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red sun

2013년 한영외고 2-3 답지

advertisement
-291. ‚
그림 참고 대기압은 5.5km에 50%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 ƒ 고기압 중심부에서는 단열수축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다.
3. ‚
ㄱ. A-B구간이 건조단열감률, B-C구간이 습윤단열감률인데 보통 습윤단열감률이 건조단열감
률보다 작다.
ㄴ. 구름이 생기는 것으로 보아 B-C구간에서는 공기가 이슬점에 도달했으며, 절대 습도가 낮
아짐을 알 수 있다.
ㄷ. C-D구간에서는 단열수축으로 인해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이슬점은 조금 상
승해 상대습도가 감소하게 된다.
-304. ƒ
응결고도=125(T-Td) [m] 단 T는 기온, Td는 이슬점
5. ƒ
LCL(상승응결고도)=125x4= 500m 이 때 기온과 이슬점은 20도. 700m부터는 기온과 이슬점
모두 습윤단열감률을 따른다. 200m 올라가니까 1도 감소한 19도가 정답이 된다.
6. 
적란운은 한랭전선이 온난전선 사이를 파고 들어갈 때, 지표면의 불균등한 가열로 인해 생성
될 때(집중호우), 열대 저기압(태풍,토네이도)에서 관찰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
은 온난전선이다.
참고 토네이도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조건부 불안정 환경에서 상승할 때 형성되는 것으로 밝
혀졌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토네이도 – 강력한 바람의 소용돌이 (지구과학산책)
지면에 수직으로 발달해 산이나 큰 탑처럼 보이는 구름인 적란운의 잠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움으로써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한다. 이후 상승공기는 구름의 꼭대기 부근에서 천천히 회전
하고 이것이 점점 아래쪽으로 확장되어 깔때기 모양을 만들게 되는데, 이 깔때기가 지면과 닿
으면 토네이도가 된다.
7. ‚
열대 저기압은 수온이 섭씨 26~27도 이상인 바다 위에서 흔히 나타나고 습한 바다 위의 따
뜻한 공기가 상승해 구름 속에서 응결하며 잠열을 내 강력한 상승기류를 만드는 현상이다. 따
라서 따뜻한 바다 위에서만 발생하고 유지되며 찬 바다나 육지 위로 오면 빠르게 세력을 잃고
소멸하거나 온대성 저기압으로 변질한다. 온대성 저기압은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
면서 발생하지만, 열대성 저기압은 따뜻한 공기 안에서 나타난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열
대 저기압은 전선면을 동반하지 않는다.
-318. „
ㄱ. A는 캘리포니아 해류(한류), B는 맥시코 만류(난류)이다.
ㄴ. 쿠로시오 해류도 맥시코 만류와 같이 난류이다.
ㄷ. 난류는 한류에 비해 용존 산소량이 낮다. 일반적으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반비례한
다.
9. …
ㄱ. 한랭전선 뒤쪽에 적란운이 생성되서 강한 비가 내린다. 그림을 보면 북서쪽에서 바람이
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ㄴ. 그림 참고.
ㄷ. 그림을 보면 남서풍이 부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이 기단은 태백산맥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의미한다.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
이 여름 중순에 세력싸움을 하는 장마가 정체 전선을 만드는 기단의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답은 오호츠크해 기단이다.
-3215. ‚
ㄱ. 과수원은 비점오염원이다. 점오염원은 비교적 연중 발생하는 오염이 일정한 것을 의미한
다.
ㄴ. 오염이 심각 할수록 BOD가 높아지고 DO가 낮아진다.
ㄷ. 프린트 27쪽을 참고하자.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BOD가 낮아지고 DO가 높아지는 것으
로 보아 오염이 감소하고 있다.
16. ƒ,„ 프린트 27쪽 참고.
-33-
17. ,… 북극해에 떠있는 빙하가 녹아도 해수면의 큰 상승을 유발하진 않는다. 하지만 남극
해가 녹는다면.. 영양염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바다의 온도를 높이는데 일조한다.
18. …
ㄱ. 위험 반원은 태풍의 오른쪽이다.
ㄴ. 열대 저기압이 북상하면서 공기를 저기압 쪽으로 바람을 불게 한다. 따라서 바람은 열대
저기압이 제주도 서쪽에 있을 때는 북동풍이고 점차 북상하면서 서풍, 남서풍 방향으로 변한
다.
ㄷ. 열대 저기압이 육지에 상륙하면 태풍에 수증기가 공급 되지 못하고 기단의 온도가 상승하
면서 저기압의 세력이 완화된다.
7. „
기온과 이슬점이 가장 많이 차이나면서 그 중에 기온이 높은 것이 정답이다. 이 문제의 경우
기온-이슬점이 가장 큰 4번이 정답이 된다.
-3416. …
ㄱ. A에서 B로 기단이 이동하면서 기단의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보아 바다는 따뜻하고 기단
은 차가운 것을 알 수 있다. 바다의 수온이 적어도 20도 이상이여야 B에서 기단의 온도가 20
도가 될 수 있다.
