 안에서 커피를 마시려면 일회용 컵이 아니라 커피잔이나 유리컵만 사용할 수 있
게 되었어요. 그래서 직원들이 꼭 매장에서 마실 건지 확인하고 안내를 해줘요.
[4] 한국에서 가장 크게 변한 점은 바로 플라스틱으로 된 병이에요.
예전에는 음료수 중 플라스틱 병으로 된 것은 파란색, 흰색, 초록색 등 다양한 색이 들어간 유색
플라스틱 병을 사용했어요. 그런데 유색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할 수가 없어서 플라스틱이 재활
용되는 비율이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많은 기업들은 새로운 음료수 병을 개
발하기 시작했어요. 지금은 많은 플라스틱 병들이 투명한 색으로 바뀌었어요.
평소에도 한국에서는 분리수거를 하고 있는데 이 플라스틱 병은 특별히 더 따로 신경 써서 버려
야 해요.
146
Ch17
17 환경 오염 Environmental Pollution
본문 MAIN TEXT
뚜껑을 따로 버리고 플라스틱 병에 붙은 포장지도 따로 떼서 버려야 해요. 그래야 재활용을 할
수 있거든요. 처음에는 번거롭고 좀 귀찮았지만 이제는 많이 익숙해졌어요.
[5] 그리고 마트에서 물건을 사고 가져올 때 비닐봉투 사용이 많이 줄었어요. 대부분은 집에서
직접 장바구니를 가져와서 물건을 담아 가는 편이에요. 장바구니가 없으면 마트에서 쓰레기봉
투를 사서 그곳에 담아와요. 좀 이상해 보일 수도 있지만 집에서 쓰레기를 버릴 때 다시 사용할
수 있어서 많이 이용합니다. 그리고 마트에 판매하기 위해 들어온 물건들은 보통 종이 상자에 포
장되어 옵니다. 그래서 상자를 열어 물건을 진열하고 빈 종이 상자는 따로 손님들이 구매한 물건
을 정리할 수 있는 장소에 가져다 둡니다. 그럼 손님들은 이 종이 상자에 물건을 담아 집에 가져
갈 수 있어요.
[6] 그 밖에 쓰레기를 주우면서 걷는 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도 있고 전기 자전거나 전기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어요. 일부러 커피숍에 갈 때 집에서 컵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도 생겼고요.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어떤 변화가 생겼나요? 그리고 여러분들은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어떤 걸 할 수 있는지 댓글로 같이 이야기해 봐요.
147
Ch17
17 환경 오염 Environmental Pollution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환경
the environment
기후 변화
climate change
심각하다
to be severe/serious/grave
태풍
a typhoon
가뭄
a drought
기온 상승
a rise in temperature
산불
a forest fire
오염
pollution
정수기
a water purifier
여과
filter
공장
factory; plant
숨쉬기
breathing
심각성
seriousness; magnitude
드러나다
지구
열을 식히다
일회용
매장
재활용
비율
to be exposed; come to light
the earth; Earth
A/V-(으)면
Used to talk about
conditions and possible
situations.
'If/when...'
A/V-(으)ㄴ/는데
To add to, contrast with, or
preface information.
Commonly translated to
'and,' 'but,' or 'so.'
A/V-(으)니(까)
Used to talk about causes and results. Commonly
translated to 'so,' 'since,' or
'because.'
to cool (down/off) the heat
disposable; single-use
a store/location/shop
recycling
rate; ratio; proportion; percentage
개발하다
to develop
투명하다
to be clear/transparent
분리수거
separating trash; waste sorting
뚜껑
a cover; cap; lid
떼다
to take off/remove; to cut/detach
번거롭다
to be cumbersome/inconvenient
봉사 활동
volunteer work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48
Ch17
17 환경 오염 Environmental Pollution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다음 중 환경 오염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 산불오염
2. 대기오염
3. 토양오염
4. 수질오염
Q2. 에너지의 날에 불을 끄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 하늘의 별을 보려고
2. 지구의 열을 식히려고
3. 공기가 맑아지게 하려고
4. 모두 함께 참여하려고
Q3. 한국에서 환경을 위해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1. 일회용 컵 사용하기
2. 장바구니 사용하기
3. 유색 플라스틱 병 사용하기
4. 비닐봉투 사용하기
149
Answers: 1/ 2/ 2
Ch17
17 환경 오염 Environmental Pollution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환경을 위해 무엇을 해요?
메모해 보세요
무엇이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생각해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들이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써 보세요.
Write about the things you can do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150
Ch17
17 환경 오염 Environmental Pollution
번역 TRANSLATION
[1] Everyone, it's already the last week of August.
The weather here is still super hot. I think each
year is getting hotter because of global warming.
So today I thought I'd talk about the environment.
[2] These days climate change has intensified all
across the world, causing major typhoons and
severe droughts. And there have been several
forest fires due to the rising temperatures.
Environmental pollution is getting worse too,
right? When it comes to environmental pollution, we call air pollution 'daegi-oyeom,' water
pollution 'sujil-oyeom,' and ground pollution
'toyang-oyeom.' As the pollution has worsened,
people have now started using water purifiers, or
other water-filtering tools so that they can have
clean water to use and drink. And some people
also buy their water. Moreover, sometimes when
you go to places with a lot of cars or factories,
it's hard to breathe because of the air pollution. I
think it's apparent that our environmental issu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evere. That's why
many changes are being made to protect the
environment.
[3] Starting a few years ago on August 22,
or Earth Day1 in Korea, we've been holding a
five-minute lights-out event to help cool down
the Earth. It was Earth Day here just a few days
ago, and I participated at my house, too. I turned
off my lights according to the broadcast instructions and looked outside, and I could see lots of
houses participating with me. It felt pretty satisfying to see us all taking part together.
And if you want to drink coffee in a coffee shop,
you can only use a coffee mug or a glass - not
disposable cups. So the baristas always check
whether you're going to drink it there or not, and
advise you accordingly.
[4] The biggest change in Korea has been to do
with plastic bottles. In the past we used plastic
bottles for beverages made from various colors of
plastic like blue, white, green, etc. But you can't
recycle colored plastic so they found that the
rate at which plastics were being recycled was
low. So many companies started developing new
beverage bottles. Now, many plastic bottles have
been switched to a clear colorless plastic.
We do usually separate our recycling in Korea,
but these plastic bottles have to be disposed of
with special care. You throw out the cap separately, and you also have to take the plastic
wrapper from around the bottle and throw it
away separately too. Then you're able to recycle
it. It was inconvenient and kind of a pain at first,
but now I've gotten used to it.
[5] Also the usage of plastic bags when buying
things at the supermarket has been greatly reduced. Most everyone generally brings their own
reusable bags from home to bag their groceries.
And if you don't have a reusable bag, you can
buy some garbage bags2 at the store and use
that to hold your things. It can look a bit strange,
but a lot of people do this because they can
reuse them when they throw out their trash at
home.
And the items that come in to be sold at supermarkets are usually packed in cardboard boxes.
So the boxes are opened to display the items,
and then the empty cardboard boxes are placed
where the customers can use them to organize
their purchases. Then the customers can place
their items in these cardboard boxes and take
them home.
[6] Additionally, there are people who participate
in volunteer groups to pick up trash, and more
and more people are using electric bicycles and
cars. There are also people who deliberately bring
their own cup from home when they go to a
coffee shop.
Everyone, what are some changes occurring in
your country to comba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hat are some things you can do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yourself? Let's discuss it
in the comments!
1
Earth Day - known in Korea as 에너지의 날 (literally 'Energy Day')
2
Trash collection in Korea is strictly regimented. Each area/district is designated a certain color
for trash bags, and garbage collectors will only pick up bags for their assigned color. These colored
bags are sold in rolls from convenience stores and supermarkets. Therefore, if one does not have
their own reusable bags from home, you can buy one of these rolls and use those bags for your groceries instead.
