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강동구

03장 벡터

advertisement
3장
벡터
Vectors
–
by Bhak, Jong Goo
Chap.3 Vectors
3.1 좌표계
Coordinate systems
- 2 -
Chap.3 Vectors
기준계 Frame of reference
어떤 물리량을 측정할 때, 시작점을 정의하는 좌표계. 즉, 평면공간에서의 위치를 규정.
좌표계의 구성 요소 원점 Origin 이라 불리는 고정된 기준점 O.
적절한 눈금과 이름이 명시된 좌표축 Coordinate axes 들.
원점과 축에 대해서 평면 공간 의 한 점을 표시하는 설명.
자주 사용하는 2차원 좌표계
직교 좌표계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Cartesian coordinate system ,
평면 극좌표계 Plane polar coordinate system ,
 x, y
 r,  
x  r cos  ,
r  
   ,
y  r sin 

  tan- 1 

 
- 3 -
Chap.3 Vectors
삼각함수
Trigonometry
- 4 -
Chap.3 Vectors
      
si n    co s    
60
45
2
2
1
45
1
4
53
30
1
37
5
3
3
- 5 -
Chap.3 Vectors
- 6 -
Chap.3 Vectors
- 7 -
Chap.3 Vectors
- 8 -
Chap.3 Vectors
예제 3.1
극좌표
xy 평면상의 한 점의 직각 좌표가  x, y  
이 점의 극좌표를 구하라.

r        m         m  


예제
  m
tan- 1 
  m



⇒
4.30 m
215.5°로
 r,     5.00 m, 37.0 ° 를 직각 좌표로 변환하라.
r cos 

 5.00 m cos 37.0°

r sin 

 5.00 m sin 37.0°
※

35.5°
x 
y
- 3.50 m, - 2.50 m 이다.


3.99 m
3.01 m
  sin- 1 값 실수

값 실수   sin   - 1  
s in 

값 실수  sin  - 1  s in 

 
- 9 -
Chap.3 Vectors
예제
건물의 높이는 얼마인가?
어떤 사람이 건물의 높이를 측정하려고 건물의 바닥에서 46.0 m 걸어 나와서 건물의 맨 꼭대기를 향해
전등을 비추었다. 전등 불빛이 건물의 맨 꼭대기에 도달할 때 수평과 이루는 각은 39.0 °이다.  a 전등
의 높이가 지면에서 2.00 m라 할 때, 건물의 높이를 구하라.  b 전등 불빛의 길이를 구하라.
건물의 높이 Δy

빛이 진행한 거리 r
 tan 39.9 °  46.0 m


- 10 -
 m

co s  °


37.3 m
59.2 m

    m       m 

59.2 m
Chap.3 Vectors
예제
경사각 구하기
트럭이 경사진 직선 언덕길을 올라가고 있다. 고도를 가리키는 표시판은 시작점과 끝점과의 고도차가
0.530 km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언덕길을 다 올라간 후 트럭의 거리계가 3.00 km 진행한 것으로 가리켰
다면, 이 언덕의 경사각  를 구하라.


 k m
sin- 1 
 k m



10.2 ˚
- 11 -
Chap.3 Vectors
예제
왕복 항공 여행
비행기가 동쪽으로 4.50 × 102 km 날아간 후, 적당한 거리만큼 북쪽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북쪽에서
525 km 날아서 출발점으로 되돌아왔다. 비행기가 북쪽으로 이동한 거리를 구하라.
r2

- 12 -
x2  y2
⇒
y


   


   k m       ×    k m 

270 km
Chap.3 Vectors
Vector
- 13 -
Chap.3 Vectors
Scalar
적절한 단위를 가진 하나의 수치, 크기만 가진 양
⇒
크기만으로도 완전하게 묘사.
질량 Mass , 에너지 Energy , 온도 Temperature , 길이 Length , 이동거리 Distance , 시간 Time 등
Scalar양의 표시는 주로 실수를 사용
사칙연산  ,  , × , ÷  은 일반적인 대수 규칙을 따른다.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가진 양
⇒
크기와 방향을 명시하여야 완전하게 묘사.
위치 Position , 변위 Displacement , 속도 Velocity , 가속도 Acceleration , 힘 Force , 운동량 Momentum
 , 각운동량 Angular momentum , 토크 Torque , 전기장 Electric field , 자기장 Magnetic field 등
새로운 연산법칙이 필요.
- 14 -
Chap.3 Vectors
가. Vector의 표시 Representation of vectors
화살표를 이용한다.
화살표의 길이

