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김종욱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

advertisement
간호학 박사학위 청구논문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of Nursing Units
in General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Benchmarking Strategies
2018년 2월
인하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고국진
간호학 박사학위 청구논문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of Nursing Units
in General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Benchmarking Strategies
2018년 2월
지도교수 임지영
이 논문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인하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고국진
감사의 글
기쁨을 더불어 즐기고 나눌 수 있는 학문을 해야겠다는 결심으로 간호학
의 길에 발을 담갔습니다. 박사과정까지 오는 동안 아낌없는 응원과 격려
를 주셨던 분들에게 짧게나마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언제나 제 호기심을 채워주시고 중요한 순간마다 의미 있는 결정
을 할 수 있도록 조언과 지지를 주셨던 임지영 교수님께 존경과 감사를 드
립니다. 교수님께서 주신 가르침을 현장에 적용하면서 새롭게 변하는 모습
에 흥분하고 또 다른 무언가를 찾을 때마다 행복했습니다. 학자로서, 스승
으로서 교수님께서 보이신 모습을 본받아 저 또한 성실한 학자, 행복을 줄
수 있는 스승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리고 논문을 쓰는 동안 시작부
터 현재까지 큰 그림을 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신 김화순 교수님, 논문의
세심한 부분까지 하나하나 살펴주시고 아낌없는 조언을 주셨던 김혜숙 교
수님, 학문적 고민을 더욱 더 깊고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혜안을 제시해 주
셨던 김근면 교수님, 논문의 방향이 균형을 잃지 않도록 자상한 관심을 보
여주신 노원정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심사 기간 동안 교수님들
께서 주셨던 따뜻한 격려와 가르침을 통해 학문을 대함에 있어 좀 더 넓고
깊게 임할 것이며, 베풀어 주신 헌신과 열정을 항상 가슴에 새기며 더욱
더 학문에 정진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울러, 연구에 참여하여 논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간호단위
관리자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간호단위 물품관리에 대한 자
료 수집도 녹녹하지 않으셨을 텐데 깊은 애정으로 임해 주시고 깊이 있는
논문이 될 수 있도록 포커스그룹인터뷰에 주말도 마다않고 귀한 시간과 소
중한 의견을 할애해 주신 열정에 다시 한 번 가슴 깊이 감사드립니다. 선
생님들의 관심 어린 격려와 이해 속에 완성되었기에 제 논문 글짜마다 더
없는 고마움을 새깁니다. 논문을 준비하는 동안 힘이 되어 주신 모습을 잊
지 않고 임상과 학문을 잇는 제 역할에 있어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또한, 학부 때부터 박사과정까지 오는 동안 학문에 대한 열정을 헌신적
으로 지도해 주신 모든 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교수님들의 귀한 가르침
을 마음에 새기며 저 또한 본이 되도록 매순간 노력하겠습니다. 박사과정
- i -
동안 진솔함과 진지함으로 서로에게 힘이 되었던 간호관리학 교실의 선후
배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임상생활 동안 곁에서 힘이 되어 주고
행복을 주셨던 교수님들과, 선후배, 동료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너무 귀한
인연이 많아 일일이 성함을 적지 못하지만 논문을 들고 제 마음을 담아 감
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하느라 1년 넘게 고생해 주고 어떤 순간에
도 따뜻하게 감싸준 나의 친구 류재현, 모든 모임에서 내 공부를 우선으로
여겨주고 힘들다 느끼기도 전에 따뜻하게 배려해 준 강정민, 같이한 시간
만큼 세심하게 길을 알려준 최은화 선생님, 목소리만으로도 항상 내게 힘
을 주건만 늘 관심을 갖고 병원 섭외에 힘써주고 작은 아이디어라도 주려
고 노력해준 나의 친구들 장소영, 박명화, 권태연, 김민아, 이지영, 송다은,
최종은, 정경아, 이현주, 김성희, 차연성, 이서윤, 윤희수, 김세현에게 감사
의 마음을 전합니다. 고맙습니다.
이제 논문을 마치며 저에게 가장 큰 지지를 보내준 가족들에게 감사와 사
랑을 전합니다. 어떤 순간에도 딸이 공부하고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자랑으
로 여기시는 나의 어머니 안영화 여사님, 당신은 항상 제게 넘치는 사랑을
주셨고 이 자리에 설 수 있도록 가장 큰 가르침을 주신 분이십니다. 당신
이 계시기에 공부에 집중할 수 있어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당신의 사랑
을 평생 잊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학문의 길을 걷는 나의 결정에 버팀
목처럼 묵묵히 응원해 준 동생 고상국과 올케 차지숙, 유난히 웃는 게 예
뻐 힘들 때면 비타민이 되어준 귀여운 조카 고민지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늘나라에 계신 아버지, 곁에 계시지는 않지만 딸이
공부하는 것을 누구보다 자랑스러워하시면서 꿈을 이루는 모습을 응원해
주셨음을 믿습니다. 고맙습니다.
지금까지의 모든 것들이 많은 분들의 사랑과 격려 속에 이룬 길이기에
저의 삶 속에서 그 고마움을 표현함에 있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
제가 걷게 되는 학자의 길이 조금이나마 임상과 간호학을 잇는 소통의 장
이 되도록 성심을 다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18 년 1 월
고 국 진 올림
- ii -
목차
감사의 글 ------------------------------------------------ⅰ
목차 ----------------------------------------------------iii
표 목차 ----------------------------------------------------v
그림 목차 -------------------------------------------------vii
부록 목차 -------------------------------------------------viii
국문 초록 -------------------------------------------------ix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 정의 -----------------------------------------------3
4. 연구의 제한점 --------------------------------------------4
Ⅱ. 문헌고찰 ------------------------------------------------5
1. 물품관리 -----------------------------------------------5
2. 효율성---------------------------------------------------6
3. 벤치마킹-----------------------------------------------9
Ⅲ. 연구방법 ----------------------------------------------12
1. 연구기틀 -----------------------------------------------12
2. 연구절차 -----------------------------------------------13
1) 1단계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13
(1) 연구설계 ---------------------------------------13
(2) 연구대상 및 표본 추출 방법 -----------------------------13
(3) 연구도구 ---------------------------------------------13
(4) 자료수집방법 ----------------------------------------13
(5) 자료분석방법 -----------------------------------------14
2) 2단계 체계적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 --14
(1) 연구설계 ---------------------------------------------14
(2) 연구대상 및 표본 추출 방법 -----------------------------14
(3) 연구도구 ---------------------------------------------15
- iii -
(4) 자료수집방법 -----------------------------------------16
(5) 자료분석방법 ----------------------------------------16
3) 3 단계 벤치마킹 전략 개발 -------------------------------16
(1) 연구설계 --------------------------------------------16
(2) 연구대상 및 표본 추출 방법 -----------------------------16
(3) 연구도구----------------------------------------------16
(4) 자료수집방법-----------------------------------------16
(5) 자료분석방법 -----------------------------------------17
3. 윤리적 고려 ---------------------------------------------18
Ⅵ. 연구결과---------------------------------------19
1. 체계적 문헌고찰 ---------------------------------------19
1) 문헌 추출 과정 ------------------------------------19
2.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 ---------------------------24
1) 변수 요약 --------------------------------------------24
2) 효율성 분석 -------------------------------------------24
3) 준거집단 분석 ------------------------------------------26
4) 비효율성 분석------------------------------------------26
5) 영향요인 분석------------------------------------------29
3. 벤치마킹 전략 개발 -------------------------------------30
1)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인 특성 ---------------------30
2) FGI 분석 결과 : 준거집단 -------------------------------31
3) FGI 분석 결과 : 비준거 집단------------------------------35
4) 벤치마킹 전략 -------------------------------------38
Ⅴ. 논의 --------------------------------------------------42
Ⅵ.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4
부록 -----------------------------------------------------57
- iv -
표 목차
<표 1> 국외문헌 :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20
<표 2> 국내문헌 :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20
<표 3> 비논문 문헌 분석 -------------------------------------22
<표 4> 연구에 사용될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23
<표 5> 전체 간호단위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기술 통계----------24
<표 6> 전체 간호단위의 효율성 분석 결과 ----------------------25
<표 7> 전체 간호단위의 투입변수에 대한 비효율성 분석 결과-----27
<표 8> 전체 간호단위의 산출변수에 대한 비효율성 분석 결과-----28
<표 9> 전체 간호단위의 Tobit 회귀분석 -----------------29
<표 10> FGI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인 특성 --------------30
<표 11> 준거집단 :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31
<표 12> 준거집단 :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32
<표 13> 준거집단 : 효율적인 물품신청 -------------------------33
<표 14> 준거집단 :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선----------34
<표 15> 준거집단 :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35
<표 16> 비준거집단 :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36
<표 17> 비준거집단 :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36
<표 18> 비준거집단 : 효율적인 물품신청 ------------------------37
- v -
<표 19> 비준거집단 :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선 -------38
<표 20> 비준거집단 : 실제적인 해결방안 제시 -------------------38
<표 21>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위한 강점과 약점 ------------------39
- vi -
그림 목차
[그림 1] 본 연구의 기틀 -------------------------------------12
[그림 2]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 지침 --------------------------17
[그림 3] 체계적인 문헌 고찰 과정 ----------------------------19
[그림 4]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세부 벤치마킹 전략---------41
- vii -
부록 목차
부록 1. 물품관리 관련 설문지 --------------------------------57
부록 2. 물품관리 자료 조사지 --------------------------------58
부록 3. 포커스그룹인터뷰 설문지-------------------------------59
부록 4.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지 ------------------------------60
- viii -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하여 물품 관리 측면에서의 간호관리 효율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
였다. 연구는 총 3단계로 수행되었으며 1단계는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로 국외문헌 2편과 국내문헌 12편, 4개의 간호관
리학 교재 및 연구대상 병원 중 2곳의 물품관련 매뉴얼을 추출하여 물품에
대한 투입변수 및 산출변수, 영향요인을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500 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30개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선정된 변수와 영향요인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효율성 분석과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 자료포락분석으로 확인된 효율성 점수가 1인 간호단위 관리자 5
인과 효율성 점수가 낮은 순으로 구성된 간호단위 관리자 5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여 벤치마킹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계적 문헌고찰
간호단위 물품관리의 효율성에 관한 선행 연구는 물론, 구체적인 물품을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로 수행된 연구도 매우 미흡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
는 국내외 문헌과 비논문 문헌을 통해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직접적인 변수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고 간호단위에서 사용하는 수액세
트, 주사기, 알코올솜,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린넨류에 관한 투입변수 5개와
산출변수 5개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 및 간호단위의 특성에 대해 14개 영향요인을 추출하였다.
2)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
자료포락분석 결과 전체 30개의 간호단위 중 7개의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점수가 1점으로 비교 단위 내에서의 상대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나머지 23개의 간호단위는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성 점수가 1인 간호단위의 참조 횟수와 효율성이 낮
은 간호단위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간호단위와 가중치를 제시하여 비효율
적인 물품관리 항목에 대해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영향요
인에 대한 토빗회귀분석은 카이제곱 값이 37.27이고 p<.01 로 모형 적합성
을 보였고,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만 가지고도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을 적절
- ix -
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3) 벤치마킹 전략 개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의 물품관리에 관한 의
사결정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세
부 벤치마킹 전략을 수립하였다. 세부 벤치마킹 전략으로 간호단위 차원에
서 물품관리와 병원 경영, 간호단위 관리자에 대한 올바른 관계 인식제고
를 도출했고 효과적인 물품 재고량 확인과 효율적인 물품 신청 및 물품관
리 문제 해결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통합적인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간호부 차원의 전략과 전사적인 해결 방안 제시를 위한 병원 차원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병원 경영 효율성에 있어 물품관리 부분에 대해 간호단위를 중심
으로 이론과 실무 및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자료포락분석을 기반으로 구체적이고 명확한 벤치마킹 전략을 제
시함으로써 비효율적인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포커스그룹인터뷰을 통해 도출된 벤치마킹 전략은 물품관리 업무
개선에 관한 보충 자료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중심어 :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자료포락분석, 포커스그룹인터뷰,
벤치마킹
- x -
1. 연구의 필요성
I . 서론
정부의 의료 정책 변화와 주변 병원의 신설과 확장 등으로 병원의 경영
환경이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경쟁심화가 지속되고 있다(이수연, 임지
영, 2011). 이와 같은 의료 환경의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 병원이 꾸준히 성
장을 하기 위해서는 효율성 증대라는 핵심적인 경영혁신이 필요하다. 특히,
병원 경영 효율화 제고를 위한 노력 중 투입과 산출을 동시에 고려하는 효
율성 개념은 병원 경영프로세스 개선의 가장 중추적인 요소 중 하나로 병
원이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관리방안과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
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김기성, 2011).
병원 경영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인적, 물적 자원 및 기술의 체계적인 조
직화가 요구된다. 그 중 물적 자원에 속하는 물품은 병원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유형의 자산을 의미하며, 병원 경영의 4 대 요소인 인력, 물품,
자금, 정보 중의 하나이다. 병원의 총 자산 중 물적 자원이 차지하는 비중
이 40∼70%로 매우 높아 어떠한 병원이든 병원 경영 효율화를 위해서는
물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강윤숙 등, 2010).
병원 경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단위의 물품관리란
간호사가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물품
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활동으로 적절한 공급 및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원하는 간호성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박성애 등,
1998). 또한, 병원의 재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나아가 환자에게도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켜 고객 만족을 유도할 수 있다(강윤숙 등, 2010)
이와 같이 간호단위에서의 물품 공급과 순환을 위한 적정량의 신청과 물
품의 재고 관리가 병원의 간호성과와 비용 발생 및 고객만족에 직·간접적
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병원 경영을 위해서 간호단위 물품관리는 매
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 경영 효율화를 위해 간호단위 관
리자는 비효율적인 물품관리 부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나아가 경쟁 병원의 타 간호단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탄력적인 대처 방
안과 효과적인 물품관리를 위한 벤치마킹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 접근
과 대처가 필요하다.