151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믿다
To believe
존중
Respect
18
교회
A church
절
A buddhist temple
위안
RELIGION
Solace
종교
152
Ch18
18 종교 Religion
본문 MAIN TEXT
[1] 얼마 전 학생들하고 종교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는데 아주 흥미로웠어요. 그래서 오늘은 종
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까 해요.
먼저 종교에 대한 단어를 배워 볼게요. 크리스천은 기독교라고 해요. 카톨릭은 천주교라고 하고
요. 무슬림이 믿는 종교는 이슬람교라고 하죠. 부처님을 믿는 종교는 불교라고 해요.
기독교는 교회에서 기도를 하고, 천주교는 성당에 가서 기도를 해요. 그리고 이슬람교는 모스크
에 가서 기도를 하고요. 불교는 절에 가서 기도를 해요.
[2] 그래서 종교가 뭐냐고 물으면 기독교나 크리스천이라고도 하지만 '교회에 다녀요, 성당에 다
녀요.'라고 말하는 사람도 많이 있어요. 그런데 종교가 없는 사람들도 있죠. 그런 사람들은 무교
라고 합니다. 무는 한자어로 '없다'라는 의미예요. 한국에서는 우스갯소리로 종종 나 스스로를
믿고 신뢰한다는 의미로 나신교라고 하기도 합니다.
[3] 많은 사람들이 한국에 오면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아요. 대부분은 한국은 불교가 가장 대표
적인 종교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한국의 야경을 보면 빨간 불이 들어온 십자가가 굉장히 많
아서 신기해합니다.
예전에는 불교를 믿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았지만 지금은 기독교나 천주교를 믿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어요. 기독교와 천주교는 주말마다 예배를 드리고 종교 활동이 불교보다 많다 보니 더 많
아진 것 같아요. 이슬람교도 예전보다 많이 증가했는데요. 유학생들도 많아지고 한국에 사는 외
국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무슬림이 많아졌어요. 그래서 서울 이태원에 가면 할랄푸드도 쉽게 살
수 있어요. 그리고 일부 대학교에서는 유학생들을 위해 기도실이 있는 경우도 있답니다.
[4] 그런데 더 놀라운 사실은 한국은 국가를 대표하는 종교가 따로 없다는 것이에요. 그래서 한
국에서는 다양한 종교들이 존중 받고 있죠. 한국은 상당히 많은 종교들이 있는데도 종교에 대해
민감해하지는 않아요. 서로 존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부처님 오신 날 신부님
이 절에 축하하러 가기도 하고 부활절에 스님이 교회에 가서 축하하기도 합니다.
예외적인 경우는, 드라마 <수리남>에서처럼 이상한 종교는 존중 받지 못해요. 이런 종교를 사이
153
Ch18
18 종교 Religion
본문 MAIN TEXT
비 종교라고 해요.
[5] 그리고 한국에서는 태어날 때부터 종교가 있는 사람도 있지만 종교가 있지만 자주 안 가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태어날 때부터 종교가 있는 사람은 모태 신앙이라고 해요. 많은 사람들이 모태 신앙인 경우가 많
죠. 한국은 부모님을 따라서 종교 활동을 하다가 잘 안 가는 경우도 많아요. 기독교, 불교이긴 한
데 지금은 안 간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죠. 또는 종교를 완전히 바꾸는 사람들도 있어요. 이걸
개종이라고 해요. 나에게 맞는 종교를 찾아서 바꾸는 거죠.
[6] 그리고 종교마다 자주 가는 빈도수가 다르죠. 기독교와 천주교는 주말에 예배를 보기도 하지
만 여러 가지 활동이 많아요. 수련회를 가기도 하고 같이 성경 공부를 하기도 합니다. 새벽에 기
도를 하기도 하고요. 제 친구는 금, 토, 일(요일) 3일을 가기도 했어요. 학생들한테 듣기로는 이
슬람교는 정해진 시간이 되면 기도를 해야 해서 집이나 직장에서도 기도를 한다고 들었어요. 저
는 불교인데요. 불교도 행사들이 좀 있기는 한데 주로 부처님 오신 날이나 명절에 한 번씩 가는
사람들이 많아요. 저도 보통 이런 날에만 가는 편이에요.
[7] 저는 개인적으로 종교가 있는 게 좋다고 생각을 해요. 마음이 지치고 힘들 때 무언가에 의지
하면 위로가 되더라고요. 저는 자주 가지는 않아도 한 번씩 갈 때마다 뭔가 위안을 받고 오는 기
분이 들어요. 여러분은 어떤 종교를 가지고 있나요? 있다면 얼마나 자주 기도를 하는지 어떤 마
음이 드는지 댓글에 남겨 주세요.
154
Ch18
18 종교 Religion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종교
흥미롭다
religion
to be interesting/exciting
믿다
to believe
교회
a church
성당
a Catholic church
절
우스갯소리
a Buddhist temple
a joke
신뢰하다
to trust (in); believe (in)
대표적인
representative; typical
야경
a night view/scene
십자가
a cross; a crucifix
굉장히
very/extremely/immensely
예배
religious worship/service
종교 활동
religious activity
증가하다
to increase/expand
대표하다
to represent
따로
particularly; specifically
존중
respect/honor
상당히
민감하다
수련회
a retreat/getaway/conference
지치다
의지하다
위로가 되다
A/V-지는 않다
The negative A/V-지 않다
form. The -는 topic particle
is added to give extra emphasis. 'It's really not...' 'It's
not at all...'
V-(으)ㄹ 수 있다 [없다]
To talk about abilities and
possibilities.
'It can...'
'I am able to...'
to be sensitive; touchy (about)
exceptional; an exception
명절
Expresses a reason or cause
for some situation/action.
'(It's) because (of)...'
considerably; quite; fairly
예외적
성경 공부
A/V-기 때문이다
bible study
a national holiday
to be tired/exhausted/worn out
to lean on; rely on
to be a comfort; to find solace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55
Ch18
18 종교 Religion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다음 중 종교가 없는 것을 뭐라고 합니까?
1. 기독교
2. 유교
3. 불교
4. 무교
Q2. 외국인들이 한국에 오면 깜짝 놀라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1. 불교가 가장 대표적인 종교라서
2. 교회가 굉장히 많아서
3. 한국의 종교가 기독교라서
4. 야경이 너무 밝아서
Q3. 한국에 이슬람교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1. 국가를 대표하는 종교가 없어서
2. 종교 활동이 불교보다 많아서
3. 다양한 종교를 믿는 외국인들이 증가해서
4. 할랄푸드를 쉽게 살 수 있어서
156
Answers: 4 / 2 / 3
Ch18
18 종교 Religion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의 나라에는 어떤 종교가 가장
많아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종교 행사에 대해
말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종교를 가지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종교가 없다면 왜 없는지 써 보세요.
What are the good things about being religious? If you're not religious, write about why.
157
Ch18
18 종교 Religion
번역 TRANSLATION
[1] I recently had a conversation with my students about religion, and it was very interesting.
So today I thought I might talk about religion.
First, let's learn some words about religion. Christianity is called 'gidokgyo.' Catholicism is called
'cheonjugyo.' The religion Muslims follow is called
'iseullamgyo' (Islam). The religion that believes in
Buddha is called 'bulgyo' (Buddhism).
Christians pray at church, while Catholics pray in
cathedrals. And Muslims go to mosques to pray,
while Buddhists pray in temples.
[2] So when asked what your religion is, you may
say, 'Christianity' or 'I'm Christian', but there are
also many people who just say, "I go to church,"
or "I attend a Catholic church." However there
are also people who don't have a religion. Such
people are called 'mugyo' (atheists/agnostics).
'Mu' is a Chinese character meaning 'nothing.' In
Korea, as a joke, they are also often referred to
as 'nashingyo,' a shortened form of, "I believe and
trust in myself."
[3]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are surprised
when they come to Korea, because most people
think that Buddhism is the most representative
religion. But when you see Korea at night, you'll
be amazed by how many glowing red crosses
there are.