Vector의 크기,
화살표의 방향

Vector의 방향
“종점”
“시점”
시점
종점
A B
: A굵게, A, AB굵게, 
A  , AB가늘게,  AB ,  
A B 
Vector의 크기 : A가늘게,  A ,  
Scalar의 표시 : A
Vector의 표시
- 15 -
Chap.3 Vectors
나. Vector의 동등성 Equality of vectors
A B  
CD

크기가 같고 방향이 같다.
Vector는 좌표평면 내에서 평행이동이 가능하다.
평행하고 길이가 같은 모든 Vector들은 동일한 Vector이다.
속박Fixed vector
원점에서 시작하는 Vector.
 위치 Position vector
자유Free vector
시점의 위치를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Vector.
 어떤 물체의 속도 Vector 
 
그 물체의 속도를 표현
속도의 변화를 구할 때, 평행이동 가능

들을 비교할 때, 그려진 위치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 16 -
Chap.3 Vectors
다. Vector의 덧셈 Addition of vectors
삼각형법 Triangle method of addition

  
  

′

    c o s       s in   
    
′



      c o s     c o s       s in   


      c o s     c o s    s in   


     cos   
tan1
⇐
c o s    s in  


 s in 

   co s  
- 17 -
Chap.3 Vectors
평행사변형법 Parallelogram method of addition
− −tail method
머리에 꼬리 잇대기 Head to
Vector 덧셈의 성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
: 교환법칙Commutative law
: 결합법칙Associative law
Chap.3 Vectors
라. Vector와 Scalar의 곱 Multiplication of a vector and scalar
영벡터 Zero vector ; 

크기가 0인 Vector
특별한 방향을 갖지 않는다.
음벡터, 역벡터 Negative of a vector
 
 ≡ 
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Vector
m 

: 와 같은 방향, 크기는 mA인 Vector
m  0: m 
  
m  0: 
와 반대 방향, 크기는  m  A인 Vector
m  0
Vector의 크기 길이 를 변화시킨다.
- 19 -
Chap.3 Vectors
마. Vector의 뺄셈 Subtraction of vectors

  
  
    
 
(0, 0, 1)
(0, 1, 0)
(1, 0, 0)
바. 단위 벡터 Unit vector
특정한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크기가 1인 Vector

 
와 같은 방향이고 크기가 1인 Vect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으로 표현
Vector는 ‘그 Vector의 크기 × 그 Vector 방향의 단위 Vector’로 표현 가능.




  

  

⇐
- 20 -
Chap.3 Vectors
사. Vector의 성분과 방향 코사인 Components of a vector & direction cosine


가 
와 
, 2개로 분해되었다.
를 알고 
와 
를 구한다.

Vector 덧셈의 역과정.
와 
를 알고 
를 구한다.
⇐
⇐

  
  
를 만족.
직각 분해
분해된 Vector들이 서로 직각을 이룰 때.
보통 직각 좌표계 Cartesian coordinate system 의 축과 평행하게 직각 분해를 한다.
그 축 방향의 성분
: 분해된 각 축 방향 Vector들의 성분
- 21 -
Chap.3 Vectors
평면 Vector
  
x  
y  
 Ax  
 Ay

:
A sin  :
Ax  A cos 
Ay 
:A

의 방향:  

의 크기
–
–

의 x 성분

의 y 성분
    


tan- 1
  ⇐



⇐
 Ax, Ay 

tan  

  
   
 Ax  
 Ay    
 Bx  
 By   
  Ax  Bx   
  Ay  By 


  
   
 Ax  
 Ay    
 Bx  
 By   
  Ax  Bx   
  Ay  By 
- 22 -
Chap.3 Vectors
: 방향 코사인 Direction cosine
공간 Vector

가 x, y, z축과 이루는 각을 각각  ,  ,  라 하면,
의 정사영Projection
각 축 위로 내린 
각각의 축 방향 성분


 의 x 성분
A  A cos 
x
Ay 
Az 
:
:
–
의 y– 성분
A cos  : 
의 z– 성분
A cos  : 
  
x  
y  
z  
 Ax  
 Ay  
 Az

       
A  
⇐


 Ax, Ay, Az 
  
  
  


  
   
 Ax  
 Ay  
 Az    
 Bx  
 By  
 Bz 
 
  Ax  Bx  
  Ay  By   
  Az  Bz 

  
   
