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주거시설 공간계획 마련을 위한 학교시설 사례분석 An Analysis of School facility Cases for the Provision of Spatial Planning Guidelines for Disaster Relief Shelter ○ 염 하 윤* Yum, Ha-Yoon 김 영 욱** Kim, Young-Ook * 세종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 세종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 연구는 2022년도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의 일부임. 과제번호:22TSRD-C151228-04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1 임시대피소의 운영 방법 및 기능 배치 계획 2.2 교육 활동 재개 계획의 마련 3.1 사례 선정 근거 및 범위 3.2 Space Syntax(공간 구문론)을 활용한 Depthmap 분석 3.3 사례 분석 종합 4. 결론 연구의 목적은 임시주거시설로 활용하는 학교시설에 관한 공간계획 가이드라인과 실제 평면 계획의 특징 및 한계 에 대해 살펴보고, 기존 계획 가이드라인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함 태풍, 홍수와 같은 자연재난부터 Covid-19와 같은 사회재난까지 다양한 재해로 인해 전세계에 많은 이재민들이 발생하고 있음 재난이 발생하면 이재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 복구 때까지 대규모 임시주거시설을 설치함 이러한 시설은 주로 학교, 실내체육관 등 대규모 공공건물에 임시로 계획됨 학교시설은 전체 개소의 40.4%, 수용 능력은 80.4%를 차지하고 있어 재해 시 임시주거시설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서동구·권영진, 2014) 학교는 평상시 거주 기능이 아닌 교육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설이므로, 재해 이후 이재민들은 더욱 혼란스러운 환경에 처하게 됨. 또한, 피난이라는 특수상황에서 사람들의 공간 이용 행태는 평상시와는 다른 경향을 보이게 됨 이러한 환경은 이재민의 복구 의지를 감소시키고, 복구 기회를 제한시킬 수 있음 (Sanderson & Burnel, 2013) 기존 학교시설을 임시주거시설 용도로 임시 변경하여 사용할 때, 기존 구획된 영역에 맞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적절히 배분하는 것은 이재민들의 빠른 정서적 회복과 사회로의 복귀를 돕기에 중요 일본 정부 기관에서 발행한 가이드라인 계획 내용 발췌 공간구조 분석 대상으로 위 자료에 수록된 실제 사례를 평면 형태별 3곳 한정 문헌 고찰 사례 분석 방재 선진국 일본의 학교 지정 대피소 관련 공간계획 지침서 + 임시대피소의 운영 방법, 필요 기능, 공간계획 내용 발췌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한 3개 사례의 공간구조 분석 각 사례의 공간 기능 위상, 통합도 관계 분석 도출된 결과로 향후 학교 지정 임시주거시설의 공간계획 지침서 방향 제시 *文部科学省 문부과학성 災害に強い学校施設の在り方について -津波対策及び避難所とし 시설의 안정성 확보 ての防災機能の強化-(재해에 강한 학교 시설의 존재 방식에 대해 ~쓰나미 대책 및 피난소로서의 방재 기능의 강화), 2014 • 2011년 3월 11일 동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동일본은 크나큰 인적, 물적 피해를 대피소의 필요 기능 확보 지역 대피소가 되는 학교시설의 목표 입음 • 지진 재해로부터 얻은 교훈을 정리해 <학교시설의 대피소로서의 재해 대응 기능 확보> 등에 관한 긴급 제언을 2011년 7월에 발표함 문부과학성 : 일본의 행정기관으로 한국의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격이다. 대피소의 원활한 학교 교육 활동의 운영 방법 확립 조기 재개 그림. 지역 대피소가 되는 학교시설의 목표 문부과학성(2014) 자료 발췌 1. 