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Song Yi Beak

(참고자료)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advertisement
스마트 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스마트 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저자
(Authors)
백송이, 계보경
출처
(Source)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7(5), 2020.4, 27-33(7 pages)
발행처
(Publisher)
한국통신학회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48263
APA Style
백송이, 계보경 (2020). 스마트 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스마트 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7(5), 27-33
이용정보
(Accessed)
고려대학교
163.***.133.25
2020/06/22 13:40 (KST)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7(5), 2020.4, 27-33(7 pages)
저작권 안내
DBpia에서 제공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누리미디어는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DBpia에서 제공되
는 저작물은 DBpia와 구독계약을 체결한 기관소속 이용자 혹은 해당 저작물의 개별 구매자가 비영리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에 위반하여 DBpia에
서 제공되는 저작물을 복제, 전송 등의 방법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Copyright of all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copyright holder(s)and Nurimedia does not guarante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or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sam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may only be used by the users affiliated to the institutions which
executed a subscription agreement with DBpia or the individual purchasers of the literary work(s)for non-commercial purposes. Therefore, any person who
illegally uses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y means of reproduction or transmission shall assum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스마트시티
편집위원 : 방준성(ETRI)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백송이,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요약
쇼핑, 일자리의 7대 혁신 요소를 도출하고 시민의 일상을 바꾸는
플랫폼으로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은 4차 산업 신기술을 활용한
교육기술의 도입은 매체의 발전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도시 문제의 해결, 지속가능한 도시의 기초를 만들기 위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조성되는 세종 5-1생활권과 부산
혁신적인 실험 및 개선을 통한 ‘도시 실험의 장(Test bed)’마련을
에코델타시티 3공구는 백지상태의 부지에서 4차 산업혁명의
목표로 하고 있다. 12개 분야 52개 서비스 중 교육서비스 분야는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스마트시티 선도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City as an Extended School”로 청소년의 비판적·창의적 사고
도시 공간 조성과 함께 혁신 스마트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증진을 위한 학교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공지능, 5G, 블록체인 등을 기반으로 한 자율자동차, 스마트
1)
본 고에서는 교육기술 동향 및 스마트시티 교육 분야 교육기술
에너지 같은 신산업을 조성하고, 교육,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도입 사례를 통해 국내 스마트시티 교육 분야 서비스의 발전
도시데이터를 연계해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도시 실험의 장을
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제공한다. 교육 분야는 교육과 기술의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에서
본 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교육기술의 개념
교실과 수업활동, 교육적 목표까지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
및 교육주체와 대상에 따른 영역에 대해 설명하고, 3장에서는
지속가능한 교육을 목표로 도시자원과 연계한 학습활동과 더불어
스마트시티 IDC 교육 분야에서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학습데이터를 도시데이터로 연계한 학습생활 서비스와 이를
어워드에서 수상된 서비스 동향에 대해 분석한다. 스마트시티 IT
지원하는 플랫폼이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4].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IDC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우수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는 IDC3)의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선정하기 위해 운송, 공익사업, 스마트
개발지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능별로 구분된 14개의
빌딩,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워터, 행정 등 14개의 아태지역
스마트시티 이서비스(EService) 영역에서 뛰어나다고 평가되는
스마트시티 전략 영역2)에서 평가기준을 도출한다. 세부 전략 영역
정부,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을 선정한다[2]. 2015년에 시작된 이래
중 지난 3년간 교육 분야 수상작의 동향을 알아보고 교육 분야
한국 시정부(인천, 대전, 부산 등), 싱가포르 정부 기술청, 타이베이
교육기술 도입을 위한 특징 및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시정부, 중국 시정부(심천, 상하이, 베이징)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들이 참여하고 있다.
Ⅰ. 서 론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문제점들을 정보통신 융합기술과 친환경
기술을 이용하여 도시기능의 효율화를 지향하는 도시를 말한다[1].