 Ax  
 Ay  
 Az    
 Bx  
 By  
 Bz 
 
  Ax  Bx  
  Ay  By   
  Az  Bz 
공간의 임의의 점 P(x, y, z)를 나타
내는 위치 vector 
- 23 -
Chap.3 Vectors
   cos  ,
m  cos  ,
  cos  




n  cos 
: 의 방향 코사인 Direction cosine


       



m  cos     



        


n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m2  n2
- 24 -

  
   
 





  
m  
n



 

cos2   co2s   cos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Chap.3 Vectors
예제 3.2
휴가 여행
자동차가 북쪽으로 20.0 km 간 후, 북서쪽 60.0 °로 35.0 km를 갔다. 자동차의 전체 변위를 구하라.

R        k m          k m      k m  c o s     °       k m    48.2 km

     k m  s in     °
tan- 1 
    k m       k m  c o s     °



  
  20.0 km , 
   35.0 km 

  
  
 


38.9 ° / 북서쪽 38.9 °
-  sin 60.0 ˚   cos 60.0 ˚ 
-  30.3 km   37.5 km

-  30.3 km   17.5 km
   k m      k m    48.2 km
R  
 ˊ  tan- 1 

 


 tan- 1 
  k m

 k m


-51.1 ° ⇒
128.9 ° / 북서쪽 38.9 °
- 25 -
Chap.3 Vectors
문제
45.0 ° 동북쪽으로 30.0 km, 동쪽으로 20.0 km 이동한 사람의 변위의 크기와 방향을 구하라.
R 






     k m          k m      k m  c o s     °       k m   
    k m  s in     °
 27.2° / 동북쪽 27.2°
tan- 1

    k m       k m  c o s     ° 
 30.0 km  
 sin 45.0 ˚  
 cos 45.0 ˚   
  20.0 km
  k m      k m    46.3 km
R  
 k m
 ˊ  tan- 1 
 k m

- 26 -
46.4 km

 27.2 ° / 동북쪽 27.2 °


 41.2 km  
 21.2 km
Chap.3 Vectors
예제 3.3
두 벡터의 덧셈
   2.0 
  2.0 
  m와 
   2.0 
  4.0 
  m의 합을 구하라.
xy 평면상의 두 벡터 

  


    


 4.0 
  2.0 
 m


  m       m  
tan- 1 
 m
   m 



 m
- 27° / 333°
- 27 -
Chap.3 Vectors
예제 3.4
도보 여행
한 도보 여행가가 첫째 날에 그의 승용차로부터 남동쪽으로 25.0 km 간 후, 그곳에서 텐트를 치고 하룻
밤을 잤다. 다음 날 동북쪽 60.0 ° 방향으로 40.0 km를 걸었더니 산림 감시원의 망루를 발견했다.
1 첫째 날과 둘째 날의 여행가의 변위를 구하라.
Ax 
Ay

- 45.0 ˚
 25.0 km sin - 45.0 ˚

 25.0 km cos
17.7 km
- 17.7 km

Bx 
 40.0 km cos 60.0 ˚

20.0 km

 40.0 km sin 60.0 ˚

34.6 km
By
2 여행자의 총 변위 벡터를 구하라.
Rx 
17.7 km  20.0 km 
Ry

- 17.7 km 




  

34.6 km 
37.7 km
16.9 km

 37.7  
 16.9 km

  k m      k m    41.3 km
R  
 k m
  tan- 1 
 k m

- 28 -

 24.1 ° / 동북쪽 24.1 °
Chap.3 Vectors
문제 3.4
감시 망루에 도착한 후, 도보 여행가는 직선으로 그의 승용차로 돌아오고자 한다. 이 경로를
나타내는 벡터와 방향을 구하라.
: 감시 망루에서 승용차를 향하는 벡터
 -
   - 
 37.7  
 16.9 km
⇐
car





car
Rcar 

tan- 1

예제

   k m       k m  
  k m

  k m 

24.1°



 37.7  
 16.9 km
41.3 km
⇒
204.1° / 서남쪽 24.1°
순항선이 45.0 ° 북서쪽으로 50.0 km 이동한 후, 30.0 ° 동북쪽으로 70.0 km 더 이동하였다. 순항선
변위의 크기와 방향을 구하라.
Rx 
 50.0 km cos 135.0 ˚   70.0 km cos 30.0 ˚
Ry

