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24gdo

[기본문제] 2.단어 (1)형태소

advertisement
형태소
1.
zb1 )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공통적인 설명으
3.
로 적절한 것은?
zb3 )
<보기>를 형태소로 나누었을 때 실질 형태소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보기>
정원은 선반 위에 있는 박스와 앨범을 꺼낸다. 자신이
학생 때 찍은 사진들 몇 장이 나온다. 몇 장을 보다가 박
스를 밀어 넣고 앨범을 펼친다. 한 장 한 장 앨범을 넘기
면서 미소를 짓는다. 앨범을 넘기면서 정원의 미소는 점
점 사라지고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집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았다.
집, 앞, 나무, 새잎
집, 앞, 나무, 새, 잎
집, 앞, 에, 나무, 에, 새, 잎
집, 앞, 있-, 나무, 새, 잎, 돋-
실질적 의미가 아닌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고, 반드시
집, 앞, 에, 있-, 나무, 에, 새, 잎, 돋-
다른 말과 결합하여 쓰인다.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인 형태소로서, 반드시
다른 말과 결합하여 쓰인다.
반드시 다른 말과 결합하여 쓰이면서, 어떤 환경에 나
타나는지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한다.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인 형태소로서, 결합하
는 말의 품사를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어떤 환경에 나타나는지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며, 실
질적 의미가 아닌 문법적 의미를 나타낸다.
2.
zb2 )
<보기>는 수업시간에 이루어진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중 일부이다. ㉠과 ㉡에 들어갈 형태소로
적절한 것은?
<보기>
4.
zb4 )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학생 : 선생님, 형태소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나요?
㉠ 나는 밤송이를 발로 매우 짓밟았다.
선생님 : 형태소는 실질적 의미의 유무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대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실
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실질 형태소, 문법적인
의미만을 가지는 것은 형식 형태소입니다.
㉡ 우리는 햇과일을 초가을에 먹었다.
㉠과 ㉡의 형태소의 수는 동일하다.
㉠의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수는 동일하다.
학생 : 그럼 ‘바람이 불었다.’라는 문장에서 형식 형태소
는 ㉠ 이겠군요?
㉡의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수는 동일하다.
선생님 : 그렇지요. 또한 자립성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
다. 혼자서 쓰일 수 있는 것은 자립 형태소라고 하고,
반드시 다른 형태소와 함께 써야 하는 것은 의존 형
태소라고 합니다.
㉠, ㉡의 모든 접사의 수와 ㉡의 실질형태소의 수는 동
일하다.
㉠의 의존형태소와 ㉡의 형식형태소의 수는 동일하다.
학생 : 아하, 그럼 ‘비가 온다’에서 의존 형태소는 ㉡ 이
겠군요.
㉠
㉡
이, -었-, -다
가, -다
이, -었-, -다
가, -ㄴ-, -다
이, -었-, -다
가, 오-, -ㄴ-, -다
이, 불-, -었-, -다
가, -ㄴ-, -다
이, 불-, -었-, -다
가, 오-, -ㄴ-, -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5.
zb5 )
다음 탐구 과정에 따라 <보기>의 ㉠~㉥을 분류하
고자 한다. A~C에 해당하는 사례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탐구 과정]
7.
zb7 )
<보기>의 ㉠과 ㉡을 분석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형태소는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이다. 형태소는 자립성
유무에 따라 문장 속에서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
와 반드시 다른 말에 기대야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소로
나뉘고, 의미에 따라 실질적 의미를 지니는 실질 형태소
와 형식적 의미만을 지니는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 : 나는 첫사랑을 잊을 수 없다.
㉡ : 개가 꼬리를 흔들며 달렸겠군.
㉠보다 ㉡의 단어의 개수가 더 많다.
㉠에 있는 자립 형태소의 개수는 3개이다.
㉠에 있는 실질 형태소의 개수는 6개이다.
㉡에 있는 의존 형태소의 개수는 7개이다.
㉡에 있는 형식 형태소의 개수는 5개이다.
<보기>
말은 사람의 입에서 태어났다가 사람의 귀에서 죽는다.
하지만 ㉠어떤 말들은 죽지 않고 사람의 마음속으로 들어
가 살아 ㉡남는다.
꼭 나처럼 습관적으로 타인의 말을 기억해두는 버릇이
없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마다의 마음㉢에 꽤
나 많㉣은 말을 쌓아두고 지낸다. 어떤 ㉤말은 두렵고 어
떤 말은 반갑고 어떤 말은 여전히 아플 것이며 또 어떤
말은 설렘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 박준,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
(A)
(B)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zb8 )
<보기1>을 참고하여 <보기2>를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1>
형태소는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다른 말에 의존하지 않
고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말에 의존하여
쓰이는 의존 형태소로 나뉜다. 또한 실질적 의미의 유무
에 따라 구체적인 대상이나 대상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
내는 실질 형태소와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식 형태소
로 나뉘기도 한다.
<보기2>
· 전기가 나가서 촛불을 켜 두었다.
· 그녀가 나에게 웃어 주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다.
6.
zb6 )
<보기>의 문장을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집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았다.
‘전기’는 자립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이다.
‘불’은 자립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이다.
‘에게’는 의존 형태소이자 형식 형태소이다.
실질 형태소: 집, 앞, 나무, 새잎이
‘웃-’은 의존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이다.
형식 형태소: 에, 있-, -는, 에, 이 돋-, -았-, -다
‘것’은 의존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이다.
자립 형태소: 집, 앞, 에, 나무, 에, 새, 잎, 이
의존 형태소: 있-, -는, 돋-, -았-, -다
단어: 집, 앞, 에, 있는, 나무, 에, 새잎, 이, 돋았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2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9.
zb9 )
<보기>의 문장을 형태소로 바르게 나눈 것은?