세종 국가시범도시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 환경, 거버넌스, 문화와
1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12개 서비스: AI데이터센터,
스마트IoT, 사이버보안, 디지털트윈, 교통,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 환경,
안전, 생활, 로봇
2 분야별로 3개를 선정하여 아태지역 대중들의 공개 투표를 포함한 리서치
(50%)와 IDC 리서치 팀(25%), 자문위원회(25%)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
그림 1. 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
3 https://www.idc.com/ap/smartcities/2020-finalists/
MAY·2020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 27
주제 |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육기술 및 해외 특허기술 분야에 대한 동향,
보이다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CAGR 27.1%를 기록한 후,
스마트시티의 서비스 분야에서의 교육기술에 대한 글로벌 동향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인다. 2012년부터의 성장세는 클라우드 기반
살펴보고, 향후 성공적인 스마트시티의 조성을 위해서 교육 분야에
교육 솔루션의 확산과 IoT 기술과 결합한 교육 분야 특허 출원의
어떠한 기술개발, 환경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지 알아본다.
양적 증가를 주요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주요 출원국별(한국(KIPO), 미국(USPTO), 일본(JPO),
유럽(EPO), 중국(SIPO))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USPTO)이
48.0%의 비율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고, 중국이 32.8%의
Ⅱ. 본 론
비율로 두 번째로 많은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은 조사 기간 내 3,840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전체 교육기술
1. 교육기술 구성요소 (ITLET)
특허 중 14.5%를 출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6)
교육기술은 일반적으로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과
전체 3,840건의 교육기술 특허 중 2,165건(56.4%)이
학습자가 수행하는 학습을 촉진하고 지원하기 위해 활용되는
콘텐츠 구축 분야의 특허였으며, 스마트 학습 환경 분야의
정보기술을 의미한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는 교육기술의
특허가 236건(6.1%)으로 뒤를 이었다. 평가 분야의 특허는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ITLET(Information Technology for
119건(3.1%)으로 나타났고, 학습자 관리 분야의 특허는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로 정의한다.4)
87건(2.3%)으로 조사되어 가장 적은 특허 수를 보였다.
효과성의 측면에서, 교육기술은 최대한의 교육효과성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 주체와 대상에 따라 인터페이스와 콘텐츠를
구성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최신 교육기술은
에듀테크5)산업과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2.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 교육 분야 사례
스마트시티 IT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IDC(International
교육기술 분석을 위해 2000년~2020년(4월 15일 기준)까지
Data Corporation)7)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우수 스마트시티
WIPSON DB의 특허 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특허는 2000년 이후
프로젝트 선정을 위해 14개의 아태지역 스마트시티 전략 영역에
본격적인 특허 출원이 검색되기 시작하여 2002년부터 증가세를
기반하여 평가한다. 오프라인 학습자 학습 및 온라인 학습, 학습 관리
표 1. 교육기술 구성요소 ITLET
대분류
기술분류
내용
온라인 콘텐츠 표현 및 전달 기술
콘텐츠
평가
스마트 학습환경
온라인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 정보
·웹페이지, 온라인 포럼 등
교육용 전자책 표현 기술
HTML5와 CSS3 등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구성
·멀티미디어 호출, 표준화 뷰어, 메모 등 사용자 데이터 저장 등
실감형 콘텐츠 제작, 표현 및 상호작용 기술
VR(Virtual Reality) 및 AR(Augmented Reality) 활용 콘텐츠
·HMD와 NUI(Nartural User Interface) 기술 등
문제은행 및 온라인 평가 기술
문항 전달 및 시험 실시, 피드백 제공, 결과 제출
·학습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스텔스 평가까지 활용
IoT(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학습 경험과 매체활용 경험을 분석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매체 상호작용 환경을 구축
로봇
특허 수 (빈도)
로봇을 활용한 첨단 기술 및 미디어 학습 환경 구축
개인화, 맞춤형
교육 분야에 특화된 데이터를 활용, 맞춤형 교육 학습 환경 구축
학습자 관리
학습자 프로파일 및 e-포트폴리오 기술
학습자 이력, 목표, 성취도 기록 및 관리 등의 온라인 관리와 분석
기타
-
2,165건
(56.4%)
119건
(3.1%)
236건
(6.1%)
87건
(2.3%)
기존 오프라인 학습 관련 분야의 기술
4 국가기술표준원 (2017). 교육 기술 전망과 표준화 동향. 기술보고서 제94호.
