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배유지

명사형 전성어미 & 명사파생접사

advertisement
▶ 명사형 전성어미와 명사 파생접사
명사형 전성어미일 때는 원래 ‘용언’에 붙는 경우임
명사 파생접사일 때는 원래 ‘명사’에 붙는 경우임
각각 용언과 명사이므로 이들의 특징을 이용해서 구분해야 함
▶명사형 전성어미는
명사형 전성‘어미’이므로 그 앞에 어간이 있고,
따라서 이것은 용언임.
▶명사 파생접사는
명사로 품사를 바꾸어주는 접사가 들어갔다는 것이므로
이것의 품사는 명사임.
예) 밥을 다 먹음.
‘먹다’라는 동사가 ‘먹음’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품사가 명사가 된 것이 아니라 ‘동사의 명사형’이 된 것처럼
원칙적으로 품사는 바뀌지 않는다.
( 그러나 문장에서 하는 역할에 따라
문장성분은 달라지기도 한다. - 품사는 단어 차원, 문장성분은 어절 차원 )
명사형 전성어미는 품사를 바꾸어주는 것이 아니지만,
명사 파생접사는 품사를 바꿈.
▶구별하는 방법은
명사형 전성어미는 용언, 명사 파생접사는 명사
[서술성으로 구분] 서술성이 있으면 용언이고, 서술성이 없으면 명사이다.
[수식어로 구분] 부사(부사어)가 수식하면 용언이고, 관형사(관형어)가 수식
하면 명사이다.
특히 용언이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일때는 반드시 목적어를 가진다.
(예) 맛있는 ㉠잠을 맛있게 ㉡잠으로써 피로가 풀리게 되었다.
㉠의 잠은 명사 파생접사 –ㅁ이 붙어 명사가 된 것이고,
㉡의 잠은 명사형 전성어미 –ㅁ이 붙어 서술성있는 용언의 형태를 띈다.
㉠은 ‘맛있는’이라는 관형어가 수식하며,
㉡은 ‘맛있게’라는 부사어가 수식하고 있다.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