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김소연

tracheostomy

advertisement
1. 기관절개술 (Tracheostomy)
1) 정의: 두 번째에서 네 번째 tracheal ring을 거쳐 윤상연골 아래에 걸개가 이루어지는 수술적 절차.
2) 목적: 14~21일 이상 삽관을 요구하는 환자에게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
3) 적응증 – 급성 상기도 폐쇄 시 우회로 형성
- 인공기도 사용기간의 연장
- 해부학적 사강 감소
- 폐 흡인 예방
- 기도 기관지 분비물의 저류
4) 기관절개관(tracheostomy tube)의 장점
- 후두를 통과하는 튜브(translaryngeal tube로부터 후두손상을 예방
- 환자의 안위, 수용의 증대
- 기류 저항을 줄임
- 환자의 움직임 증대
- 환자의 분비물 용이
- 의도하지 않은 캐뉼라 제거 위험성 감소
5) 합병증: 감염, 출혈, 기관연화증, 기관식도 누공, 기관-동맥루, 튜브 폐쇄
6) 기관절개 환자의 간호
(1) 절개부위 간호
- 피부 간호 시행 전 호흡음을 청진해서 분비물이 있으면 먼저 흡입한 후 드레싱 제거
- 내관 제거 후 새 내관으로 교체/ 3% 과산화수소수에 담가 분비물 제거 후 멸균수로 헹궈
다시 삽입.
- 고정 끈 교환 후 분비물이 많으면 기관절개관 주위에 드레싱 시행
- 흡인간호: 목적) 기관 내 삽관 또는 기관절개관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
적응증) 기도에서 나는 거친 악설음이나 천명음
가래가 있는 기침
SpO2가 감소하며 불안정해지는 경우
합병증) 저상소혈증 (흡인하는동안 환자 기도 내의 산소 제거될 경우)
무기폐 (흡인 카테터가 기관 내 튜브 직경의 1/2이상을 차지할 때)
기관지연축(흡인카테터로 인한 기도자극의 결과)
율동장애(미주신경 자극)
뇌압상승
기도손상
절차) 흡인 전후로 과산소 상태(FIO2 100%)로 수동환기 실시하면 저산소혈증을
최소화할 수 있음
120mmHg를 넘지 않는 압력을 이용해 흡인, 흡인 지속 시간은 10~15초 이내,
한 번에 3회 이하로 시행
(1) bed flat시키고 목을 뒤로 젖히게 함
(2) 시술하는 동안 BP, SpO2 monitoring을 15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관찰 .
의사가 portex 삽입하겠다고 하면 extubation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함.
E-tube 고정끈과 plasta를 풀고 Ballon 제거
(3) 의사가 portex 삽입하면 E-tube도 서서히 뺌. Portex 삽입되면
Tracheostomy tube로 suction 시행
(4) bleeding sign 관찰
(2) 커프가 있는 기관절개관 관리
-기관 내 커프에 주입되는 공기는 보통 20mmHg를 넘지 않도록 함. 커프 압력은 8시간마다 점검
(삽관튜브의 커프를 공기로 부풀려서 양압호흡을 돕고 이물질이 기도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
(3)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의 간호
- 기관절개술을 할 때 기관연골에 유치봉합을 한 후 빠졌을 때 쉽게 찾도록 끝에 테이프를 붙임.
절개관 삽입 후 24시간동안 교환하지 않고 7일 이후에 의사가 절개관을 교환함.
-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는 즉각 교체해야 됨. 지혈겸자로 구멍을 넓힌 후 전색자를 교환할
튜브에 넣어 식염수에 적셔 45도 각도로 삽입.
(4) 기관절개관 제거 후 간호
- 기관절개관 제거 후 건조 드레싱으로 덮음
(5) 연하장애 간호
- 흡인 위험이 있으면 음식물을 먹을 때도 커프는 수축시키지 않음
- 흡인 위험성 사정하기 위해 커프를 수축시키고 포도주스를 삼키게 한 후 분비물에 색이
묻어나오는지 확인. 푸른색 분비물이 없으면 성문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는 뜻
2. Tracheostomy tube의 종류
1) 이중내관 기관절개관
- 내외관이 분리되는 double cannula
- 세척 시 외관은 그대로 두고 내관만 빼서 세척 후 다시 사용 가능
- 장기간 사용 가능
2) 단순 기관절개관
- 내관이 없는 single cannula
- 단기간 사용 가능
- uncuffed, single lumen tubes는 신생아, 소아에게 사용. 수술 직후에 주로 사용
Cuffed: 인공호흡기 사용하는 경우, 양압호흡이 필요한 경우, 객담이 많은 경우
Uncuffed; 환자 스스로 호흡이 가능한 경우, 발성 연습이 필요한 경우
종류
Double
Koken tube
적응증
- Ventilaor에 연결할 수 없어
cannula
Weaning 단계에서 사용함
- Corking(기관절개관튜브를 막고 정상적인
호흡경로를 통해 호흡하는 훈련)을 하는
환자인 경우 목소리를 낼 수 있음
(inner tube)
Blue Line ultra tube
(outer tube)
- 크기는 outer diameter 기준으로 함
- cuff가 부드러워 기관 내에 삽입된 후 cuff
가 inflation된 상태에서 기관벽에 자극을 주
지 않고 손상을 최소화함.
Tracoe tube-twist
- 구멍(fenestration)이 있는 경우: 구멍을 통
해 말을 하거나 효과적인 기침을 할 수 있
음. 기관절개관을 오랫동안 유지하려는 환자
에게 적용
- 구멍이 없는 경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Single
Tracoe tube - standard
cannula
환자, 발성이 불가능하고나 필요 없는 경우
사용. 얇은 튜브 벽은 공기 저항을 낮추고
원활한 호흡을 제공
Blue line tube
기관절개술 시행 직후 초기단계에서
사용하는 기관절개관.