<보기>
11.
zb1 1 )
<보기>의 밑줄 친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나는 돌다리를 밟고 물을 건넜다.
나는/돌다리/를/밟고/물을/건넜다.
서로를 ㉠닮아 기울어진 ㉡삶
나는/돌/다리/를/밟/고/물/을/건/넜/다.
소원을 담아 차오르는 달
나/는/돌다리/를/밟/고/물을/건너/었/다.
하려다 ㉢만 괄호 속의 말
- 아이유, <시간의 바깥> 중
나/는/돌/다리/를/밟/고/물/을/건너/었/다.
㉠과 ㉡은 모두 문장에서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형태
소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는/돌/다리/를/밟/고/물/을/건/너/었/다.
㉠은 ㉡과 달리 둘 이상의 형태소가 결합해서 단어를
이루고 있다.
㉡과 ㉢은 모두 실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만으로 이루
어진 단어이다.
㉢은 ㉠과 달리 하나의 형태소만으로 하나의 단어를 이
루고 있다.
㉢은 ㉡과 달리 문장에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는 형태
10.
zb1 0 )
소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기>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한 내용으로 적
절한 것은?
<보기>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다. 형태소
는 자립성에 따라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나뉘고,
의미에 따라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 어제는 잠을 자는데 땀이 많이 났
어.
㉡ 집에 늦게 들어온 날은 꼭 감기를
[자료]
앓았다.
㉢ 담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고
있다.
㉣ 첫눈이 내리자 사람들은 밖으로 나
가 춤을 췄다.
㉤ 그 별은 어느 계절에나 밤하늘을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12.
zb1 2 )
㉠, ㉡의 형태소를 분석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산에는 눈꽃이 가득 피었다.
㉡ 우리는 너를 보러 서울에 갔다.
㉠은 총 10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졌다.
㉠에서 단어의 개수는 9개, 형태소의 개수는 11개이다.
㉠의 의존 형태소는 ㉡의 의존 형태소 개수보다 적다.
㉡에서 실질 형태소의 개수는 7개이다.
㉡의 실질 형태소는 5개이다.
㉢에서 의존 형태소의 개수는 10개이다.
㉡의 자립 형태소는 ㉠의 자립 형태소 개수보다 1개 적
다.
㉣에서 형식 형태소의 개수는 10개이다.
㉤에서 자립 형태소의 개수는 5개이다.
㉠과 ㉡의 형식 형태소 개수는 동일하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3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13.
zb1 3 )
<보기>에서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대답으
로 가장 적절한 것은?
15.
zb1 5 )
<보기>의 설명을 참고하여 ㉠을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보기>
선생님 :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뜻
하는 말입니다. 형태소는 다음의 두 기준에 따라 자
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
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형태소’는 뜻을 가진 말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형태소
는 의미에 유무에 따라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실질 형태소와 문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형식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자
립성의 유무에 따라 다른 말에 기대어 쓰이지 않고 홀로
사용될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말에 기대어 사용되
는 의존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홀로 쓰일 수 있는가?
실질적 의미가 있는가?
예↙
↘아니오
예↙
↘아니오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다음은 아래 ‘예문’을 형태소 단위로 나누고, 위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입니다.
㉠그 사람 옆에는 아이가 많이 있었다.
형태소는 총 11개이다.
자립 형태소는 모두 5개이다.
예문 : 하늘에 비구름이 끼었다.
형식 형태소는 모두 7개이다.
형태소 분석 결과 :
형태소
구분
기준
홀로
쓰일 수
에
비
구름
이
끼
었
다
예
아니
오
㉠
예
㉡
아니
오
아니
오
아니
오
예
아니
오
예
예
아니
오
㉢
아니
오
아니
오
있는가?
실질적
의미가
있는가?
실질 형태소이면서 의존 형태소는 1개뿐이다.
하늘
㉠~㉢에 들어갈 대답을 모두 바르게 짝지어 볼까요?
㉠
㉡
㉢
예
예
예
아니오
예
예
예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실질 형태소이면서 자립 형태소는 모두 4개이다.
16.
zb1 6 )
<보기1>을 기준으로 <보기2>의 문장을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1>
문장을 분석할 때는 어절, 단어, 형태소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형태소 가운데 혼자서 쓰일 수 있는 것은 자립
형태소라고 하고, 반드시 다른 형태소와 함께 써야 하는
것은 의존 형태소라고 한다. 또한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
작, 상태를 나타내는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실질
형태소라고 하고, 문법적인 의미만을 가지는 것은 형식
형태소라고 한다.
<보기2>
추위를 견딘 새잎이 새파랗게 돋았다.
14.
zb1 4 )
둘 이상의 형태소로 나눌 수 없는 것은?
주름살
도시락
꽃길
산나물
새파랗다
단어는 일곱 개, 형태소는 열세 개로 나눌 수 있다.
실질 형태소 중 의존 형태소인 것은 세 개다.
의존 형태소 중 형식 형태소인 것은 여덟 개다.
실질 형태소의 개수가 자립 형태소의 개수보다 많다.
'-았-'은 ‘과거’, ‘-다’는 ‘문장의 종결’이라는 문법적인
의미만을 갖는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4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17.
zb1 7 )
다음 문장을 형태소의 개념에 따라 분석한 내용
으로 적절한 것은?
하늘에 뜨거운 태양이 높이 떠오르다.
20.
zb2 0 )
탐구 과정에 따라 <보기>에서 ㉠~㉥을 분류하고
자 한다. A~C에 해당하는 예를 바르게 짝지은 것
은?
형태소는 총 10개이다.
자립형태소는 총 3개이다.
의존형태소는 총 8개이다.
실질형태소는 총 6개이다.
형식형태소는 총 4개이다.