In the past, there were a lot of people who
believed in Buddhism, but now there are more
people who believe in Christianity or Catholicism.
I think there are more Christians and Catholics
because they hold services every weekend and
have more religious activities than Buddhism.
The number of Muslims has also gone up.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oreigners
living in Korea has increased, the number of Muslims has increased also. So if you go to Itaewon
in Seoul, you can easily buy halal food. And some
universities also have prayer roo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4] But what's more surprising is that Korea
doesn't have a national representative religion. In
Korea, all manner of religions are given respect.
Even though there are quite a few religions in
Korea, religion is not something we're sensitive
about; there are many occasions where we
respect and observe each other's traditions. On
1
Buddha's birthday, Christian priests will go to
Buddhist temples to celebrate, and on Easter,
Buddhist monks will also go to Christian churches
to celebrate. In abnormal cases, strange religions
are not respected, like in the drama 'Surinam'
(Narco-Saints). These religions are called pseudo-religions, or cults.
[5] There are people in Korea who have been
religious since birth, but there are also many
people who have a religion but don't often attend
services. A person who has been religious since
birth is called 'motae-sinang'1. Many people are
born into their faith, right? In Korea there are also
many people who are religious like their parents
when they're young, but don't really attend
services much once they've grown up. There are
those who say that while they are Christian or
Buddhist, they aren't regularly practicing. There
are also those who completely change their religion. This is called 'gaejong' (converting). That's
where you find a religion that better suits you and
you switch to that religion.
[6] And the frequency of attendance is different
for each religion. Christians and Catholics do hold
services on the weekends, but they also participate in a lot of additional activities. They go on
retreats and also do Bible study together. Sometimes they also do dawn prayers. A friend of mine
even goes to church 3 days a week - Friday, Saturday, and Sunday. I heard from my students that
in the Islamic faith you have to pray at a set time,
so they also pray at home or at work. I'm Buddhist though. There are some Buddhist events
too, but most people just go on Buddha's birthday
or once during the holidays. I usually only go on
those days, too.
[7] Personally, I think having a religion is a good
thing. When you're tired and having a hard time,
it's comforting to have something you can depend on. Even though I may not go to temple
often, I find solace somehow every time I do.
What's your religion, everyone? If you have one,
please leave a comment about how often you
pray and how it makes you feel.
Motae-sinang (모태 신앙) - a combination of 모태 (mother's womb) and 신앙 (faith)
158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지향
Aims
목표
Goals
19
노력
Effort
남기다
To leave
기억하다
To remember
방황하다
FAMOUS SAYINGS & MOTTOS
To wander
명언과
좌우명
159
Ch19
19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벌써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았네요. 두 달밖에 안 남았다니 정말 시간이 빠른 것 같아
요. 올 초에 계획했던 일들은 잘 마무리하고 있나요? 예상하지 못했던 일들이 많이 발생해서 지
치진 않았나요?
[2] 좋은 날도 있지만 때로는 스트레스가 쌓이고 힘든 날도 많죠. 또, 별다른 이유 없이 기분이
좋은 날도 있지만 기분이 안 좋은 날도 있어요. 기분이 안 좋은 날은 땅이 꺼지도록 한숨이 나오
기도 해요. 스트레스가 쌓이고 기분이 안 좋으면 다시 좋아지기 위해 노력을 하는데,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해 보기도 하죠. 신나게 놀거나, 여행을 가거나, 또는 맛있는 음식을 먹기도 해요.
[3] 저는 종종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이렇게 힘들 때 위로를 받고 싶으면 멋진 글들을 찾아보기
도 해요. 그런 글들을 읽다 보면 위안이 되곤 하거든요. 긴 문장으로 되어 있기도 하고 짧은 한
줄일 때도 있죠. 짧은 한 줄이어도 마음에 크게 와닿기도 해요.
[4] 이렇게 멋진 말들 중에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서 유명해지기도 하는 말들이 있는데
요. 이렇게 유명해지면 명언이라고 해요. 훌륭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연예인들이 남긴 말들도 명
언이 되기도 하죠.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멋진 말을 하는 장면들이 나오기도 합니다. 보통
영화나 드라마에서 배우들이 하는 말을 대사라고 해요. 그리고 이렇게 특히 멋진 대사는 명대사
라고 해요.
[5] 좋은 말 중에는 자주 보게 되고 특별히 더 기억하고 싶은 좋은 말들이 있어요. 어떤 사람들은
그 말들 중에서 하나를 꼭 기억해 뒀다가 인생의 모토로서 생활 속에서 그 말대로 실천하려고 하
기도 합니다. 이처럼 꼭 기억해 두고 인생의 모토로 삼는 말을 좌우명이라고 해요. 그리고 집에
서 가족들이 이런 말을 함께 정하기도 하는데요. 이럴 때는 가훈이라고 해요. 또 학교에서는 반
마다 담임 선생님이 학생들을 위해서 미리 정하거나 학생들과 함께 정해서 학기 초에 잘 보이게
벽에 걸어두곤 합니다. 학교에서 정한 건 급훈이라고 해요.
160
Ch19
19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본문 MAIN TEXT
[6] 회사에서는 보통 사장님이 정하는데요. 회사가 시작될 때 사장님이 마음을 다잡기 위해 정해
요. 회사에서는 이걸 사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홈페이지에도 사훈을 적어서 설명하면
서 회사의 분위기나 지향하는 목표를 함께 적어 둡니다. 그래서 그 회사에 대해 알고 싶다면 홈
페이지에서 사훈과 회사 소개 내용을 읽어보는 것도 좋아요. 한국에서는 많은 신입사원들이 면
접을 준비하기 위해 미리 읽어보는 경우가 많답니다.
[7] 인생은 항상 빛나지 않기 때문에 힘든 일이 생기면 방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때 덜
힘들어하고 조금 덜 방황하기 위해 좌우명이나 가훈, 급훈, 사훈으로 정하게 되는 것 같아요.
여러분들은 어떤 명언을 좋아하나요? 여러분들도 좌우명이 있나요? 있다면 무엇인지 댓글로 남
겨 주세요. 그리고 만약에 없다면 한번 정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힘든 날에는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161
Ch19
19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올 초(올해 초)
the beginning/start of the year
예상하다
to anticipate/predict/foresee
발생하다
to occur; come about; arise
때로
별다른
sometimes; at times; occasionally
particular/special
땅이 꺼지다
the ground gives way/caves in
노력을 하다
to make an effort; try
신나다
to be excited/happy/elated
종종
from time to time; now and then
한줄
a single line; one line
(마음에) 와닿다
널리
유명해지다
훌륭하다
남기다
far and wide
to become famous/renowned
to be excellent/superb/great
to leave/save/set aside
to remember
실천하다
to put into practice; fulfill; act on
정하다
담임
마음을 다잡다
If one continues some action, they will discover some
result.
'If you keep doing X, then...'
to settle/refocus/brace oneself
aims
방황하다
V-다 보면
homeroom teacher
지향
빛나다
Used when the result or
number is less than expected or hoped for.
'It's only...'
set/determine/decide on/appoint
to write/jot down/note down
면접
N밖에 안 V
to make sth of sth else
적다
신입사원
Used to talk about past and
current habits/something
done repeatedly.
'I've (often)...'
to be moving/touching
기억하다
-(으)로 삼다
V-곤하다
a new employee; new hire
a job interview
to shine/sparkle/gleam
to wander about; lose one's way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62
Ch19
19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명언이란 무엇입니까?
1. 한 문장으로 된 짧은 말
2. 널리 알려져서 유명해진 말
3. 연예인들이 한 모든 말
4. 다른 사람들이 잘 모르는 말
Q2. 다음 중 틀린 것을 고르십시오.
1. 명언은 뉴스 진행자가 뉴스 중에 만들기도 한다.
2. 가훈은 가족끼리 함께 고르기도 한다.
3. 살다가 방황하게 될 때 좌우명이 있으면 도움이 된다.
4. 회사에서 면접을 볼 때 사훈을 참고하기도 한다.
