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loaded by Moncef Alayad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dvertisement
幼兒敎育硏究
2016. 제 36 권 제 6 호, 27-52
http://dx.doi.org/10.18023/kjece.2016.36.6.002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조 혜 진***
김 수 연***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DDIE모형의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개
발절차에 따라 학습자 분석과 요구분석, 과제분석을 기초로 정서역량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과정 및 방법, 평가에 대한 1차 시안을 설계하였다. 전문가자문을 거쳐 수정된 프로
그램 모형에 기초하여 교육활동과 활동지도안을 개발하고 활동자료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정
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9명을 대상으로 8주, 15회기
동안 실행되었으며 교육 참여자인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저널분석, 정서지능 및 대인관계조화에
대한 사전사후검사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하
여 예비유아교사들은 정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일상생활 속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
화를 경험하였고, 유아교사로서 정서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사전사
후검사결과 정서지능과 대인관계조화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논문 투고 2016.10.20 / 수정본 제출 2016.11.28 / 게재 승인 2016.12.21
*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5A2A01011686)
**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교신저자(hjcho@silla.ac.kr)
*** 신라대학교 아동교육연구지원센터 연구원
28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Ⅰ. 서 론
가르치는 일은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 중 하나이다(Palomera, Fernandez-Berrocal &
Brackett, 2008). 교사는 매일의 일과에서 자신의 정서뿐 아니라 학습, 부모, 동료 등 타인
의 정서도 조절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아교사들은 다른 학령기 교사에 비해 애착과 정서적 보살핌이 필요한 어린 영유아
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감정소모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정서노동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아교사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긴장이나 불안, 화, 슬픔 등의 부정적 정서들을 조절하고 다룰 수 있는 교
사의 효과적인 정서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조혜진, 김수연, 2012).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교사의 정서적 안정과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자원으로 교사의 정서지
능과 정서역량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정서지능이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평가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
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줄 아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서 그
러한 정서를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다(Salovey & Mayer, 1990). 이러한 개인차원의 정서
지능을 조직차원에서 직무성과를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해석한 것이 정서역량
(emotional competence)의 개념이다. Goleman(2008)은 정서역량을 정서지능에 근거를 둔
업무에서 훌륭한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학습된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박동건, 최대
정, 이은정(2006)은 정서역량을 정서지능에 바탕을 둔 학습된 능력으로, 조직 내에서 감
정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조직이나 직장의 맥락 속에서 개인차원의 정서지능을 정서적 역량으로 해
석하는 이유는 직무에서 효과적인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보기 때문이다. 정서
적 역량이 높은 사람은 조직에서 상사나 동료, 부하직원들 간에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뿐
아니라(오인수 외, 2006)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부정적인 정서를
피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증진함으로써 학생과 친밀한 관계형성을 하였으며(Gross &
John, 2003) 정서지능이 높은 유아교사는 유아의 흥미와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애정
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조혜진, 김수연, 2012). 이러한 측면에서 교
사의 정서역량은 영유아를 가르치고 돌보는데 필요한 정서적 자질을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며 교사가 효과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
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개인의 안녕은 물론 교
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의 질과 학습자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해서 필수적인 능력이
라고 보고 있으며, 이러한 역량을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발달시키기 위해 교육을 실
행하고 있다(Palomera et al., 2008). 대표적으로 영국의 교육기술부에서는 아동과 교사의
사회ㆍ정서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Every Child Matters’라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있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9
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아동만이 아니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 교육을 실행
하고 있는데, 학교와 교사양성대학 모두에서 눈에 띄는 증진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역량을 가르치는 것은 불가능하고 교
사 자신의 안녕이 없는 상태에서 질 높은 교수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교사대상 사회정서
역량 교육의 전제라는 것이다(Weare & Gray, 2003). 또한 Corcoran과 Tormey(2012)는 아
일랜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워크숍을
12시간 실행하고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지능의 양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개별
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에서는 실험집단 예비교사들이 교수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정서 정
보를 해석하여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증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미국
의 경우에는 이미 20년 전부터 많은 학교와 기관에서 정서지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식적인 교육과정으로 실행하고 있다(문용린, 2011). Rojas(2012)는 미국 주립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명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에 관한 이론 강의와 워크숍을 실행하고 16
주 동안 현장실습을 한 결과, 예비교사들의 정서지능이 증진되었고 교수 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활용하고 조절하는 실천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상과 같이 국외에서