18.
zb1 8 )
<보기>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나는 집에 가서 촛불을 켰다.
㉡ 집에 온 날에 볶음밥을 해서 먹었다.
㉠은 12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는 문장이다.
㉠은 8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문장이다.
㉠에서 혼자 쓰일 수 있는 형태소는 4개이다.
㉡은 14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는 문장이다.
㉡에서 혼자 쓰일 수 없는 형태소는 12개이다.
19.
zb1 9 )
<보기>
며칠 전 온라인 수업을 끝마치고 잠시 여유가 생겨 ‘독
서 봉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책을 ㉠읽지 못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해 ㉡책을 낭독하고 녹음하는 봉사 활동이었
다. 이에 관심이 커진 나는 방과 후에 친구㉢와 둘이서
봉사 활동 기관을 찾았다. 표준어 및 음성 도서 제작 과
정과 관련된 ㉣네 번의 교육을 ㉤듣고 난 후 녹음을 할
수 있다고 했다. 봉사 신청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 기분이
매우 뿌듯했㉥다.
A
B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기>의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가지마다 꽃망울이 맺혔다.
자립하여 쓸 수 있는 형태소는 총 4개다.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는 총 5개다.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는 모두 자립하여 쓸 수
있다.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면 ‘가지/마다/꽃/망울/이/맺히
-/-었-/-다’로 나뉜다.
‘이’, ‘-었-’, ‘-다’는 모두 문법적인 의미를 지니는 형
태소이면서 홀로 쓰일 수 없는 형태소이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5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개념
▪ 형태소
·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
1)
[정답]
[해설] ‘정원은’의 ‘은’은 문장 속에서 어떤 대상이 화
·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 자립 형태소
제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찍은’의 ‘찍-’은 대상의
동작을 나타내는 용언 어간, ‘넘기면서’의 ‘-기-’
는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짓는다’의 ‘-는
: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고 홀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예 체언, 관형사, 부사, 감탄사…
■ 의존 형태소
-’은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
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이다. 보
조사는 체언에, 용언 어간은 어미에, 접사는 어근
에, 선어말 어미는 용언 어간과 어말 어미에 결
합해야 쓰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밑줄 친
부분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인 형태소
: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 쓰일 수 있는 형태소
예 용언 어간, 어미, 조사, 접사…
· 실질적인 뜻의 유무에 따라
■ 실질 형태소(어휘 형태소)
: 구체적인 대상이나 대상의 상태·동작, 혹은 추상적인
관념 등을 나타내는 실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
중 반드시 다른 말과 결합하여 쓰이는 의존 형태
소에 해당한다.
보조사 ‘은’, 접사 ‘-기-’, 어미 ‘-는-’은 반드시
예 체언, 용언의 어간, 관형사, 부사, 감탄사…
■ 형식 형태소(문법 형태소)
다른 말과 결합하여 쓰이는 의존 형태소이자, 문
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식 형태소에 해당한다.
한편 용언 어간 ‘찍-’은 의존 형태소이자, 실질적
인 의미를 나타내는 실질 형태소에 해당한다.
보조사 ‘은’, 접사 ‘-기-’, 어미 ‘-는-’, 용언 어간
‘찍-’ 모두 의존 형태소에 해당한다. 한편 음운론
적 환경에 따라 보조사 ‘은’는 ‘는’으로, 어미 ‘는-’은 ‘-ㄴ-’으로 그 형태가 변하는 반면, 용언
어간 ‘찍-’, 접사 ‘-기-’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 문법적 의미만을 표시하는 형태소
예 조사, 어미, 접사…
2)
[정답]
[해설] ‘바람이 불었다’는 ‘바람(실질(명사))/이(형식(조
사))/불-(실질(동사
어간))/-었-(형식(어미))/-다
(형식(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비
가 온다’는 ‘비(자립(명사))/가(의존(조사))/오-(의
존(동사 어간))/-ㄴ-(의존(어미))/-다(의존(어미))’
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람이 불었
보조사 ‘은’, 용언 어간 ‘찍-’, 접사 ‘-기-’, 어미
‘-는-’ 모두 형태소에 해당하며, 결합하는 말의
품사를 바꾸지 않는다.
다’에서 형식 형태소는 ㉠‘이, -었-, -다’이고,
‘비가 온다’에서 의존 형태소는 ㉡‘가, 오-, -ㄴ-,
-다’이다.
보조사 ‘은’과 어미 ‘-는-’은 환경에 따라 그 형태
가 변하는 반면, 용언 어간 ‘찍-’, 접사 ‘-기-’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한편 보조사 ‘은’, 접사 ‘기-’, 어미 ‘-는-’은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
식 형태소에 해당하지만, 용언 어간 ‘찍-’은 실질
적 의미를 나타내는 실질 형태소에 해당한다.
Tip
▪ 용언 어간의 형태소
· 자립 형태소는 대체로 실질 형태소로 쓰이고,
의존 형태소는 대체로 형식 형태소로 쓰임
※ 다만, 용언의 어간은 의존 형태소이면서 실질 형태소임.
용언의 어간은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므로 실질적 뜻을
지니고 있으나, 반드시 뒤에 단어를 끝맺는 어미가 붙어
야만 문장에서 쓰일 수 있기 때문.
예 영수가 먹은 딸기
→영수(자립,실질)/가(의존,형식)/
먹-(의존,실질)/-은(의존,형식)/ 딸기(자립,실질)
3)
[정답]
[해설] ‘집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았다.’는 ‘집
(실질(명사))/앞(실질(명사))/에(형식(조사))/있-(실
질(형용사
어간))/-는(형식(어미))/나무(실질(명
사))/에(형식(조사))/새(실질(관형사))/잎(실질(명
사))/이(형식(조사))/돋-(실질(동사 어간))/-았-(형
식(어미))/-다(형식(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6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있다. 이 중에서 실질 형태소에 해당하는 것은
‘집, 앞, 있-, 나무, 새, 잎, 돋-’이다.