Q3. 다음 중 관계가 없는 단어는 무엇입니까?
1. 가훈
2. 급훈
3. 훈계
4. 좌우명
163
Answers: 2 / 1 / 3
Ch19
19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은 스트레스가 쌓이면 무엇을 해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명대사나 명언은 뭐예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여러분이 인생 모토로 삼은 좌우명은 무엇인가요? 왜 그렇게 정했나요?
What motto do you live your life by? Why did you choose it?
164
Ch19
19 명언과 좌우명 Famous Sayings & Mottos
번역 TRANSLATION
[1] Everyone there's not much time left in the
year! With only two months left, it feels like time
is really flying by. Are you wrapping up the things
you planned to do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Since so many unexpected things happened this
year, you're probably worn out, huh?
Also in school, each home room teacher will pick
a saying for the students ahead of time, or they'll
decide on one in class together, and then hang it
on the wall at the start of the semester so everyone can see. This is called a 'geup-hoon' (class
motto).
[2] Of course there are good days, but sometimes
stress builds up and we have a lot of difficult
days too. And while there are some days where
you feel good for no special reason, there are
also those where you feel bad for no reason. On
those days when I'm in a bad mood, I'll let out a
deep, heavy sigh1. When I'm feeling stressed and
out of sorts, I try to make an effort to feel better
again, and there are a couple methods I use to
do so. Like I might have some fun, travel, or eat a
delicious meal.
[6] In a company, it's usually decided by the CEO.
When the company is first created, the CEO
chooses one that will establish a strong work
atmosphere. This is called a 'sa-hoon' (company
motto). And later the sa-hoon will be written on
the website homepage as well, to help explain
the company's spirit, aims, and goals. So if you
want to learn about a company, it's a good idea
to read the sa-hoon and the company introduction on their homepage. In Korea I know a lot of
prospective employees read these to prepare for
job interviews.
[3] One of my methods is that when I'm having
a hard time and I want to be comforted, I'll look
for nice sayings. In the past I've gotten a lot of
comfort from reading them. Sometimes it's a
long sentence, sometimes it's just one short line.
There are times when even one short line can be
really moving.
[4] Some nice quotes like these end up getting
widely known and become famous. Sayings that
become famous like this are called 'myeong-un.'
And it's not only things said by people of great
renown, sometimes things said by celebrities
can become myeong-un as well. And sometimes
great sayings will come from the scene of a movie or drama. Usually, the words spoken by actors
in a movie or drama are called 'dae-sa' (lines).
And we call some lines that are especially great
'myong-dae-sa.'
[6] Life isn't always sunshine and roses, and
there might be hard times where you end up losing your way. In times like these, I think it helps to
decide on a life motto, family motto, class motto,
or company motto to ease the hard times and
help guide your way.
Everyone, what sayings do you like? Do you
have a life motto? If so, tell me what it is in the
comments! And if not, how about choosing one?
During tough times it can be a huge help.
[5] Some of these sayings you'll end up seeing
more often, and you'll want to know them by
heart. For some people, when there's one saying
that they really want to make sure they remember, they'll even make it their life's motto and try
to live by it. A motto that you memorize and live
your life by like this is called a 'jwa-woo-myeong'
(life motto). And sometimes your family members
might decide on a saying together. These are
called 'ga-hoon' (family motto).
1
땅이 꺼지도록 한숨이 나오다 - a Korean expression: that feeling when you let out a sigh so heavy
that the ground cannot hold the weight and it collapses beneath your feet.
165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입학
School entrance
간절히
Earnestly; ardently
20
수험표
Test ID
태도
Attitude
미역
Seaweed
한파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 cold snap
수능 시험
166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본문 MAIN TEXT
[1]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정말 정말 특별한 날입니다.
바로 대학 입학을 위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거든요.
대학 입학시험이라고도 하고 보통은 짧게 줄여서 수능이라고 해요.
한국에서는 가족들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함께 시험을 잘 보라고 응원해 줍니다.
그래서 종교가 있는 사람들은 가족들이 좋은 대학에 가기를 바라면서 간절히 기도하는데 절이나
교회로 특별히 기도하러 오는 사람들이 많아요.
[2] 수능 당일에는 학생들이 길이 막혀서 늦지 않도록 많은 회사들이 출근을 한 시간 늦추기도
하고 택시나 경찰들이 대기하고 있다가 늦는 학생들이 있으면 제시간에 갈 수 있도록 태워주기
도 합니다. 입구에서는 선배들이 시험을 잘 볼 수 있게 1~2학년 학생들이 응원을 해 주기도 합니
다. 특별히 수능날에만 볼 수 있는 진풍경이죠.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하는 거
거든요. 또, 이렇게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을 위해 수고했다는 의미로 수능 전후로 수험표를 가져
오면 많은 가게에서 할인을 해주기도 해요.
[3] 한국의 수능은 아침부터 오후까지 시험을 보기 때문에 점심 도시락도 챙겨서 갑니다. 시험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 과학을 기본으로 보고 추가로 제2외국어도 볼 수 있어요. 시험
을 보는 곳은 자신이 다니는 학교가 아니라 다른 학교에서 시험을 봐요. 수험표가 나오면 어디에
서 보는지 알 수 있어요.
[4] 수능을 볼 학생들에게 주는 선물들은 재미있는 의미가 있죠. 이전에 시험에 대한 내용을 이
야기할 때 한 번 말했는데요. 사실 시험에서 가장 대표적인 선물은 엿과 찹쌀떡이에요. 엿과 찹
쌀떡은 전통 음식이기 때문에 아주 오래전부터 시험을 보는 사람들에게 선물을 많이 했어요. 그
래서 가장 대표적인 선물이에요.
예전에는 부모님들도 자식들이 시험 보는 학교 앞에서 많이 기다렸는데 교문에다가 엿을 붙이는
사람도 가끔 있었어요.
167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본문 MAIN TEXT
[5] 포크나 두루마리 휴지는 엿이나 찹쌀떡보다는 비교적 최근에 생긴 선물이에요.
포크는 음식을 찍어서 먹죠. 한국은 옛날부터 포크보단 젓가락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나중에
시험 선물이 되었어요. 그리고 휴지도 일반적으로 두루마리 휴지를 선물해요.
두루마리 휴지는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동그란 휴지예요. 종이상자에 들어있는 휴지들은 보통
"휴지를 뽑다."라고 해요. 그런데 이 두루마리 휴지를 사용하려면 말려 있는 것을 풀어서 사용해
야 해요. 그리고 문제도 풀어서 정답을 고릅니다. 잘 풀어야 좋은 점수가 나오죠. 그래서 휴지도
잘 풀고 문제도 잘 풀라는 의미로 선물해요.
그 밖에 공부할 때 에너지 소모가 많으니 초콜릿이나 비타민 등을 선물하기도 합니다.
[6] 수능 시험 날에 안 먹는 음식도 있어요! 바로 미역국이에요. 미역은 해초라서 미끄러워요.
미끄러지면 넘어져서 실패한다고 해서 미역국을 안 먹어요. 그래서 시험에서 떨어지는 걸 "미역
국을 먹다."라고 하기도 해요.
[7] 지난번에 이야기했던 학교 급훈에 공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데요. "10분만 더 공부하면 직
업이 바뀐다!" "교과서를 좋아하는 연예인 보듯이 봐라," "포기란 배추를 셀 때 하는 말이다,"
"네 성적에 잠이 오니!" 등등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하자는 의미가 담긴 내용들이지요. 이런 내용
들은 대부분 수능이 최종 목표죠.
[8] 한국의 수능은 11월에 보는데 유난히 추운 날이 많아요. 그래서 수능 한파라는 말까지 있어
요. 이런 걸 보면 날씨까지도 특별한 날인 것 같아요. 대학 입학을 위해서는 평소 학교 성적이나
태도도 중요해요.
입학 전형에 따라서 달라지는데요. 수능을 안 보고 대학교에 입학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시험
을 보고 대학에 가는 학생들이 많아요.