 50.0 km sin 135.0 ˚   70.0 km sin 30.0 ˚




 25.3  
 70.4 km,


 k m
tan- 1 
 k m


R 



25.3 km
70.4 km

  k m      k m  

74.8 km
70.2° / 동북쪽 70.2°
- 29 -
Chap.3 Vectors

  2 
  
  2
와 
 

  
   2 
  
  2
  

  
   2 
  
  2
  
예제
    
    
예제
-     의 합과 차를 구하라.
-         2  3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헬리콥터가 연직 상방으로 100 m 비행한 후, 지면에 평행하게 동쪽으로 500 m, 북쪽으로 1,000 m
날아갔다. 다른 헬리콥터는 동일 지점에서 출발하여 연직 상방으로 300 m, 지면에 평행하게 서쪽으로
200 m, 북쪽으로 500 m 비행했다. 두 헬리콥터 사이의 거리를 구하라.
- 200  500  300
  500  1,000  100   -200  500  300 
1  500 
  1,000 
  100 
,

 
1
- 30 -
 
2




2


 700 


          
500 
  200 



883 m
Chap.3 Vectors
아. Scalar & Vector Product
물리량 Physical quantities 은 그것이 Scalar이든 Vector이든
같은 차원일 때만 더하거나 뺄 수 있다.
방정식 양변의 항들은 같은 차원을 가져야 한다.
Vector의 곱하기
두 Vector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차원Dimension의 물리량을 만든다.
Scalar곱 & Vector곱
- 31 -
Chap.3 Vectors
Scalar Dot, Inner product
⋅ 
 ≡

AB cos


 cos
 


 



 

연산 결과는 Scalar.

의 크기 × 
의 
방향 성분

의 크기 × 
의 
방향 성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1ㆍ1ㆍcos 0˚


 ⋅


1ㆍ1ㆍcos 90˚


1
0


 Ax  
 Ay  
 Az  ㆍ 
 Bx  
 By  
 Bz 

⋅
   Ax By  
⋅
   Ax Bz  
⋅

Ax Bx  
 Ay Bx  
 ⋅
   Ay By  
 ⋅
   Ay Bz  
 ⋅

 Az Bx  
 ⋅
   Az By  
 ⋅
   Az Bz  
 ⋅


- 32 -
Ax Bx  Ay By  Az Bz
Chap.3 Vectors
두 Vector가 서로 수직 직교, Orthogonal 할 조건
 ⋅ 



AB cos 90˚



 Ax  
 Ay  
 Az  ㆍ 
 Bx  
 By  
 Bz 
0
Vector의 크기 Norm

 ⋅ 


AA cos 0˚

⇒
A2
A2


 ⋅ 


Ax Bx  Ay By  Az Bz
Ax2  Ay2  Az2

Scalar곱의 성질
ㆍ 



Ax Bx  Ay By  Az Bz
  
  ㆍ 

 
  ㆍ 

 a 

Bx Ax  By Ay  Bz Az

ㆍ 




 Ax  
 Ay  
 Az    
 Bx  
 By  
 Bz   ㆍ 
 Cx  
 Cy  
 Cz 


  Ax  Bx  
  Ay  By   
  Az  Bz   ㆍ 
 Cx  
 Cy  
 Cz 

 Ax  Bx Cx   Ay  By  Cy   Az  Bz  Cz

 Ax Cx  Ay Cy  Az Cz    Bx Cx  By Cy  Bz Cz 


⋅ 
  
⋅ 



 aAx  
 aAy  
 aAz  ㆍ 
 Bx  
 By  
 Bz 

Ax aBx   Ay  aBy   Az  aBz 


a Ax Bx  Ay By  Az Bz 
ㆍ 
 
a 


a Ax Bx  a Ay By  a Az Bz

ㆍ a 
 
- 33 -
Chap.3 Vectors
예제
A

  2 
  
와 
  3 
  
 의 사잇각을 구하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ㆍ 



      

 2
  
  ㆍ 3 
  

  2
  ㆍ 3 
    2
  ㆍ

ㆍ 

예제

AB cos 
⇒


- 
cos- 1
 




-  ㆍ 3

⋅ 





 
-  ㆍ - 
cos- 1 

 




6
31.9˚
일정한 힘을 받는 물체의 변위가 
라면, 이 힘이 한 일W ≡ 
 ⋅ 
  FS cos  을 구하라.
0 ≤   90˚
: W  0, 물체가 힘의 방향으로 이동
⇒ 힘이  의 일을 하였다.
‘물체가 외부에 일 Energy 을 주었다’.
90˚   ≤ 180˚
  90˚
- 34 -