Tip
개념
▪ 접사
· 어근(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의 앞이나 뒤
에 붙어 어근에 뜻을 더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소.
▪ 관형사 ’새‘, 접두사 ’새-‘
→ 형식 형태소, 의존 형태소에 해당함.
· 관형사 ‘새’ (→실질 형태소, 자립 형태소에 해당함)
· 어근의 앞에 붙는 접두사,
「1」 이미 있던 것이 아니라 처음 마련하거나 다시 생겨난.
어근의 뒤에 붙는 접미사가 있음.
예 새 기분으로 일을 시작하다./ 새 학기를 맞이하다.
예 헛발질
「2」 사용하거나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아니한.
· 접두사는 어근의 품사를 거의 바꾸지 않고,
예 새 건물/ 새 옷을 꺼내 입다.
접미사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많음.
예 까맣다(형용사)→새까맣다(형용사)
· 접두사 ‘새-’ (→형식 형태소, 의존 형태소에 해당함)
얼다(동사)→얼음(명사)
: ‘매우 짙고 선명하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예 새까맣다/ 새빨갛다
4)
[정답]
[해설] ㉠‘나는 밤송이를 발로 매우 짓밟았다.’는 ‘나
(실질,자립(대명사))/는(형식,의존(조사))/밤(실질,
자립(명사))/송이(실질,자립(명사))/를(형식,의존(조
5)
[정답]
[해설] ㉠‘어떤’은 관형사로, 실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
는 실질 형태소이며,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
태소이므로 (C)에 해당한다. ㉡‘남-’은 동사 어간
으로, 실질 형태소이며, 혼자 쓰일 수 없고 어미
와 결합해야만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소이므로
(B)에 해당한다. ㉢‘에’는 부사격 조사로, 실질적
사))/발(실질,자립(명사))/로(형식,의존(조사))/매우
(실질,자립(부사))/짓-(형식,의존(접사))/밟-(실질,
의존(동사 어간))/-았-(형식,의존(어미))/-다(형식,
인 의미가 아닌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형
식 형태소이므로 (A)에 해당한다. ㉣‘-은’은 관형
사형 전성 어미로,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는 햇과일을 초가을에 먹었다.’는 ‘우리(실질,자립
(대명사))/는(형식,의존(조사))/햇-(형식,의존(접
형식 형태소이므로 (A)에 해당한다. ㉤‘말’은 명
사로, 실질 형태소이며, 자립 형태소이므로 (C)에
해당한다. ㉥‘있-’은 동사 어간으로, 실질 형태소
사))/과일(실질,자립(명사))/을(형식,의존(조사))/초
-(형식,의존(접사))/가을(실질,자립(명사))/에(형식,
의존(조사))/먹-(실질,의존(동사 어간))/-었-(형식,
이며, 어미와 결합해야만 쓰일 수 있는 의존형태
소이므로 (B)에 해당한다. 따라서 (A)에는 ㉢‘에’,
㉣‘-은’, (B)에는 ㉡‘남-’, ㉥‘있-’, (C)에는 ㉠‘어
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
성되어 있다. 이를 참고했을 때, ㉠의 의존 형태
소는 7개(는, 를, 로, 짓-, 밟-, -았-, -다), ㉡의
형식 형태소도 7개(는, 햇-, 을, 초-, 에, -었-, 다)이다.
㉠의 형태소는 12개(나, 는, 밤, 송이, 를, 발, 로,
떤’, ㉤‘말’이 해당한다.
Tip
▪ 형태소의 종류
· 실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매우, 짓-, 밟-, -았-, -다), ㉡의 형태소는 11개
(우리, 는, 햇-, 과일, 을, 초-, 가을, 에, 먹-, 었-, -다)이다.
O⇒ 실질 형태소
(체언, 용언의 어간, 관형사, 부사, 감탄사…)
X⇒ 형식 형태소 (조사, 어미, 접사…)
㉠의 자립 형태소는 5개(나, 밤, 송이, 발, 매우),
의존 형태소는 7개(는, 를, 로, 짓-, 밟-, -았-, 다)이다.
· 혼자 쓰일 수 있는가?
O⇒ 자립 형태소 (체언, 관형사, 부사, 감탄사…)
X⇒ 의존 형태소 (조사, 어미, 접사, 용언 어간…)
㉡의 자립 형태소는 3개(우리, 과일, 가을), 의존
형태소는 8개(는, 햇-, 을, 초-, 에, 먹-, -었-, 다)이다.
6)
㉠의 접사는 1개(짓-), ㉡의 접사는 2개(햇-, 초-)
이므로 총 3개이고, ㉡의 실질 형태소의 수는 4
개(우리, 과일, 가을, 먹-)이다.
[정답]
[해설] ‘집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았다.’는 ‘집
(실질,자립(명사))/앞(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
존(조사))/있-(실질,의존(형용사 어간))/-는(형식,
의존(어미))/나무(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
사))/새(실질,자립(관형사))/잎(실질,자립(명사))/이
(형식,의존(조사))/돋-(실질,의존(동사 어간))/-았
-(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분리하여 자립적으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7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로 쓸 수 있는 말인 단어에 해당하는 것은 ‘집,
앞, 에, 있는, 나무, 에, 새잎, 이, 돋았다’이다.
‘있는’, ‘돋았다’는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여 자립
적으로 쓰일 수 있게 되었으며, ‘새잎’은 관형사
와 명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되었다.
실질 형태소에 해당하는 것은 ‘집, 앞, 있-, 나무,
새, 잎, 돋-’이다.