- 1 -
병원과 관련된 물품관리의 선행 연구로는 전국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재
고물품의 관리 실태에 대한 효율적인 재고관리(차상준, 2002) 및 인적 특
성, 병원 규모, 최고경영진의 지원을 외생 변수로 물류 방식, 물류 품질을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 및 물류 성과를 내생변수로 한 병원 물류
시스템의 물류성과에 대한 영향을 물류 성과 예측 모형으로 검증한 연구
(조문숙, 2012)와 의료소모품의 재고자산관리에 대한 병동간호사의 업무인
지도와 만족도를 연구한 것(방영숙, 2000)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물품
관리에 대한 연구들은 재고 관리 담당 부서의 재고관리 측면이나 물류 성
과에 대한 병원 물류 시스템 연구 및 물품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만족도나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특히, 물품이 신청되고 사용 후 재고가 발
생하는 전체적인 관리 측면에서 병원의 주된 신청부서이자 사용 부서인 간
호단위의 물품관리 자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간호단위에서의 물품관리
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연구 또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간호단위의 물품관리를 대변할 수 있는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선정하는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변수 간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벤치마킹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는 매우 시급하고 중요
하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조직의 전체적인 성과를 다른 다수 조직의 성과와 비교하는 자료포
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은 간호단위의 효율성 평가에
매우 적절한 분석 기법 중 하나이다(이수연, 임지영, 2011). DEA는 비용효
과분석이나 회귀분석과는 달리 조직의 효율성 점수를 알려줌으로써 투입물
한 단위당 가장 많이 산출물을 생산하는 조직을 가려낼 수 있으며, 비효율
적인 것으로 규명된 조직에 대해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힐 수 있어 조직
효율성의 제고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장점
을 가지고 있다(성금단, 2011).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DEA로 도출된 효율성 점수 ‘1’을 만족한 간호단
위 관리자와 효율성 점수가 낮은 순으로 구성된 간호단위 관리자 간의 포
커스그룹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s)를 통해 실질적으로 간호단
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물품관리 벤치마킹 전략을 개발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FGI는 관련된 주제에 대해 동일한 흥미를 가진 집단으로 구
성하여 자유로운 토론과 그룹 상호 작용을 통해 참가자들의 깊은 생각이
나 의견을 이끌어 내어 관련 주제에 대해 집단의 의견을 취합하여 의사결
- 2 -
정방식을 도출해 낼 수 있다(Krueger, 1988; 신경림 등, 2004). FGI에서 도
출된 의사결정방식을 통합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위한 구체
적인 벤치마킹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단위의 물품관리에 대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적정 변수를 선정한 후 DEA로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고 결과에 기반
하여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증진을 위한 벤치마킹 전략을 제시함으로
써 물품 관리 측면에서의 간호관리 효율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 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벤
치마킹 전략을 개발하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다.
2) 체계적인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DEA를 활용한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
율성을 분석한다.
3) 효율성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준거집단과 FGI를 이용한 간호단위 물
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벤치마킹 전략을 개발한다.
3. 용어 정의
1) 물품관리
(1) 이론적 정의
간호단위에서의 물품관리는 간호사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물자를 지원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간호과정과 간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관리 활동 중 하나이다(박성애 등, 1998). 간호
사가 간호단위에서 직접 담당해야 하는 물품관리 품목에는 고정자산과 유
동자산인 소모품으로 구성된다(강윤숙 등, 2010).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물품관리는 간호단위 관리자가 유동자산의 소모품 중 환
자에게 수가가 발생하는 다빈도 사용 물품인 정맥주사용 주사바늘과 수가
가 발생하지 않지만 사용 시 비용이 발생하는 수액세트 및 주사기, 알코올
- 3 -
솜과 린넨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2) 효율성
(1) 이론적 정의
효율성은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을 의미한다. 효율성은 투입변수의
조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에 따른 산출의 양이 달라지고, 생산단위
의 역량과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된다. 어떠한 조직이 최소한의 자원
투입으로 주어진 동일한 산출목표를 달성했을 경우나 동일한 투입에 최대
의 산출목표를 달성한 것을 의미한다(박만희, 2008).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의 효율성은 DEA를 이용하여 병원의 간호단위 물품관리를 최소
한의 물품 투입으로 주어진 동일한 산출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나 동일한
물품 투입에 최대의 산출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3) 벤치마킹
(1) 이론적 정의
벤치마킹이란 어떤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상대를 표적으로 선정해서 자
기 조직과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들의 우수한 운
영프로세스를 배우면서 지속적인 자기 혁신을 추구하는 경영기법을 의미한
다(Camp, 1989).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벤치마킹은 DEA에서 확인된 준거집단을 대상으로 물품
관리 방법을 표적으로 삼아 차이를 비교하여 그들의 뛰어난 운영프로세스
를 배우면서 부단히 자기 혁신을 추구하는 경영기법을 의미한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결과는 일부 종합병원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을 평가한
것이므로 이를 실제 전체 종합병원 간호단위의 전반적인 물품관리 효율성
평가의 결과로 해석할 시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 4 -
1. 물품관리
Ⅱ. 문헌고찰
병원 내에서 물품이란 소비되고 있는 모든 유형의 자산을 의미하고, 회
계 상 재고자산인 약품, 진료재료, 의료소모품, 피복류, 일반소모품 등의 저
장품과 집기품, 기계설비, 의료기기 등의 유형고정자산으로 구분한다(박종
석, 2014). 병원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병원이 물품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리비용을 최소화하는 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중요한 쟁점
이라 할 수 있다(이상덕, 2002). 이러한 물품관리는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
관리 및 재고물품을 저장·불출하는 재고관리와 구매된 물품의 유지·보수·
반납을 총괄 관리하는 자산관리 등으로 나눌 수도 있고(차상준, 2002), 조
직의 목적달성을 위한 업무수행에 있어 소요되는 물품의 효율적인 활용과
원활한 지원을 위한 관리로 볼 수도 있다(이종익, 1983).
병원 간호단위에서의 물품관리는 간호사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사용
되는 물자를 지원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간호과정과
간호결과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박성애 등, 1998).
물품관리가 원활할 때 환자 간호에 있어 효율적인 영향은 물론, 시간과 에
너지 낭비를 줄이고, 물품의 남용도 줄일 수 있으므로 간호단위 관리자는
항상 충분한 물품을 좋은 상태로 확보해서 경제적으로 필요시 즉시 사용되
도록 관리해야 한다(변창자 등, 2002). 즉, 물품관리는 담당 부서의 노력만
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으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사용부서에서의
관리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단위 관리자는 진료재
료나 일반소모품 등을 일선에서 직접 사용하는 일반간호사들을 위해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물품관리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박성애 등, 1998).
물품관리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보면, 남신우(1990)는 병원 재고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홍권희(1999)는 전국 41 개 병원
을 대상으로 진료재료 구매 및 관리 형태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신해정
(2009)은 서울, 인천, 경기 소재 69개 중소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전산화 정
도, 물류 구매 및 재고관리 현황,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정도를 분석하여 효
- 5 -
율적인 재고관리를 시행하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편, 물품관리에 대해 병원시스템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 연구로 지영호
(2008)는 의약품제조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물류의 성과와 내적 자원에
대한 변수를 이용하여 자원준거와 물류성과간의 관련성과 가치성, 희소성,
비모방성, 조직화 요인인 물류성과요인으로 비용절감효과와 고객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박종석(2014)은 자동화된 원내 의약품 a
및 의약외품 재고의 최소화와 병원 대내외 시스템 간의 통합 및 병원물류
의 업무 프로세스를 재정립, 디지털화 등을 위한 통합물류시스템의 구축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 분야에선 병동간호사들의 중앙공급실 체험학습을 통해
주로 사용하는 멸균물품과 의료소모품 관리에 관한 간호사의 물품관리 지
식과 실천정도를 연구(박성연, 2005)한 것이 있으며, 의료소모품의 재고 자
산 관리에 대해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인지도와 만족도(방연숙, 2000)
등에 대한 연구가 있다. 또한, 스팀멸균물품 유효기관에 관한 연구(이송화,
2001)도 있다.
그러나, 물품관리에 대해 선행된 대부분의 연구는 구매나 재고관리에 치
중하고 있으며 주로 사용부서(간호단위)보다는 담당부서(물품관리부서)의
관리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병원시스템적인 접근은 효율적인 시
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병원 수준에서의 관리 기법을 검증하고 있고 간호
영역에서도 물품관리에 대한 간호사 만족도나 교육적 측면이 많고 물품관
리의 사용부서의 적정 신청과 재고 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물품의 신청부서이면서 사용부서인 간호단위에서의 물품관리에 대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변수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거나 효율적이고 체
계적인 관리방안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2. 효율성
효율성은 기본적으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와의 관계를 평가하는 개념으
로(임양택, 송충한, 1989), 기술적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 및 규모의
효율성(scale efficiency)과 배분적 효율성(allocative efficiency)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술적 효율성은 정해진 산출량을 최소의 물품을 투입하여 생
산하거나 정해진 물품을 투입하여 최대 산출량으로 생산하는 것이다(문춘
걸, 1998). 배분적 효율성은 투입 면에선 한정된 물품의 적합한 배합으로
- 6 -
보고 있으며 산출 면에선 발생 비용의 적절한 배합으로 생산하는 것을 의
미한다(문춘걸, 1998; 양봉민, 1999). 마지막으로 규모의 효율성은 생산조직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단위비용이 감소할 때를 의미한다(문춘걸, 1998).
병원 등을 포함한 서비스 기관에 산출 및 성과 평가에 적용하는 효율성
측정기법에는 비율분석(Ratio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DEA 등이 있다(유금록, 2004). 비율분석은 원인보다 결과 중심적인 평가로
결과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어 경영성과에 대한 투입과 산출
간의 효율적인 관계를 규명하기 어렵고(Sherman, 1984), 회귀분석은 평균
적 효율성을 측정하므로 비효율성의 원인을 규명하기에 부족하고 정확한
수치로 효율 개선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과 모형의 함수 형태에 따
라 측정치에 차이가 상당히 날 수 있다(김기성, 2011).
DEA는 Farrell (1957)이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DEA에서 효율성(efficiency)이란 생산조직이 사용한 투입변수의 사용량에
대한 생산량의 비율을 의미한다(Fare, 1994). 분석 단위가 되는 의사결정단
위(DMU: Decision Making Unit)들 중에서 준거집단을 지정하고 지정된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DMU들 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측
정하기 위한 선형계획기법으로 Charnes, Cooper, & Rhodes (1978)는 하나
의 산출물만을 측정하는 Farrell 의 모형을 보다 일반화하여 다수의 투입변
수와 다수의 산출변수를 사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이러한, 효율성의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조직을 평가하는데 성공의 지
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며 여러 가지 환경의 영향이 분리된 효율성을
측정함으로 그 차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최일문, 2006).
DEA는 한 해 동안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개선과정을 탐색하는데 있어
다수의 투입변수와 다수의 산출변수가 포함되며, 각각의 투입 및 산출변수
에 가중치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DEA는 단순비율분석의 모호성을
회피하면서 분석에 다수의 산출변수를 포함시킬 수 있고 효율성을 달성하
기 위해 투입의 감소, 산출의 증대 또는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선택하여
개선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이영범, 1997). Charnes, Cooper, & Rhodes
(1978)는 DMU의 효율성을 한 산출물이 투입변수의 일부를 증가시키나 다
른 산출변수의 일부를 감소시켜야 증가할 수 있는 경우와 한 투입물이 산
출변수의 일부를 감소시키거나 다른 투입변수의 일부를 증가시켜야 감소될
수 있는 경우에 달성된다고 하였다. 이때, 효율적인 DMU들은 효율성 점수
- 7 -
가 1이 되고 비효율적인 DMU들은 1보다 작은 효율성 점수를 가진다.
DEA에 의한 평가결과로 개별 DMU의 참조 집단이 제시되고 가중치를 통
해서 효율적인 집단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즉, DMU가 많을수록 분
석에 대한 결과가 불안정할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보고 있다(윤기찬, 2005).
그러나, DEA 모형을 활용한 효율성 평균값은 회귀모형에서 가정하고 있
는 정규분포와 다른 0과 1 사이의 제한된 범위의 값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
인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모형(OLS: ordinary least square) 적용 시에는
실제 변수의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DEA
사후분석으로 Tobin (1958)의 토빗회귀분석(Tobit regression)을 적용하여
분석을 보완해야 한다.
DEA 분석은 동일 집단 내에서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기법이므로
이는 집단 간의 효율성 비교에는 적절하지 않고, 일정한 조건하에 산출되
기 때문에 한 집단 내에서의 효율성이 다른 집단에서도 반드시 동일하다는
의미는 아니다(김금환, 2012). 또한, DEA는 기술적 관계를 나타나지 못하
므로 투입변수에 대한 구입 차이와 산출변수 간의 서비스 차이 등을 알 수
없고,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에 있어 비슷한 규모를 갖는 DMU를 비교하기
때문에 모든 집단을 대상으로 일률적인 평가를 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윤경준,2005). 따라서, 집단 내 기술적 관계의 차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DEA를 적용한 선행연구는 철도사업, 법정, 공공교육, 전력회사, 주차서비
스, 의료조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가족의 간호에 대한 효
율성을 분석한 Spaniol (2002)은 투입변수로 간호사의 home care 시간, 가
족기능, 의사 방문수, 육체적 건강, 돌봄이의 도움, 돌봄 기능, 우울정도를
산출변수로는 응급실 방문건수, 입원건수, 고영양 정맥주입에 소용된 비용
을 이용하였다. AI-Shammari (1999)는 의사수, 침상수, 건강 관련 직종 인
력수 등의 투입변수와 입원일수. major 수술, minor 수술 등의 산출변수를
가지고 병원 간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을 연구하였다. 조형석과 문상호
(2007)는 경영개선이 필요한 지방 하수도사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료서비스를 대상으로 김원진(2001)은 방문보건사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한 연구에서 투입변수로 사업운영비 등으로 선정하였으며 산출변수로
는 방문서비스 실정, 방문 가구수, 신규 방문대상 가구수 등을 선정하였다.
- 8 -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일 종합병원의 병동 간호단위의 간호효율성을 분석하
여 비효율적인 병동의 벤치마킹 전략을 분석하였는데. 투입변수로 간호사
수, 간호보조인력수, 병상수 및 재료비를 산출변수로 입원환자수와 병상가
동률을 사용하였다(이수연, 임지영, 2011).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주로 투입요소로 인력을 산출변수로는 입
원일수와 수술건수 등을 많이 사용하여 병원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측정해
왔고, 상대적으로 간호단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간호단위에서의 물품을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로 선정한 물품관리 대
한 DEA는 미미하며 동일 특성을 가진 병원 간 간호단위의 물품관리에 대
한 비교 분석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3. 벤치마킹(Benchmarking)
벤치마킹이 경영기법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2년 제록스(Xerox)사
에 의해 경쟁적 벤치마킹(competitive benchmarking)이란 용어를 사용한
무렵으로 보고 있다. 1970년대 말부터 일본제품 때문에 점유율이 급락한
제록스사는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본의 복사기 제조업체들을 조사하
였고, 경쟁관계에 있는 최우수기업을 벤치마킹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이 다시
향상되었다. 이러한 제록스사의 사례가 소개되면서 널리 확산되게 되었다.
Camp (1989)는 벤치마킹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고객의 욕구를 좀 더
정확하게 충족시키고 외부상황과 일관된 관점에 근거한 목표설정을 위해서
라고 했으며, 정확한 생산성 측정을 결정하고 경쟁적인 위치를 확보해서
업계 최고의 작업방식을 탐색하고 인식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즉, 벤치마
킹은 가장 뛰어난 성과조직 선정 및 벤치마킹 목표 설정과 최적 모형 구현
의 단계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따라서, 병원에서 유용한 벤치마킹 기법은 특정 병원의 종합적이고 전반
적인 성과를 다른 다수의 병원 성과와 비교하고, 각각의 병원 입장에서 구
체적인 관리개선 방안 및 벤치마킹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제시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DEA는 준거집단에 대한 분석 내용을 활용하여 다
수의 조직을 동시에 고려하는 유용한 벤치마킹 접근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
다(설현주, 2009).