: W  0, 물체가 힘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 힘이  의 일을 하였다,
:W
‘물체가 외부로부터 일 Energy 을 받았다’.
0
⇒
물체가 힘의 작용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
Chap.3 Vectors
Vector Cross, Outer product

 × 
 ≡


AB sin 









 

 


  Ay Bz  Az By   
  Az Bx  Ax Bz   
  Ax By  Ay Bx
: A와 B를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넓이
방향: 오른손 법칙
크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
Chap.3 Vectors
두 Vector의 평행 조건

 ≠ 0, 
 ≠ 0일 때, 
 × 
 ≡

 AB sin 90˚
Vector곱의 성질

 × 



 × 

-  × 

0
 
  
  × 

 a 
  × 
 
- 36 -

 × 
 

 ×  a 
  


 × 

a 
 × 
 

0
Chap.3 Vectors
예제
-   2가 있다.  × 를 계산하고,  ×  

  2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0  
  0  0  
 4  


  0  0  
  0  0  


 

 









- 3 
- 3  4



 × 
임을 보여라.
7

- 7
- 37 -
Chap.3 Vectors
예제

  2 
  3
  
, 
  
  4
  2
 일 때, 
 × 
를 구하라.
 × 


예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두 Vector를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에 수직인 단위 Vector를 구하라.

 × 
 

- 38 -
  3
  11 

10 
위의 두 Vector를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라.
평행사변형의 넓이
예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its
극한
Limits
- 39 -
Limits
함수의 극한 Limit
x ≠ a이면서 x가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 f  x 가 일정한 값 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y
x가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 f  x 는  에 수렴한다.
고 하고,  를 ‘f  x 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고 한다.
y = f(x)

기호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  x  
또는
x → a 일 때, f  x →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x → 1 일 때,  → 2
  
- 40 -

lim     
→

2
O
a
x
Limits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lim f  x   , lim g  x   일 때,
 →
 →
 lim k f  x

 →
k lim f  x


 lim  f  x ± g  x 

 →


 lim  f  x ㆍ g  x 
 
k  k는 상수 
lim f  x ± lim g  x
 →

 →
 lim 
 →    

 →
 lim f  x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ㆍ 
 →



lim g  x
 →

단,  ≠ 0, g  x ≠ 0
 →
- 41 -
Differentiation
비율
Rate
- 42 -
Differentiation
비율 Rate , 변화율 Rate of change
현재의 상황에서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개념
욕조의 부피와 욕조에 물을 가득 채우는데 걸리는 시간의 비율
비탈면의 경사
어떤 물건 일정량에 대한 가격
‘빠르다’, ‘느리다’는 말
어떤 양 f가 x에 따라 변화한다.
수학적으로 ‘f는 x의 함수이다’를 f  f x 로 표현
: 독립 변수 Independent variable , ‘원인’, 물리학에서는 주로 시간Time
f: 종속 변수 Dependent variable , ‘결과’
x
수학적으로 x  x f  와 같이 역함수 형태로 표현 가능.
독립 변수의 변화에 대한 종속 변수의 변화에 주목.
물리학에서는 반드시 단위를 명시하여야 한다.
- 43 -
Differentiation
평균 변화율 Average rate of change
함수 f  x 에 대해 x가 a에서 b까지 변할 때,
  

  





     


를 구간  a, b 에서의 평균 변화율이라고 한다.

⇒ 곡선 위의 두 점  a, f  a   와  b, f  b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 일반적으로 평균 변화율은 구간에 따라 값이 다르다.
- 44 -
     


Differentiation
문제
차의 위치가 x  t  10t2  8t와 같다. t  2와 t  3 사이에서 위치의 시간에 대한 평균 변화
율을 구하라.



문제

      

  
  

  


58
위치 x  t  10t2  8t에 대해 t  3와 t  3.01 사이에서 위치의 시간에 대한 평균 변화율을
계산하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1
- 45 -
Differentiation
문제
어떤 기계가 수술을 마친 환자의 t분 동안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고 있다. 아래의 자료를 토대
로 1 t  36과 t  42, 2 t  38과 t  22, 3 t  40과 t  42, 4 t  42과 t  44 구간의
분당 평균 박동수를 계산하라. 이 환자의 상태는 어떠한가?
t [분]
박동수
:
t  42:
t  42:
t  44:
36
2,530
38
2,661
40
2,806
42
2,948
1 t  36 ∼ t  42
        