5 Education과 Technology의 합성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기술(인공지능, 빅데이터, 증강현실, 가상현실, 사물인터넷)을 교육
분야에 융합한 차세대 교육 흐름을 의미함
6 2000~2020년(4월 15일 기준)까지 WIPSON(https://www.wipson.
com) 특허 DB를 이용한 공개 특허를 분석
7 https://www.idc.com/ap/smartcities/2020-finalists/
28 | 정보와 통신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주제 |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시스템, 스마트 교실, K-12 및 고등 교육을 위한 스마트 캠퍼스를
실증 사례 확보에 목표를 둔다.
포함하여 교육 분야의 스마트시티 사업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KPA는 단계별 로드맵을 작성하고 각 단계마다 스마트
IDC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스마트시티 솔루션 지출이 1,580억
캠퍼스 솔루션을 지정하고 스마트 리빙타운에 거주하는 학생들과
달러에 이르며, 일본을 제외한 아태지역이 상당 부분 성장에 기여할
운영직원들에게 IoT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람과 공간을
것이라고 전망하였다[1]. 이러한 전망에 따라 SCAPA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스마트 테크놀로지 환경을 조성한다. 향후 고등교육의
담당하는 IDC 정부 인사이트(Government Insights)는 올해 더 많은
캠퍼스 운영 및 디지털학교의 운영관리, 지역사회 연계 학교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SCAPA에 참여하고 있다고 하였다.
플랫폼 구축에 있어 교육 분야에의 적용 및 확산이 가능할 것이다.
표 2.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 교육 분야 선정 서비스 동향
구분 연번
1
2
2020
3
4
5
1
2019
2
1
2018
2
3
서비스명
국가
대상
연구내용
-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캠퍼스
한국
고등교육
- 글로벌 실증 사례
(Andong City)
Omni Smart Education in
대만
초·중등교육 - 통합교육플랫폼
Taipei
(Taiwan)
싱가폴
생애교육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인증
Opencerts
(GovTech & NP)
- 개인화, 맞춤형 교육과정 추천
말레이시아
초·중등교육
TechStudy.my
서비스
(Nationwide)
중국
Wenchang Smart Education
(Wenchang, Hainan
고등교육 - 스마트스쿨 통합 교육센터 구축
Initiative
Province)
뉴질랜드
초·중등교육 - 양방향 상호작용 디지털 교사
Will Digital Teacher
(Vector Limited)
Crossing Learning Barriers:
대만
생애교육 - 대화형 학습통합 플랫폼
Omni Smart Education (Taipei City Government)
-맞
춤형 학생학습 공간 통합
Singapore Student
싱가폴
초·중등교육
플랫폼
Learning Space(SLS)
- 후베이성 교육자원 공공서비스
Hubei public Service Platform
중국
고등교육
플랫폼
of Education Resources
- 3차원 파노라마 데이터 시각화
NewSouth wales
호주
고등교육
시설을 활용한 협업 공간 환경
UTS Data Arena
KPA Andong Smart Campus
시행주체
요소기술
민간
IoT와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공공
클라우드, 빅데이터
공공
블록체인, 디지털인증
민간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공공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민간
AI, 머신 러닝
공공
공공
IoT, 빅데이터 분석 및
모바일 플랫폼
머신 러닝,
자연어 처리 기술
공공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민간
AI, 빅데이터,
3D스테레오 비디오
* 2020년 노미네이트된 사례이며 수상을 위한 평가가 현재 진행 중(4/25)
2.1. KPA Andong Smart Campus8)
KPA 안동 스마트 캠퍼스는 한국에서 2020년 노미네이트된
통합교육플랫폼(Campus 4.0)으로, 공무원 준비 기숙학교를
통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캠퍼스로, 신기술 ‘테스트베드’로써
캠퍼스를 운영한 사례이다. KPI의 Campus 4.0 서비스는
운영자, 교사, 학생, 학부모와의 디지털 소통(Digital Connect)을
통해 오프라인 실생활 데이터 기반 진단으로 사용자 중심의
관리와 개인별 맞춤형 학습 지원을 할 수 있는 Eduhash
Dashboard System(EDS)을 지원한다.