여러분의 나라에서 대학 입학시험은 얼마나 중요한가요? 특별히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선물이 있는지 또 다른 특별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168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어휘와 문법 VOCABULARY & GRAMMAR
입학
줄이다
응원하다
school entrance/admission
to shorten/reduce/decrease
to cheer/support
간절히
earnestly; eagerly; ardently
길이 막히다
a road is blocked/has traffic
출근
늦추다
대기하다
제시간
입구
going to work
to delay/post-pone
to await; be on standby
the appropriate/proper time
an/the entrance; entryway
진풍경
an unusual scene; bizarre sight
자발적
voluntary
수험표
test identification/verification slip
(물건)을 챙기다
to take/pack (things/stuff)
전통
a tradition; custom
두루마리 휴지
a roll of toilet paper
비교적
소모
학교 급훈
포기
배추를 세다
성적
대부분
최종
유난히
relatively; comparatively
Used when going/coming
somewhere to do some
action. '기도하러 오다' - to
come to pray, '공부하러
가다' - to go to study.
A/V-도록
Indicates that some action
is necessary to realize an
outcome or goal.
'So that...'
'In order to...'
A/V-(으)ㄴ/는지
Indicates vagueness.
'Whether/if...'
'어디에서 보는지' wherever
you're taking (the exam)
'선물이 있는지' whether you
have present(s)
consume; consumption
a school motto
giving up; abandoning
to count cabbages
grades/marks/results
most (of); the greater part (of)
final; the end- (e.g. end-result)
especially/exceptionally/unusually
한파
a cold wave/snap
태도
attitude; demeanor; an air of...
입학 전형
V-(으)러 가다/오다
school admission selection
Study
these vocab
words
on Quizlet!
169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확인하기 COMPREHENSION CHECK
Next, select the correct answer to the following comprehension questions.
Q1. 수능날 볼 수 없는 풍경은 무엇입니까?
1. 선배들의 수험생 응원
2. 가족들의 간절한 기도
3. 평소보다 늦은 출근 시간
4. 지각생을 도와주는 경찰
Q2. 수험생을 위한 선물로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1. 마트에서 파는 숟가락
2. 직접 만든 미역국
3. 편의점에서 파는 초콜릿
4. 카페에서 산 커피
Q3. 수능 시험 날은 보통 날씨가 어떻습니까?
1. 아주 추워요.
2. 시원해요.
3. 따뜻해요.
4. 아주 더워요.
170
Answers: 1 / 3 / 1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말하기와 쓰기 SPEAKING &WRITING
Next, try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out loud by yourself or with
a partner. Even just a few short sentences is fine.
여러분의 나라에서 대학에 입학하는 방법은
뭐가 있어요?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
들에게 보통 어떤 선물은 주나요?
메모해 보세요
메모해 보세요
Q. 시험을 잘 보기 위한 나만의 특별한 방법이 있어요? 시험 전날에는 무엇을 해요?
Do you have any special methods to prepare for exams? What do you do the night before?
171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번역 TRANSLATION
[1] Hi everyone! Today is a very, very special day.
It'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the one
you take to get into college.
And it's also called 'the college entrance exam,'
although we usually just shorten that to 'suneung.' In Korea, many people, not just family
members, all cheer for the examinees to do well.
Those who are religious pray in earnest, hoping
their family members will go to a good university,
and many of them go specifically to temples and
churches to pray.
[2] On the day of su-neung, many companies will
start an hour late so that the students won't be
delayed due to traffic, and for the students who
are running late, taxis and police officers will also
wait on standby to give them a ride to help them
get there on time. And at the school entranc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will also cheer for
their seniors1 to do their best on the test.
It's a rare sight that can only be seen on suneung. And nobody's forcing them to do those
things, they're all being done voluntarily. Oh, and
many stores will offer a discount to any hardworking students who show their su-neung exam
slip before or after the test as a way of saying,
"Good work!"
[3] Because the Korean college entrance exam
goes from morning 'til afternoon, students will
also pack and take a boxed lunch. The test covers
Korean language, math, English, Korean history,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it can also
include a second language. Students can find
out where they'll take the test once the test slips
come out.
[4] The gifts given to students taking the suneung have a pretty interesting meaning. I talked
about it before in the podcast about tests. Actually, the most typical gifts are hard taffy (yeot)
and sticky rice cakes (chapssal-tteok). Since hard
taffy and sticky rice cakes are both traditional
foods, they've been given to test-takers for a
very long time. So these gifts are quintessential.
In the past, parents also waited for a long time in
front of the school where their child was taking
the exam, and there were even sometimes people who stuck hard taffy on the school gate.
[5] Forks and toilet paper rolls are more recent
gifts compared to taffy and sticky rice cakes.
Forks are used to stab and eat food, right2?
Historically, we've always used chopsticks much
more than forks, so forks became a gift for exams later on. And we usually give whole rolls of
toilet paper as gifts as well.
Toilet paper rolls are the rolls of tissue you use in
the bathroom. For tissues that come in a cardboard box, we usually say you 'pull out the tissue.' But when you're using a roll of toilet paper,
you have to 'unravel' something that's rolled up.
And we can also say that you 'unravel' a problem
to choose the right answer. You have to unravel/
solve them well to get a good score. So we gift
toilet paper with the hope that they'll unravel all
the problems just as they'd unravel a toilet paper
roll.
Apart from that, since studying takes a lot of
energy, we also give chocolates, vitamins, and
things like that.
[6] There's also a food you don't eat on su-neung!
It's seaweed soup (miyeok-guk) made from sea
mustard. Since sea mustard is a type of seaweed, it's slippery. So people don't eat seaweed
soup because there's this idea that "if you slip
up, then you'll fail!" So 'eating seaweed soup' is
another way of saying you failed your test.
[7] There are a lot of phrases related to studying
and class mottos which I talked about on the last
podcast. "If you study just ten more minutes, you
can change your career!" "Look at your textbook like it's your favorite celebrity!" "Giving up
is a word used to count cabbages!3" "How can
you sleep with your grades like that?" Etc. Etc.
They're all about putting in effort and studying
hard. These sorts of sayings are really focused on
su-neung being the final goal.
1
In Korea, there are three years of high school, starting at age fifteen or sixteen, and graduating
at age eighteen or nineteen.
2
Forks are given as gifts because forks are used to stab and eat food - just like how one can
'take a stab at' answers on a test. This is talked about more in Chapter 15.
3
The word '포기' means 'to give up' but it is also the counter for cabbages (i.e. a head)
172
Ch20
20 수능 시험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번역 TRANSLATION
[8] In Korea the su-neung happens in November, when there are a lot of unusually cold days.
So there's even a saying about 'su-neung cold
snaps.' On that note, it seems the day is special
even when it comes to the weather.
In order to get into college, having good grades
and the right attitude is also important. It depends on the admission process. There are cases
of people getting into college without taking the
su-neung, but usually most students take the
exam to get in.
Everyone, how important is the college entrance
exam in your country?
If you have special gifts you give to people preparing for exams, or any other interesting things
of note, let me know in the comments!
173
한국 어 한 조각
BONUS EPISODES
Exclusive to "Korean Through Podcasts"
174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B ONU S C H A PT E R
175
Ch21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본문 MAIN TEXT
[1] 안녕하세요. 한국어 한 조각의 이 선생님입니다.
한국어 한 조각의 팟캐스트 책을 구입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 에피소드는 우리 책을 구입해 주신 여러분들에게만 들려드리는 특별한 감사의 선물이에요.
이 책에 있는 QR 코드를 통해서만 들어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2] 여러분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 고민을 하다가 다음과 같은 주제를 생각해 보았습
니다. 저희 한국어 한 조각이 어떻게 시작을 했는지, 이 많은 선생님들이 어떻게 모이게 된 건지,
서로 어떤 관계인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바로 한국어 한 조각의 탄생 비화에 대해 오늘 털어 놓
으려고 합니다.