ㄴ. 푄 현상에 의해 절대습도는 감소하였다. (절대습도= 단위 부피당 수증기량)
ㄷ. 기단이 바다를 통과하면 수증기를 공급받는다.
20. …
ㄱ. LCL(상승응결고도)= 125(T-Td) [m]이다. LCL이 높은 (나)가 Td의 값이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ㄴ. 공기 덩어리는 건조단열감률을 따르다가 상승응결고도에 도달하면 습윤단열감률을 따른
다.
ㄷ. 높이 1~2km 구간에서 (가)의 경우 수증기의 응결이 일어나는 것을 보아 상대습도는
100%이고 (나)는 천천히 상승하는 중이다.
21. „
ㄱ. LCL(상승응결고도)= 125(T-Td) [m]이다. 공식에 대입해보면 P의 상승응결고도가 Q보다
더 크다.
ㄴ. 상승응결고도에 더 늦게 도달 할수록 B지점의 온도가 낮다.
ㄷ. 두 공기 모두 1km에서 LCL에 도달했으므로 상대습도는 100%로 같다. 하지만 공기의 온
도는 다르니 절대습도나 이슬점이 같지는 않다.
22. ‚
ㄱ. 상대습도=현재수증기량/포화수증기량x100 따라서 C가 B보다 낮다.
ㄴ. B와 C의 온도가 낮아지면 포화 수증기압 곡선의 같은 지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이슬점이
같다고 할 수 있다.
ㄷ. C의 온도를 높여도 포화 수증기압 곡선에 도달하지 않는다. 오히려 C의 온도를 낮춰야한
다.
-361. ‚
ㄱ. 한랭 전선 뒤쪽에 적란운이 생겨서 소나기, 집중 호우가 발생한다. 그림 참고
ㄴ. 그림 참고
ㄷ. 문제의 그림을 보면 서북서에서 바람이 분다.
3.
ㄱ. 태풍의 오른쪽이 위험반원이다. 풍속-위치 그래프를 보아도 알 수 있다.
ㄴ. 태풍의 중심 쪽으로 바람이 들어간다. 북동풍에 가깝다.
ㄷ. 그림 참고. 기압은 태풍의 중심부에서 가장 낮다.
-374. 
ㄱ. 수온이 평년에 비해 따뜻해진 해에 엘리뇨가 발생한 것이다.
ㄴ. 수온이 낮으니까 한류성 어종이 증가했을 것이다.
ㄷ. 남동 무역풍이 강해지면 페루 해류(한류)가 더 적도쪽까지 다가온다. 이렇게 되면 라니냐
가 발생한다.
5. „
ㄱ. 온난전선 근처에는 이슬비가 내린다.
ㄴ. 저기압의 이동 경로를 이어보면 서울의 위쪽을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풍향의 대략적인
경로는 시간별로 저기압의 중심과 서울을 이으면 알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동풍
에서 남풍, 남풍에서 서풍으로 변하니 시계방향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ㄷ. 애매하다. 정확한 표현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정답이나 서풍계
열이라고 표현하니 이 표현은 맞다고 생각하자.
-387. ƒ
ㄱ. 그림 참고.
ㄴ.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곳에서 조경수역이 형성되고, 좋은 어장이 된다.
ㄷ. 적도 부근에 부는 무역풍의 영향으로 에크만 수송이라고 부르는 것이 생겨서 해수면 차이
가 발생하고, 이 해수면 경사로 인해 적도무풍지대(5~10°)에 서쪽에서 동쪽으로 향
하는 적도반류가 나타나게 된다.
8.  프린트 27쪽 참고
9. ‚ 프린트 27쪽 참고
-3913. …
일반적으로 새벽에는 지면에 역전층이 생성되어 대기가 절대 안정상태가 된다. 역전층이 형서
되면 안개가 생기고 대기에 있는 오염물질이 확산되기 힘들다. 이 문제는 ‘안개’가
낀 ‘새벽’이라는 힌트를 줬다.
14.  출처: 과학동아
엘니뇨와 라니냐는 왜 발생할까. 비밀의 열쇠는 바람이 쥐고 있다. 보통 열대태평양에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무역풍’이 분다. 그 결과 따뜻한 바닷물이 쌓이는 서태평양의
인도네시아 연안은 동태평양의 남미 에콰도르 연안보다 바닷물의 높이는 0.5m 정
도, 온도는 8℃ 정도 높아진다. 그래서 서태평양은 전 세계적으로 바닷물의 온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한편 남미 연안에서는 서쪽으로 쓸려간 바닷물을 보충하기 위
해 바다 밑의 찬물이 솟아오르는 용승현상으로 인해 온도가 낮다.
그런데 바람이 약해지면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서태평양으로 이동하는 바닷물의 흐름이 약해
지고 이에 따라 동태평양 바닷물의 용승도 약해지는 것이다. 이때는 적도 부근에서
가열된 따뜻한 바닷물이 정체하고 물의 온도가 올라가는 엘니뇨가 나타난다.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