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zl2sambjq

r

advertisement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언어관
르네상스
THE RENAISSANCE
1400-1600
15세기~16세기
1400-1600
15세기~16세기
Firenze, Italia
이탈리아 피렌체
Firenze, Italia
이탈리아 피렌체
Rinascimento
Rinascimento
ri다시
nascere
태어나다
-mento
명사형 접미사
Rinascimento
부활
Rinascimento
프랑스어
Renaissance
Renaissance
아테네 학당 – 라파엘로 산치오
Renaissance
비너스의 탄생 – 산드로 보티첼리
Renaissance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 레오나르도 다 빈치
Renaissance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흑사병
흑사병
7천 만~2억 명
유럽 인구의 30~60% 사망
흑사병
흑사병
노동력 부족
인건비 상승
경제적 여유 증가
흑사병
피렌체의 바르디, 페루치 은행 파산
메디치 은행의 번창
메디치 가문의 예술 후원
노동력 부족
인건비 상승
경제적 여유 증가
흑사병
피렌체의 바르디, 페루치 은행 파산
메디치 은행의 번창
메디치 가문의 예술 후원
신 중심의 내세적 세계관 동요
人文主義
인문주의
HUMANISM
인간다움의 사상
인간다움의 사상
人本主義
인본주의
인간 중심의 사상
人本主義
神本主義
인본주의
신본주의
인간 중심의 사상
신 중심의 사상
페트라르카, 보카치오
인간 중심주의 주도
고대 그리스 철학의 흥행
그러나 역설적으로
르네상스의 인문주의는
오히려 엘리트 의식을 나타내면서
흔히 휴머니즘과 엮는 인도주의와는 거리를 가졌다
이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언어관에서 나타난다
고전 라틴어
lingua latīna
통속 라틴어
sermo vulgaris
통속 라틴어
sermo vulgaris
Vulgar? 저속한?
통속 라틴어
sermo vulgaris
Vulgar? 저속한? 상스러운?
vulgar의 어원 vulgaris는
평민의, 서민적, 민중의, 통속적을 뜻함
vulgar의 어원 vulgaris는
평민의, 서민적, 민중의, 통속적을 뜻함
원래 라틴어에서는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었다
하지만
통속 라틴어(또는 로망스어군 언어)와
다른 지역의 표준어를 경멸하며,
야만스러운 말로 취급
통속 라틴어(또는 로망스어군 언어)와
다른 지역의 표준어를 경멸하며,
야만스러운 말로 취급
여기서 그대는 튜튼족의 목청에서 나온 노래도
라틴인에게 안 맞는 야만의 말도 읽을 일 없으리.
Non hic Teutonico prolatum gutture carmen
Barbara nec Latinis verba coacta leges.
- 필라데스, 학자의 노래
야만스런 말투를 내버리고 로마의 말을 배워
이를 능숙하고 세련된 입으로 말하고자
이 비범한 저작을 펼쳐 공부하는 젊은이라면
문법의 정도(正道)를 알게 되리라.
Quae cupis abiecta Romanam discere linguam
Barbarie et docto cultius ore loqui,
Hoc opus egregium studiosa revolve iuventus,
Grammatices rectam comperiesque viam.
- 무르멜리우스
반면에 고전 라틴어를 휴머니스트 라틴어로 숭상해
휴머니즘을 표방하면서도
이를 모르는 사람을 무식한 ‘휴먼’으로 취급해 혐오했다
반면에 고전 라틴어를 휴머니스트 라틴어로 숭상해
휴머니즘을 표방하면서도
이를 모르는 사람을 무식한 ‘휴먼’으로 취급해 혐오했다
Odi profanum vulgus
“나는 불경스러운 떼거리를 혐오한다”
그러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라고
모두 이러한 태도를 갖춘 것은 아니었다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라고
모두 이러한 태도를 갖춘 것은 아니었다
라틴어가 매우 풍부한 표현력을 지니고 있음은 인정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투스카나어(語)가 전혀 존중받지 못하고 또한 이를 사용하여 쓴 것이
아무리 우수해도 마음에 들지 않는 이유는 도대체 무엇인가? [...]
여러 사람들의 주장대로 많은 학자가 사용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 고대어[=고전 라틴어]가 여러 사람들 사이에 권위를 행사한다는 것이
사실일진대, 투스카나어도 학자들이 열심히 그리고 주의 깊게 다듬어 쓴다면
라틴어와 똑같은 결과에 이를 것이다.
- 알베르티
이외에도 벰보는 토속어로 글을 쓰며
토속어의 사용을 옹호했다
페트라르카, 보카치오 또한 뛰어난 토속어 작품을 창작했다
그렇다고 벰보, 페트라르카 등의 휴머니스트가
절대로 일반 대중을 포옹한 것은 아니며,
서민들을 상스럽게 여겼다.
르네상스가 역사의 흐름에서 뒤따르는 계몽주의의 발판을 깔아주고,
이후 후세대에 발전한 인문주의를 낳은 것은 사실이지만,
무조건 긍정적인 것으로만 볼 수는 없다.
모든 사건, 사상, 문화는 이중성을 갖고 있으며,
우리는 항상 다양한 측면에서
역사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언어관뿐만 아니라
다른 사상이나 문화의 언어관에서 마찬가지로
그 언어관을 소유하는 사람들 이면의 생각과 이념을 알아볼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평가하는 또 다른 방면이 될 수 있다.
1. 흑사병과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인구
절반 이상이 사망했다면 조선에서도 르네상스와
같은 움직임이 발생했을까?
2.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유교의 전통에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의 언어관에서도 엘리트주의적
특징을 보이는가?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