    

    

  

69.67
2 t  38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75
        

    

    

  

7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66.00
3 t  40 ∼
4 t  42 ∼
환자의 상태는
- 46 -
⇒
44
3,080
Differentiation
순간 변화율 Instantaneous rate of change
함수 f  x 에 대해 Δx → 0 b → a 때의 평균 변화율의 극한
  
lim 
  
→


lim 
 →  
f(b)
     

lim 

 → 
f(a)
를 함수 f  x 의    에서의 순간 변화율미분계수라고 하고, 기호로
f ˊ a ,
  

  
yˊx = a,
     

  
,
 
a
b
 
등으로 나타낸다.
⇒ 곡선 위의 점  a, f  a   에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
- 47 -
Differentiation
함수 x  t  10t2  8t에 대하여 t  3에서 위치의 시간에 대한 순간 변화율을 계산하라.
문제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lim
 → 
 68 
10Δt

즉, 

문제



68

68
  
함수 x  t  10t2  8t에 대하여 t  6.001에서 위치의 시간에 대한 순간 변화율을 계산하라.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 

lim
 → 
 128.02 

즉, 

- 48 -

10Δt

  

128.02

128.02
Differentiation
문제
원의 반경 r이 1 2
~ 2.5, 2 2 ~ 2.1, 3 2 ~ 2.01 변할 때, 면적 A 
 r2의 r에 대한 평
균 변화율을 계산하라. 또한 r  2에서의 순간 변화율을 계산하고 이 값들을 서로 비교하라.
r  2 ∼ r  2.5
2 ∼ 2.1
2 ∼ 2.01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 [m]

 ・     ・  

  

4.1  [m]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4.01  [m]
     


・ ・      
lim  

 → 

lim   4  Δr

4
 → 
- 49 -
Differentiation
문제
원의 면적A   r2 의 반경r에 대한 순간 변화율이 원주와 같음을 보여라. 원의 반경이 Δr만
큼 증가하였을 때의 면적 증가분을 계산하여 그 기하학적인 의미를 설명하라.

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lim  

 → 
     
ΔA 
A r  Δr  A r

  r  Δr 2   r2

2  rΔr    Δr 2 ≈
- 50 -

2  rΔr
2 r
Differentiation
◈도함수 Derivatives : 함수 f  x 에 대해 x가 x에서 x  Δx까지 변할 때의 순간 변화율
함수 f  x 에서 x의 각 값에 미분계수 f ˊ x 를 대응시키는 함수
     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를 ‘x에 관한 f  x 의 도함수’라 하고,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yˊ,
f ˊ x ,

,


   
,



fˊ x ,



f  x 의 도함수를 구하는 것을 ‘f  x 를 x에 관하여 미분한다’고 하고, 이 계산법을 ‘미분법’이라 한다.
f ˊ x
: 그래프 위의 점  x, f  x  에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의미
함수, f  x
x  a에서의 순간 변화율
: y ˊ a ,
미분


f ˊ a , 


,
  
도함수,
f ˊ x
   


,

  

 



  
- 51 -
Differentiation
※ lim
 → 
- 52 -




f ˊ x means that for any   0 there exists   0 such that
-


     


whenever  Δx    .
Differentiation
◈다항식 Polynomial 의 미분
다항식: f  x  a  a x 
0
1
a2x2 
…
 anxn 
…처럼 계수 a 갖는 x 항들의 합
n
n
상수 함수, f  x  c의 미분




      
lim 

→
  



lim 

→ 
  3  0


xn- 2h 
lim nxn- 1  

→ 
0
멱함수, f  x  xn의 미분




※  x  h
      
lim 

→
n
 xn
x
n




   c f  x 

    
 n xn- 1   xn- 2 h2 

  

  


  x4  4 x3,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nxh -
…  n xh -
  




n 1
n 2
 hn
 hn- 1


nxn- 1
x
n
 

 
 
      
c lim 

→ 

c f ˊ x

2t  2


  3 x4  12 x3,

- 53 -
Differentiation


 f  x


 f x  g x  


± g  x



   
   
± 




   x2  x3   2x  3x2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x  2x  1 
2
 

   
- 54 -
3
   
g x 



   

f x  
 2x  2x3  1  x2ㆍ6x2  10x4  2x
 f  x g-  x 
f ˊ  x g- 1  x  f  x g- 2  x gˊ  x