[3] 먼저 한국어 한 조각은 유튜브로 시작했어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2019년 말. 한국도 그 영향을 받아 학교에서 온라인 수업을 시작하게 됐어요. 그 전까지는 라이
브 스트리밍이나 동영상 강의에 대해서 내 일이 아닌 것처럼 멀게만 생각했었거든요. 그런데 상
황이 이렇게 되고 저도 학교에서 온라인 수업을 하게 된 거예요. 이게 막상 해 보니까 수업이 되
더라고요. 그래서 이참에 학교에서 배정해 주는 온라인 수업만 할 게 아니라, 내 스스로 온라인
수업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4] 그래서 유튜브를 생각하게 됐고, 유튜브에서 다른 선생님들의 강의를 찾아 봤어요. 한국어
를 가르치는 동영상이나, 영어나 일본어, 중국어를 가르치는 동영상들도 봤어요. 동영상을 만드
는 것에 대한 불안감은 있었지만 수업에 대한 걱정이나 불안감은 없었어요. 오히려 너무 재미있
을 것 같더라고요. 우리가 학교에서만 하던 수업을 온라인을 통해서 전 세계의 학생들에게도 하
고, 다양한 사람들과 만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생각이 들면서, 그때부터 유튜브를 시
작하기로 결심을 합니다.
176
Ch21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본문 MAIN TEXT
[5] 그런데 막상 결심을 하기는 했지만, 저는 동영상을 만드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어떻게 해
야 할지 막막하더라고요. 그래서 동영상을 만드는 방법도 유튜브를 통해서 공부를 했어요. 그런
데 해 보니까 할 수는 있겠지만 계속, 꾸준히 혼자서 할 수는 없을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혼자
보다는 여럿이서 하면 어떻게든 꾸준히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백지장도 맞
들면 낫다고 하잖아요. 혼자보다는 두 명, 세 명이 머리를 맞대고 함께 한다면 뭔가 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6] 그래서 이제 선생님들을 물색합니다. 우선 제가 운영을 해야 하니까, 제가 사람을 섭외해야
하니까, 저하고 잘 맞는 선생님이 좋겠다고 생각했죠. 제가 잘 아는 선생님. 그리고 이런 유튜브
등, 새로운 영역에 도전해 보겠다는 마음이 있는 선생님을 찾아야했어요. 가장 먼저 떠오른 선생
님이 바로 현 선생님이에요.
[7] 현 선생님은 제가 동영상에서 몇 번 말했던 것 같은데, 저와 카자흐스탄에 같이 다녀온 선생
님이에요. 제가 대학원에 다닐 때 한국 정부, 나라에서 한국어 선생님이 되려고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국 실습 같은 것을 운영했거든요.
그때 같이 뽑혀서 같이 카자흐스탄에 한 달 다녀왔어요. 그런데 그 안에서도 현 선생님과 저는
같은 조가 되어서 같이 생활을 했어요. 카자흐스탄에 가기 전에 한국에서 먼저 2주 합숙을 하면
서 수업 준비를 했고요, 카자흐스탄에 가서는 룸메이트가 되어서 같이 생활도 했어요. 그때의 경
험은 나중에 어딘가에서 또 길게 이야기를 할게요!
[8] 아무튼 그때 현 선생님을 알게 되고 친해지고,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저는 현 선생님을
되게 좋게 봤어요. 배려심도 많고 뭐든지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하시고, 먼저 나서서 다른 사람
들을 도와주려고 하는, 그런 사람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어쩌면 유튜브에도 도전해 보고 싶
어 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서 연락을 했고, 제 계획을 말씀드렸죠. 물론 현 선생님이 바로 승낙을
하신 건 아니에요. 저를 뭘 믿고 이런 걸 같이 하겠다고 바로 말하겠어요. 조금 시간을 드렸고 나
중에 좋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177
Ch21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본문 MAIN TEXT
[9] 그 다음에 제가 접근한 선생님은 전 선생님이에요. 전 선생님하고 저는 두 학교에서 만난 적
이 있어요.
같은 반을 맡아서 같이 일을 한 건 아니지만, 같은 학교에서 일을 하면서 서로를 지켜봤죠. 전 선
생님하고는 깊게 사귄 사이는 아니었지만 왠지 모르게 말이 통하는 느낌이 있었어요. 그래서 제
가 전 선생님 퇴근 길에 살짝 그 교실에 가서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언제 시간이 되는지 여쭤봤
죠. 날짜를 따로 잡고 학교 근처 카페에서 만났어요. 아직도 기억 나요 그 카페. 아무튼, 제가 아
이패드에다가 기획서를 넣어서 가지고 갔었거든요. 하나 하나 코너를 설명하면서 선생님을 설득
했어요. 전 선생님도 역시 바로 결정하지는 못하시고 나중에 좋다는 연락을 했습니다.
[10] 그 다음에 섭외한 분이 박 선생님이 계시고, 그 다음에 고 선생님, 그리고 지금 팟캐스트를
같이 하고 계신 홍 선생님,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 선생님이 계시죠.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제가
접근해서 계획을 설명해 드리고 섭외를 했어요.
[11] 박 선생님은 저, 현 선생님과 함께 카자흐스탄에 같이 다녀온 선생님으로 잘 알던 사이였고
요, 고 선생님은 제가 대학원에 다닐 때 알던 선생님이었고요. 홍 선생님은 제 대학원 동기예요.
그래서 사실은 저하고 엄청 친한 사이예요. 그런데 사실 홍 선생님이야말로 이런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걸 매우 즐기시는 분인데 왜 처음부터 바로 섭외하지 못했냐 하면요. 너무 바쁘셨어요.
지금도 안 바쁘신 건 아닌데, 늘 바쁘셨어요. 그리고 외국으로 파견을 가기도 하셨고요. 하지만
결국 저희 한국어 한 조각에 합류하셨죠. 너무 기뻐요.
[12] 마지막으로 정 선생님은 사실 저하고 전 선생님하고 같은 학교에서 일했던 사이였어요. 그
때는 자주 만나지 못했었는데 나중에 제가 정 선생님을 또 다른 학교에서 마주치면서 기억이 나
더라고요. 그때 인사를 나누고 각자 인생을 살다가, 제가 그 다음에 또 다른 학교에서 박 선생님
과 일할 때 다시 만나게 됐어요. 박 선생님도 정 선생님을 좋게 생각하고 계시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또 슬쩍 접근을 해서 함께 해보지 않겠냐고 제안을 드렸죠. 이미 이때는 한국어 한 조각에
서 동영상을 많이 만들어 놓은 상태라서 설득하기가 더 쉬웠어요. "선생님은 이렇게만 해 주시면
178
Ch21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본문 MAIN TEXT
돼요." 하고 되게 쉬워 보이게끔 설명을 드렸죠. 그래서 결국 함께 하기로 하셨습니다.
[13] 이렇게 설명을 드려 보니 되게 복잡한 관계 같네요. 하지만 다 제가 믿고 의지하는 선생님
들이에요. 제가 직접 경험하면서 좋은 사람들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분들과 함께 뭔가를 하고 싶
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지금 여기까지 온 것 같아요. 저에게는 이 팟캐스트를 들어 주시는 여
러분들이나 저희 동영상을 시청해 주시는 여러분들, 그리고 한국어 한 조각을 같이 만들어 주시
는 선생님들이 모두 감사한 분들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분들과 함께 한국어 한 조각을 계속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도 계속 함께해 주세요!
[14] 그럼 긴 이야기, 끝까지 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팟캐스트 책도 만들 수 있도록 저희
팟캐스트 많이 들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179
Ch21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번역 TRANSLATION
[1] Hello! I'm Teacher Lee from 'A Piece of Korean'. Thank you so much for purchasing this
podcast book by A Piece of Korean.
This episode is a special thank you gift, only
available to those of you who bought the book.
Only those who scan the QR code in the book can
listen to it.
So, shall we get started?
