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사회, 문화의 이해 1 강의의 소개 미디어란 무엇인가 김용찬 언론홍보영상학부 Media = ? 키워드 (2022) • 연결, 다리, 전달, 통로, 대리경험, 간접체험, 소통, 공유, 표현, 전파, 저장, 토론, 공론장, 정보, 이야기, 변화, 선동, 매개(체), 영향, 사람, 대중, 중간, 상호작용, 쌍방향, 공간, 수단, 콘텐츠, 창구, 대화, 사회개선, 일치, 빠름, 진화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미디어 • 미디어를 도구나 장치로 생각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 20세기 초반에 미디어는 거의 전적으로 ‘매스’라는 말과 함께 쓰였다 • 매스미디어란 말 조차도 그것이 일상적인 말이 된 것은 1950년대 이후이다. • 1960년대 이후부터는 미디어가 ‘매스'에서 부터 독립해서 쓰이기 시작했다. • 최근에는 미디어를 환경으로 보는 관점들이 등장했다. (미디어 생태, 미디어 삶, 미디어 문화, 미디어 도시, 미디어 노동, 미디어화, 인프라로서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인프라 등) • 네트워크와 플랫폼이 미디어 환경의 핵심 키워드가 되고 있다 (네트워크 개인주의, 네트워크 정보경제, 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공중, 연결 행위 등) 미디어의 다섯가지 차원 도구로서의 내용으로서의 사람(들)으로서의 공간으로서의 제도로서의 매스미디어 시대 포스트매스미디어 시대 • 포스트매스미디어 시대 = 혼종화(hybridization)의 시대 포스트매스미디어 시대: 혼종화 대립항 혼종화 결과 가시성(visibility) –비가시성(invisibility) 비가시적 가시성(invisible visibility) 혹은 가시적 비가시성(visible invisibility) 공적 영역 – 사적 영역 융합적 영역(convergent sphere) 진실(truth) – 반진실(non-truth) 포스트진실(post-truth) 현존(presence) – 비현존(absence) 비현존적 현존(absent present) 혹은 현존적 비현존(present absent) 현실(real) – 가상(virtual) 현실가상(real virtuality) 혹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글로벌(global) – 로컬(local) 글로컬(glocal) 개인(individual) – 집단(collective) 네트워크화된 개인(networked individual) 혹은 네트워크화된 자아(networked self) 익숙함(familiarity) – 낯섬(strangeness) 익숙한 낯섬(familiar strangeness) 혹은 낯선 익숙함(strange familiarity) 생산(production) – 소비(consumption) 생산소비(proconsumption) 노동(work) – 오락(entertainment) 노동오락(worktainment) 연대(solidarity) –비 연대(no solidarity) 차별화된 연대 (differentiated solidarity) 참여 (participation) – 비참여(non-participation) 유연한 참여(flexible participation): 비참여적 참여(non-participating participation) or 참여적 비참여(participating non-participation) 연관성의 위기 연관성의 초위기 환경으로서의 미디어 우리는 어떤 미디어 환경을 원하는가? 수업 과제 • 학생들은 매주 부과된 읽기자료를 읽은 후에 읽기 자료 내용을 통해 얻은 자신의 “질문” 하나를 런어스에 마련된 게시판에 매주 금요일 정오까지 올려야 합니다 • 의문문의 형태로 자신의 질문을 제시한 후, 적어도 원고지 400자 혹은 그 이상 분량으로 자신이 제기한 질문의 배경, 정당성, 의의, 의미 등을 설명하는 내용을 적어 제출해야 합니다. • 읽기 자료 내용을 바탕으로 해야 하고, 읽기 자료 내용에 비판적 '시비 걸기'를 하는 것이거나 읽기 자료 내용의 전체 혹은 일부의 창의적 확장을 시도하는 질문이어야 합니다. • 평가는 P/NP (특별히 훌륭한 과제는 보너스 점수!) • 좋은 질문 vs. 좋지 않은 질문 • 좋은 질문이 아닌 것들 o 단순한 반응? (이게 맞아? 틀린 거 아냐?) o 단순한 의문? (이게 무슨 뜻이지?) o 어떤 특정한 방향의 답을 품고 있는 질문 (중간 고사 문제 투의 질문들) • 좋은 질문인 것들 o 저자가 놓치고 있는 것을 저자와는 다른 시선으로 찾아내고, 그럼으로써 저자의 근본 질문을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보는 것 o 저자의 핵심 질문 자체의 의심스러운 점을 지적하고 그것이 왜 그런지 지적하는 질문 o 저자의 핵심적인 논점을 저자가 언급하지 않는 다른 맥락, 사례 등에 적용가능한지 따져보는 질문 수업 정책 • 학생들은 수업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활동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모든 수업은 학생들이 매주 할당된 자료를 다 읽어 왔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진행된다. 학생들은 자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학생들은 수업에 빠지지 않고 매 수업 출석해야 한다. 정당한 사유 없이 결석할 경우 그에 비례하여 수업 참여 점수(10%)에서 감점 조치한다. 학교에서 정한 일정 비율 이상 결석할 경우 F처리한다. • 학생들은 매 수업시간 전에 교실에 도착해야 한다. 수업에 두 번 지각하면 한번의 결석으로 처리한다. • 시험이나 페이퍼 제출이 늦을 경우 늦은 시간에 비례하여 감점 조치한다. • 시험 답안지를 작성할 때 다른 사람의 글을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예외 없이 0점 처리된다. • 시험 답안지 및 보고서 작성 시 인용과 참고문헌은 언론학보의 논문작성법 규정을 따라서 한다. • https://www.comm.or.kr/AcademicActivity/Journal/Home/1/3 • 평가 • 중간고사 30% (4월 24일) • 기말고사 30% (6월 19일) • 수업과제 30% • 수업참여 10% 중간고사, 기말고사 모두 in-class 시험입니다. 평가방식은 절대 평가입니다 수업자료 필수 김용찬 (2023). 포스트매스미디어: 연관성의 위기에서 초위기로. 컬처룩 선택 한병철 (2012). 투명사회. 문학과 지성사. 닉 세르닉 (2016). 플랫폼 자본주의. 킹콩스 다른 수업 자료들은 드롭박스 폴더 공유를 통해서 제공합니다. 교수 정보 • 김용찬 • Email: yongckim@Yonsei.ac.r • Office: 연희관 304호 • Office hours: • 월요일 5:00 pm – 6:00 pm • 수요일 5:00 pm – 6:00 pm • By Appoin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