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정서역량교육의 효과와 성공요인들을 분석하는 연구들을 통해 정서
역량교육의 적용가능성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이론적, 실천적 논
의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국내 유아교사교육 분야에서 교사의 정서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최윤정, 2009), 감성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하은옥, 황해익, 2008)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반면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인성교육(김순환, 박선혜, 남
옥선, 2014; 이경민, 최윤정, 박순정, 2013)이나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 개발(조부경,
서윤희, 2012) 등과 같이 예비교사의 포괄적인 자질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예비교사의 정서역량에 관한 연구는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
아교사와 대학교수의 요구분석(조혜진, 2016) 연구가 유일하다. 즉 유아교사의 정서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예비교사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예비교사의 정서역량을
기르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구안해 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교사의 역량 개발은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이 연계성을 가지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때, 유아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교육은 시급히 이루
어져야 할 과제라 하겠다. 그 이유는 대학 시기가 발달특성 상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접
어드는 과도기적 시기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확장된 대인관계와 자율적인 대학환경 속
에서 대인관계의 문제, 학점관리 및 진로에 대한 고민, 취업경쟁에 대한 부담 때문에 불
안, 스트레스 등의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조은영, 임정하, 2014). 또한
교직에 종사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들의 경우에는 특히 교육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
레스와 위기상황에서 정서적 안정을 유지하면서 어린 영유아들을 가르치고 돌보기 위해
30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서역량은
인지능력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통해 개발 가능한 능력이지만 다른 인지적 능력보다 많은
연습과 노력이 필요(Goleman, 2008)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발달과업과 정서
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장기적 관점에서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부터 예비교사들
이 정서적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학습하고 유
아교육현장에서 영유아의 다양한 정서반응과 돌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
서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시기 동안 예비교사들이 어떤 정서역량을 길러야 하며, 어떤 내용
과 방법을 적용할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하여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실
행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예비유아교
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하여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달
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교수체재개발(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
에 기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체계
적인 설계과정이 전제되어야하기 때문에 교수체재개발의 가장 일반적인 모형인 ADDIE모
형*은 프로그램의 개발뿐 아니라 평가과정까지 포함하고 있으므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
램의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ADDIE모형에 따른 본 연구의 정서역
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절차와 전략을 살펴보면 그림 1과 같다.
* 교수체제개발(ISD)을 위한 모형 중 하나로, 교수체제개발은 인간의 교육과 학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 및 평가(Evaluation)의 과
정을 통하여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0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1
분석
⚬학습자분석 : 문헌고찰을 통한 대학생의 발달 및 심리적 특성 분석
⚬요구분석 : 예비유아교사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유아교육과 교수 5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
⚬과제분석 :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분석
↓
⚬프로그램 모형 설계
설계
- 프로그램의 기본관점과 목표 진술
- 교육내용, 교수전략 및 매체 선정
- 평가도구 설계 : 프로그램 효과 검증 도구 선정, 반성적 저널
⚬유아교육전문가 자문 및 프로그램 수정ㆍ보완
- 전문가 7명 대상으로 개방형 면접지 통해 타당성 검증
- 전문가 자문을 통한 프로그램 수정ㆍ보완
프
로
그
램
개
발
↓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개발
- 교수자료개발
- 제작 : 학습지도안 작성 및 관련 활동자료 개발
↓
↓
⚬프로그램 현장 적용
실행
- 대상 : 유아교육과 4학년 예비유아교사 19명
- 기간 : 2015. 10월~12월, 15회(주 2회, 1시간 30분~2시간)
- 교육자 : 교수 1명, 박사과정 2명
↓
⚬프로그램 효과검증
평가
- 실험ㆍ통제집단 예비교사의 정서지능, 대인관계조화 사전사후검사
- 실험집단 예비교사의 저널분석
적
용
및
검
증
[그림 1] ADDIE모형에 따른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 절차
1.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첫 번째 과정인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 분석과 요구분석, 과제분
석이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전체 설계를 위한 조직적인 계획을 결정하였다. 학습자 분
석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대학생 시기의 일반적 발달특성과 교직을 선택한 예비교사의
발달 및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요구분석은 교육대상자인 예비유아교사와 교육제공
자인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 및 면담의 내용은
정서역량교육의 필요성, 교육내용과 방법, 교육시기, 기간 등에 대한 요구, 대학에서의 운
영방안에 대한 의견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3, 4년제 대
학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답변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1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
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유아교
32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육과 교수 5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정도 인터뷰 형식의 개별
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면담 후 전사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과제분석은 정서역량에 관한
이론 및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서 프로그램 모형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구조
와 체계를 구성하였다.