벤치마킹 접근 방법으로 DEA는 DMU 중 효율적인 준거집단을 제시하
고 비효율적인 DMU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준거집단을 제시해 주며, 이
- 9 -
들 비효율적인 DMU에 미친 준거집단의 영향력 크기를
가중치 값으로 나타내준다. 즉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가중치 값이 1
에 가까울수록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가지고 벤치마킹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비효율적인 DMU의 평가에 활용된 효율적인 DMU들의 참조횟
수를 이용하여, 참조된 빈도수가 많은 효율적인 DMU를 벤치마킹하는 것
이다(윤경준, 1995; 김재희, 2003). 마지막으로, DEA가 변수 외의 기술적
관계를 나타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하여 DEA에서 선정된 효율적인 DMU
에 속한 의사결정자가 가지는 의사결정방식의 특성을 구체화해서 벤치마킹
에 활용하는 것이다.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정보를 얻어 특징적인 개념을 분류해내는
FGI는 특정 주제의 최종 의사결정을 도출하는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매
우 유용한 방법이다(Krueger,1988). FGI는 주제에 대한 이해를 원하는 연
구자에 의해 사용되며 표적 대상자(target audience)가 어떤 특정 주제를
어떤 식으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평가하는지를 그리고 그 주제에 관해 대
화할 때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 파악한다. 이후 연구자는 FGI에서 얻은 정
보에 근거하여 내용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 틀을 만들어 형식화된 틀을 구
성해 내는 것이다. 같은 사안에 있어 표적 대상자가 아닌 잠재적인 대상자
에게 형식화된 틀을 이용해서 의사결정에 있어 쉽고 효과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비영리적 주제에 대한 FGI의 이상적인 참여자
규모는 5∼8명이며 최대 10명 이상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Krueger &
Casey, 2000).
최초의 FGI 연구 중 하나로서 Merton (1956)은 미국 육군성을 위해 미
군병사들의 사기에 관해 연구하였는데 사람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장소에서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과 함께 할 때 민감한 정보를 털어놓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FGI는 저렴한 비용으로 유용한 결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벤치마케팅 조사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FGI는 참여자들이 자신을 합리화하는 경우나 참여자 자신이 경
험하지 못한 주제나 행동에 관하여 질문을 받는 경우 꾸며서 답을 하는 경
우가 있고, 집단의 규모가 너무 크고 주제가 복잡한 경우 미미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숙련된 진행자가 토론과정을 주도하지 못하는 경우
참여자 중 지배적인 사람의 의견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Krueger &
Casey, 2000). 따라서 FGI에 있어 연구의 목표, 적합한 방법인지 여부, 몇
- 10 -
개의 포커스그룹을 운영할지, 표적대상자로부터 의견수렴, 연구 승인, 연구
윤리에 대한 고려, 연구계획서의 작성과 필요 자원의 결정, 문제점 예상 등
에 있어 충분한 준비와 분명한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효과
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신경림 등, 2004).
FGI와 관련된 연구로는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과 정서조절을 위한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했던(김태화, 2015) 연구가 있으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전담 인력
인 교육복지 현황 사회복지 실천가 대상 슈퍼비전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
(엄경남, 2015)도 있다. 간호 영역에서의 연구로는 서울시 K대학병원의 신
규간호사, 경력간호사, 수간호사, 간호팀장을 4개 그룹으로 구성해서 간호
사의 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오미숙, 2012)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 간 간호단위 관리자에 대한 FGI를 통해 효율
적인 물품관리 벤치마킹 전략을 모색해 볼 수 있다.
- 11 -
1. 연구기틀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
기 위한 벤치마킹 전략을 개발하고자 한 것으로 1단계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하고, 2단계 체계적 문헌 고찰에 근거
하여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을 시행 한 후, 3단계 벤치마킹 전략을
개발하는 총 3 단계로 구성된 조사연구기반 전략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기틀은 다음과 같다(그림1).
1단계 :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
연구 방법 : DB 검색, 국·내외 문헌, 간호관리학 교재, 간호부 물품관리 매뉴얼 등
변수 선정 : 투입변수 (수액세트, 주사기, 알코올솜, 린넨류,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사용 개수)
산출변수 (투입변수의 실제 사용 비율)
영향 요인 선정 :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인 특성, 병원의 특성, 간호단위의 특성
ê
2단계 : 체계적인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
연구 대상 : 500 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30개 간호 단위
분석 방법 : DEA(효율성, 준거집단, 비효율성 분석) Tobit regression(영향요인 분석)
3단계 : 벤치마킹 전략 개발
ê
연구 대상 : 5명의 준거집단 내 간호단위 관리자와 5명의 비준거집단 내 간호단위 관리자
분석 방법 : FGI (강점강화 및 약점 회피 전략)
[그림 1] 본 연구의 기틀
- 12 -
2. 연구절차
1) 1단계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1) 연구설계
1단계는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표본추출방법
연구대상은 2006년 11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10년으로 하였으며 물품관
리 효율성을 분석한 문헌자료이다. 표본추출방법 중 문헌 자료는 국내
RISS, 국회도서관을, 국외 DB로는 Ovid-MEDLINE, EMBASE, Web of
science에서 ‘물품(commodity, product, goods, supply)’, ‘관리(management)’,
‘물류(distribution)’, ‘경영(management, administration)’, ‘유통(promotion,
circulation)'. ‘병원(hospital)', ‘간호단위(nursing unit)', ‘효율성(efficiency)', ‘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의사결정단위(decision
making unit, DMU)'를 검색어로 조합하여 검색된 문헌의 초록을 검토하였
다. 비논문 문헌은 연구대상 병원 중 2곳의 간호부 물품관리 매뉴얼과 간
호관리학 교재 등을 포함하였다.
(3) 연구도구
체계적 문헌고찰의 논문 추출을 위해서는 PICO (Patients, Intervention,
Comparator, Outcome)의 틀을 이용하였다. 대상(Patients)은 병원과 간호
단위이며, 중재(Intervention)는 물품, 결과(outcomes)는 효율성과 생산성이
다. PICO 중 비교군(Comparator)은 실험연구가 아니므로 제한하지 않았다.
(4) 자료수집방법
물품관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의 선택기준(inclusion criteria)은 간호
단위 또는 의료 조직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물품과 관련된 변수를 주요
변수에 포함한 연구, 효율성을 포함한 적절한 결과지표를 보고한 연구, 연
구결과에 명확한 통계량을 보고한 연구이다. 배제기준(exclusion criteria)은
간호단위 또는 의료 조직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연구, 물품과 관련된 변수
를 주요 변수에 포함하지 않은 연구, 한국어 또는 영어로 출판되지 않은
연구이다.
- 13 -
(5) 자료분석방법
자료분석방법은 문헌 선택기준에 따라 자료추출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연
구자와 매달 1회 이상의 물품관리 경험이 있고 10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가
진 간호사 1인이 총 2회의 독립 평가를 수행하였다. 1차 평가는 2017년 6
월까지 수행하였으며, DB로 추출된 전체 문헌을 대상으로 선택기준과 배
제기준에 따라 직접 초록과 원문 내용을 검토하여 문헌추출 목록에 포함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때 DB로 추출된 문헌 중 선택 여부를 초록의 내용
만으로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어 보완하거
나 전문가를 찾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 과정에서 20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에 포함하였다. 선택된 문헌의 분석은 연구자, 연구년도, 측정대상, 투입변
수, 산출변수로 항목을 분류하여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논문 문헌의
분석방법은 대상 병원의 간호부를 통해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매뉴얼과 간
호관리학 등 관련 교재를 목록화 한 후 제목, 년도, 물품관리항목, 물품관
리 지표, 영향요인 등 항목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 2단계 체계적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
(1) 연구설계
2단계는 DEA를 이용하여 종합병원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물품관리에 관
한 효율성을 분석하는 효율성 분석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표본추출방법
연구대상은 500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간호단위 중 환자의 중증도 차
이가 적고 특수 부서에서만 사용하는 비처방성 진료재료와 린넨류를 포함
하지 않는 일반 병동 간호단위를 선정하였다. 일반 병동 간호단위는 연구
에 선정된 투입과 산출변수에 대한 관리가 비교적 일관성을 가지고 수행되
어 DEA를 이용한 효율성 분석을 하기에 적합한 대상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특정 물품을 많이 사용하는 전문병원과 종합병원 내 산부인과 및
소아과의 특성을 가진 간호단위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DEA시 따라야 한다고 제시되어 있는 여러 학자의 기준
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Banker (1994)는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합의 3배 이상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Boussofiane (1991)은 투입변수와 산
- 14 -
출변수의 곱한 것보다 커야 한다고 하였으며, Golany, Roll, & Ryback
(1994)은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합이 전체 DMU 수의 50 %를 넘지 않아
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조건을 모두 충
족할 수 있도록 간호단위를 30개 선정하였다.
(3) 연구도구
1단계의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로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을 위해
선정된 변수로 파악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투입변수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는 간호단위에서 1년 동
안 신청된 비처방성 진료재료 중 수액세트의 신청 개수의 합, 주사기(10cc
syringe 및 5cc syringe와 3cc syringe를 합산)의 신청 개수의 합, 알코올
솜의 신청 개수의 합 , 린넨류(시트와 담요를 합산) 신청 개수의 합, 정맥
주사용 주사바늘(18gage angio needle 및 22gage angio needle과 24gage
angio needle을 합산) 신청 개수의 합으로 5개 변수로 선정하였다.
② 산출변수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을 위한 산출변수는 투입 변수가 간호단
위에서 1년 동안 실제 사용된 비율로 비처방성 진료재료 중 수액세트의 재
고 개수의 합, 주사기의 재고 개수의 합, 알코올솜의 재고 개수의 합수 ,
린넨류 재고 개수의 합,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재고 개수의 합을 조사 한
후 DEA 특성상 음의 값을 보정해야 함을 감안하여 간호단위의 총 신청량
에서 재고량을 뺀 실제 사용량의 비율로 전환하여 양의 값으로 5개의 변수
를 선정하였다.
③ 물품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을 위한 영향요인으로는 간호단위 관리자
의 일반적 특성인 결혼 유무, 종교, 학력, 현 직위, 임상 총 경력 및 간호단
위 관리자 경력과 병원의 특성인 지역, 병원의 소유 형태, 물품신청 주기,
물품공급 주기와 간호단위의 특성인 해당 간호단위의 한달 평균 환자수, 5
년 이상 경력간호사의 수, 1년 이상 경력간호사의 수, 1년 미만의 간호사
수로 총 14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 15 -
(4)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은 연구 대상 간호단위가 속한 간호부에 연구에 대한 필요
성을 설명하고 간호단위 관리자의 연구동의서를 받은 후 투입변수, 산출변
수에 대해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의 1년간 월별 자료를 수집하였
고 영향요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5) 자료분석방법
간호단위 물품관리 분석은 EMS (Efficiency Measurement System) 3.1
을 이용하였으며, 간호단위 물품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STATA에서 토빗회귀분석(Tobit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3단계 벤치마킹 전략 개발
(1) 연구설계
3단계는 2단계의 DEA 결과에서 확인된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 간의
FGI를 통해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벤치마킹 전략을 개발
하는 전략개발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표본추출방법
연구 대상은 DEA 결과에 따라 효율성 점수 ‘1’을 가진 준거집단에 속한
간호단위 관리자와 효율성 점수가 낮은 순으로 비준거집단에 속한 간호단
위 관리자가 각각 속한 두 집단이다. 표본추출방법은 준거집단의 수와 동
수로 각 집단에 간호단위 관리자를 5명씩 선정하였다.
(3) 연구도구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의 간호단위 관리자를 대상으로 FGI를 수행하였
으며, 이 때 기호화된 인명을 사용한 전사 자료와 녹음파일 및 토의 진행
중에 작성한 현장 기록 자료를 이용하였다.
(4)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이며, 본
연구자가 각각의 집단을 방문하여 연구 목적 및 방법 등을 설명한 후 동의
서를 작성하고. FGI를 진행하였다. 두 집단에 각각 총 2차의 FGI를 진행하
였다. 1차 FGI를 진행하면서 모호한 내용을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정리하여
- 16 -
인터뷰 질문을 수정 보완하여 2차 FGI를 진행하였으며, 본 과정은 FGI 연
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전공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진행은 연구자가 마련한 FGI 질문 지침(그림2)을 근거로 집단별로 실시
하였고, 인터뷰 시간은 평균 120분 이내로 구성하였다. 인터뷰 장소는 녹음
상황을 고려하여 소규모 회의실을 택하였으며. 인터뷰 전에 참여자 설문지
를 작성하였다. 인터뷰 간격은 동일 주제라는 점을 감안하여 7일 간격을
유지하였고, 인터뷰의 시작을 참여자에게 알리고 녹음과 동시에 인터뷰 내
용을 기록하였다.
시작 질문
소개 질문
간략하게 자기 소개
ê
그룹 토의에 참여하게 된 소감과 참여 후 이점
ê
전환 질문
핵심 질문
종결 질문
물품관리의 의미
물품관리와 병원 경영과의 관계
물품관리와 간호단위 관리자의 역할
효율적인 물품관리
ê
물품관리에 있어 어려운 점이나 영향을 미치는 점
ê
빠진 내용이나 이전 의견에 대한 첨부 내용
[그림 2]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 지침
(5)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내용에 대해 내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FGI에서
토의된 질문을 중심으로 중심의미를 정리하여 상위범주, 하위범주, 내용으
로 통합해 들어가는 내용분석(conventional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
다. 구체적인 분석방법 다음과 같았다.
- 17 -
① FGI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 즉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가 사용한 언어
적, 비언어적 상호 작용들을 포함한 모든 자료들을 전사하였으며 주제별로
분류하기 쉽게 확인된 정보를 각각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다.
② 연구자가 모든 면담 내용을 읽고 질문에 따라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
의 자료를 범주화하는 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질문과 주제에 따라 중심초점
을 토픽코딩(Topic coding)하였다. 인터뷰 내용에 대해 토픽코딩 시 주제
별 분류기준을 설정하고, 정확한 자료 분류 검토 및 발견된 관련 없는 정
보에 대해 신중하게 재검토 하면서 따로 표시하였다.
③ 내용 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차 인터뷰 내용을 간호학 박
사 과정 중이며 FGI를 경험했던 전공자에게 독립적으로 주제를 탐색하는
코딩을 실시하게 하여 분류 일치도를 보았다.
3.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 보호를 위해 2016년 10월 연구자가 속한 소속기관의
연구 윤리심의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의승인(승인번
호 16****-1A) 및 지속심의(승인번호 16****-1AR)를 받았으며, 연구 대상
자가 속한 해당 병원에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대상자에게 접근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으며 자
발적 참여와 연구 참여로 인한 피해, 비밀 보장을 동의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 외 사용과 대상자의 개인정보의 유출을 예방하
기 위해서 연구자가 직접 수거하여 즉시 코딩하여 전산에 입력하였고, 동
의서 및 설문지, 조사지, 면담지는 잠금 장치가 있는 보관함에 연구자가 직
접 3년간 보관 후 안전하게 분쇄하여 폐기할 것이다.
녹음을 하면서부터 신원이 파악될 수 있는 인명과 전사 시 파악된 인명
은 기호로 구분하였다. 익명성이 보장된 자료만을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으
며 음성파일과 신원을 알 수 있는 자료는 연구자가 연구 분석을 종료함과
동시에 폐기하였다.