임시주거시설의 운영 방법 및 기능 배치 계획 1 구명 피난기 기 간 재난 발생 ~ 피난 직후 재난 직후부터 학생, 기 능 재해 발생으로부터 대피소 해소까지의 과정을 총 4단계로 구분 도착하기까지의 단계 때까지의 단계 재해로부터 원활한 대피 최소한의 생활수준 확보 좋은 대피소 생활을 확보 대피시설 거주공간 프라이버시 강화 필요 운영관리 공간 자원봉사자 공간 추가 피난까지의 단계 교육 활동을 재개한 후, 대피소 해소까지의 단계 두 기능을 원활히 동시에 운영 사회적 약자(노인,장애인,아동,임산부 등) 공간 물자보관 공간 물자 배부장소 추가 화장실 목욕, 샤워시설 추가 의료 공간 표.임시주거시설이 되는 학교시설의 운영 단계와 필요한 기능 입주 수주일 후 ~ 수개월 교육 활동을 재개할 긴급 피난 장소로 요 입주 며칠 후 ~ 수주일 물자 등이 계 필 정도 4 교육 활동 재개기 구호 물자 등이 도착하고, 교직원, 지역 주민이 표 피난 직후 ~ 입주 수일 3 생활 확보기 이재민 피난 후 구호 단 목 2 생명 확보기 심리상담 공간 커뮤니티 공간(카페, 집회장 등) 임시주거시설에 필요한 기능들은 각 단계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위의 프로세스를 염두에 두고 대피소 운영대책을 고려할 것 특히 대피소 생활이 장기화되는 경우(생활 확보기 ~ 교육 활동 재개기)에는 이재민 생활의 질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 1. 임시주거시설의 운영 방법 및 기능 배치 계획 ① 거주 공간 … - 체육관, 보통 교실, 특별 교실 순으로 개방, 주로 체육관 사용(인원수에 따라 조정) – 실내 통로를 확보할 것 이 재 민 공 간 ② 탈의 · 수유실 … 주로 특별 교실을 이용하여 설치 ③ 복지시설(사회적 약자) … - 접근성이 좋도록 지상층 출입구와 가까이 둘 것 – 별도 화장실도 마련 ④ 가설 화장실 공간 … 체육관 또는 교구 시민관 등에 가까운 장소에 설치 ⑤ 담배 부스 … 아동·학생의 눈에 닿지 않는 장소 ⑥ 이재민· 아이들을 위한 교류의 장소 ⑦ 운영 본부 … 소통의 중심부에 둘 것 관 리 자 공 간 ⑧ 의무실 … 원칙적으로 학교 내 보건실 이용 ⑨ 물자 보관소 … 가능한 한 방을 마련해, 운영 본부나 거주 공간에 가까운 장소로 지정 ⑩ 자원봉사대기소 … 운영 본부 근처에 설치 ⑪ 쓰레기장 … 도로 측 부근에서 가능한 한 거주 공간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 ⑫ 조리 배식 공간 … 거주 공간에 가까워, 가능한 한 필로티나 지붕이 있는 옥외 공간에 설치 부지 외에 가까이 둘 것 2. 교육 활동 재개 계획의 마련 그림. 대피소로서의 학교시설 이용 계획의 예 (재구성) ② ③ 다목적실 (임시 교실) ④ ③ 시청각실 (임시 교실) 2차 개방 공간 ① ① … 기존 실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원수에 따라 거주자 공간을 단계적으로 개방해야 함 1차 개방 공간 4단계 교육 재개기에 ② … 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적고, 양자 동선이 최대한 적게 겹치는 방을 제2차 개방공간으로 선정 이재민 개방 영역과 ③ … 교실을 대피소 공간으로 개방할 경우, 다목적 공간이나 시청각실을 임시 교실로 이용 교육을 위한 영역을 ④ … 실외운동장을 주차장이나 임시주거시설로 사용하는 경우 학생들을 위해 충분한 운동 공간을 확보 명확하게 구분할 것 • 류호섭(2001)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존 학교들의 교사 평면 형태를 보면 대부분이 일제식 수업 위주의 편복도형 형태 • 1990년대 이후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자 학교 건축 계획 지침을 작성하는 등 여러 시도가 이루어져 왔음 • 오늘날에 이르러 ㅁ자형, P자형 등 획일화된 학교 평면 구성을 탈피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는 중 다양한 공간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을 비교하기 위해 전통적인 교사 형태인 1) 편복도형 교사 2) 중복도형 교사 새로운 교사 형태인 3) 중정형 교사 총 3곳으로 범위를 