두 번째 과정인 설계단계에서는 분석된 내용을 기초로 수행목표를 진술하고 교육내용
과 교수전략 및 매체 등을 선정하고, 평가도구를 설계하여 1차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였
다. 구성된 1차 시안은 교수 5인과 교사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2인에게 프로그
램의 타당성과 적절성에 대해 자문을 구하였고 이를 기초로 프로그램 모형을 수정ㆍ보완
하였다. 세 번째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모형에 입각하여 회기별 내용구성과 활동지도
안을 작성하고 활동지, 그림 및 게임자료 등을 제작하였다.
2.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네 번째 과정인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을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행하였고, 마지막 평가단계에서는 처치한 프로그램의 효
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과 평가를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 시내 4년
제 사립대학 두 곳의 유아교육과 4학년 학생 총 38명이며, A대학 예비유아교사 19명을 실
험집단으로, B대학 예비유아교사 19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은 표본의 동질성
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지리적 환경, 학사운영 및 교사양성교육과정이 유사한 사립대
학 두 곳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표 1과 같이 평가가 실행되었다.
<표 1>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도구
시기
대상
프로그램 실행 전/후
실험ㆍ통제집단 38명
프로그램 실행 중/후
실험집단 19명
도구명
문항수
신뢰도
정서지능척도
16
.89
대인관계조화 척도
28
.90
반성적 저널
-
-
표 1과 같이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정서역량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정서
지능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다. 사용
된 검사지는 첫째, Wong과 Law(2002)가 개발한 정서지능 척도(Emotional Intelligence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3
Scale)를 조혜진, 김수연(2011)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수정하여 사용한 질문지를 예비유
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
활용, 정서조절의 4개 범주,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있고, 각 문항마다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높음을 의미
한다. 둘째, 대인관계조화 도구는 김성회, 박경희(2008)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
다. 총 28문항으로 각 문항마다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상황에서 개인의 인지와 정서 및 행동 측면에 조화를 이루어 효율적이
고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반성적 저널쓰기는 프로그
램 실행 중 2회와 프로그램 종료 후 1회 실시되었으며, 저널의 주제는 프로그램에 참여하
는 동안 새롭게 느낀 점과 자신의 변화, 성장한 점과 소감 등으로 제시하였다.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19명을 대상으
로 전공과목에서 8주 동안 15회 1시간 30분~2시간동안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각 19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로 정서지능과
대인관계조화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집단 간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정서지능과 대인관계조화의 사전검사 총점에 대
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9명
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행 중과 종료 후에 총 3회의 개인저널을 작성하여 내용을 분석하
였다. 내용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하고,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Bogdan &
Biklen, 1991)을 거쳐 이루어졌다. 즉 저널자료를 읽으면서 예비적인 부호와 범주를 작성
한 뒤, 범주에 약호를 부여하였고, 특정 내용에 밑줄과 괄호를 표시하여 예비유아교사가
나타내고자 한 의미를 파악하면서 범주를 재조정하였다. 조정된 범주에 기초하여 동일한
범주끼리 분류하였고 각 범주에 포함된 사례를 중심으로 의미를 추출하였다.
Ⅲ.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1. 분석
1) 학습자분석
학습자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의 대상자인 성인초기 대학생들의 일반적인 발달 및 심리
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인생주기 발달이론들은 대학생 시기에
34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해당하는 성인초기 발달 특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자별 성인 초기 대학생의
발달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성인 초기 대학생의 발달 특성
연구자
단계/대상
성인초기의 발달 특성
∙ 신체적 능력이 절정기이다.