- 18 -
1. 체계적 문헌고찰
Ⅲ. 연구결과
1) 문헌 추출 과정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효율성 분석에 필요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과정은 다음과 같다(그림3).
국외: 109,811 국내: 1,109
ü 국외 : Ovid-MEDLINE 6,798, EMBASE 23,197
Web of science 79,816
ü 국내 : RISS & 국회도서관 1,103, 간호관리학 교재 4
연구대상 병원 간호부 물품 매뉴얼 2
ê
ç 제거 : 중복 검색된 문헌 (n=75,765)
중복 검색이 제거된 문헌
국외 : 34,148 국내 : 1,007
(n=35,155)
ê
ç 제거 : 영어 또는 한국어로 출판되지 않은 연구 (n=5,108)
문헌 검색 전략에
의거하여 검색된 문헌
(n=110,920)
영어 또는 한국어로
출판된 문헌
(n=30,047)
국외 : 29,052 국내 : 995
ê
간호단위 또는 의료조직
을 대상으로 한 연구
(n=6,517)
ê
물품과 관련된 변수를
주요변수에 포함한 연구
(n=26)
ê
적절한 결과지표를
보고한 연구
(n=20)
제거 : 간호단위 또는 의료조직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연구
ç (n=23,530)
국외 : 6,309 국내 : 208
제거 : 물품과 관련된 변수를 주요변수에 포함하지 않은
ç 연구 (n=6,491)
국외 : 11 국내 : 15
ç 제거 : 적절한 결과지표를 보고하지 않은 연구 (n=6)
국외: 2 국내: 18
[그림 3] 체계적인 문헌 고찰 과정
- 19 -
(1) 국외문헌
국외 문헌은 총 2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대상은 병원이 많고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된 문헌의 경우 투입변수
로 병원운영비와 병원지출 총액을 사용하였고 재료비를 포함한 금액을 제
시하고 있다. 국외 문헌은 주로 의료조직을 대상으로 투입변수에 의사, 간
호사, 전공의와 같은 인력수와 병상수 등을 선정하고 산출변수로는 입원일
수, 수술건수, 외래환자방문건수, 퇴원환자수 등을 주로 선정한 논문이 많
은데 비해 물품과 관련된 변수를 주요변수에 포함한 연구는 극히 적은 것
으로 파악되었다.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1).
<표 1> 국외문헌 :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연구자
(연구년도)
Linna et al
(2006)
Gai, et. al
(2010)
연구
투입변수
대상
병원 병원운영비
(자본비용제외)
병상수, 고정자본
병원 의료직원수,
병원지출(재료비 포함)
산출변수
진찰 승인수
외래환자방문건수
요양 및 환자 입원일수
외래환자진료횟수
응급환자진료횟수
입원환자수, 병원세출
(2) 국내문헌
국내문헌은 총 12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대상은 병원과 지방의료원으로
의료조직측면에서 선정된 반면 간호단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수현, 임
지영(2011)이 수행한 1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투입변수 중 재료비의 총합
이나 재료비가 포함된 의료비용의 합을 연구 변수로 활용하였으나 재료비
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항목을 제시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투
입변수와 산출변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표2).
<표 2> 국내문헌 :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연구자
연구
투입변수
(연구년도) 대상
송명섭
병원 인건비, 관리비, 재료비
(2006)
유금록
지방 인건비, 관리비, 재료비
(2008)
의료원
- 20 -
산출변수
의료수입, 기타수입
입원환자수, 외래환자수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비율
연구자
(연구년도)
연구
대상
이지영(2008) 지방
의료원
유금록(2009) 지방
의료원
김용태(2009) 지방
의료원
박병상,
병원
이용균,
김윤신(2009)
양종현(2009) 병원
박병상(2010) 병원
김기성(2011) 병원
이수연,
일반
임지영(2011) 병동
심길호(2014) 병원
정용모,
하오현(2015) 병원
투입변수
병상, 전문인력(보건의료직)
기타인력(사무관리직)
의료비용(인건비, 관리비
재료비)
인건비, 관리비, 재료비
산출변수
입원환자, 외래환자
입원수입, 외래수입
매출액순이익률, 자기자본비율
의료보호환자비율
외래환자연인원, 입원환자연인
운영병상, 인력
원, 수입, 의료급여외래환자,
비용(재료비, 인건비, 관리비) 의료급여입원환자, 행여환자진
료율, 법정 전염성 환자수
의사수, 병상수, 의료기사수 외래환자수, 입원환자수
간호사수, 관리비, 재료비
수술 건수, 입원수익, 외래수익
인건비
의사수, 간호사수, 인건비
외래환자수, 입원환자수, 외래
일반직원수, 재료비, 관리비 수익, 입원수익, 기타의료수익
가상병동, 총직원수, 간호사 수술건수, 연입원환자수, 연외
전문의, 재료비, 관리비
래환자수, 입원수익, 외래수익
인건비
인력, 병상 수
평균재원일수, 병상가동률, 환
의료비용(인건비, 재료비,
자수, 환자만족도, 의료수익
관리비의 총합)
간호사수, 간호보조인력수 입원환자수
병상가동률
병상수, 재료비
의료비용(인건비, 관리비, 재 외래환자수, 입원환자수
료비) 의사수, 간호직수
의료수익(외래수익, 입원수익
병상수, 보건직수
기타수익)
인건비, 관리비, 재료비
의료수익
(3) 비논문 문헌
비논문 문헌을 위한 문헌고찰은 총 4개의 간호관리학 교재에서 물품관리
와 관련된 내용과 연구대상 병원 중 2곳의 물품관련 매뉴얼을 이용하여 조
사하였다. 비논문 자료의 분석방법은 제목, 출판년도, 물품관리항목, 물품관
리 지표, 영향요인 등 항목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다(표3).
- 21 -
<표 3> 비논문 문헌 분석
제목
년도
물품관리항목
약품, 진료재료
간호관리와 2010 의료 소모품
리더십
의료기기
사무 용품 등
영향요인
환자수
환자 중증도
간호사수
간호관리학 2010
침상수
환자수
간호사수
간호관리학
:학습성과 2014
기반
간호관리학 2015
K 병원
물품관리
매뉴얼
S 병원
물품관리
매뉴얼
2015
2016
물품관리 지표
물품의 기준량 설정
물품의 사용량과
재고량 관리
투입요소: 간호 인력
대상자 특성
약품, 진료재료
간접비용, 간호관리,
의료 소모품
시설 및 공급품, 정
의료기기
보체계
사무 용품 등
산출요소:재원일수
환자수, 간호시간
간호원가 등
주사기, 반창고
기준량 설정
IV set, 소독장갑 물품의
물품의
사용량과
린넨
재고량 관리
소모성 기구 등
직접비용 :
원가
재료비, 노무비 등 총
가변 비용: 인건비
간접비용:
정리정돈, 서비스 등
수액세트, 주사기 물품 신청률
알코올솜, 린넨류 등 물품 재고율
수액세트, 주사기
알코올솜, 린넨류 물품 신청률
정맥주사용 주사바 물품 재고율
늘등
침상수
환자수
간호사수
환자수
환자 중증도
간호사수
환자수
물품신청 주기
물품공급 주기
환자수
물품신청 주기
물품공급 주기
(4)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 선정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변수를 1차 선정한
후 연구자와 문헌 고찰을 같이 수행한 10년 이상의 임상경력을 가진 간호
사의 임상적 경험에 의한 추가 내용을 가지고 변수를 2차적으로 추가 및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관리학 교수 1인의 의견을 추가하여 최종 연
구에 사용될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변수 및 영향요인을 간호관리학 전공교수 2인과 연구 대상병원 중 10년 이
상 실제 간호단위에서 물품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간호단위 관리자 3인으로
- 22 -
구성된 전문가에게 타당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점
수는 1.0점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전문가 타당도
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을 (표4)의 내용
으로 선정되었다.
<표 4> 연구에 사용될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
변수
내용
Fluid set (단위:pack)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신청된 수액세트 개수의 합
Syringe (단위:box)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신청된 일반 주사기(10cc syringe 및
5cc syringe와 3cc syringe를 합산) 개수의 합
투입변수 Alcohol swab (단위:box)
(Input)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신청된 알코올솜 개수의 합
Linen (단위: piece)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신청된 린넨류(시트와 담요를 합산) 개수의 합
Angio needle (단위: piece)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신청된 정맥주사용 주사바늘(18gage angio needle
및 22gage angio needle과 24gage angio needle을 합산) 개수의 합
Ratio of fluid set (단위:%)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투입 변수의 합 중 사용된 수액세트 합의 비율
Ratio of syringe (단위:%)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투입 변수의 합 중 사용된 일반 주사기 합의 비율
of Alcohol swab (단위:%)
산출변수 Ratio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투입 변수의 합 중 사용된 알코올솜 합의 비율
(Output) Ratio of linen (단위:%)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투입 변수의 합 중 사용된 린넨류 합의 비율
Ratio of Angio needle (단위:%)
: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투입 변수의 합 중 사용된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합의 비율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 특성
: 결혼, 종교, 학력, 현 직위, 임상 총 경력, 간호단위 관리자 경력
병원의 특성
영향요인 : 지역, 병원의 소유 형태, 물품신청 주기, 물품공급 주기
간호단위의 특성
: 간호단위의 한달 평균 환자수, 5년 이상 경력간호사의 수
1년 이상 경력간호사의 수, 1년 미만의 간호사 수
- 23 -
2.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
1) 변수 요약
본 연구의 대상인 7개 종합병원 30개 간호단위의 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
계는 다음과 같다(표5). 투입변수인 수액 세트는 평균 59.6팩이 신청되었고,
주사기는 평균 3,085.7박스였다. 평균적으로 알코올솜은 3,340.3통을 신청하
고 있었으며 린넨류 23,256.1개를 신청하고 있었다. 정맥주사용 주사바늘은
28,644.7개를 신청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출변수인 수액세트의 평균 사용
량은 56.1팩이며 주사기 평균 사용량은 2,790.1박스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알코올솜은 3,005.7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린넨류는 21,539.3개를 사용량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26,276.1개를 사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표 5> 전체 간호단위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기술 통계
투
입
변
수
산
출
변
수
Variable
수액세트
주사기
알코올솜
린넨류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수액세트 사용 개수
주사기 사용 개수
알코올솜 사용 개수
린넨류 사용 개수
정맥주사용 주사바늘
사용 개수
Measure
pack
box
box
piece
piece
pack
box
box
piece
piece
Mean
SD
59.6
5.39
3,085.7 331.24
3,340.3 437.44
23,256.1 4,653.68
28,644.7 1,720.63
56.1
5.08
2,790.1 290.3
3,005.7 391.9
21,539.3 4,245.2
26,276.1 1,637.5
Min
50
2,550
2,590
16,437
25,570
48
2,262
2,323
15,292
23,153
Max
69
3,750
4,150
30,541
31,980
65
3,362
3,727
28,189
29,582
2) 효율성 분석
간호단위 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6).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30개 중 7개 간호단위(DMU 3, 5, 8, 13, 22, 26, 30)의 효
율성 점수가 1점으로 비교 단위 내에서의 상대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파
- 24 -
악되었고, 나머지 23개의 간호단위 상대적으로 간호단위 운영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전체 30개 간호단위의 평균 효율성
점수는 0.94점으로, 전반적인 물품 관리 효율성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전체 간호단위의 효율성 분석 결과
Efficiency
Benchmarks
DMU⁺
score
(Referent DMU (weight))
1
0.99
8 (0.24) 13 (0.57) 30 (0.22)
2
0.95
5 (0.02) 8 (0.72) 22 (0.13) 30 (0.13)
3
1.00
4
0.83
5 (0.04) 8 (0.44) 13 (0.51)
5
1.00
6
0.96
5 (0.16) 8 (0.25) 22 (0.45) 30 (0.15)
7
0.94
8 (0.27) 13 (0.57) 30 (0.18)
8
1.00
9
1.00
3 (0.03) 8 (0.96)
10
0.90
8 (0.64) 26 (0.36)
11
0.95
5 (0.34) 13 (0.68)
12
0.91
5 (0.47) 8 (0.07) 13 (0.25) 30 (0.24)
13
1.00
14
0.96
5 (0.76) 8 (0.25)
15
0.87
5 (0.04) 8 (0.16) 22 (0.30) 30 (0.52)
16
0.93
5 (0.16) 8 (0.79) 13 (0.06)
17
0.92
5 (0.08) 8 (0.23) 22 (0.69)
18
0.92
5 (0.43) 8 (0.54) 13 (0.05)
19
0.86
8 (1.00)
20
0.89
5 (0.11) 8 (0.42) 13 (0.45)
21
0.94
3 (0.11) 8 (0.84) 26 (0.06)
22
1.00
23
0.96
5 (0.24) 8 (0.40) 13 (0.37)
24
0.90
5 (0.05) 8 (0.96)
25
0.93
8 (0.87) 22 (0.04) 30 (0.09)
26
1.00
27
0.87
8 (0.61) 13 (0.38)
28
0.97
5 (0.02) 8 (0.36) 13 (0.64)
29
0.93
3 (0.12) 8 (0.15) 13 (0.74)
30
1.00
Average
0.94
DMU⁺ = Decision Making Unit, 의사결정단위(간호단위)
- 25 -
Number of
referent
3
14
22
12
5
2
7
3) 준거집단 분석
30개의 간호단위 중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규명된 7개
(DMU 3, 5, 8, 13, 22, 26, 30)의 간호단위는 각각 나머지 23개 간호단위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준거집단으로 파악되었다(표6). 준거집단이 참조된 횟
수는 총 65회로 간호단위3이 참조된 횟수는 3회, 간호단위5가 참조된 횟수
는 14회, 간호단위8이 참조된 횟수는 22회, 간호단위13이 참조된 횟수는 12
회, 간호단위22가 참조된 횟수는 5회, 간호단위26이 참조된 횟수는 2회, 간
호단위30이 참조된 횟수는 7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간호단위에 참조
되었던 준거집단 간호단위5의 경우 비효율적인 간호단위 14개의 가중치가
0.02에서 0.76으로 나타났고, 간호단위8은 총 22회 참조되었으며, 가중치는
0.24에서 0.96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단위9와 간호단위24에 대하여 0.9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간호단위3은 총 3회 참조되었지만 가중치는 0.03
에서 0.12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간호단위5는 간호단위28에 대하여 가
중치가 0.0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비효율성 분석
효율적으로 평가된 간호단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낮게 평가된
간호단위의 비효율성 정도를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투입변수 측면에서 분석
한 결과(표7)와 산출변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표8)를 제시하였다. 간호단
위 중 효율성 점수가 가장 낮았던 순으로 5개의 중 간호단위4의 경우 투입
변수의 측면에서 현재의 산출이 고정된다고 할 때 일년에 수액세트에서
5.08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코올솜의 경우 354.10통, 린넨류의 경우
7,844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단위19의 경우는 주사기