‘있-’, ‘돋-’은 용언의 어간으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실질 형태소에 속한다.
자립 형태소에 해당하는 것은 ‘집, 앞, 나무, 새,
잎’이다. 부사격 조사 ‘에’, 주격 조사 ‘이’와 같은
조사는 체언과 결합해야 쓰일 수 있으므로 의존
형태소에 해당한다.
의존 형태소에 해당하는 것은 ‘에, 있-, -는, 에,
이, 돋-, -았-, -다’이다.
개념
▪ 단어
· 한 형태소 또는 형태소의 결합형 중에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단위.
※ 조사는 자립할 수 없지만, 단어로 인정함.
조사 앞에 오는 체언이 자립성이 있으므로
조사도 최소한의 자립성을 가진다고 보기 때문.
예 저 넓은 밭을 갈고 있는 사람은 이 마을에 오래 살았다.
→저, 넓은, 밭, 을, 갈고, 있는, 사람, 은, 이, 마을, 에,
오래, 살았다
7)
[정답]
[해설] ㉠‘나는 첫사랑을 잊을 수 없다.’는 ‘나(실질,자
립(대명사))/는(형식,의존(조사))/첫(실질,자립(관형
사))/사랑(실질,자립(명사))/을(형식,의존((목적격)
조사))/잊-(실질,의존(동사
어간))/-을(형식,의존
((관형사형)어미))/수(실질,자립((의존)명사))/없(실질,의존(형용사 어간))/-다(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실질 형태소는 6개(나,
첫, 사랑, 잊-, 수, 없-)이다.
㉠의 단어는 7개(나, 는, 첫사랑, 을, 잊을, 수, 없
다), ㉡의 단어는 6개(개, 가, 꼬리, 를, 흔들며,
달렸겠군)이므로 ㉡보다 ㉠의 단어의 개수가 더
많다.
㉠의 자립 형태소는 4개(나, 첫, 사랑, 수)이다.
㉡‘개가 꼬리를 흔들며 달렸겠군.’은 ‘개(실질,자립
(명사))/가(형식,의존(조사))/꼬리(실질,자립(명
사))/를(형식,의존(조사))/흔들-(실질,의존(동사 어
간))/-며(형식,의존(어미))/달리-(실질,의존(동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겠-(형식,의존(어
미))/-군(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의존 형태소는 8개(가, 를, 흔들
-, -며, 달리-, -었-, -겠-, -군)이다.
㉡의 형식 형태소는 6개(가, 를, -며, -었-, -겠-,
-군)이다.
개념
▪ 의존 명사의 형태소
· 의존 명사: 관형어의 꾸밈을 받아야만 문장에 쓰일 수
있는 명사.
예 어떤 것이 마음에 드니?/ 할 수 있는 데까지 해 보자./
고라니 한 마리가 다친 채로 발견되었다.
· 의존 명사는 문장 안에서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관형사나 그 밖의 수식어가 선행되어야만 쓰일 수
있으므로 의존적임. 그러나 이는 통사론적인 측면이고,
형태론적으로는 자립성을 지니며, 명사에 속하므로
→ 실질 형태소, 자립 형태소에 해당함.
8)
[정답]
[해설] ‘것’은 (의존) 명사이므로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이자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실질 형
태소이다.
‘전기’는 명사이므로 자립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
이다.
‘불’은 명사이므로 자립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이
다.
‘에게’는 (부사격) 조사이므로 체언을 반드시 필요
로 하는 의존 형태소이자 문법적인 의미를 지닌
형식 형태소이다.
‘웃-’은 동사 어간이므로 어미를 반드시 필요로 하
는 의존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이다.
Tip
▪ 조사, 어미, 접사와 결합하는 형태소
· 체언+조사
예 나는(나+는), 사과를(사과+를)
· 어간+어미
예 맛있게(맛있-(<맛+있-)+-게), 먹었다(먹-+-었-+-다)
· 어근+접사
예 풋사과(풋-+사과), 먹보(먹-+-보)
9)
[정답]
[해설] ‘나는 돌다리를 밟고 물을 건넜다’는 ‘나(실질,
자립(대명사))/는(형식,의존(조사))/돌(실질,자립(명
사))/다리(실질,자립(명사))/를(형식,의존(조사))/밟
-(실질,의존(동사 어간))/-고(형식,의존(어미))/물
(실질,자립(명사))/을(형식,의존(조사))/건너-(실질,
의존(동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다(형식,
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Tip
▪ 돌다리
· 명사 ‘돌’과 ‘다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 명사
10)
[정답]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8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해설] ㉣‘첫눈이 내리자 사람들은 밖으로 나가 춤을
췄다.’는
‘첫(실질,자립(관형사))/눈(실질,자립(명
용사
(동사
어간))/-게(형식,의존(어미))/찾-(실질,의존
어간))/-을(형식,의존(어미))/수(실질,자립
사))/이(형식,의존(조사))/내리-(실질,의존(동사 어
간))/-자(형식,의존(어미))/사람(실질,자립(명사))/들(형식,의존(접사))/은(형식,의존(조사))/밖(실질,
((의존)명사))/있-(실질,의존(형용사 어간))/-다(형
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에서 자립 형태소는 7개(그, 별, 어느, 계절, 밤,
자립(명사))/으로(형식,의존(조사))/나-(실질,의존
(동사 어간))/가-(실질,의존(동사 어간))/-아(형식,
의존(어미))/추-(실질,의존(동사 어간))/-ㅁ(형식,
하늘, 수)이다.
의존(접사))/을(형식,의존(조사))/추—(실질,의존(동
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
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형식
형태소는 10개(이, -자, -들, 은, 으로, -아, -ㅁ,
을, -었-, -다)이다.