∙ 자아정체감과 타인과의 친밀감 형성이 주된 관심사이다.
∙ 사회적으로 매우 적극적이다.
∙ 남성은 직업선택에, 여성은 가족과 직업에 관심을 갖는다.
∙ 시간을 영속적인 것으로 보며 이상적이고 낙관적이다
∙ 자기가 누구인지에 대한 문제로 갈등하게 된다.
∙ 지나치게 자기에게 몰두하면 친밀감을 획득하지 못한다.
∙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게 되면 타인과 상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타인과의 진정한 상호관계 형성 여부에 따라 친밀감 또는 고립감을
경험한다.
Arin-Krupp
(1981)
20대
Erikson
(1980)
친말감대
고립감
Gould
(1972)
19~22세
∙ 가족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이지는 못하나 독립성을 추구하며 동료
집단의 가치를 매우 중요시한다.
김민정
(2007)
대학생
∙ 자신의 정체성과 개성을 찾고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
며 성숙한 직업인과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닦는 시기이다.
조은영,
임정하
(2014)
대학생
∙ 독립심과 자율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 폭넓어진 대인관계와 진로결정, 학점관리 및 자격증 취득에 대한 부
담 등으로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다.
이진화,
유준호
(2009)
예비유아
교사
∙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하는 시기이다.
∙ 정서적 경험은 상황 중심적이며 관계 중심적이다.
∙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긍정적ㆍ부정적 정서경험이 교사로서의 정체성
에 영향을 준다.
조부경,
서윤희
(2011)
예비유아
교사
∙ 대학에서 무엇을 배우고 미래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관련된 가치
관, 자기목표, 자아정체성을 형성한다.
표 2의 대학생의 발달특성 분석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은 확장된 대인관계와 자율적
인 대학생활, 진로탐색 및 취업 등으로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을 이
해하고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진로와 관련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능력,
정서조절 및 스트레스관리 능력, 다른 사람과 잘 소통하고 갈등을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
는 대인관계능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대학시기 예비유아교사의 발달
특성을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는데 반영하였다.
2) 요구분석
정서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를 위하여 교육대상자인 예비유아교사와 교육
제공자인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예비유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5
교사와 대학교수들 모두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교육
내용에서는 자기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에 대한 요구가 고르게 나타
났으나, 이 중 특히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로서 맺게 되는 부모, 동료교사, 원장 등의 성
인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내용들에 대한 요구(M=4.36, SD=.5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수들은 프로그램 내용에 이론적으로 당위론적인 내용이 아니라 실
생활이나 교육현장과 연결된 실제적이며 상황맥락적인 구체적인 내용들이 포함되어야 한
다고 하였다. 또한 내용조직에 있어서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내용에서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유아, 학부모, 교사 관계로 심화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예비교사와 대학교수 모두 유아교사양
성 교육과정 내에 정서역량교육을 편성하는데 있어 독립된 교과목으로 운영하기보다 기
존 개설된 교과목과 통합 또는 연계 운영하는 것에 대한 요구(52.8%)가 높았다. 또한 대학
교수들은 정서역량교육을 기존 개설된 교과목과 통합해서 운영하는 방법 외에도 교양이
나 특성화교육으로 운영되는 대학 내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방안 등을 다양하게 제시
하였다. 3, 4년제 대학유형과 교육과정, 학사운영 등 각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었다. 이 외에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로는 예비교사와
대학교수들 모두 이론 강의보다는 역할극 및 워크숍(41.3%), 사례토의 및 토론(27.0%) 등
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또한 대학교수들은 진단검사를 통해 본인의 현재수준을 파악하여
자기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나타냈다.