[2] I was wondering what would be good to talk
about with you guys, when this topic came to
mind: wouldn't people be curious about how 'A
Piece of Korean' got started, how all of us teachers ended up getting together, and how it is
that we know each other? So today I'm going to
tell you the story behind how A Piece of Korean
came to be.
[3] At first, A Piece of Korean started with YouTube, in late 2019 when Coronavirus first started
to spread around the world. Korea, also feeling
the effects of the Coronavirus, ended up starting online classes in schools. Before Covid, I had
never even considered doing live streaming or
online classes as it's so different from my regular
job. But then Covid happened and I found myself
having to teach online classes. Lo and behold, I
found that the classes actually went well. So at
that time I thought that, rather than just teaching my assigned classes at school, I'd like to try
making my own online lessons as well.
[4] So I thought of YouTube, and looked up some
other Korean teacher's lessons on YouTube. And
I watched videos of people teaching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I had anxiety
about making the videos, but not about teaching
the classes. Rather, I thought it'd be pretty fun.
How great would it be to take the lessons I was
already giving at school, put them online, and be
able to meet and help all sorts of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With that thought in mind, I was
determined to start on YouTube.
[5] But even though I'd made the decision, I'm
not a video creator so I was at a loss as to how to
go about it. So I also studied video-making methods on YouTube. And when I tried it myself I was
able to do it... but I didn't think I could really keep
it up on my own long-term. Staying consistent is
always easier with other people around, rather
than going it alone, right? That's the thought I
had.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Rather than
doing things by myself, if I could just bring two or
three people together, then I felt like somehow
it'd be doable.
[6] So I started to look for other teachers. Of
course, since I'd be the one running things, and
since I was the one recruiting, I thought it'd be
nice to find a teacher that I click with, right?
Someone I knew well. And I needed to find someone that had an interest in tackling new territory
like YouTube. Ms. Hyeon was the first person that
came to mind.
[7] I think I've talked about Ms. Hyeon quite a bit
in other videos, but she's the teacher that went
with me to Kazakhstan. When I was in graduate
school, the Korean government ran an initiative,
sending aspiring Korean teachers to foreign countries to give them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We were both selected and sent to Kazakhstan
for a month. And in that time, we were both in
the same group, so we spent our days together
as well. Before going to Kazakhstan, we spent
two weeks in training preparing for the class, and
after going to Kazakhstan we became roommates
and lived together as well.
I'll have to talk about that experience later, somewhere!
[8] Anyway, I got to know Ms. Hyeon really well,
we helped each other out and I came to like her
a lot. She's the sort of person who is thoughtful
and considerate, always works hard and does her
best, and is quick to step forward and offer others her help. So I thought, "maybe she'd also be
interested in trying out YouTube?" and I reached
out and told her my plan. But of course she didn't
accept right away. Obviously I couldn't expect
her to believe in the project and be excited about
doing it right on the spot. So I gave her some
time, and she called back and I got a "yes."
[9] The next teacher I approached was Ms. Jeon.
She and I had met twice at two different schools.
We didn't teach in the same class, but we looked
out for one another while both worked at the
same school. We didn't know each other that
well, but when we spoke somehow I felt like we
were on the same wavelength. So I dropped by
her classroom on the way home from work and
told her, "I have something I want to talk to you
180
Ch21
21 한국어 한 조각 탄생 비화 The Creation of A Piece of Korean
번역 TRANSLATION
about - when are you free?" We set a date and
met at a cafe near school. I still remember it that cafe. Anyway, I brought my iPad along with
my proposal loaded up and ready to go. I won her
over as I explained each piece of the proposal one
by one. As expected, she also didn't decide right
away, but later she contacted me and said yes.
So that brings us to the present, I think. I'm
grateful to all of you who listen to this podcast,
to all of you who watch our videos, and to all the
teachers who make A Piece of Korean possible.
I hope to continue A Piece of Korean with all of
you lovely people going forward. Everyone, stay
tuned!
[10] The next teacher I recruited was Ms. Park,
then Ms. Goh, and also the teacher I'm doing the
podcast with, Ms. Hong, and lastly there's Ms.
Jeong. I approached them all in almost exactly
the same way, explained my plans, and brought
them on board.
[14] Well, thank you for listening to my long story
all the way to the end! Please keep listening to
lots of our podcasts so that we can make more
books!
Thank you!
[11] Ms. Park was someone I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as a person who went to Kazakhstan with me and Ms. Hyeon, and Ms. Goh was
someone I knew from graduate school. Ms. Hong
and I were classmates in graduate school, so actually she and I are really close. And in fact, she's
the type who would've been really interested in
tackling this new field, so you might be wondering, "why didn't you contact her from the start?"
She's just so busy! And it's not that she's not still
busy now, she's always been busy. And she was
also sent overseas. But of course she did join
our A Piece of Korean team eventually. I'm really
happy about that.
[12] Lastly, Ms. Jeong is someone that also
taught at the same school as myself and Ms.
Jeon. We didn't see each other much back then,
but later I ran into her at a different school and I
remembered her. At that time we just said "Hi!"
and carried on with our lives, but then I ended
up meeting her again at another school where I
worked with Ms. Park. And Ms. Park also thought
highly of Ms. Jeong. So I tiptoed over to her and
asked if maybe perhaps she'd like to join us as
well. By that point I'd already made quite a few
videos for A Piece of Korean, so it was easier to
explain. "This is all you'll have to do!" I said. I explained things in a way that made it sound super
easy. So in the end she decided to join, too.
[13] After hearing this story, it might seem like
we all have quite a convoluted relationship. But
they're all teachers that I trust and rely on. Knowing them personally, I realized they were all good
people, and I thought to myself "I really want to
work with them somehow."
181
Listen to the podcast!
Before you read the script,
listen through the whole podcast one time
to see how much you can understand.
UNIVERSITY DORM LIFE
22
대학교
기숙사 생활
B ONU S C H A PT E R
182
Ch22
22 대학교 기숙사 생활 University Dorm Life
본문 MAIN TEXT
[1] 여러분~ 오늘은 저의 대학 생활 중 기숙사 생활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해요.
저는 대학교가 좀 멀어서 기숙사를 신청해서 살았어요. 한국에서는 저처럼 집이 멀어서 통학하
기 어려운 학생들은 기숙사를 신청하는 경우가 많아요. 기숙사는 학교 안에 있어서 수업 가기가
편하거든요. 자취하는 것보다 안전하고 저렴한 편이고요. 그래서 경쟁률이 굉장히 높아요.
저는 1~2학년 때는 기숙사를 신청해서 살았어요. 다행히 운이 좋아서 2년 동안 별일 없이 잘 지
냈어요.
[2] 한국은 보통 기숙사가 2인실이거나 4인실이에요. 저는 딱 한 번 4인실을 사용했고 그 이후
엔 2인실을 사용했어요. 4인실과 2인실은 선택할 수 없었어요. 여러 개의 기숙사 중에서 무작위
로 선발이 되는 시스템이거든요. 매 학기마다 신청해서 들어가기 때문에 룸메이트도 기숙사 방
도 매번 달라져요. 만약 신청했는데 떨어지면 주변에 하숙집이나 혼자 살 집을 구해야 해요.
[3] 한국 기숙사의 특징은 안전을 위해 통금시간이 있다는 것이에요. 일정 시간이 되면 문을 닫
고 통행에 제한을 둡니다. 이렇게 문이 닫히고 나면 열어주지 않아요. 그리고 이른 아침에 문을
열어줘요.그래서 저녁 늦게까지 친구들이랑 같이 술을 마시면서 놀다가도 열심히 뛰어가야 했어
요. 제 기숙사는 교문에서 가장 먼 곳에 있어서 택시를 타고 가기도 했어요. 택시 안에서 문 닫히
기 전까지 도착 못 할까 봐 얼마나 조마조마했는지 몰라요.