5G통신 기반으로 IoT와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핀테크 등 4차 산업 핵심기술과 데이터 표준화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IBM, R3 Corda, DXC Technology)과 함께
테스트베드를 운영하고 다른 분야의 요소기술과 융합하여 글로벌
8 http://eduhashglobal.com
그림 2. KPA Andong Smart Campus
MAY·2020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 29
주제 |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2.2. Omni Smart Education in Taipei
디지털인증서 배지(Badge)가 발행되었다. 이를 통해 2019년
대만 정부(TCG)는 iCampus 옴니 스마트교육(Omni Smart
싱가포르의 18개 교육기관의 학생들이 인증서를 수여받았다[5][8].
Education)을 조성하기 위해 통합교육플랫폼인 iCampus를
개발하고 있다. 3개 대학(6개 단과대, 35개 대학 체험 과정), 3개
도시(12개 온라인 코스)의 13개 고등학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교사, 학부모 및 학생에게 옴니 스마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iCampus는 1) 캠퍼스 내 스마트
인터넷 구축, 2) 스마트 미래 교실 구축, 3) 디지털 학습 플랫폼
생성, 4) 모바일 스마트 학습 구현을 미션으로 삼고 있다[4].
클라우드 데이터 및 정보 통합을 통해 다양한 맞춤형 교육
그림 4. Opencert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부모-교사-학생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 교육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자기 학습
2.4. TechStudy.my
능력을 키우고, 교사가 혁신적인 교수법을 적용하도록 장려하며,
MDEC(Malaysia Digital Economy Corporation)는 학업결과를
기술을 활용하여 교사와 학부모 간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킨다.
플랫폼에 입력하면 학습자에게 대학 과정 및 장학금 정보를
프로파일링하여 개별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AI 기반 플랫폼인
2.3. Opencerts
싱가포르는 스마트네이션(Snmart Nation)을 국가비전으로
제시하였는데, 스마트네이션은 시민들에게 좀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좀 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것(Serving
Citizens and Business better through technology)을 목표로
techstudy.my10)를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역량을 가진 인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폴리테크닉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진학에 필요한 과목을 추천하고, 학생들의 잠재적인 학습경로를
제시한다.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총 17개 대학교가 MDEC를 통해
54개의 디지털 기술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하고 있다. 스마트네이션 이니셔티브를 출범시켜 총리실 산하에
디지털 정부청을 설치하고 민간 연구 인력이 참여한 정부
기술청을 시행기관으로 두고 추진하고 있다.
그림 5. TechStudy.my
그림 3. Singapore Smart Nation
OpenCerts9)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으로 기업에서 현지
대학, 폴리테크닉 및 기타 교육기관을 졸업한 구직자와 직원의
재교육 자격과정을 인증한다. 디지털인증서는 개별 계정에서 skill
passport에 저장되며, 업무용 인증프로그램에 디지털인증서를
사용하면 기업에서는 Opencerts를 통해 확인한다. Opencerts
프로젝트는 GovTech와 NP에서 시범 적용되어 최초로
9 https://www.tp.edu.sg/ecerts
2.5. Wenchang Smart Education Initiative
중국 원창시에서는 스마트 교육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자,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기반 환경 조성을 위해
200여 개 스마트스쿨을 위한 응용환경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Cloud + End’솔루션 설계에 따라 6개의
플랫폼으로 중앙 통합 교육 센터를 구축하였다.
2.6. Will Digital Teacher
Will Digital Teacher는 뉴질랜드 오클랜드 초등학생들을
10 https://techstudy.my/
30 | 정보와 통신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주제 |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대상으로 디지털 교사 ‘Will’을 활용한 교육플랫폼이다.
2.8. Singapore Student Learning Space(SLS)
애니메이션 플랫폼사와 AI사의 협업으로 인간의 뇌와 신경계를
SLS(Singapore Student Learning Space)는 2018년 5월에
모델로 하여, 디지털 교사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교과목을
시작된 싱가포르 교육부와 GovTech에서 개발한 ‘싱가포르 학생
가르친다. 에너지 사용과 태양, 바람 및 지열과 같은 다양한
학습 공간 (SLS)’으로 학교의 기존 교육 및 학습을 향상시키는
형태의 재생에너지에 대해서 교육하도록 설계되어 학생들의
학습자 중심 플랫폼이다. 학생들은 개인 디지털 학습 기기를
반응에 즉각 반응한다. 웹캠과 마이크를 통해 언어적 정보뿐
이용하여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온라인 학습 플랫폼에 접근하고
아니라 비언어적 신호를 받아들여 양방향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자신의 흥미와 교구, 학습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학습한다.