한정함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사례 분석 • 각 실의 조건을 균등하게 계획 가능함 • 편복도 맞은편에도 실을 구성한 유형 • 동선의 구성이 단순 명료함 • 복도 등 공용 공간 환경이 열악 • 외부에 대한 폐쇄성으로 차음을 위한 보호 막이 되어 조용한 실내환경 구축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사례 분석 공간 구문론 기반의 Depthma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례의 통합도 분석과 공간 기능 위상 분석을 실시 ■:스태프 ■:의료 ■:주거 ■:커뮤니티 ■:복지 ■:취식 ■:위생 ■:물자 ▲:거주자용 출입구 △:그 외 출입구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이론적 고찰_Space Syntax(공간구문론)을 활용한 Depthmap 분석 : 공간 구조를 분석하여 각 공간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이론이자, 이를 토대로 개발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지칭함. 1. 축선도(Axial map)분석 - 축선도 분석은 건물내부 혹은 도시공간에 가시성과 접근성을 토대로 분석대상 건물 혹은 도시의 모든 공간을 포함하 여 직선으로 이루어진 축선도를 작성하여 분석 - 분석대상 건물 혹은 도시를 컨벡스 공간(최대공간영역도 convex space)으로 분절하여 축선도를 그리고 이를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함. - 축선도 작성 과정 예 공간 구조상 중요도를 분석 대상의 전체 공간에서의 접근성에 의하여 결정하고, 이를 통합성 혹은 공간구조 위계 상의 중요도를 의미하는 통합도(Integration)라고 정의함. 통합도 값은 높을수록 전체 공간에서부터의 접근성이 좋은 것 으로 봄. 2. 공간위상연계도(Justified-Graph) - 공간위상연계도는 공간의 위상, 즉 어느 특정한 공간으로부터 그 시스템 안의 모든 공간의 상대적 깊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 - 공간의 위치 및 관계를 ‘o’(cell : 단위 공간;정적인 요소)와 ‘-’(link : 연결;동적인 요소)로 구성하여 보여줌 - 공간들과의 관계를 깊이(depth)와 연결고리(ring)으로 해석 - 한 공간에서부터 영역 내에 있는 모든 공간들에 대한 상호관계성과 공간 구조의 의미를 명백하게 분석 공간위상연계도 작성 예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그림.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통합도 분석(왼)과 공간 기능 위상(오) 결과 - 편복도형 별동 교사동 교사동(편복도형)과 별동으로 나누어 대피소를 운영 교사동 : 대피소 생활 단계별로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층부터 차례로 배치 ■ ■ ■ ■ ■ ■ ■ ■ ■ ■ ■ ■ ■ ■ ■ ■ ■ ■ • 1층에는 대피소 생활을 조력하는 기능들, 2층에는 복지 위주의 기능들, 3층에는 시설 본부 (1F, 별동) 0.7279 조리실 (1F, 교사동) 0.6520 진료실 (1F, 교사동) 0.6520 W.C (1F, 교사동) 0.6520 물자보관실 (1F, 교사동) 0.6520 자원봉사자실 (1F, 교사동) 0.6520 물자보관실 (1F, 별동) 0.6274 자원봉사자실 (2F, 교사동) 0.5445 W.C (2F, 교사동) 0.5445 아동놀이실 (2F, 교사동) 0.5445 ■:스태프 ■:의료 ■:주거 ■:커뮤니티 ■:복지 감염자 전용실 (2F, 교사동) 0.5445 ■:취식 ■:위생 ■:물자 독서 pc실 (2F, 교사동) 0.5445 ○ W.C(장애인 전용) (1F, 별동) 0.5361 커뮤니케이션실 (3F, 교사동) 0.4687 레크레이션실 (3F, 교사동) 0.4687 W.C (3F, 교사동) 0.4687 주거시설 (2F, 별동) 0.4290 • 사회적 약자가 외부로부터 접근이 쉬우면서도 낮은 통합도 값(0.4290)을 가짐 W.C (2F, 별동) 0.3543 • 주거시설 역시 낮은 통합도 값(0.3543)을 