에서 308.62상자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코올솜의 경우 566.26통, 린넨류
의 경우 3,938.87장을 정맥주사용 주사바늘의 경우 283.13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호단위27의 경우 수액세트와 주사기를 제외하
고 알코올솜에서 6.17통, 린넨류에서 2,463,42장, 정맥주사용 주사바늘에서
91.72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호단위15의 경우 수액세트에서 4.19개를
알코올솜에서 5,470.25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
로 간호단위20의 경우 수액세트 4.32개와 알코올솜 8,073.66통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 점수가 가장 낮은 순으로 나타났던 5개
- 26 -
간호단위의 경우 알코올솜의 신청량이 너무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표 7> 전체 간호단위의 투입변수에 대한 비효율성 분석 결과
DMU
1
2
4
6
7
9
10
11
12
14
15
16
17
18
19
20
21
23
24
25
27
28
29
Fluid set
(pack)
-2.21
-0.96
-5.08
-0.20
-0.94
-2.92
-3.69
-2.50
-2.58
-2.37
-4.19
-4.43
-7.11
-4.73
0.00
-4.32
0.00
-0.46
-4.18
-0.94
0.00
-0.16
-3.77
Syringe Alcohol swab
(box)
(box)
0.00
-234.53
0.00
0.00
0.00
-354.1
0.00
0.00
0.00
-26.24
-645.51
-51.77
-180.21
-725.20
0.00
-949.60
0.00
0.00
0.00
-639.43
0.00
0.00
0.00
-655.16
0.00
0.00
0.00
-778.10
-308.62
-566.26
0.00
0.00
-635.44
-68.31
0.00
-503.29
0.00
-488.50
-706.94
0.00
0.00
-6.17
0.00
-274.26
0.00
-521.83
Linen
Angio needle
(piece)
(piece)
-4034.90
0.00
0.00
-208.50
-7,843.75
0.00
-8,710.18
0.00
-2,657.32
0.00
0.00
-897.30
-2,892.80
0.00
-2,734.19
0.00
-2,695.39
0.00
-1,885.44
0.00
-5,470.25
0.00
-4,410.65
0.00
-4,879.52
0.00
-5,419.51
0.00
-3,938.87
-283.13
-8,073.66
0.00
-0.02
0.00
0.00
-774.51
-4,834.15
0.00
-223.62
0.00
-2,463.42
-91.72
0.00
-205.03
-5,801.84
0.00
산출변수 측면에서는 현재의 투입량이 고정된다고 보고 비교했을 때 물
품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물품관리임을 고려하여 증가
분만큼 간호단위의 재고량 처리로 파악될 수 있다. 효율성이 가장 낮은 순
으로 파악했을 때 수액세트 재고량을 간호단위4의 경우 0.37%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호단위19와 간호단위27, 간호단위15는 각각 0.59%, 1.15%,
1.01%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기의 경우 간호단위4와 간
- 27 -
호단위19, 간호단위15는 감소시킬수 있는 것이 없으며 간호단위27은
0.68%, 간호단위20은 0.33%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알코
올솜의 경우 간호단위19와 간호단위27, 간호단위15, 간호단위20은 각각
2.60%, 1.65%, 3.00%, 0.67%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린넨
류의 경우 간호단위19가 2.69%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
호단위20의 경우 0.29%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맥주사용 주
사바늘의 경우 간호단위4와 간호단위19, 간호단위27, 간호단위15, 간호단위
20이 각각 0.08%, 3.59%, 1.71%, 0.24%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표 8> 전체 간호단위의 산출변수에 대한 비효율성 분석 결과
DMU
1
2
4
6
7
9
10
11
12
14
15
16
17
18
19
20
21
23
24
25
27
28
29
Fluid set
ratio(%)
2.86
0.39
0.37
1.38
2.32
0.00
0.00
2.60
3.14
1.26
1.01
2.09
0.00
0.00
0.59
0.00
3.20
1.26
0.56
0.00
1.15
1.02
1.04
Syringe Alcohol swab
ratio(%)
ratio(%)
0.00
0.00
0.00
2.62
0.00
0.00
1.49
0.70
0.00
0.00
0.00
2.98
0.00
0.19
0.00
0.54
0.00
0.99
0.12
3.38
0.00
3.00
0.00
3.97
2.75
0.79
1.29
3.45
0.00
2.60
0.33
0.67
0.00
4.18
0.00
0.00
0.48
2.67
0.00
0.71
0.68
1.65
0.00
1.65
0.00
0.61
- 28 -
Linen
Angio needle
ratio(%)
ratio(%)
2.44
1.25
0.00
1.71
0.90
0.08
0.00
0.00
1.87
0.55
0.71
3.32
1.08
1.50
3.01
1.80
3.49
0.00
1.11
0.00
0.89
0.00
2.46
0.00
1.36
0.97
0.29
0.00
2.69
3.59
0.29
0.24
3.13
4.61
1.62
0.06
2.12
0.00
0.48
1.32
0.00
1.71
3.54
0.00
3.47
0.00
5) 영향요인 분석
DEA를 활용한 각 간호단위의 효율성은 0과 1 사이의 제한된 범위의 평
가값을 갖기 때문에 회귀모형 적용 시 실제 변수의 영향이 과소평가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속변수의 제한된 범위에 사용
할 수 있는 중도절단 회귀분석모델인 토빗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효율성 값
에 미친 영향요인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변수는
간호단위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인 결혼 유무, 종교, 학력, 현 직위, 임상 총
경력 및 간호단위 관리자 경력과 병원의 특성인 지역, 병원의 소유형태, 물
품신청주기, 물품공급주기와 병동의 특성인 해당 간호단위의 한달 평균 환
자 수, 5년 이상 경력간호사의 수, 1년 이상 경력간호사의 수, 1년 미만의
간호사 수로 총 14개 요소이며 종속 변수는 간호단위의 효율성 값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는 카이제곱 값이 37.27이고 p<.01 로 모형이 적합한 것으
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9).
<표 9> 전체 간호단위의 Tobit 회귀분석
Efficiency
결혼
종교
학력
임상 총 경력
간호관리자 경력
병원이 속한 지역
병원 소유 형태
5년 이상 경력간호사 수
1년 이상 경력간호사 수
1년 미만 간호사 수
물품신청주기
한달 평균 환자수
_cons
/sigma
Coef.
-.0651092
-.0071312
.0178989
.0003679
-.0006017
.0154393
-.0152480
.0156601
-.0199600
-.0281444
.0327771
.0002748
.7794022
.0325186
- 29 -
SE
.0235581
.0066915
.0115067
.0002852
.0003440
.0173601
.0132119
.0182962
.0188083
.0185658
.0304281
.0001574
.3544036
.0050310
t
-2.76
-1.07
1.56
1.29
-1.75
0.89
-1.15
0.86
-1.06
-1.52
1.08
1.75
2.20
p>|t|
.013
.301
.137
.213
.097
.386
.264
.403
.303
.147
.296
.098
.041
.022
분석 결과 간호단위 관리자로서의 결혼유무에 있어 미혼보다 기혼일 때
-.0651092 (t= 2.76, p=.013)만큼 감소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만, 연구
대상자가 미혼 7명에 기혼 23명으로 동일하지 못하기에 해석에 있어 주의
가 필요하다. 그 외의 영향요인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고 분석되었
다. 이는 본 연구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만 가지고도 물품관리 효율성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가능한 벤치마킹 전략을 실행함에 있어 무리가
없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3. 벤치마킹 전략 개발
1)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인 특성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성별은 전원이 여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50.7세
이고, 결혼 유무는 미혼이 2명이었으며 기혼이 8명으로 파악되었다.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학력은 간호전문대학이 2명, 간호대학교 4명, 대학원 재
학 이상이 4명으로 파악되었다. 총 임상 경력은 198개월부터 366개월로 평
균 24년 정도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단위 관리자로
서의 경력은 평균 7년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표10).
<표 10> FGI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의 일반적인 특성
준거집단* (n=5)
변수
n(%)
m(SD)
성별 여자
5(100.0)
연령
52.4(1.67)
결혼 미혼
1(20.0)
기혼
4(80.0)
종교 기독교
2(40.0)
불교
3(60.0)
천주교
무교
학력 간호전문대학
간호대학교
1(20.0)
대학원재학 이상
4(80.0)
현직위 간호관리자 이상 5(100.0)
총 임상경력 (개월)
321.8(31.16)
간호관리자 경력 (개월)
84.0(17.78)
* 준거집단: DMU3, DMU5, DMU8, DMU22, DMU30
** 비준거집단: DMU4, DMU15, DMU19, DMU20, DMU27
- 30 -
비준거집단** (n=5)
n(%)
m(SD)
5(100.0)
49.0(1.58)
1(20.0)
4(80.0)
1(20.0)
2(20.0)
1(20.0)
1(20.0)
2(40.0)
3(60.0)
5(100.0)
256.2(44.00)
83.2(30.45)
2) FGI 분석 결과 : 준거집단
(1)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이라는 상위 범주에서 ‘병원 경영 측면’과 ‘간호단
위 관리자 측면’이라는 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 간호단위 관리
자는 간호단위에서 물품관리는 병원 경영에 있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있어 간호단위 관리자가 전반적인 관리는 물
론 병원 경영에 주도적으로 기여하고 있고 나아가 간호목표에 적합한 간호
수행을 돕는 제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었다(표11).
❝요즈음처럼 병원 경쟁이 심할수록 물품관리가 아주 중요하죠..(DMU30) 물건
하나에도 얼마나 신경을 쓰는지.. 병원경영과는 밀접 그 자체죠.. (DMU5)❞
❝우리는 전반적인 관리 역할을 하는 거죠.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중요하다는 것
을 아니까 스스로 조금이라도 아끼려고 얼마나 신경을 쓰는 데요..(DMU 22) 구
매만 싸다고 다 되는게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잘 쓰고 남기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봐요. 그러니까 우리가 제일 중요한 거죠.. (DMU8)❞
❝일하다 말고 물건이 없으면 여기저기 전화해서 빌리느라 주사를 못 줘서 동동
거리더라고요. 그래서 우리 간호사들이 간호를 잘 하도록 해 주는 게 제 역
할...(DMU3, DMU8)❞
<표 11> 준거집단 :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상위범주
하위범주
병원 경영 측면
내용
- 아주 중요한 관계
- 병원 경영과는 밀접 그 자체
- 전반적인 관리 역할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누가 시켜서가 아닌 스스로 행동
간호단위 관리자 측면 -- 간호사들이
간호를 잘 하도록 해 줌
- 제일 중요한 역할
(2) 물품관리 방식
간호단위에서 물품관리 방식은 2개의 상위범주와 이에 따른 4개의 하위
범주로 분석되었다. 상위 범주인‘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에서는 ‘적정 재
고량 측정’과 ‘물품비치장소 파악’의 2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효율적인
물품 신청’에서는 ‘고려하는 내용’과 ‘의사결정 방식’ 2개의 하위범주가 도
출되었다.
- 31 -
가)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는 간호단위에서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을 위해
물품 비치 장소에 남아 있는 수량을 직접 확인하거나 물품관리 장부의 내
용으로 추정하고 있었으며 처음 물품이 적재되는 장소와 Nursing cart 나
간호준비실의 서랍 등에 비치된 수량을 합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2).
재고량은 직접 카운터하고 있어요..(DUM5) 직접 세서 장부에 기록해 두어야
전체 사용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너무 바빠서 미처 카운터 못하면 장부 보고 신
청해도 거의 일치해요(DMU8)❞
❝물건을 타오면 정리해 두는 장소 말고도 간호사들이 일할 때 편하다고 서랍이
나 간호사 카트에 많이 넣어 두더라고요. 없으면 자기들이 힘드니까.. 없어 보여
많이 신청하면 어떤 때는 적재 장소에 물건이 쌓여 있더라구요. 그 후로는 적재장
소랑 널싱 카트, 서랍 등 다 세니까 물건이 들쑥날쑥 하지도 않고 ..서랍 안의 것
을 일일이 세지는 않고 한번 정확하게 카운터해서 서랍 안쪽에 눈금표시를 해두
고 눈금으로 수량을 파악해요. 시간도 줄고 편해요..(DMU30)❞
❝
<표 12> 준거집단 :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상위범주
하위범주
내용
- 직접 재고량 확인
- 물품관리 장부에 잘 기록해 두었다가 바쁠시 사용
효과적인
- 장소별 적재량을 표시해서 효과적으로 재고량 파악
물품재고량
물품을 처음 정리해 두는 장소
물품 비치 장소 -- 타온
파악
간호사가
사용하는 Nursing cart 안
파악
- 간호준비실의 서랍 안
재고량 확인
나) 효율적인 물품신청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는 간호단위에서 효율적인 물품신청을 위해 사전에
고려하는 내용으로 물품재고량, 병상 가동률 및 물류 적재 공간과 간호사
의 기술력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결정 방식은 효과적인 물품
재고량 파악을 통한 객관적인 지표와 더불어 일반간호사의 의견을 반영하
는 것으로 파악되었다(표13).
❝물품 신청할 때 가장 중요한 건 물품 재고량 파악이고..(DMU3, DMU8, DMU
22) 전체 입원 환자수에 따라 물품 사용량이 다르니까 병상가동률을 감안하
죠..(DMU8) 물품 신청 전에 반납분은 빨리 반납하고 신청량을 정해요(DMU8)❞
- 32 -
간호사들 특히 신규가 많거나 스킬이 부족한 간호사들이 많은 경우는 평소보다
쓰는 양이 많아서 신청 때 신경 쓰게 되요..(DMU30) 물건들이 공간을 너무 차지
하니까 물품 쌓아 둘 곳이 없을 때는 물류팀에서 응급 불출 받을 때 크게 힘들지
않은 소모품은 적게 신청하기도 해요..(DMU22)❞
❝물품 자체가 쓸데없는 시간을 줄여 주고 자신들의 업무에 중요하니까 재고량
위치도 잘 알고 정리하는 요량이나 동료 간호사들의 취약점도 잘 알아서 물어보
면 제가 미처 몰랐던 부분까지 알려줘서 참고하면 신청할 때 아주 좋아
요..(DMU30)❞
❝물품은 정규 신청 때 정확히 하려하고 되도록 추가신청은 안해요 (DMU3) ❞
❝
<표 13> 준거집단 : 효율적인 물품신청
상위범주
하위범주
효율적인 고려하는 내용
물품신청
의사결정 방식
내용
- 반납 후 확인된 물품재고량이 가장 중요
- 환자수와 병상가동률을 감안
- 간호스킬이 부족한 간호사들의 수
- 물품 적재 장소의 여유 공간
- 추가시청은 최소화
-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을 통한 객관적인 지표
- 일반간호사의 의견도 같이 참조하면 아주 좋음
(3) 현재 물품관리에 있어 문제점 해결
현재 물품관리에 있어 문제점 해결로 2개의 상위범주와 이에 따른 4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상위 범주인‘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
선’에서는 ‘정보의 다양화’과 ‘정보의 구체화’의 2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실제적인 해결방안 제시’에서는 ‘전산 차원’과 ‘간호부 차원’의 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가)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선
물품관리에 관한 다른 간호단위에 대한 정보를 물품관리 부서와 간호부
를 통해 제한된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다. 물품관리 부서를 통해 사용액에
대한 간호단위의 전체 순위를 파악하고 있었으며 물품관리를 잘한 부서의
사례를 간호부를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보의 다양화와 구체
화를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표14).