 ′         ′  

  
1

Differentiation
◈지수 함수 Exponential function 의 미분


ex
  ef(x)


ax ln a
  af(x)
  ex 
  ax 



f ˊ x ef(x)



f ˊ x af(x) ln a
◈Log 함수 Logarithmic function 의 미분




 ln 



  loga x 
  loga f x 


f x 

  ln  

◈삼각함수 Trigonometric function

  sin




  cosec 



cot 


f x 

  

미분


-cosec 



  ln f x 
  cos 
cos 



  ln x 




  sec 
-sin
  tan
sec  tan
  cot



sec2 



-cosec 
2
- 55 -
Differentiation
◈고차 도함수와 Taylor 전개
y  f  x 의 고차 도함수
f (n)  x

 




f  x


f  x

 
y  f  x 의 x  x0 근처에서의 Taylor 전개
f  x
Maclaurin 전개

:y
   
 f  x 의 x  0 근처에서의 전개
f  x
- 56 -
   


f  x0    x  x0  f ˊ x0    f ˊˊ x0    f ˊˊˊ x0  





f  0  x f ˊ 0   f ˊˊ 0   f ˊˊˊ 0 


Differentiation
미적분학
시간또는 위치에 따라 변하는 어떤 양들을 모았을 때, 어떻게 될 것인가에 관한 연구 분야.
~ 1727, England 은 1660년대 초반에 미적분을 고안하였으나 발표가 늦어짐.
Sir Isaac Newton 1642
물리학자 Newton에게 있어서 수학은 물리학을 위한 연구 수단
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
~1716, Germany 는 1673~ 1676에 미적분을 고안하여 발표
철학자 Leibniz에게 있어서 수학은 인간의 사유를 합리적으로 표현하는 도구
- 57 -
Differentiation
벡터의 미분
Differentiation of vectors
- 58 -
Differentiation
Vector 함수, 
  u

가 독립 변수 u의 함수

  u 의 성분도 u의 함수,

  u


 Ax  u  
 Ay  u  
 Az  u
  u 의 연속

  u 의 크기와 방향이 u의 변화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할 때,


  u 가 연속
○


○
Ax  u , Ay  u , Az  u 도 연속

lim  
 →  
  u 의 도함수

  u 의 변화량
Δu에 대한 

  u 의 도함수

  


:
: Δ  u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u  Δu  
  u

       
  







 Axˊ  u  
 Ayˊ  u  
 Azˊ  u

Vector 함수의 도함수의 성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x



  Ax  



Vector 함수의 성분의 도함수
- 59 -
Differentiation
Vector 함수의 도함수의 성질

  u 와 
  u 는 Vector 함수, m u 는 Scalar 함수, 
는 상수 Vector, k는 상수






  k
  u 



  
k


 

ㆍ 
  u
 
 



  u ㆍ 
  u
 

 

 
  u × 
  u


  A2  u
- 60 -


 
  u  ± 
  u 
0





  

ㆍ 



 

  m u 
  u 

 

 × 
  u
 

  
  u
ㆍ


  u ㆍ  u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   m u 




  

 × 


  

  u ㆍ 



  
× 
  u






  

  u × 



  
ㆍ
  u




  
2
  u ㆍ 



  

  u ㆍ 

Differentiation
문제





  u  5u2 
  u
  u3 
, 
  u  sinu 
  cosu 
 일 때,




 
  

  ㆍ
  u ㆍ 
  u
  u  
  u ㆍ 



 

 
  u × 
  u


  A2






 10u

  3u2 
  ㆍ sinu
  cosu
    5u2 
  u
  u3 
  ㆍ cosu
  sinu


 10u sinu  cosu   5u2 cosu  u sinu

 11u sinu   5u2  1 cosu


  
× 
  u







  
 co s 



 u3 sinu  3u2 cosu 
   u3 cosu  3u2 sinu 
   5u2 sinu  sinu  11cosu 



 
ㆍ



 





 
si n 


 ㆍ  



si n 

  

  u × 






ㆍ 



 
co s 




2
ㆍ 

2 5u2 
  u
  u3 
  ㆍ 10u

  3u2 


6u5  100u3  2u

- 61 -
Differentiation
문제


 을 증명하라. 
   × m 
,    × 
이다.