디지털 교사가 수업하는 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장기적으로
교사들은 SLS를 통해 과제를 주고 학생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국제 교사 부족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교사들의 협업을 촉진하고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 및 적응, 공유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
역할을 한다. 2018년 IDC 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를
수상하였고, 현재 싱가포르 전역의 학교에 적용되고 있다.
그림 7. Student Learning Space(SLS)
2.9. Hubei public Service Platform of Education Resources
중국은 2017년 교육정보화 사업 요강과 2018년 ‘인터넷+교육’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 교육 스마트화 2.0 실행 계획을 발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5G 융합서비스 시범사업을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그림 6. 디지털 교사 ‘Will’
있다. 후베이성의 교육자원 공공서비스 플랫폼은 2017년 교육
2.7. Crossing Learning Barriers: Omni Smart Education
대만의 타이베이에서는 2019년 이후 초등학교와 중학교
분야 IDC 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를 수상하였다.
2.10. NewSouth Wales UTS Data Arena
201개 내의 5,600개의 스마트 미래 교실에 정보통합 컨트롤러,
시드니공과대학(UTS)11)의 데이터 아레나(Data Arena)는
교육방송시스템, AR/VR장비를 장착하여 교사가 혁신적인 대화형
NSW 혁신부 장관인 Hon Victor Dominello MP가 공식적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인터넷 환경을 개선하였다.
개설한 데이터 시각화 시설이다. 기업, 정부 및 연구기관이
교사와 학생에게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Taipei
복잡한 정보를 단순화 및 시각화하기 위한 몰입형 시설로, Arena
Cool Class Cloud’ 플랫폼을 도입하여 6,945개의 온라인 영상,
이용자는 데이터로 자신을 둘러보고, 관찰, 탐색, 수정, 개선,
43,821개의 게시물이 공유되고 있다. 2017년 온라인 학교에 교육
발견 및 학습을 할 수 있다. 높이 4미터, 지름 10미터인 원통형
자료를 지원하기 위해 8개 고등학교에 OnO(온라인 및 오프라인)
스크린과 고성능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이 6개의 3D 스테레오
대화형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TCG는 학생들이 모바일 학습에
비디오 프로젝터를 구동하여, 가장자리가 혼합된 완벽한 3차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 160개 학교에서 “모바일 학습 스마트
파노라마를 만든다.
교육” 로드맵을 구상하였다. 2019년 236개 학교에서 모바일
학습을 활용하여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학습자들의 협업경험을 위해서 360도 공간 환경에서 각 사용자는
11 https://www.uts.edu.au/
MAY·2020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 31
주제 |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스테레오와 시각효과를 얻기 위해 Active-Shutter Glasses를
착용한다. Data Arena는 방대한 데이터 세트와 조작된 환경을
탐색하고 격리된 컴퓨팅 환경이 아닌 협업이 가능한 공간에서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림 9. 교육방식 및 교육환경의 변화
둘째, 단일 플랫폼이 아닌 캠퍼스형 통합플랫폼 모델의 확산이다.
교실단위·학교단위의 스마트스쿨 조성사업과 스마트시티 내
스마트스쿨 조성은 개별 응용프로그램의 발전이 아닌 데이터 및
정보 통합을 통한 다양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도시와 플랫폼은 지자체와 공공이 민간기술과 함께 기술개발 및
운영을 하고 있다.
셋째, 디지털 소통(Digital Connect)이 강조되고 있다. 교육 분야
서비스 및 플랫폼에서 학습자간, 학습자-교수자, 교사-학부모간,
학생-학부모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통합플랫폼을 제공하고,
협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작된 스마트 시티 사업에서 미래 사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넷째 디지털 인증 기반의 생애교육 환경 조성의 흐름이다.