㉠‘어제는 잠을 자는데 땀이 많이 났어.’는 ‘어제
(실질,자립(명사))/는(형식,의존(조사))/자-(실질,의
존(동사 어간))/-ㅁ(형식,의존(접사))/을(형식,의존
(조사))/자-(실질,의존(동사 어간))/-는데(형식,의
존(어미))/땀(실질,자립(명사))/이(형식,의존(조
사))/많-(실질,의존(형용사
어간))/-이(형식,의존
(어미))/나-(실질,의존(동사 어간))/-았-(형식,의존
(어미))/-어(형식,의존(어미))’의 14개의 형태소, 9
개의 단어(어제(명사), 는(조사), 잠(명사), 을(조
사), 자는데(동사), 땀(명사), 이(조사), 많이(부사),
났어(동사))로 구성되어 있다.
㉡‘집에 늦게 들어온 날은 꼭 감기를 앓았다.’는
‘집(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늦-(실
질,의존(형용사
어간))/-게(형식,의존(어미))/들(실질,의존(동사 어간))/-어(형식,의존(어미))/오(실질,의존(동사 어간))/-ㄴ(형식,의존(어미))/날(실
질,자립(명사))/은(형식,의존(조사))/꼭(실질,자립
(부사))/감기(실질,자립(명사))/를(형식,의존(조
사))/앓-(실질,의존(동사 어간))/-았-(형식,의존(어
미))/-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실질 형태소는 8개(집, 늦-, 들
-, 오-, 날, 꼭, 감기, 앓-)이다.
㉢‘담 앞에 있는 나무에 새잎이 돋고 있다.’는 ‘담
(실질,자립(명사))/앞(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
존(조사))/있-(실질,의존(형용사 어간))/-는(형식,
의존(어미))/나무(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
사))/새(실질,자립(관형사))/잎(실질,자립(명사))/이
(형식,의존(조사))/돋-(실질,의존(동사 어간))/-고
(형식,의존(어미))/있-(실질,의존(보조 동사
어
간))/-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의존 형태소는 9개(에, 있-, -
Tip
▪ 첫
「관형사」 맨 처음의.
예 첫 만남
▪ -들
「접사」 (셀 수 있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 붙어)
‘복수(複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 사람들, 그들, 너희들
11)
[정답]
[해설] ㉠‘닮-’은 동사 어간으로, 실질 형태소이자 의
존 형태소이다. ㉡‘삶(살-+-ㅁ)’은 명사인데, 실질
형태소이자 의존 형태소인 동사 어간 ‘살-’과 형
식 형태소이자 의존 형태소인 명사 파생 접미사
‘-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닮-’과 ㉡
‘삶’은 모두 문장에서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의
존 형태소(‘닮-’/ ‘살-’, ‘-ㅁ’)만으로 이루어져 있
음을 알 수 있다.
㉠‘닮-’은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삶’은 두 개의 형태소(살-, -ㅁ)가 결합해서 하
나의 단어를 이루고 있다.
㉡‘삶’은 실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동사 어간
‘살-’)와 문법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접사 ‘-ㅁ’)
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만’ 역시 실
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동사 어간 ‘말-’)와 문
법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어미 ‘-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만’은 두 개의 형태소(말-, -ㄴ)가 결합하여 하
나의 단어를 이루고 있다. ㉠‘닮-’은 그 자체로는
단어를 이루지 못하고, 어미(-아)와 결합하여 하
나의 단어(닮아)를 이루고 있다.
㉢‘만’은 문장에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는 의존
형태소(말-, -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삶’ 역
시 의존 형태소(살-, -ㅁ)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는, 에, 이, 돋-, -고, 있-, -다)이다.
㉤‘그 별은 어느 계절에나 밤하늘을 보면 쉽게 찾
을 수 있다.’는 ‘그(실질,자립(관형사))/별(실질,자
립(명사))/은(형식,의존(조사))/어느(실질,자립(관형
사))/계절(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나
(형식,의존(조사))/밤(실질,자립(명사))/하늘(실질,
자립(명사))/을(형식,의존(조사))/보-(실질,의존(동
사 어간))/-면(형식,의존(어미))/쉽-(실질,의존(형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9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개념
[해설] 명사 ‘비’는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이
다. 주격 조사 ‘이’는 반드시 체언과 결합해야 문
▪ 명사 파생 접미사 ‘-(으)ㅁ’
장에서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소이다. 동사 어
간 ‘끼-’는 실질적인 의미가 있는 실질 형태소이
다. 따라서 ㉠은 ‘예’, ㉡은 ‘아니요’, ㉢은 ‘예’가
·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지배적 접사임.
→ 형식 형태소이자 의존 형태소
적절하다.
예 꿈, 삶, 앎
Tip
▪ 관형사형 전성 어미 ‘-(으)ㄴ’
·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
또는 말하는 이가 상정한 기준 시점보다 과거에 일어남을 나
타내는 어미.
→ 형식 형태소이자 의존 형태소
▪ 하늘에 비구름이 끼었다.
→
하늘(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비(실질,자립
(명사))/구름(실질,자립(명사))/이(형식,의존(조사))/끼-(실질,의
존(동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미))
예 어제 떠난 사람. 털실로 짠 옷. 손을 다친 사람.
14)
[정답]
12)
[정답]
[해설] ㉠‘산에는 눈꽃이 가득 피었다.’는 ‘산(실질,자
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는(형식,의존(조
사))/눈(실질,자립(명사))/꽃(실질,자립(명사))/이
(형식,의존(조사))/가득(실질,자립(부사))/피-(실질,
의존(동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다(형식,
의존(어미))’의 10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우리는 너를 보러 서울에 갔다.’는 ‘우리
(실질,자립(대명사))/는(형식,의존(조사))/너(실질,
자립(대명사))/를(형식,의존(조사))/보-(실질,의존
(동사 어간))/-러(형식,의존(어미))/서울(실질,자립
(명사))/에(형식,의존(조사))/가-(실질,의존(동사 어
간))/-았-(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미))’
의 11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의
형식 형태소는 5개, ㉡의 형식 형태소는 6개로
형식 형태소 개수는 동일하지 않다.