3. 산소요법
- 혈중 산소농도가 55mg 이하, 산소포화도가 88% 이하인 경우 산소요법 시행. SpO2 95~100%를 목표로 함.
- 적응증: COPD, 페렴, 수면무호흡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
PaO2의 감소, 호흡곤란, 청색증,
지남력 상실, 서맥을 동반한 저혈압
급속호흡, 빠른 심박수, 기침 또는 천명음
- 주의사항:
미숙아) 산소 농도를 잘 조절하지 못해서 PaO2가 100mmHg 이상으로 쉽게 올라감->망막동맥손상
COPD) 일반사람은 혈중 CO2농도가 증가하면 뇌의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을 더 빠르고 깊게 해서
CO2 배출하도록 함. COPD 환자는 낮은 CO2농도에 적응되어 있어 혈중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호흡을 유발함. 고농도의 산소가 들어가는 경우 호흡이 감소함.
전열기구 사용, 흡연 금지
1) 산소공급 방법
방법
O2 flow
Estimated FiO2
(L/min)
Nasal cannula
Nasal catheter
Simple facial mask
Reservoir mask
1
24
2
28
3
32
4
36
5
10
6
44
4
40
5
50
6
60
5
40
6-7
50
7-8
60
6
60
7
70
8
80
9
90
10
95
FiO2: fraction of inspired O2
-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 그 중에 산소가 얼마가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백분율로 표시됨
분류
Nasal cannula
Nasal catheter
장점
단점
44%이하의 산소를
-안전하고 간편함
-환자 의식이 명료해야
1~6L/min의 속도로
-낮은 산소농도를
함
주입
요구하는 환자에게 유
-6L/min 이상 초과시
용
두통, 점막 건조를 초래
45%이하의 산소를
-활동이 자유로우며 안
-45% 이상의 산소 공급
1~5L/min속도로 주입
전하게 산소를 공급
안됨
카테터를 코에서
-불안정한 환자에게 적
-6L/min 이상 공급시
비강인후까지 삽입
용 가능
두통, 비강 점막을
건조하게 함
- 후두궤양 초래
(catheter 삽입한 비공
을
8시간마다
바꾸어
예방)
-위장 팽만 유발 가능
(L-tube로 완화)
Simple facial mask
-
5~8L/min
속도로
- 고농도의 산소를 효
- 피부를 자극함
40~60% 산소 공급
과적으로 제공
-높은 농도의 산소가
- 마스크 옆면에 구멍이
- 가습 효과 있음
필요할 때 불편감 유발
있어서 산소 농도는 희
-식사와 대화에 방해
석됨
-COPD 환자 사용불가
-12시간 이내 많은 양
의 산소공급이 필요
할 때 사용
부분재호흡마스크
6~7L/min속도로
- reservoir bag은 산소
-얼굴 불편감, 피부 자
70~90% 산소 공급
농도가
극 있음
- 대상자가 뱉은 공기의
호기 시 공기를 재ㅐ
-장기적으로는
첫
모으는
호흡하게
기 불편함
reservoir bag 있음. 내뱉
증가시킴
-식사, 대화에 방해됨
-6~15L/min 속도로
-가능한 높은 산소 제
-얼굴 불편감, 피부 자
60~100% 산소 공급
공
극 있음
-호기된 공기를 다시 흡
-intubation과
-장기적으로는
입하지 못함
ventilation 하기 직전,
기 불편함
부분을
높은
해서
환자의
FiO2
사용하
은 공기는 다음 번 흡기
시 사용되도록 100% 산
소와 혼합됨
비재호흡마스크
사용하
단기간 치료에 효과적
-점막을
-식사, 대화에 방해됨
건조시키지
않음
4) Highflow, Optiflow(Airvo2)
(1) 정의: 높은 유랑의 습기를 공급하는 통합된 유량생성기를 갖춘 가습기
(2) 적응증: ventilator 치료를 받다가 weaning 후 기관내 삽관을 제거 후 적용,
mask 산소 요법 중 non-breathing mask, breathing mask 적용 후에도 SpO2가 95%이상 유지 안 됨
ABGA 검사상 PO2 낮을 경우
폐렴, COPD, 급성 천식, 폐부종, 결핵,
(3) 장점 – 10~60L/min 제공 가능, 가습 가온된 산소 제공
- 낮은 수준의 positive pressure 제공
- facial mask보다 착용이 편하여 환자의 치료 순응도 증진시킴
(4) 간호 – 코로 숨쉬도록 격려
- nasal cannula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 드레심 폼을 대서 욕창 예방
- airvo에 연결된 멸균 증류수백이 떨어지기 전에 교체함
(5) 원리 – Reduction of dead space
상부기도에서 만기된 공기의 유실->높은 CO2와 고갈된 O2로 가스의 재반응을 감소시킴
-> 폐포 환기 증가
- Dynamic Positive airway pressure(DPAP)
느리고 싶은 호흡 증진->폐포환기 증가
(6) 설치방법
튜브, 챔버키트를 환자 머리높이에 폴대에 고정
물 챔버 설치: 파란색 포트캡을 당겨서 제거하고 급수 튜브 잡고 브래킷 제거.
손가락 가드가 고정될 때까지 눌러서 물챔버에 단단히 장착시킴
물통 연결: 매달린 브래킷에 멸균 증류수 백을 연결.
수액백의 배출구 캡을 열어서 물이 자동적으로 챔버에 채워지도록 함
열공급 튜브 장착: 산소연결튜브를 장치에 연결시킴
설정값: flow rate, FiO2는 주치의 확인 후 setting
Report
-Tracheostomy, 산소요법-
17735 김소연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