교육기간에 대해서는 예비교사와 대학교수들 모두 단기집중교육보다는 장기지속교육
(80.7%)을 요구하였으며, 교육 시기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은 학기 중 평일(47.7%)과 실습
전후(30.9%)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대학교수들은 실습전후나 전 학년에 걸쳐 대학
과 학과 상황에 맞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3) 과제분석
본 연구에서는 정서 및 정서역량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국내외 정서역량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
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과제분석은 본 연구의 대상
이 예비유아교사인 점을 고려하여 청소년 및 대학생의 정서역량 증진에 관한 연구(곽윤정,
2010; Nelson & Low, 2012; Schilling, 2001), 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직장인의 정서지능 향상에 관한 연구(전주영, 2014;
Cherniss & Goleman, 2001) 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
진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과 방법, 평가방법 선정을 위한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준거는 프로그램 모형을 설계하는데 반영하였으
며, 자세한 내용은 프로그램 설계과정에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중 프로그램의 교육내
용 선정을 위한 정서역량 관련 선행연구 및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이를 통해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관리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36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표 3> 정서역량 관련 선행연구 및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곽윤정
(2010)
∙ 정서인식
∙ 정서표현
∙ 감정이입
∙ 정서조절
∙ 정서활용
이춘복
(2012)
마혜진
(2014)
∙ 정서인식
∙ 자기인식
-정서인식
-영아정서특징
-정서표현
-영아교사의
-정서모니터링
중요성
장단점 인식
∙ 정서공감
-공감능력
∙ 감정이입
-타인정서이해 -영아 정서에
감정이입하기
-타인관점조망
∙ 자기동기화
-목표 세우기
-문제해결에
정서 활용
∙ 정서조절
-자기정서조절
-스트레스의
원인
-정서조절
전주영
(2014)
∙ 자기인식
-자기인식
∙ 자기관리
-동기부여
-감정조절
-스트레스
관리
Cherniss &
Goleman(2001)
∙ 자기인식
∙ 감정이입
∙ 감정조절
∙ 사회적 기술
∙ 자기동기화
∙ 사회적 인식
-공감
-타인존중
∙ 관계관리
-의사소통
-갈등관리
-협동
∙ 정서조절
-정서조절이해 ∙ 관계기술
-스트레스관리 -정서적 상호
∙ 책임 있는
-정서관리 전략
작용 능력
-영아와
의사결정
긍정적 신체
∙ 사회적 기술
접촉하기
-의사소통기술
-동료 간 협력
Schilling
(2001)
Nelson &
Low(2012)
∙ 자아인식
∙ 대인관계스킬
-자기표현
∙ 자아개념
-공격성
∙ 감정이입
∙ 감정다루기 -소심성
∙ 스트레스
∙ 리더십스킬
관리
-사회감응력
∙ 갈등해결
-공감
∙ 의사소통
-의사결정
∙ 의사결정
-긍정적
∙ 개인의
영향력
책임
∙ 집단역동
∙ 자기관리스킬
-추진력
-약속이행력
-시간관리
-변화요구도
∙ 개인내적스킬
-자존감
-스트레스
관리
2. 설계
1)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모형 시안 구성
① 기본 방향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를 통한 학습자 분석과 정서증진 프로
그램의 구성요소 분석, 학교구성원인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의 요구분석 등을 기초로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였으며, 기본방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이동하는 대학시기의 발달특성과 교직을 희망하는 예비
유아교사의 특성을 반영한다.
둘째, 정서역량 증진을 위하여 정서역량의 4가지 구성요소의 개발에 중점을 둔다.
셋째, 유아교사로서 교육현장에서 맺게 되는 유아 및 성인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원만한
관계형성을 위한 정서역량 증진을 돕는다.
② 목적과 목표
정서역량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정서지능 향상(곽윤정, 2010; Cherniss &
Goleman, 2001; Schilling, 2001), 정서역량 향상(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전주영,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7
2014) 및 감성기술 향상(Nelson & Low, 2012)을 기본목적으로, 자기인식, 감정이입, 자기
관리,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능력 증진 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특히 청소년대상 프로그
램(곽윤정, 2010)은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Schilling,
2001)은 대학생의 자기관리 능력 함양 및 대인관계기술을 함양시키기 위한 목표 설정이
주를 이루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상황에서 정서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정서역량 증
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마혜진, 2014; 전주영, 2014; Caruso & Salovey, 2009;
Cherniss & Goleman, 2001)에서는 스트레스 관리, 갈등관리,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조직
상황에서의 사회적 기술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기초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정리하였으며 학습자 분석을 통한 성인초기 예비유
아교사의 발달특성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통
해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적 자질을 함양한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목
표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자존감을 갖는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의 목표
를 설정, 관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타인의 정서를 공감하고 존중한다, 의사소통 능력을 기
르며 유아 및 성인과 원만한 관계관리 능력을 기른다.’이다.