㉠의 형태소는 총 10개(산, 에, 는, 눈, 꽃, 이, 가
득, 피-, -었-, -다)이다.
㉠의 의존 형태소는 6개(에, 는, 이, 피-, -었, 다), ㉡의 의존 형태소는 8개(는, 를, 보-, -러,
에, 가-, -았-, -다)이다. 따라서 ㉠의 의존 형태
소는 ㉡의 의존 형태소 개수보다 적다.
㉡의 실질 형태소는 5개(우리, 너, 보-, 서울, 가-)
이다.
㉠의 자립 형태소는 4개(산, 눈, 꽃, 가득), ㉡의
자립 형태소는 3개(우리, 너, 서울)이므로, ㉡의
자립 형태소는 ㉠의 자립 형태소 개수보다 1개
적다.
Tip
▪ 갔다
→ 가-+-았-+-다
※ 어간 말 모음(ㅏ)과 어미 첫 모음(ㅏ)이 동일할 때
한 모음이 탈락하는 ‘동일 모음 탈락’이 일어남.
13)
[정답]
[해설] 실질 형태소이자 자립 형태소인 ‘도시락’은 하
나의 형태소가 곧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이므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다.
‘주름살’은 명사 ‘주름’과 ‘살’로 나눌 수 있다.
‘꽃길’은 명사 ‘꽃’과 ‘길’로 나눌 수 있다.
‘산나물’은 명사 ‘산’과 ‘나물’로 나눌 수 있다.
‘새파랗다’는 접두사 ‘새-’, 형용사 어간 ‘파랗-’,
어미 ‘-다’로 나눌 수 있다.
개념
▪ 단일어와 복합어
■ 단일어
·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예 사과, 책, 나무, 덮다
■ 복합어
· 둘 이상의 어근이나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예 풋사과(풋-+사과), 그림책(그리-+-ㅁ+책),
향나무(향+나무), 뒤덮다(뒤-+덮-+-다)
15)
[정답]
[해설] ㉠‘그 사람 옆에는 아이가 많이 있었다.’는 ‘그
(실질,자립(관형사))/사람(실질,자립(명사))/옆(실
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는(형식,의존
(조사))/아이(실질,자립(명사))/가(형식,의존(조
사))/많-(실질,의존(형용사
어간))/-이(형식,의존
(어미))/있-(실질,의존(형용사 어간))/-었-(형식,의
존(어미))/-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
되어 있다. 이 중에서 실질 형태소이면서 자립
형태소는 4개(그, 사람, 옆, 아이)이다.
㉠은 총 12개의 형태소(그, 사람, 옆, 에, 는, 아
이, 가, 많-, -이, 있-, -었-, -다)로 구성되어 있
다.
㉠에서 자립 형태소는 4개(그, 사람, 옆, 아이)이
다.
㉠에서 형식 형태소는 6개(에, 는, 가, -이, -었-,
-다)이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0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에서 실질 형태소이면서 의존 형태소는 2개(많-,
있-)이다.
질,의존(동사 어간))/-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
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실질형태소는 6
개(하늘, 뜨겁-, 태양, 높-, 뜨-, 오르-)이다.
형태소는 총 12개(하늘, 에, 뜨겁-, -은, 태양, 이,
높-, -이, 뜨-, -어, 오르-, -다)이다.
Tip
▪ 용언 어간의 형태소
· 용언(동사, 형용사) 어간
→ 실질 형태소이자 의존 형태소
▪ 체언, 수식언의 형태소
자립형태소는 2개(하늘, 태양)이다.
의존형태소는 10개(에, 뜨겁-, -은, 이, 높-, -이,
뜨-, -어, 오르-, -다)이다.
형식형태소는 6개(에, -은, 이, -이, -어, -다)이
다.
·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 수식언(관형사, 부사)
→ 실질 형태소이자 자립 형태소
16) [정답]
[정답]
[해설] ‘추위를 견딘 새잎이 새파랗게 돋았다.’는 ‘추
위(실질,자립(명사))/를(형식,의존(조사))/견디-(실
질,의존(동사 어간))/-ㄴ(형식,의존(어미))/새(실질,
자립(관형사))/잎(실질,자립(명사))/이(형식,의존(조
사))/새-(형식,의존(접사))/파랗-(실질,의존(형용사
어간))/-게(형식,의존(어미))/돋-(실질,의존(동사
어간))/-았-(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
Tip
▪ 떠오르다
· 뜨-(동사 어간)+-어(보조적 연결 어미) 오르(동사 어간)-+
다(종결 어미) → 통사적 합성어
※ ‘뜨-’의 ‘ㅡ’가 ‘-어’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
18) [정답]
[정답]
[해설] ㉡‘집에 온 날에 볶음밥을 해서 먹었다.’는 ‘집
(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오-(실질,의
존(동사 어간))/-ㄴ(형식,의존(어미))/날(실질,자립
(명사))/에(형식,의존(조사))/볶-(실질,의존(동사 어
간))/-음(형식,의존(접사))/밥(실질,자립(명사))/을
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의존
형태소(를, 견디-, -ㄴ, 이, 새-, 파랗-, -게, 돋
-, -았-, -다) 중 형식 형태소인 것은 7개(를, -
(형식,의존(조사))/하-(실질,의존(동사 어간))/-여
서(<-아서)(형식,의존(어미))/먹-(실질,의존(동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
ㄴ, 이, 새-, -게, -았-, -다)이다.