매달 물류팀에서 사용액을 공지하지만 적게 쓰는 순위라 나름 엄청 아껴 쓰고
있는데 몇등 만큼 뭘 줄이라는 건지 무조건 일등 만큼 다 줄이라는 건지 모르겠
❝
- 33 -
어요... 사용액 뿐만이 아니라 신청량, 재고량 등등 많이 알려주면 좋을 것 같아요
(DMU5, DMU22) 연말에 간호부서에서 잘한 부서의 사례 발표를 하기는 하는데
잘 아꼈다 정도지 그 부서에서 더 쓴 것을 우리는 덜 쓰는 경우도 있고 크게 와
닿지가 않고 활용하기에는 너무 부족하죠. 좀 구체적으로 다른 부서와 비교해서
어떻게 목표를 설정했는지 재고 관리는 어떻게 했는지 차이점을 제시해 주면 좋
겠어요..(DUM3)❞
<표 14> 준거집단 :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선
상위범주
하위범주
내용
- 사용량 뿐만 아니라 신청량과 재고량 등
다른 간호단위와의 정보의 다양화 다양한 항목을 제시
구체적인 비교 개선
정보의 구체화 -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제시
나)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물품관리의 실제적인 관리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주는 컴
퓨터 프로그램 도입과 적절한 포상 정책을 병원 차원에서 진술하였고 통일
된 물품관리 장부 마련과 물품관리의 문제점 파악과 개선 방안 지속적으로
모색 및 물품관리를 위한 여러 측면(간호업무 수행능력 향상 등)에서의 문
제 해결 제시를 간호부 차원에 대한 의견으로 진술하였다(표15).
❝깔끔하게 얼마큼 많이 신청했다 이만큼 줄여라하고 구체적으로 알려줬으면 좋
겠어요. 그리고 잘하고 있는지 점검도 쉬운 방식이 있으면 편할 것 같아요
..(DMU30, DMU8, DMU5)❞
❝잘 하면 연말에 포상도 주면 더 잘할텐데...DMU5) ❞
❝신규간호사의 경우 스킬이 부족해서 물건을 더 쓰게 되는데 이것을 신규교육
일정기간동안 정맥전담간호사 감독 하에 병동을 돌면서 많이 놓게 해서 병동으로
배정했으면 좋겠어요. 그럼 스킬이 부족해서 낭비되는 물품도 없을거고 환자 만족
도도 높아지고 오버타임도 안 생기고.. 간호부에서 물품관리를 위해 아끼라고만 하
지말고 여러 측면으로 고려해서 문제해결에 적극적이었으면 좋겠어요.. (DMU30,
DMU8, DMU3)❞
❝간호부 차원에서 물품관리 장부를 전산으로 통일했으면 좋겠어요.(DMU22) ❞
❝간호부에서 문제점을 알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나왔으면 좋겠어요..(DMU5) ❞
- 34 -
<표 15> 준거집단 :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상위범주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하위범주
내용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해 주는 컴퓨터 프로그램 도입
병원 차원 -- 적절한
포상 정책
- 통일된 형태의 물품관리 장부 마련
파악과 지속적인 개선방안 모색
간호부 차원 -- 문제적
물품관리를 위해 여러 측면(간호업무 수행능력 향상 등)
에서의 해결 방법을 제시
3) FGI 분석 결과 : 비준거집단
(1)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이라는 상위 범주에서 ‘병원 경영 측면’과 ‘간호단
위 관리자 측면’이라는 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 간호단위 관리
자는 간호단위에서 물품관리는 병원 경영에 있어 중요한 관계일 수도 있지
만 물품의 항목에 따라 밀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에 있어 간호단위 관리자가 전반적인 관리는 하고 있지만 물품자체의 구매
에 따른 영향이 크므로 병원 전체 물품관리 부서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표16).
❝병원에서 솔직히 그 많은 물품관리가 다 중요하다고 하는 건 무리죠. 물품 중
에서도 고가의 물품관리가 중요하지 소모품 같은 경우는 차이나 봤자 얼마나 나
겠어요.. (DMU4)❞
❝우리는 전반적인 관리를 하죠..(DMU 19) ❞
❝우리가 매일 하는 일인데 얼마나 차이가 나겠어요. 아무래도 살 때부터 생기는
구매 차이가 중요하고.. (DMU15)❞
❝물류팀에서 물품 없다고 하면 우리만 힘드니까 재고 챙기게 되고 ..(DMU27)
어쨌든 물품관리에 있어서 물류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죠(DMU27, DMU4)❞
❝물품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부서의 역할이 크지 일개 부서의 역할이 얼마나
크겠어요.. (DMU19, DMU15, DMU4)❞
- 35 -
<표 16> 비준거집단 :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상위범주
하위범주
병원 경영 측면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간호단위 관리자
측면
내용
- 고가의 물품에 있어서 중요
- 소모품의 경우 미미한 관계
- 전반적인 관리 역할
- 일상업무로 간호단위 관리자별 동질한 역할
- 구매와 전체 관리하는 물류팀의 역할이 더 중요
(2) 물품관리 방식
간호단위에서 물품관리 방식은 2개의 상위범주와 이에 따른 4개의 하위
범주로 분석되었다. 상위 범주인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에서는 ‘적정
재고량 측정’과 ‘물품비치장소 파악’의 2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효율적
인 물품 신청’에서는 ‘고려하는 내용’과 ‘의사결정 방식’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가)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참여 간호단위 관리자는 간호단위에서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을 위해
물품이 남아 있는 수량을 직접 확인하거나 또는 육안을 통한 대략적인 파
악과 경험적 정보로 추정하고 있었으며 직접 수량 파악하는 비치 장소를
처음 물품이 적재되는 장소의 수량을 합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7).
❝재고량은 직접 카운터하고 있어요..(DUM4) 이 정도의 소모품은 매일 쓰는 거
고 육안으로 파악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아요..(DMU15) 자주 쓰고 어느 정도는
경험으로 평균량을 아니까 경험에 비추어 신청해도 별 무리 없어요..(DMU20)❞
❝물건을 타오면 적재해 두는 곳이 있어서 그 곳을 세면 돼요..(DMU27) 간호준
비실의 서랍이나 다른 곳에 있어도 얼마 안되서... 바쁜데 거기까지 세는 건 의미
없다고 봐요..(DMU15)❞
<표 17> 비준거집단 :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상위범주
하위범주
효과적인 재고량 확인
물품재고량
파악
물품 비치 장소 파악
내용
- 직접 재고량 확인
- 소모품은 육안으로 파악해도 큰 무리 없음
- 경험적 정보를 이용
- 타온 물품을 처음 정리해 두는 장소
- 36 -
나) 효율적인 물품신청
간호단위에서 효율적인 물품신청을 위해 사전에 고려하는 내용으로 물품
재고량 및 간호사의 기술력과 경험적 정보에 의해 평소 사용되는 물품 사
용량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결정은 본인 단독의 의사에 따라
결정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8).
❝물품 신청할 때 신경 쓰는 건 물품 재고량이고..(DMU15, DMU19, DMU20)
우린 신규 간호사가 많아 경우는 평소보다 쓰는 양이 많아서 신청 때 더 많이 해
요..(DMU 27) 남아도 계속 쓰는 물건이고 평소에 쓰는 양이 있으니까 경험상 모
자란 것 같으면 불안해서 더 신청하게 되요..(DMU4)❞
❝물품관리는 제 일이니까 제가 알아서..(DMU19) 간호사들은 일도 많은데 이런
것까지 신경 쓰는 거 싫어하고 없으면 알아서 조금씩 빌려 쓰더라고요..(DMU
27)❞
<표 18> 비준거집단 : 효율적인 물품신청
상위범주
효율적인
물품신청
하위범주
고려하는 내용
의사결정 방식
내용
- 물품재고량이 중요
- 신규간호사의 수
- 경험상 평균 신청량 인지를 고려
- 본인의 일이니까 본인이 알아서 결정
- 없으면 빌려서 사용할 수 있음
(3) 현재 물품관리에 있어 문제점 해결
현재 물품관리에 있어 문제점 해결로 2개의 상위범주와 이에 따른 4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상위 범주인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
선’에서는 ‘정보의 다양화’와 ‘정보의 구체화’의 2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실제적인 해결방안 개선’에서는 ‘병원 차원’과 ‘간호부 차원’의 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가)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선
물품관리에 관한 다른 간호단위에 대한 정보를 물품관리 부서와 간호부
를 통해 제한된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다. 물품관리 부서를 통해 사용액에
대한 간호단위의 전체 순위를 파악하는 것 외에 별도의 정보공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9).
- 37 -
매달 물류팀에서 사용액을 공지하지만 적게 쓰는 순위라 별 도움이 안돼
요..(DMU4) 물류팀 외에 따로 정보를 공유하지는 않는데 간호부에서도 다양한
방식을 공유되었으면 좋겠어요..(DUM15, DMU19, DMU27)❞
❝비교 대상을 명확히 해서 차이를 알려 줬으면 좋겠어요.. (DMU4) ❞
❝
<표 19> 비준거집단 : 다른 간호단위와의 구체적인 비교 개선
상위범주
하위범주
다른 간호단위와의 정보의 다양화
구체적인 비교 개선 정보의 구체화
내용
- 물류팀 정보의 다양화
- 간호부 차원에서의 정보 공유 필요
- 비교 대상의 명확한 차이 제시
나)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물품관리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관리방안을 지표로 보여 주는 방
식 도입을 병원 차원에서 진술하였고 일반간호사의 물품관리에 대한 인식
이 부족하다고 인식 제고를 간호부 차원에 대한 의견을 진술하였다(표20).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라는 것을 지표로 보여 주는 방식이 있으면 실제
적인 관리방안을 세우기에 좋을 것 같아요..(DMU4, DMU19, DMU27)❞
❝간호사들의 소모품을 아껴 써야지 하는 인식이 부족해요. 주 사용자가
간호사인데 그들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실제적인 해결방안이 나오죠.. 물품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일반간호사가 직접 해 보게 하면 나아질 것
같아요(DMU20)❞
❝
<표 20> 비준거집단 :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상위범주
하위범주
병원 차원
실제적인
관리방안 제시 간호부 차원
내용
- 관리방안을 지표로 보여 주는 방식 도입
- 간호사들의 인식 개선
- 간호사의 물품관리 전체 업무 경험
4) 벤치마킹 전략
(1)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위한 강점과 약점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의 FGI를 통해 얻은 강점으로는 물품관리를 병원
경영 측면에서 밀접한 관계로 인식하고 간호단위 관리자 측면에서는 전반
- 38 -
이고 능동적이며 간호사의 간호행위를 잘 수행하도록 돕는 제일 중요한 역
할로 인식하는데 있었다. 또한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은 재고량을 직접
파악하고 물품관리 장부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품 비치 장소에
대해서도 Nursing cart와 간호준비실의 서랍을 포함한 실질적인 장소를 포
함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물품신청에 대한 강점으
로는 물품재고량은 물론 병상가동률, 간호기술이 부족한 간호사의 수와 물
품 보관 공간 등 다각적으로 고려해서 객관적인 지표와 일반간호사의 의견
을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21).
<표 21>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위한 강점과 약점
상위범주
하위범주
병원 경영
측면
물품관리에 간호단위
대한 인식 관리자
측면
재고량
확인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
물품 비치
장소 파악
고려하는
내용
효율적인
물품신청
의사결정
방식
강점
- 아주 중요한 관계
- 밀접한 관계 그 자체
- 전반적인 관리 역할
- 능동적인 역할
- 간호사들의 간호행위가
잘 수행되도록 돕는 것
- 제일 중요한 역할
- 직접 재고량 확인
- 물품관리 장부의 정확
한 기록과 관리
- 타온 물품을 처음 정리
해 두는 장소
- 간호사가 사용하는
Nursing cart 안
- 간호준비실의 서랍 안
- 물품재고량이 가장 중요
- 환자수와 병상가동률
- 간호기술이 부족한
간호사의 수
- 물품 적재 장소 여유 공간
- 효과적인 물품재고량
파악을 통한 객관적인
지표 사용
- 일반간호사의 의견도
같이 참조
- 39 -
약점
- 고가의 물품만 중요
- 소모품은 미미한 관계
- 일상업무로 간호단위 관리
자별 동일한 역할
- 구매와 전체 관리하는
물류팀 역할 보다 덜 중요
- 소모품은 육안으로 파악해
도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
- 경험적 정보를 이용
- 타온 물품을 처음 정리
해 두는 장소만 파악
- 신규간호사의 수
- 경험상 평균 신청량
인지를 고려
- 간호단위 관리자 단독으로
알아서 결정
- 없으면 빌려서 사용한다는
생각의 전제
반면, 병원 경영에 있어 고가의 물품 관리만 중요하고 소모품은 미미한
관계를 가진다고 인식하는 것은 약점이 될 수 있으며 물품관리에 있어 간
호단위 관리자 간에 별 차이가 없는 역할로 물품관리 부서보다 덜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는 것은 약점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물품관리 재고량을 대
략 육안으로 확인한다거나 객관적인 지표 없이 경험적인 정보를 주로 활
용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비치 장소를 협소하게 파악하거나 신규간
호사의 수와 경험상 평균 신청량인 지를 파악하는 것은 약점이 될 수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물품신청에 대한 의사결정 방식에 있어 간
호단위 관리자 단독의 의사결정방식이나 없으면 빌려서 사용하면 된다는
전제를 둔 결정은 약점으로 나타났다. FGI를 통해 얻은 내용으로 물품관
리에 있어 강점과 약점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표 22).
(2)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세부 벤치마킹 전략
FGI를 통해 준거집단과 비준거집단의 물품관리에 관한 의사결정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세부 벤치마킹 전
략을 수립하였다. 세부 벤치마킹 전략은 간호단위 차원, 간호부 차원, 병원
차원으로 분류하였으며 진술된 의견을 토대로 강점 강화 및 약점 회피 전
략으로 통합하였다.
간호단위 차원에서는 물품관리와 병원 경영, 간호단위 관리자에 대한 올
바른 관계 인식제고를 도출했고 효과적인 물품 재고량 확인과 효율적인 물
품 신청 및 물품관리 문제 해결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통합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간호부 차원의 전략과 전사적인 해결 방안 제시를 위한
병원 차원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전략은 간호단위와 간호부, 병원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그림4).