③ 교육내용 및 내용조직
정서역량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과제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서역량의 교육내용요소와
요구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구성되었다.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내용은 예비유아교사
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내용으로,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관리의 정서역
량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조직은 대학교수들의 요구분석 결과와 Golman
등(2003)이 정서역량의 차원을 개인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으로 구분한 것에 기초하여 개
인적 역량에 해당하는 자기인식과 자기관리에 관한 내용을 먼저 제시하고 사회적 역량에
해당하는 사회적 인식과 관계관리에 관한 내용을 후에 제시하였다.
④ 교수학습과정 및 방법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과정 및 방법은 목표달성과 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선행 프로그램들(곽
윤정, 2010; 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전주영, 2014; Nelson & Low, 2012)은 매 회기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교수학습과정 단계로 구성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실제 상황에
대한 적용 능력을 기르고자 체계적이고 순환적 단계를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요구조사
결과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과 대학교수들 모두 이론 강의보다는 역할극, 워크숍, 사례토
의 등에 요구가 많았고 대학교수들의 경우 진단검사를 통해 학습자 본인의 현재수준을 파
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하였다. 이에 본 프로그램에서 교수
-학습과정은 들어가기, 이해하기, 학습하기, 적용하기, 마무리하기의 반복적인 단계로 구
성하였다. 즉 들어가기 단계에서는 이전 교육내용과 적용했던 경험을 회상하고 본차시 활
동을 소개하고, 이해하기 단계는 자신에 대해 탐색하고 진단하는 과정으로 워크숍이나 진
38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단검사 등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찰과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습하기 단계에
서는 강의식 교수방법을 통해 교육 내용과 관련한 이론적 이해를 돕고, 적용하기 단계에
서는 학습한 교육내용을 토의, 역할극, 워크숍, 브레인스토밍, 게임 등의 다양한 교수방법
을 통해 연습하고 익힐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무리단계에서
는 학습한 내용과 전략을 일상생활에서 적용하고 연습해 볼 수 있는 감정일기쓰기, 갈등
성찰일지쓰기, 시간일지 쓰기 등의 과제나 활동을 제시하고 다음차시 안내로 구성하였다.
⑤ 교육평가
선행연구에서의 정서역량 관련 프로그램들의 평가방법을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평가와 학습자의 질적 변화 정도를 살펴보는 평가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그램
내용 평가는 프로그램 적용 전에 실시하는 진단평가와 프로그램 중간에 실시하는 형성평
가,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하는 총괄평가(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전주영, 2014)를 실
시하고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변화를 알아보는 평가방
법으로 글쓰기, 저널쓰기, 소그룹 토의, 개인면담(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조부경, 서
윤희, 2012)등의 방법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본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평
가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로 나누어 실행하도록 구성하였다.
2) 전문가 자문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를 통한 학습자 분석과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관한 과제분석, 학교구성원인 예비유아교사와 대
학교수의 요구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1차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1차 시안은 유아교
육학과 교수 5인과 교사 경험이 있고 유아교육을 전공한 박사과정 2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면접지를 통해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적절성에 대해 자문을 구하였다. 검토결과, 프로그램
의 전반적인 구성이 적절하나 부분적으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으며, 구체적
인 수정․보완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역량 증진에 관한 기본 목적과 함께 프로그램의 대상자가 대학생임을 감안하
여 대학생의 발달과업과 관련된 목적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면 좋겠다고 조언하였다.
둘째, 교수학습과정에서 자신에 대해 탐색하고 진단하는 ‘이해하기’단계가 학습한 내용을
적용해보는 ‘적용하기’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진단하기’로 수정할 것을 협의하였다. 셋
째, 운영방식에서 매회기 동일시간을 배정하기보다 내용에 따라 탄력성 있는 시간운영이
필요하다고 조언하였다.