단어는 7개(추위, 를, 견딘, 새잎, 이, 새파랗게,
돋았다), 형태소는 13개(추위,를, 견디-, -ㄴ, 새,
미))’의 15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나는 집에 가서 촛불을 켰다.’는 ‘나(실질,자립
(명사))/는(형식,의존(조사))/집(실질,자립(명사))/
잎, 이, 새-, 파랗-, -게, 돋-, -았-, -다)이다.
실질 형태소(추위, 견디-, 새, 잎, 파랗-, 돋-) 중
의존 형태소인 것은 3개(견디-, 파랗-, 돋-)이다.
에(형식,의존(조사))/가-(실질,의존(동사 어간))/아서(형식,의존(어미))/초(실질,자립(명사))/불(실
질,자립(명사))/을(형식,의존(조사))/켜-(실질,의존
실질 형태소는 6개(추위, 견디-, 새, 잎, 파랗-, 돋
-)이고, 자립 형태소는 3개(추위, 새, 잎)이므로,
실질 형태소의 개수가 자립 형태소의 개수보다
(동사 어간))/-었-(형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
(어미))’의 12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은 8개의 단어(나, 는, 집, 에, 가서, 촛불, 을,
많다.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았-’, 평서형 종결 어미
‘-다’는 문법적인 의미만을 갖는 형식 형태소에
켰다)로 구성되어 있다.
㉠에서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4개(나,
집, 초, 불)이다.
속한다.
Tip
㉡에서 혼자 쓰일 수 없는 의존 형태소는 12개
(에, 오-, -ㄴ, 에, 볶-, -음, 을, 하-, -여서(<아서), 먹-, -었-, -다)이다.
▪ 추위
· 현대국어에서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일어로 봄.
※ ‘추위’의 어원
<치위<치<석상><*치←-+-의
Tip
▪ 사이시옷
17)
[정답]
[해설] ‘하늘에 뜨거운 태양이 높이 떠오르다.’는 ‘하
늘(실질,자립(명사))/에(형식,의존(조사))/뜨겁-(실
질,의존(형용사 어간))/-은(형식,의존(어미))/태양
(실질,자립(명사))/이(형식,의존(조사))/높-(실질,의
존(형용사 어간))/-이(형식,의존(접사))/뜨-(실질,
의존(동사
어간))/-어(형식,의존(어미))/오르-(실
· 음운론적 현상인 사잇소리 현상을 표시하기 위한 사이시
옷은 형태소로 취급하지 않음.
예 촛불(초, 불), 빗물(비, 물)
19)
[정답]
[해설] ‘가지마다 꽃망울이 맺혔다.’의 주격 조사 ‘이’,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1 -
[기본문제] 단어_(1)형태소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었-’, 종결 어미 ‘-다’
는 실질적인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인 의미를
지니는 형식 형태소이면서 반드시 어간과 결합해
야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소이다.
‘가지마다 꽃망울이 맺혔다.’는 ‘가지(실질,자립(명
사))/마다(형식,의존(조사))/꽃(실질,자립(명사))/망
울(실질,자립(명사))/이(형식,의존(조사))/맺-(실질,
의존(동사 어간))/-히-(형식,의존(접사))/-었-(형
식,의존(어미))/-다(형식,의존(어미))’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자립 형태소는 총 3개
(가지, 꽃, 망울)이다.
Tip
▪ 네
「관형사」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이 넷임을 나타내는 말.
예 연필 네 자루, 물 네 컵, 고양이 네 마리.
※ 넷
「수사」 셋에 하나를 더한 수
예 그 집은 딸만 넷이다. 장정 넷만 데려오너라.
· 관형사, 수사 → 실질 형태소이자 자립 형태소
실질 형태소는 4개(가지, 꽃, 망울, 맺-)이다.
실질 형태소 중 자립 형태소는 ‘가지, 꽃, 망울’이
다. 동사 어간 ‘맺-’은 실질 형태소이면서 어미와
결합해야만 쓸 수 있는 의존 형태소이다.
‘가지마다 꽃망울이 맺혔다.’는 ‘가지/마다/꽃/망
울/이/맺-/-히-/-었-/-다’의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문제해결 Tip
▪ 마다
「조사」 ‘낱낱이 모두’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 날마다 책을 읽는다./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다./
고향을 떠난 뒤로 밤마다 눈물로 지새운다.
▪ 맺히다
「동사」 열매나 꽃망울 따위가 생겨나거나 그것이 이루어지
다. ‘맺다’의 피동사.
[맺-(동사 어간) +-히(피동 접미사)-+-다(종결 어미)]
예
뒷동산에
있는
배나무에는
아직
열매가
맺히지
않았다.
20)
[정답]
[해설] ㉠‘읽-’은 동사 어간으로, 실질적 의미를 가지
고 있는 실질 형태소이며, 혼자 쓰일 수 없고 어
미와 결합해야만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소이므
로 B에 해당한다. ㉡‘책’은 명사로, 실질 형태소
이며,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이므로 C에
해당한다. ㉢‘와’는 동반의 부사격 조사로, 실질적
의미가 아닌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형식
형태소이므로 A에 해당한다. ㉣‘네’는 수 관형사
로, 실질 형태소이며, 자립 형태소이므로 C에 해
당한다. ㉤‘듣-’은 동사 어간으로, 실질 형태소이
며, 어미와 결합해야만 쓰일 수 있는 의존 형태
소이므로 B에 해당한다. ㉥‘-다’는 종결 어미로,
형식 형태소이므로 A에 해당한다. 따라서 A에는
㉢‘와’, ㉥‘-다’, B에는 ㉠‘읽-’, ㉤‘듣-’, C에는
㉡‘책’, ㉣‘네’가 해당한다.
I410-ECN-0199-2021-001-001401574
- 12 -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