- 40 -
간호단위 차원
관계
인식
제고
효과적인
물품
재고량
확인
효율적인
물품 신청
문제 해결
① 병원 경영 측면
→ 강화 : 모든 물품 관리가 병원 경영과 밀접하다고 인식
→ 회피 : 고가 물품이나 특정 물품만이 병원의 비용을 발생시킨다는 생각
② 간호단위 관리자 측면
→ 강화 : 간호목표 달성을 위한 간호업무 수행에 필수요건이라는 인식
주도적이며 중추적인 역할 수행자라는 인식
→ 회피 : 일상 업무로 간호단위 관리자 간에 동일 성과를 창출할 거라는 생각
① 물품 보관 장소
→ 강화 : 물품 보관 장소(서랍, Nursing cart 등)에 대한 다각적인 고려
→ 회피 : 물품 최초 적재 장소에서만의 물품 보관 장소 파악
② 재고량 확인
→ 강화 : 누락되는 곳이 최소화 되도록 전체적인 재고량 직접 확인
보관 장소별 정확한 적재량을 표시하여 최소의 시간으로 정확한 확인
형식화된 물품관리 장부를 활용하여 변화를 파악하려는 노력
재고량에 대한 즉시 반납으로 병원 차원의 활용도 최대화
→ 회피 : 육안으로 대락적인 확인을 하거나 경험적 정보에 의존하는 것
① 물품 신청
→ 강화 : 반납 후 재고량을 정확이 파악한 후 신청량 선정
추가 신청은 최소화하되, 적절한 응급 신청을 활용하여 적재 공간 관리
물품관리 장부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관리 방안 모색
→ 회피 : 경험적 정보에 의존
많아도 계속 쓸 거라는 생각과 부족하면 빌리면 된다는 생각
① 물품관리 관련 문제 해결
→ 강화 : 간호사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모색
물품관리 전반에 대한 간호사 교육
다각적인 해결 방안(간호기술 향상 등)에 접근하려는 노력
→ 회피 : 간호단위 관리자 단독의 의사결정
ê
간호부 차원
통합적인
해결방안
모색
① 통합적인 해결 방안
→ 강화 : 전산화된 동일 형태의 물품관리 장부를 통해 정보를 객관화
적정 물품을 사용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간호기술 능력 향상 모색
주기적으로 구체적인 물품관리 정보와 명확한 관리 방안 공유
→ 회피 : 물품관리가 잘된 부서의 의례적인 사례 발표
ê
병원 차원
해결 방안
전사적인 ①→전사적인
강화
:
구체적인
정보 제공과 다양한 벤치마킹 전략을 제시
해결방안
적절한
포상
정책
제시
→ 회피 : 관리 방안이 명확하지 않은 불분명한 정보 제공
[그림 4] 물품관리 효율성 개선을 위한 세부 벤치마킹 전략
- 41 -
IV. 논의
변화하는 의료 환경으로 인해 경영적인 압박이 증가하게 되어 병원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 병원의 경영혁신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효
율적으로 병원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중요한 쟁점이 될 수 있다(이상덕, 2002).
병원 내에서 병동 간호단위는 물품의 공간 점유 비율이 높고, 가장 많이
소비되는 부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단위에서 물품의 신청량과 재고
량은 병원 경영의 부담을 갖게 하기도 하지만 효율적인 물품관리는 병원
경쟁 전략에 있어 우위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 병원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 개발을 위해 1단계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찰, 2단계 체계적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 3단계
벤치마킹 전략 개발을 거처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우선, 국내외 문헌 및 비논문 문헌의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하여 간호
단위 물품관리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문헌고찰 과정은 연구자 외 10년 이상의 임
상 경력을 가진 간호사 1인이 참여하여 문헌 추출 및 선택과정에 있어 객
관성을 확보하였고, 3차례에 걸친 검토과정과 5인의 전문가 집단 타당도를
조사하여 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간호단위 물품관리
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는 간호단위에서 1년 동안 신청한 수액세
트, 주사기, 알코올솜, 린넨류, 정맥주사용 주사바늘의 신청개수의 합으로
산출변수는 투입변수 각각의 사용비율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는 비문헌 논문 중 병동 매뉴얼에서도 간호
단위 관리자의 주요 물품관리 항목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임상 현장과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고, 효율병원에 기여하는 투입변수는 가동병상,
관리비, 재료비(약품비, 급식재료비, 진료재료비 포함), 인건비 순으로 비효
율병원은 재료비, 관리비, 가동병상, 인건비 순으로 기여한다는 박병상
(2010)의 연구를 통해 재료비가 병원의 효율과 비효율을 결정짓는 중요 변
수이자 비효율 병원의 효율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변수 중 우선순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료비 관련 변수들의 중요성을 지지받았다고 할 수 있
- 42 -
다. 또한, 김선애(2007)는 102개 공공도서관의 운영 성과에 관한 효율성 분
석에서 투입변수로 장서수, 직원수, 자료구입비, 면적을 McNeese-Smith
(1996)의 간호업무생산성 연구에서는 15개의 간호활동 영역에 공급품과 린
넨의 비용 절감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선정된 변수들이 병
원의 비용발생에 있어 직접적 지출을 요구하는 구입비와 간호업무생산성이
라는 기술적 관계를 내포한 변수로 병원의 효율적인 경영을 분석함에 있어
적합한 변수임을 지지받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병
원 환경을 고려하여 영향변수를 선정하였다. 영향변수는 비문헌 논문의 간
호관리학 교재를 분석하여 선정함으로 근거 중심의 변수를 사용함에 있어
지지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물품관리의 효율성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 재료비는 단독변수로
사용되기 보다는 통합된 비용의 일부로 사용하는 경우(이지영, 2008; 김기
성, 2011, 김용태, 2009; 심길호, 2014)와 연구 대상을 병원 전체로 선정하
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효율성 분석 후 전략 제시에 있어 병원 전체의 재
료비에 대한 거시적인 제안은 가능하나 간호단위와 같은 실제 사용부서
각각의 미시적인 제안을 하지 못함으로 직접적이고 실용적인 제안을 함에
있어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재료비에 대한 물품의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접근을
시도함으로 임상 현장 적용에 있어 한계점을 보완하고 직접적이고 실용적
인 제안을 할 수 있는 변수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
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수에 따른 간호단위 수의 변화를 초래하는
DEA 분석의 특성상 간호단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물품의 종류에 비해
연구 변수가 한정적이었으며 영향요인 중 기술적 관계에 있어 서비스의
만족은 자료의 접근이 어렵고 환자의 중증도 적용은 동일한 지표를 적용
해서 측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중요 변수임에도 포함할 수 없었다. 이
는 추후 연구에 있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사료된다.
둘째, 체계적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국내 500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내 30개 간호단위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을 시
행하였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7개(DMU 3, 5, 8, 13,
22, 26, 30)의 간호단위가 각각 나머지 23개 간호단위의 효율성 개선을 위
한 준거집단으로 사용된 참조 횟수를 알 수 있었고, 비효율적으로 운영되
고 있는 23개 간호단위가 개별적으로 벤치마킹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
- 43 -
단위 간의 가중치를 제시하였고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에 대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비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Charnes, Cooper, & Rhodes (1978)가 보완한 DEA의 효율성 점수는 상
응하는 의사결정단위를 비교하고자 할 때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간의 상대
적 효율성 중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평가된 의사결정단위를 1이라는 기준으
로 표시하고 나머지 다른 의사결정단위의 효율성 정도를 점수화하여 제시
함으로써 일목요연하게 의사결정단위 간의 성과 정도를 제시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Sherman (1984)은 7개 병원을 대상으로 DEA를 적용시켜 효
율성을 평가한 결과로 DEA의 유용성을 입증하였고, Grosskop, &
Valdmanis (1993)는 22개 공립병원과 60개 사립병원을 대상으로 병원의
소유권 형태가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확인에 DEA를 이용하였다. 최근에
는 신종각(2007), 남상요(2007) 등이 DEA를 적용시켜 병원의 효율성을 측
정하는 등 DEA를 활용한 병원의 효율성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DEA를 통해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점수를 0.83에서 1까
지 분석함으로 성과 정도를 일목요연하게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
선정된 변수에 대한 DEA 적용을 통해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
이 유용함을 지지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 문헌 대부분이 입원환자수, 외래환자수(Harrison, 2007)를
포함한 의료수입, 기타수입(송명섭, 2006)과 수술건수, 입원수익, 외래 수익
(박병상 외, 2009)등의 인건비나 수입관련 변수를 많이 사용함으로 벤치마
킹 전략에 있어 인건비 감소나 수입 증가에 편중된 연구 결과가 많았고 기
존의 인건비 발생과 수입을 고정한 상태에서의 병원 경영 효율성을 제시하
는데 한계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DEA 효율성에 대한 물품관련
연구가 병원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Gai, et.al, 2010, 심길호, 2014) 간호단위
를 대상으로 분석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간호단위에서 물품관리
와 관련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간의 관계 적절성을 비교하고 다른 영향요
인에 대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근거자료가 부적하다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빗회귀분석을 시행함으로 본 연구의 투입변수와 산
출변수만 가지고도 물품관리 효율성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고 가능한 벤
치마킹 전략을 실행함에 있어 무리가 없음을 제시하였기에 인력 변화나 수
입 증가 없이 병원 경영 효율화 관리활동에 대한 수용성과 신뢰성을 확장
- 44 -
시킬 수 있었다. 또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관리전략 수립의 관점에서 투
입변수와 산출변수 양쪽에 초점을 맞춘 전략을 수립해도 되는 현실적합성
을 가지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동일 집단 내에서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기법을 사용함으로서 다른 집
단에서도 반드시 동일하다는 일반화 접근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추후 간호단위 물품관리의 효율성 분석을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변수와 대
상을 통해 반복 측정되어야 할 점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는 FGI를 통해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수행한 준거집단과
비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수행한 비준거집단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구체
화함으로 강점 강화와 약점 회피에 초점을 둔 세부적인 벤치마킹을 전략
을 수립하였다.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위해 간호단위 차원에서 관계 인식 제고와 효과적
인 재고량 확인과 효율적인 물품 신청 및 물품관리 문제 해결에 대한 전
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통합적인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간호부 차원의 전
략과 전사적인 해결 방안 제시를 위한 병원 차원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엄경남(2015)은 FGI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교육복지 현장
사회복지 실천가 발달별 슈퍼비전 초점을 도출함으로 교육복지 현장의 구
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고, 윤흥열(2002)은 선거를 위한 효과적인 벤
치마킹 전략으로 FGI를 활용하였다, 또한, 박수철(2015)은 외국인 승무원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FGI를 활용해서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와 해결방
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FGI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
에 본 연구에서 벤치마킹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FGI를 활용하는 데 있어
지지 받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점진적 전략결정의 과정을 간호단위
와 간호부 및 병원 차원의 조직적 노력과 통합하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Fredrickson (1986)의 전략개발 과정을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단위 물품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구
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합적
인 전략과정을 위해 추가적인 전략 제시로 간호부 차원에서 처방에 따라
간호행위에 필요한 최소 물품 사용량을 파악해서 처방별 물품 기본 필요량
을 구체화하여 처방 수행에 따라 물품의 기본 필요량이 물류팀으로 자동
전송되는 전산화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기본 필요량 외 변경 사항에 대
처할 수 있는 예비 물품에 대한 최소 필요량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신청
- 45 -
량과 재고량의 상한선을 선정해서 처방 수행에 따라 필요 물품 수량이 물
류팀으로 자동 전송되는 전산화 구축함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물품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처방별 물품 기본 필요량이 되도록 통합적인 해결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더불어 병원 차원에서는 물류팀의 정보 다양화
에 있어 신청량 및 재고량의 상한선을 다른 색으로 주의 표시하고 신청량
의 증가 원인과 재고 반납 독려 및 반납 원인을 기록하여 빅데이터 처리해
서 물품관리에 대한 일반화된 정보를 생산하여 신청량 증가에 대한 긍정적
인 원인과 부정적인 원인 파악하고 재고 활용에 따른 병원 전체의 물품 구
매 비용 최소화를 제시함으로 전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략이 실제적으로 물품관리 효율성에 긍정
적 효과를 나타내는지 추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지속적인 효
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계획된 사후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기존의 물품관리에 관해 연구되
어진 결과들을 집대성하여 구체적 변수에서의 간호단위 물품관리 효율성을
도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효율적인 간호단위 물품관리의 근거
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추후 보다 다양한 간호단위 물품관리 전략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무적 측면에서는 간호단위의 물품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간호관리의 실무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
단위 관리자가 자신의 해결방안을 스스로 찾고 관리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더욱 성숙한 간호단위 관리자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간호조직의 간호 성
과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 제시한 간호단위 물
품관리의 벤치마킹 전략은 비효율적인 물품관리를 시행하고 있거나 새로
간호조직에 유입되는 간호단위 관리자의 교육 과정에 접목하여 적용한다면
간호단위 물품관리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
구는 연구적 측면에서 이전 효율성 관련 연구에서 연구 대상 및 변수 접근
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구체적인 대상과 변수에 접근함으로 간호단위 물품
관리 효율성 연구에 있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46 -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DEA 및 FGI를 통해 종합병원 간호단
위 물품관리의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을 개발하였다. 간호단위의 물
품관리의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투입변
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DEA를 통해 상대적으로 물품관
리의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병동 간호단위의 물품관리에 대한 적극
적인 관리 방안 모색이 상당히 시급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간호관리
활동은 단순히 물품소비부서로만 인식되어 온 병동 간호단위의 물품관리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물품관리부서로서 병원의 경영에도 기여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호단위의 물품관리에 대한 간호단
위 관리자의 이해와 통찰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효율성과 효과성의 균
형을 이룸으로써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소비에서 절약으로 더 나아가 비
용 절감에도 간호조직이 기여할 수 있도록 FGI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병원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벤치마킹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
마킹 전략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병원 경영 효율성에 있어 물품관리 부분에 대해 주 신청부서이자
사용부서인 간호단위를 중심으로 물품관리 영역의 이론과 실무 및 연구 확
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DEA를 기반으로 구체적이고 명확한 벤치마킹 전략을 제시함으로
써 비효율적인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FGI를 통해 도출된 벤치마킹 전략은 물품관리 업무개선에 관한 보
충 자료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다양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및 영향
요인을 추가하여 간호단위 물품관리에 대해 좀 더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DEA는 투입과 산출의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고려한 요인과
조절 가능한 범위에 대한 계량적 정보를 제공해 주나 이는 집단 내의 상대
- 47 -
적인 최적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운영성과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평가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
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시도한 병동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평가 및 벤
치마킹 전략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실증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겠
다.
- 48 -
참고 문헌
AI-Shammari, M. (1999). A multi-criteri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 measuring the productive efficiency of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19(9), 879-890.
Banker, R. D., Charnes, A., & Cooper, W.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on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 1078-1092.
Bellenger, D. N., Bernhardit, K. L., & Goldstrucker, J. L.(1976).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Focus group interviews. In Qualitataive research in
marketing.
Boussofiane, A., & Thanassoulis, E. (1991). Applied Date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2(-), 1-15.
Camp, Robert C. (1989). Benchmarking: The search for Industry Best
Practice That Leaa to superior Performance, ASQC Quality Press,
Wisconsin.
Charnes, A., Cooper, W.W., &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a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Fare, R. & Grosskopf, S. (1994). Cost and Revenue Constrained Production.
Spinger-Verlag, New York.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Vol. 120, No. 3.
Fredrickson, J, W., (1986). The Stratesic Decison Proces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Green, S. B. (1991). How many subjects does it take to do a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 26.
Golany, B., Roll, Y., & Ryback, D. (1994). Measuring efficiency of power
plants in Isrel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41(3), 291-301.
Harrison, JP. & Lambise, L. (2007). The Improving Efficiency of
University Health Consortium Hospital. Journal of Public Budgeting
- 49 -
Accounting & Financial Management, 19(3_, 385-390.
Kruger, R, A. (1998).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Newbury Park. CA: Stage.