생애교육 주기에 따른 교육경험이 미래 사회 변화에 따라 경계가
그림 8. UTS Data Arena
모호해지고 학령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 마이크로 단위의 학위,
블록체인 기반 교육이력 인증을 통해 디지털기술의 재교육,
취업연계 교육과정 설계 등이 교육 분야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다섯째, 글로벌 실증이다. 세종형 스마트시티는 세계의 교육도시로
Ⅲ. 결 론
발돋움하는 데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에듀테크 특성화
본 고에서는 스마트시티 교육 분야 기술개발 동향에 관해
알아보았다. 향후 스마트시티 내 스마트스쿨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발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기술의 변화와 미래 사회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육 담론이 함께 발전해야 할 것이다. 해외의 주요
모델을 고려하고 있다. 4차 산업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협력을
통한 실증 사례의 발굴은 드물지만, 기술의 개발단계에서부터
글로벌 실증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수상 교육플랫폼과 서비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 맞춤형 학습의 확산이다. ‘학습자가 온라인,
참고문헌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정보와 지식을
검색하고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인 옴니러닝(Omni-learning)을
통하여[7] 동일한 주제를 채널의 특성에 따라 같은 학습내용을
개별 맞춤형으로 습득할 수 있는 플랫폼을 스마트시티 교육
분야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래 사회와 인공지능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방식의 변화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맞춤형·융합형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9].
[1] 한선희, et al. “국내 스마트시티 인증 지표 및 시범 인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1 (2018): 688-698.
[2] IDC 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https://www.idc.com/
ap/smartcities/2019-winners/)
[3] https://www.idc.com/ap/smartcities/2020-finalists/
32 | 정보와 통신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주제 | 스마트시티 교육기술 글로벌 동향 : 2019 스마트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SCAPA)중심으로
[4] Wu, Shiann Ming, et al. “Future development of Taiwan’s
약 력
smart cities from an information security perspective.”
2009년 단국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Sustainability 10.12 (2018): 4520.
2014년 고려대학교 교육공학 석사
[5] Liu, Dejian, Ronghuai Huang, and Marek Wosinski. Smart
2017년 고려대학교 교육공학 박사수료
learning in smart cities. Springer Singapore, 2017.
2012년~2014년 고려대학교 고등교육정책연구소 연구원
[6] Pagliaro, Francesca, et al. “A roadmap toward the
2018년~2019년 한
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연구원
development of Sapienza Smart Campus.” 2016 IEE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Electrical
Engineering (EEEIC). IEEE, 2016.
2019년~2020년 한
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육정책본부
백송이
연구원
관심분야: 스마트시티, 학습환경, 교수설계
[7] Qureshi, Faisal Fayyaz, et al. “Integration of OMNI
channels and machine learning with smart technologies.”
Journal of Ambient Intelligence and Humanized Computing
1997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문학사
(2017): 1-17.
2001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 석사
[8] 배예나, 안미리. “미래형 교육·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디지털배지
2007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 박사
1999년~현재 한
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육정책본부
(Digital Badge) 도입 사례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정책연구부 부장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2018): 37-40.
2008년~2009년 U
niv. of Michigan HICE 연구소
[9] 계보경, et al.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교육분야 비즈니스모델
수립 및 플랫폼 구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9)
객원연구원
계보경
2014년~현재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 HRD
전공 겸임교수
관심분야: 미래학교체제, AR/VR, 감성컴퓨팅
KPA Andong Smart Campus
http://www.kpa.co.kr/andong
http://www.eduhashglobal.com/
Omni Smart Education in Taipei
https://smartcity.taipei
Smat Nation
https://www.smartnation.sg/
Opencerts
https://www.ssg.gov.sg/opencerts.html
https://www.tp.edu.sg/ecerts
TechStudy.my
https://techstudy.my/
Will Digital Teacher
h ttps://educationcentral.co.nz/meet-will-your
-digital-teacher/
Singapore Student Learning Space(SLS)
https://vle.learning.moe.edu.sg/login
NewSouth wales UTS Data Arena
https://www.uts.edu.au/
MAY·2020
고려대학교 | IP:163.***.133.25 | Accessed 2020/06/22 13:40(KST)
| 33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