가져내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함 생활이 장기화될 경우 거주민 간 교류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실을 배치 • 같은 층에 있는 기능들은 통합도 값이 같기 때문에 프로그램 간에 위계를 부여하는 방 법은 층수를 구분하는 것뿐(표 참조) • 프로그램은 저층부에 마련될수록 높은 통합도 값을 가짐 • 이는 대피소 생활 초기 프로그램들은 최소한의 생활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기능으로 :복도 ●:계단 및 엘리베이터 : 지상 출입구(시작점) 자주 이용하며 접근성이 좋아야 하는 반면, 대피소 후반 단계 프로그램들은 생활의 질 향상 측면에서 요구되는 부가적인 기능이라고 해석됨 별동 : 프라이버시를 위해 주거 기능 위주의 프로그램을 별동에 따로 마련 • 주거시설과 장애인 화장실을 저층부에 배치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아동 임시보호소 -화장실 -자원봉사자실 (2F) 복지실 -화장실 -직원 휴게실 (1F) 그림.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통합도 분석(왼)과 공간 기능 위상(오) 결과 - 중복도형 1층 : 대피소를 위한 필수 시설, 2층 : 복지시설, 자원봉사자 공간으로 구성 • 주거시설 전용 출입구는 총 3개의 출입구 중 가장 낮은 통합도를 갖는 곳으로 설정하 여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 ■ ■ ■ ■ ■ ■ ■ ■ ■ ■ ■ ■ ■ ■ ■ ■ ■ ■ ■ ■ 음식, 물자 배부 장소 (야외) 0.8030 창고 (1F) 0.7118 아동 놀이실, 노인복지시설 (1F) 0.7118 W.C1 (1F) 0.7118 학생 출입구(1.1732), 복지시설 출입구(0.9997), 대피소 거주민 출입구(0.8739) 상호보완적인 프로그램들이 모여 효율적인 대피소 운영 직원실 (1F) 0.7118 사회적 약자 전용 복지실 (1F) 0.7118 W.C2 (1F) 0.6456 심리 상담실 (1F) 0.6456 의무실 (1F) 0.6456 주거시설 (1F) 0.6089 주거시설 W.C (장애인용) (1F) 0.5975 ■:취식 ■:위생 ■:물자 소독실 (야외) 0.5893 ○ 가설목욕, 화장실 (야외) 0.5893 자원봉사자 휴식실 (2F) 0.5866 임시 보육원 (2F) 0.5723 W.C1 (2F) 0.5723 아동 임시 보호소 (2F) 0.5139 W.C2 (2F) 0.5139 자원봉사자 활동실 (2F) 0.5139 주거시설 W.C (1F) 0.4605 • 중복도형은 편복도형의 맞은편에 실이 구성된 형태이기 때문에 복도를 공유하면 같은 통합도 값을 갖는 편복도형과 비슷한 양상 ■:스태프 ■:의료 ■:주거 ■:커뮤니티 ■:복지 :복도 ●:계단 및 엘리베이터 : 지상 출입구(시작점) • 공간 위상연계도(오)를 비교해보면, 1층 복지실-화장실-직원 휴게실(0.7118), 2층 아동 임시보호소-화장실-자원봉사자 활동실(0.5139)처럼 상호보완적인 프로그램들 이 마주보며 배치 • 이를 통해 기능 간의 연계성이 좋아지고 보다 효율적인 대피소 운영이 가능함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 ■ ■ ■ … … W.C(감염자) (2F) 0.7726 주거 (2F) 0.7554 주거 (1F) 0.7541 감염자 공간 (2F) 0.7227 그림.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통합도 분석(왼)과 공간 기능 위상(오) 결과 - 중정형 중정을 기준으로 북쪽은 운영관리 프로그램, 남쪽은 거주자 전용 프로그램 배치 • 1층은 일반 거주민들을 위한 시설들과 대피소에 필요한 필수 기능들, 2층은 대피소 생 활 중에 발생한 질병 환자 대응 공간 위주로 구성 ■ ■ ■ ■ ■ ■ ■ ■ ■ ■ ■ ■ ■ ■ ■ ■ ■ ■ ■ 물자 배포장소 (1F) 1.1049 주거 앞 커뮤니티실 (1F) 1.1041 조리장, 취식공간 (1F) 1.003 세탁장 (야외) 0.9947 물자보관실 (1F) 0.9721 W.C(1F) 0.9721 주거 앞 커뮤니티실 (2F) 0.9388 직원 활동실 (1F) 0.9365 직원 회의공간 (2F) 0.9342 세탁건조장 (2F) 0.9175 