 × m 




문제
:r
속도: 


  co s       si n   
-  A sin  t 


 


v


   si n        co s   

  A cos  t 

- 62 -

    ×  m 
  × m     ×    
등속 원운동 하는 물체의 위치가   
 A cos  t  
 A sin  t로 주어질 때,
반경
 ㆍ 
 
× m 




 A sin  t


- A  sin  t cos  t 
2

   co s    si n   

A

 A cos  t


     si n    co s   
 -  A sin  t 
A2  sin  t cos  t

 A cos  t

0
⇒


 ⊥ 

A
Differentiation
문제
다음의 Vector 함수를 미분하라.



  a sinu 
  bu 

a cosu 



2u 
   3  5u 
  2u2 

⇒
⇒









- a sinu  

2
  5
  4u 


, 는 상수 Vector,   u  r 
 는 Vector 함수, r 
문제
  b

a cosu 
     라 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
Differentiation
Vector 함수의 n계 도함수
  u 의 1계, 2계, 3계,

…… 도함수의 표현


,


또는

  u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x u  
 Ay  u  
 Az  u 이면,
 


 

  u 의 n계 도함수
- 6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 각 성분의 n계 도함수의 Vector 합
Differentiation
문제

  u  E cos  u 
 

′  u 
⇒
문제
- E sin u  

″    
 
E sin  u 
 이면,
E cos  u 
,
- e-
u
2
cos  u 
  E 2 sin u 



  u  e- u cos 2u 
1 
′  u  

- E

″  u 
2이면,
e- u sin 2u 
1 
cos 2u  2e- u sin 2u 

- e-
u
2
sin 2u  2e- u cos 2u 

″  u   e- u cos 2u  2e- u sin 2u  2e- u sin 2u  4e- u cos 2u 
1

 
⇒
 e- u sin 2u  2e- u cos 2u  2e- u cos 2u  4e- u sin 2u 
2
- 3e-
u
1  
cos 2u  4e- u sin 2u 

″  2 
′  5 


- 3e-
u
2
sin 2u  4e- u cos 2u 
0
- 65 -
Integrals
적분
Integrals
- 66 -
Integrals
구분구적법 Mensuration of division
도형의 면적/부피을 구할 때, 주어진 도형을 직사각형/원기둥 등으로 나누고, 나뉜 도형의 면적/부피의
합의 극한값으로 면적/부피를 구하는 방법
곡선 f  x 가 구간  a, b 에서 연속이고 f  x ≥ 0일 때, 구간  a, b 를 n등분한 각각의 점을 a  x0,
……, x - , x
x1, x2,
n
S′ 
1
n
  
 b라 하고,   Δx라 하면,

f  x1  Δx  f  x2  Δx 
S″ 
f  x0  Δx  f  x1  Δx 
…
f  xn Δx 
…
f  xn- 1  Δx 


‘Riemann sum’
f  xk Δx
  
 

f  xk  Δx
  
y  f  x , x  a, x  b,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면적이 S라면,
lim S′ 
S 
→∞

기호

lim S″ ≡

→∞

f  x dx

f  x dx

‘f  x 를 x에 대해 a에서 b까지 적분한다.’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1646

 : ‘Integral’
∼ 1716, Germany가 제안
- 67 -
Integrals
함수 f  x 의 부정적분
함수 f  x 에 대하여 F′  x  f  x 를 만족하는 함수 F x
F′  x

⇒
f  x

F x
 f  x dx 
C
:피적분 함수Integrand, x:적분 변수Integral variable, C:적분 상수Integral constant
함수     의 부정적분은 유일하지 않다 ∵ 상수항 때문 .
f  x
C의 값은 초기 조건으로 구한다.
함수 f  x 의 정적분
함수 f  x

F′  x 가  a, b 에서 연속일 때, a에서 b까지 함수     의 정적분


f  x dx 

f  x


:피적분 함수, x:적분 변수,

x2 dx 




   C 

 



- 68 -
sin x dx 


- cos x 
:

a


F  x 





F  b  F  a
:하한/아래 끝Lower limit,




   C 

-  -1 
1
   C 

2

:상한/위 끝Upper limit
b



Integrals
벡터의 적분
Integrals of vectors
- 69 -
Integrals
Vector 함수, 
  u

  u 가 독립 변수 u의 함수

  u 의 성분도 u의 함수,

  u


 Ax  u  
 Ay  u  
 Az  u

  u 의 부정적분 Indefinite integral
  u du


  u 
 A  u du   A  u du   A  u du
 
 
  u 라면,  
  u du     
  u  du  
  u






x
y
z
 
 는 u와 무관한 상수 벡터

  u 의 정적분 Definite integral




  u du

- 70 -


 
  u  du
 



 

  u   




  b  
  a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