[4] 문이 닫힌 후에는 출석 체크를 하면서 기숙사에 제때 돌아오지 못한 학생들을 확인해요. 그
때 없는 학생들은 기숙사 생활 규칙을 어긴 것이기 때문에 벌점을 줘요. 벌점이 있는 학생들은
다음 학기에 기숙사를 지원해도 떨어질 확률이 높아요. 그래서 벌점을 없애기 위해 기숙사 청소
나 기숙사 일을 돕기도 해요. 그러면 벌점을 없앨 수 있거든요. 저는 한 번도 늦은 적이 없어서
벌점을 받아본 적이 없었어요. 나름 성실한 학생이었죠.
[5] 금토일에는 집에 가는 학생들이 많아서 통금시간에 문은 잠그지만 인원 체크는 하지 않아요.
저녁에 나갈 수는 없지만 1층 창문을 통해서 야식을 배달 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저녁에 룸메이
183
Ch22
22 대학교 기숙사 생활 University Dorm Life
본문 MAIN TEXT
트와 같이 야식을 먹으면서 즐거운 저녁을 보낼 수 있어요. 룸메이트를 잘 만나면 한 학기 동안
더 재미있게 보낼 수 있어요. 살이 찔 수도 있지만요.
[6] 제가 지낸 기숙사는 15층짜리 건물에 방이 굉장히 많아서 공동 샤워실과 공동 화장실, 세면
대가 있었어요. 부끄러움이 많은 친구들은 다른 사람들이 씻기 전에 빨리 씻고 나오거나 다 씻고
난 후에 들어가기도 했어요. 보통 한국에서는 어릴 때부터 목욕탕을 많이 다녀서 좀 익숙하기도
하고 또 적응하면 공동 샤워실이 크게 불편하지는 않아요.
[7] 세탁실은 따로 없어서 보통 학교 안에 있는 세탁소에 맡겼어요. 빨래 1킬로(그램) 당 3천 원
정도 했어요. 세탁을 모두 해서 예쁘게 빨래를 개서 줘서 정말 편했어요. 물론 세면대에서 손으
로 직접 빨래를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저는 세탁소를 이용하는 편이었어요.
방 안에 조리 시설은 없고 책상과 침대, 옷장만 있어요. 대신 기숙사 앞에 학교에서 운영하는 아
주 저렴한 학생 식당이 있었어요. 그곳에서 아침, 점심, 저녁을 편하게 먹을 수 있어요. 그리고
일부 층에는 늦게까지 공부할 수 있는 장소가 따로 있어서 룸메이트에게 방해되지 않게 그곳에
서 공부를 할 수 있어요. 시험 기간에는 자리가 없을 정도예요.
[8] 또, 제가 있던 기숙사에는 기숙사 축제가 있었어요. 그 기간에는 평소에 못 가는 남자 기숙사
에 방문할 수 있는 기회도 있고 가장 깨끗하거나 예쁜 방 선발대회도 진행했어요. 각 층을 대표
하는 층장이라고 불리는 리더 학생들이 행사를 진행했어요. 또 층별로 한 명씩 선발해서 단체 미
팅을 하기도 했어요. 여기서 미팅은 회의가 아니라 애인을 만들기 위한 만남이에요. 연인이 되
기도 하지만 재미있게 몇 시간 놀고 끝나기도 해요. 그런데 기숙사에서 진행한 단체 미팅은 너무
사람이 많아서 저에게는 남녀 팀으로 진행되는 재미있는 게임을 즐긴 시간으로 남아있어요.
[9] 제가 휴학을 하면서 기숙사 생활은 2년 정도 하고 마무리를 했는데요. 그때 좋은 룸메이트들
을 많이 만나서 지금도 즐거운 추억으로 남아있어요.
184
Ch22
22 대학교 기숙사 생활 University Dorm Life
번역 TRANSLATION
[1] Everyone~ today, I'd like to talk about dorm
life during my college years.
My university was a little far away, so I applied
to live in a dormitory. In Korea, students like me
who have difficulty commuting to school because
their homes are far away often apply for a dorm.
Dorms are located inside the school, so it's easy
to get to class. And it's safer and cheaper than
living on your own, so it's highly competitive. I
applied for and lived in a dorm during my freshman and sophomore years. Fortunately, I was
lucky, and I lived there for two years without any
major issues.
[2] In Korea, a dorm is usually a two-person
room or a four-person room. I only had a quad
once, and then doubles after that. I wasn't able
to choose whether I was in a quad or a double.
That's because they have a system where your
dorm is randomly selected from what's available.
Since you apply each semester for a dorm, your
roommates and dorm room are different every
time.
If you apply and aren't successful, you have to
find a boarding house or get your own place
nearby.
[3] A special feature of Korean dorms is that they
have a curfew for safety reasons. At a certain
time, the dorm entrances are closed and traffic is
restricted. Once the doors are closed, they don't
reopen all night. Then in the morning they open
back up.
So even when I was tired at the end of a long
night out drinking with my friends, I'd still have
to race back. My dorm was the furthest from the
school gate, so there were times when I even
took a taxi. You have no idea how anxious I was
sitting there, so afraid that I wouldn't make it
before the doors closed.
[4] After the doors are closed, they check attendance, and identify the students who haven't
returned to the dorm on time. Students who
aren't back by then are penalized for violating the
dorm rules. Even if they apply for a dorm next
semester, students with penalty points are not
likely to be accepted. So to get rid of the penalty
points, they'll help with cleaning and other work
around the dorm. By doing that, they can get rid
of the penalty points. I was never late, so I never
got penalized. I was a pretty good student.
[5] Many students go home on Fridays and Saturdays, so the door is locked during curfew, but
they don't check the number of people.
You can't go out in the evening, but you can
have late-night snacks delivered through the first
floor window. So in the evening, you can have
a good time eating late-night snacks with your
roommates. Having good roommates can make
your semester more fun. But you might also gain
weight.
[6] The dorm I stayed in was a 15-story building
with a whole lot of rooms, so there were communal showers, toilets, and sinks. The shyer people
either showered quickly before everyone else
showered, or they went in after everyone else
had washed up. Usually in Korea, we often visit
the public baths1 from the time we're children,
so we're accustomed to them, and once you're
used to it, a communal shower room isn't all that
different.
[7] They didn't have individual laundry rooms,
so I usually left mine at a laundromat inside the
school2. I paid about 3,000 won3 per kilo (2.2 lbs)
of laundry. They'd do all the laundry and fold it
beautifully, so it was really convenient. Of course,
you can also do your own laundry by hand in the
sink. But I tended to use the laundromat.
There are no cooking facilities in the room, only a
desk, a bed, and a closet. Instead, in front of the
dorm there was a very inexpensive student cafeteria run by the school. You can enjoy breakfast,
lunch, and dinner there.
And on some floors, there's a separate area
where you can study until late, so you can study
there without disturbing your roommates. But
1
Going to public baths (찜질방, or Korean saunas) is very common in Korea. Nudity is the norm,
although the bath house is separated by gender. These bath houses usually have hot and cold pools,
saunas, body scrubs and massage, and small cafeterias to enjoy.
2
Many Korean colleges have one or more on-site laundromats. Students can take their laundry
there to be washed, dried, and folded for a small fee.
3
\3,000 is about $2.25 USD.
185
Ch22
22 대학교 기숙사 생활 University Dorm Life
번역 TRANSLATION
don't expect any open seats during exam time.
[8] Also, there was a dorm festival at the dorm I
was in. At that time, I had the chance to visit the
men's dorm, which I couldn't normally go to, and
they also held a contest for the cleanest or prettiest room. The event was held by student leaders
who represented each floor and were known as
'floor leaders'. We also had 'group meetings' by
selecting one person from each floor. The word
'meeting' here isn't like a work meeting, but like
a meetup to find a date. Sometimes you end up
meeting someone, and sometimes you just have
fun for a few hours. But the group meetings held
at our dorm were so crowded that for me, it was
just a time for teams of both guys and girls to
play games and have fun.
[9] After about 2 years I wrapped up my dorm life
and took some time off from school. I met a lot of
good roommates back then, and it remains as a
pleasant memory to this day.
186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