McNeese-Smith, D. (1996). Increasing employee productiv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sp Health Serv Adm,
41(2), 160-175.
Kru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 (3rd edition),
Califormina: Stage publication.
Sherman, D, H. (1984).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Service
Businesses. Sloan Management Review.
Spaniol, R. J. (2002). Resource use among family families managing
technologically complex care at hom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Tobin, J. (1958). Estimation of Relationship for limited Dependent
Vairiable. Econometrica, 26.
강윤숙 등. (2010). 간호관리와 리더십. 현문사.
김기성. (2011). 병원경영효율성 측정과 인과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김금환. (2012).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노인복지관 효율성 분석 : 서
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국내박사학위 논문, 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선애. (2007).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비교분석 :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102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41(2), 237-256.
김용태. (2009). 지방의료원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
희대학교 대학원).
김원진. (2001). 방문보건사업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국내박
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김재희. (2003). 보건진료소의 상대적 효율성 및 관련요인분석. (국내박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김용태. (2009). 지방의료원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
희대학교 대학원).
남상요. (2007). DEA를 이용한 한국과 일본 공공병원의 인적자원 효율성
평가. 한국병원경영학회, 12(1), 51-74.
- 50 -
남신우. (1988). 병원재고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국내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춘걸. (1998). Measuring public sector productive through DEA and its
modification : productivity analysis of Korea's small-and
medium-sized cities. 정책보고서(한국조세연구원), 98-02.
민병오, 조대현 옮김. (2014). 포커스그룹 응용조사 실행방법. Richard A.
Krueger, & Mary Anne Casey 지음. 명인문화사.
박만희. (2008). DEA 효율성 및 Malmquist 생산성 분석시스템 개발. 생산
성 학회, 22(2), 241-265.
박병상. (2010). DEA 효율성과 수익성 지표를 이용한 종합병원 경영성과
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병상, 이용균, & 김윤신. (2009). DEA를 이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9(4), 299-312.
박성연. (2005). 중앙공급실 체험학습이 간호사의 물품관리 지식과 실천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원)..
박성애, 이병숙, & 정면숙. (1998). 간호관리 자율학습과 실습지침서. 현문
사.
박성애 등. (2010) 간호관리학: 간호경영과 정책. 군자출판사.
박수철. (2015). 외국인 승무원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관리방안에 관한 연
구: K항공사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FGI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박종석. (2014). 병원물류공동화 시스템 설계를 위한 Glass slide
Management System 개발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방영숙. (2000). 재고자산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업무인지도와 만족도. (국내
석사학위논문,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변창자 등. (2002). 간호관리학 총론. 수문사.
서수경 · 권순민. (2000). DEA를 이용한 의료기관의 효율성 벤치마킹. 병
원경영학회지 제 5 권 제 1 호.
설현주. (2007). 프로세스 벤치마킹 및 모듈화 방법론.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성금단. (2011). 건강가정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건강가
정지원센터의 형태를 중심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51 -
송명섭. (2006). 지방공사 의료원의 효율성 관리방안 연구. (국내박사학위논
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신경림 등. (2004). 질적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현문사.
심길호. (2014). DEA(자료포락분석)를 이용한 대학병원의 경영효율성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신종각. (2007). DEA에 의한 병원 효율성 평가에서 질적 측면 통합 모형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교 병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
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신해정. (2009). 중소 종합병원의 물류 구매 및 재고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 수도권소재 중소 종합병원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양봉민. (1999). 보건경제학. 나남출판.
양종현. (2009). 국립과 사립대학교 병원의 효율성 비교분석. (국내박사학위
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엄경남. (2015). 교육복지현장 사회복지 슈퍼비전 모형개발. (국내박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오미숙. (2012). 간호사의 업무환경 조성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방안 모
색에 관한 연구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살펴 본. (국내석사학위논
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유금록. (2004). 공공부문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 대영문화사.
유금록. (2008).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측정에 있어서 환경변수의 조정. 한국
행정학회, 42(4), 117-149.
유금록. (2009). 지방의료원이 운영효율성 평가. 행정논총, 47(3), 385-413.
윤경준. (1995). 지방정부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국내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윤경준, 최신융 & 강정석. (2005). DEA를 통한 공공조직 벤치마킹 정보의
단계적 도출. 한국행정학회, 39(2), 233-262.
윤흥열. (2002). 선거캠페인에서 F.G.I 역할과 활용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
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이병숙 등. (2015). 간호관리학. 정담미디어.
이상덕. (2002). 종합병원 수술재료 구매 및 재고비용 절감을 위한 구매 방
법 개선 방안: A계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
- 52 -
교 대학원).
이수연, & 임지영. (2011). 일 종합병원 병동 간호단위의 간호효율성 평가
: 자료포락분석의 적용. 가정간호학회지, 18(2).
이영범. (1997). 확률전선비용모형(Stochastic Frontier Cost Model)을 이용
한 공공병원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염영희 등. (2014). 간호관리학:학습성과 기반. 수문사.
임양택, & 송충한. (1989). 효율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학회
학술대회.
이송화. (2001). 스팀멸균물품 유효기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종익. (1983). 병원행정론. 법문사.
이지영. (2008). 지방의료원의 효율성 평가: DEA 기법을 이용한 분석결과
비교. (국내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용모, & 하오현. (2015). 국립대학교병원의 DEA 효율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 9(1), 17-29.
조문숙. (2012). 병원 물류 성과 예측모형 : 물류시스템(SCM)을 중심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조형석, & 문상호. (2007). 지방하수도사업의 효율성 평가 – DEA와 Tier
분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1(1), 123-151.
지영호. (2008). 한국의약품제고기업의 전략경영과 물류성과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차상준. (2002). 종합병원의 재고물품 관리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도 : 종합
병원 재고물품 관리자를 대상으로. (국내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보건
대학원)
최일문. (2006). 조직 효율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보건소를 중
심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최승빈· 김혜숙. (2007). ATM 보유의 은행 효율성에의 기여분석 : DEA
기법을 이용하여. 경영연구, 제22권 제 1호, 한국산업경영학회.
홍권희. (1999). 진료재료의 구매 및 관리 형태에 관한 연구 : 전국 3차 진
료기관을 중심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53 -
ABSTRACT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of Nursing Units
in General Hospitals
and Development of Benchmarking Strategies
Gug Jin Ko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 Ji Young Lim, RN, Ph.D, MB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icient nursing care
management in terms of product management by deriving the efficiency
analysis and benchmarking strategy of general hospital nursing unit.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was conducted. Two foreign documents, 12 domestic documents, four
nursing management textbooks and two product related manuals were
extracted The input variables, the output variabl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selected. In the second stage, data were collected about
the variabl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30 nursing units of 7 general
hospitals over 500 beds, and efficiency analysis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last three steps, five nursing unit
managers with five efficacy points and five nursing unit managers with
low efficiency scores were identified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rive a benchmark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view of systematic literature
In addition to prior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studies conducted on inputs and output variables of
- 54 -
specific products were also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access direct variables on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goods
management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non-papers.5,
and 5 variables were extracted. Also, 14 factors were extrac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unit manager and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nd nursing unit.
2) Analysis of nursing unit goods management efficiency
The results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showed that 7 of the 30
nursing units had a higher efficiency in the comparison unit in terms of
the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score of 1, and the remaining 23
nursing units were relatively inefficient. And the nursing units and the
weights that can benchmark the nursing units with low efficiency and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nursing unit with the efficiency score of
1 are presented to derive a detailed management plan for the inefficient
item management items. In addition,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fluencing factors showed that the chi-square value was 37.27 and
the model fit was p<.01,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not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can be measured adequately even with the input variables and the
output variables of this study.
3) Developing a benchmarking strateg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decision-making methods between the reference group and the
non-acceptance group to establish a detailed benchmark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The
detailed benchmarking strategy led to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odity management, the hospital
management, and the nursing unit manager in the nursing unit
dimension. In addition, the nursing - level strategy and the hospital level strategy for enterprise - wide solutions are sought for an
integrated s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55 -
Firs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centered on nursing units for the product
management part in hospital management efficiency.
Second, based on data envelope analysis, it can be used as a basis
to prevent inefficiency cost by presenting concrete and clear
benchmarking strategy.
Third, the benchmarking strategy derive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materials
on improving the management of goods.
Key words: nursing unit, product management,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benchmarking
- 56 -
부록
부록 1. 물품관리 관련 설문지
물품관리 관련 설문지
I. 일반적인 사항
아래 문항을 읽으신 후 귀하의 견해와 가장 일치하는 곳에 √ 표를 해주시고,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기타 란에 자세히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의 성별은?
① 여자
② 남자
세
2. 귀하의 연령은? 만
)
3. 귀하의 결혼 여부는? ① 미혼 ② 기혼 ③ 기타(
)
4. 귀하의 종교는? ① 기독교 ② 불교 ③ 천주교 ④ 무교 ⑤ 기타(
5. 귀하의 최종 학력은? ① 간호전문대학 ② 간호대학교 ③ 대학원 재학이상
6. 귀하의 현 직위는? ① 일반간호사 ② 책임간호사 ③ 수간호사 이상
년
개월
7. 귀하의 총 임상경력(다른 병원 포함)은?
년
개월
8. 귀하의 총 수간호사경력(다른 병원 포함)은?
II. 물품관리 사항
아래 문항을 읽으신 후 귀하의 견해와 가장 일치하는 곳에 √ 표를 해주시고,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기타 란에 자세히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의 병원 규모는?
① 100 병상 미만 ② 100 이상∼300 병상 미만 ③ 300 병상이상
2. 귀하의 병원이 속한 지역은?
① 서울특별시
② 광역시
③ 기타 (
)
3. 귀하의 병원 소유 형태는?
① 학교법인
② 기업병원
③ 공공병원 ④ 민간병원
4. 귀하가 속한 간호단위의 간호사 수는?
①총( )명
② 경력 10년 이상의 간호사수 ( ) 명
③ 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간호사수 ( ) 명
④ 경력 1년 이상∼ 5년 미만의 간호사수 ( ) 명
⑤ 경력 1년 미만의 간호사 수 ( ) 명
5. 귀하가 속한 간호단위의 물품신청주기는? ( ) 주마다 1회씩
6. 귀하께서 물품을 신청하고 나면 물품 부서에서 물품이 불출되어 귀하의 간호단위로 공급되는
간격은? 신청하고 ( )일 후 공급
( 만약 신청일에 바로 공급되면 “0”일로 표기해 주시면 됩니다 )
7. 귀하가 속한 간호단위의 한달 평균 환자수는? ( )명/1달
- 57 -
부록 2. 물품관리 자료 조사지
물품관리 자료 조사지
* 아래 사항을 정확히 기록해 주세요 *
1. 귀하의 간호단위의 병상수는? ( ) 병상
2. 귀하의 간호단위에서 기본적으로 가지고 린넨의 개수는?
① 시트 ( ) 개 ② 담요 ( ) 개
3. 다음은 귀하 병동의 구체적인 물품관리 품목 조사지입니다.
2016년
2017년
단위 예시
구분 물품명
0 월 10 11 12 1 2 3 4 5 6 7 8 9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수액
세트
팩
2
신 주사기(10cc) 박스 2
청 주사기(5cc) 박스 1
갯 주사기(3cc) 박스 2
수
통 10
투 소 알코올솜
입 독 시트
개 36
변건
개 30
수 수 담요
18G 개 22
사 정맥
용 주사용 22G 개 30
수 주사바늘 24G 개 23
월 수액 세트
팩 1/2
말 주사기(10cc) 박스 1/3
재 주사기(5cc) 박스 1/2
고 주사기(3cc) 박스 1/4
산 갯 알코올솜
통 1&1/2
출수
18G 개 7
변 물 정맥
수 품 주사용 22G 개 10
잉 주사바늘 24G 개 12
여 *시트
개 8
갯
수 *담요
개 14
환자수
명 43
* 시트와 담요 물품 잉여 개수는 간호단위에서 평균 한 달 보유량에서
소독 의뢰하고 남은 개수입니다. *
- 58 -
부록 3. 포커스그룹인터뷰 설문지
포커스그룹인터뷰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박사 과정 중에 있는 연구자입니다. 본 설문지는 종합병원
간호 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을 연구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본 설문지는 통계법 제 13조 규정에 의하여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이외의 어떤 목적으
로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또한 본 설문지는 옳고 그른 대답이 있는 것이 아니
므로 한 문항도 빠짐없이 솔직하고 성의 있는 귀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설문지 작성은 약
10∼1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본 연구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참여를 결정하신 후
에라도 그만둘 수 있고 그에 따른 어떠한 불이익도 없습니다. 모든 자료는 연구자에 의해 안
전한 장소에 보관될 것이며 연구 종료 시 설문지는 즉시 파기될 것입니다. 또한 개인에 대한
비밀보장을 위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익명으로 처리됩니다.
바쁘신 가운데 귀중한 시간과 도움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2017 년 11월
인하대학교 간호과 간호관리학
지도교수 : 임 지 영
연 구 자: 고 국 진
연 락 처 : 010-8799-****
E- mall : gogarnet@****.com
I. 일반적인 사항
아래 문항을 읽으신 후 귀하의 견해와 가장 일치하는 곳에 √ 표를 해 주시고,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기타 란에 자세히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의 성별은?
① 여자
② 남자
세
2. 귀하의 연령은? 만
)
3. 귀하의 결혼 여부는? ① 미혼 ② 기혼 ③ 기타(
)
4. 귀하의 종교는? ① 기독교 ② 불교 ③ 천주교 ④ 무교 ⑤ 기타(
5. 귀하의 최종 학력은? ① 간호전문대학 ② 간호대학교 ③ 대학원 재학이상
6. 귀하의 현 직위는? ① 일반간호사 ② 책임간호사 ③ 수간호사 이상
년
개월
7. 귀하의 총 임상경력(다른 병원 포함)은?
년
개월
8. 귀하의 총 수간호사경력(다른 병원 포함)은?
- 59 -
부록 4.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지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지
안녕하십니까?
종합병원 간호단위의 물품관리 효율성 분석과 벤치마킹 전략을 위한 인터뷰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질문지는 그룹 인터뷰 시간에 여러분에게 주어질 질문 내용입니다. 미리 읽어보시
고, 질문에 관련된 본인의 경험을 회상해 보거나 떠오르는 생각들을 정리해 보시면 됩니다.
본 그룹인터뷰 과정은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성실한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인하대학교 간호과 간호관리학
지도교수 : 임 지 영
연 구 자: 고 국 진
연 락 처 : 010-8799 -****
1. 간략하게 자기소개와 함께 이 그룹 토의에 참여하게 된 소감과 참여 후 이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 평소 물품관리란 무엇인지와 병원의 경영과의 어떤 관계 및 간호단위 관리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주세요.
3. 물품관리를 효율적으로 하시기 위해 귀하께서 평가 준비하거나 고려해 두신 점, 또는 의사결정의
순서 등이 있습니까?
4. 물품관리에 있어 어려운 점이나 영향을 미치는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5. 꼭 이야기 하고 싶었는데 빠진 내용이나 이전에 말씀하신 내용 중 다시 정리해서 말하고 싶은 것이
있으시면 다시 말씀해 주십시오.
- 60 -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