감염자 화장실 (1F) 0.8687 커뮤니티실 (1F) 0.8590 등록공간 (1F) 0.8590 응급환자실, 어르신돌봄실(1F) 0.8571 본부 직원실 (2F) 0.8532 W.C (2F) 0.8532 가설 화장실 (야외) 0.8523 상담실 (1F) 0.8231 보건실 (2F) 0.7983 … … 공간 위계 상 주거와 가까운 안쪽에 자리하며 통합도 값이 높은 커뮤니티 • 1층 주거 앞 커뮤니티 실(1.1041)과 2층 주거 앞 커뮤니티 실(0.9388) 공간 위계 상 비교적 안쪽에 자리하지만, 건물 내에서 접근성이 좋고 활발한 공간으로 분석됨 ■:스태프 ■:의료 ■:주거 ■:커뮤니티 ■:복지 ■:취식 ■:위생 ■:물자 ○ :복도 ●:계단 및 엘리베이터 : 지상 출입구(시작점) • 이는 시설 생활이 장기화될 경우 필요한 이재민 내 소통과 교류 기능을 강화할 수 있어 이재민 복구 의지 개선에 도움이 됨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임시주거시설로 운영되었던 학교 사례 분석 결과, 위 시설들은 모든 평면 형태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임 물자 관련 프로그램들이 외부로부터 가장 가깝고 다른 곳으로부터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남 주거시설은 공간 위상 연결 결과에서 다양한 위계를 나타내지만, 평면 유형 모두에서 하위 50%의 통합도 값으로 전체 기능 중 접근 성이 가장 낮음. 또, 평면이 가질 수 있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별도 건물을 마련하거나 전용 출입문을 두는 등의 방법으로 해결함 사회 약자를 위한 복지시설은 주거시설 다음으로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공간 위계 상 직원실과 연계되는 곳에 배치하여 관리 를 쉽게 함 운영관리를 위한 직원실은 물자 시설 다음으로 접근성이 좋다고 나타나 원활한 대피소 조율이 가능함. 그에 반해 직원 휴식실의 통합 도 값은 복지시설 수준으로 낮음 최소 생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졌고, 이것이 가이드라인에 반영됨 • 가이드라인 상 2단계 생명 확보기부터 필요한 기능인 물자 시설, 주거시설, 복지시설, 직원실 등에 해당함 • 위생시설의 경우 각 주체(거주자, 관리자, 학교 관계자)별로 구획된 평면 곳곳에 배치되어야 함 시설 생활이 장기화되고 이재민들이 어느 정도 신체적 안정에 이른 시점에서 필요한 이재민 정신 건강 증진에 대한 고려는 미비 •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주거 보호 측면은 지속적으로 대두된 문제로 어느정도 해결 • 그러나 이재민 간 정서적 교류나 상담 등 정신적 삶의 질에 대한 고려는 미비 • 3단계 생활 확보기부터 마련해야 할 커뮤니티 시설과 심리 상담 등을 위한 의료 기능이 이에 해당함 이재민의 심적 회복을 돕기 위한 공간계획에 초점을 둔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 임시주거시설은 강제적이지만 일시적으로 사람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또 다른 작은 사회임 향후 연구를 토대로 이재민의 빠른 심적 회복을 돕기 위해 이재민 간 정서적 협력과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계획에 초점을 둔 가이드라인이 마련 필요 1. 류호섭, 초등학교 교사 평면유형 및 면적의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8권 제5호, 2001.11 2. Sanderson, D., Burnel, J., Beyond Shelter after Disaster: Practice, Process and Possibilities, NY, Routledge, 2013 3. 서동구·권영진, 임시주거시설로 지정된 학교시설의 방재기능향상을 위한 선진사례 고찰, 한국교육시설학회지 제21권 제5호, 2014.9 4. 文部科学省, 災害に強い学校施設の在り方について -津波対策及び避難所としての防災機能の強化-,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