3. 개발
개발단계에서는 전문가 자문내용을 근거로 프로그램 1차 시안을 수정·보완하여 프로그
램 모형과 구체적인 15개 주제의 프로그램 활동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9
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모형과 회기별 구성내용은 그림 2, 표 4와 같다.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
∙ 대학 시기 예비유아교사의 발달특성과 정서적 어려움을 반영
∙ 정서역량의 4가지 구성요소 개발에 중점
∙ 유아교사로서 교육현장에서 맺게 되는 유아 및 성인과의 관계 관리능력 증진을 도모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미
래
자기관리능력 향상
목 표
∙ 자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자존감을
갖는다.
∙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의 목표
를 설정, 관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교육내용
∙ 자기인식 : 자기정서인식, 자기이해,
자기존중
∙ 자기관리 : 정서조절, 스트레스 관리,
목표 추진 및 시간관리
교육주제
∙ 교사로서의 ‘나’
∙ 나의 정서
∙ 나를 찾아가는 여행
∙ 나를 더 사랑하기
∙ 내 감정에 주인이 되라
∙ 스트레스 관리
∙ 미래의 매시멜로우
사회적 관계 관리능력 향상
목 표
∙ 타인의 정서를 공감하고 존중한다.
∙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유아 및 성
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관계관리능력을 기른다.
교육내용
∙ 사회적 인식 : 타인정서인식, 공감 및
존중
∙ 관계관리 : 의사소통, 갈등관리, 대인관계
교육주제
∙ 감정신호 읽기
∙ 너의 마음을 알아
∙ 서로 다른 관점
∙ 의사소통
∙ 갈등관리
∙ 교사로서 유아와 관계 맺기
∙ 교사로서 성인과 관계 맺기
유
아
교
사
로
서
전
문
적
자
질
함
양
교수학습과정 및 방법, 평가
∙ 교수학습과정 : 들어가기, 진단하기, 학습하기, 적용하기, 마무리하기
∙ 교육방법 : 강의. 토의, 워크숍, 역할극, 사례연구, 브레인스토밍, 저널쓰기, 검사 등
∙ 교육운영 : 15회기, 회당 1시간 30분~2시간(교육시간 및 기간은 융통성 있게 운영)
∙ 평가 : 형성평가, 총괄평가
[그림 2]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모형
40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표 4>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모형의 회기별 구성
회
기
주제명
정서역량
내용요소
1
교사로서
의 ‘나’
프로그램
소개
2
나의 정서
자기정서
인식
교육내용
∘ 예비교사 정서역량 개발의 중요성
∘ 자기소개 및 아이스 브레이크 활동
강의
워크숍
개별 ∘ 프로그램에 대한 나의 기대와 각오
글쓰기
집단
∘ 내가 알고 있는 감정 단어는? - 감정빙고게임
집단 ∘ 정서인식의 개념 및 중요성 이해
∘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과 감정들과의 관계
개별
3
4
5
6
7
8
나를
찾아가는
여행
자기정서
인식
자기이해
∘ 자신의 정서 상태 들여다보기
-요즘 나는... 감정단어로 표현하기
∘ 과제소개 : 감정일기 쓰기
∘ 내가 보는 나 & 친구들이 보는 나
집단
∘ 자기 이해와 수용의 중요성, 성격에 대한 이해
게임
강의
워크숍
글쓰기
워크숍
강의
개별 ∘ 자신의 성격유형 탐색하기- Who am I ?
검사
∘ 자존감의 개념 및 중요성,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집단 ∘ EBS 아이의 사생활-자아존중감 동영상 시청
∘ 친구들의 격려 한마디
강의
워크숍
∘ 자신의 자존감 진단하기
개별
∘ 과제소개 : 저널쓰기
검사
글쓰기
나를 더
사랑하기
자기이해
자기존중
내 감정에
주인이
되라
자기정서
인식
정서조절
집단
∘ 정서조절 방법, 효과적인 정서조절의 과정 이해
∘ 적응적 정서조절 Vs 부적응적 정서조절
개별
∘ 자신의 정서조절방법 사용패턴 진단하기
∘ 그래, 결심했어! : 대안 찾기
검사
워크숍
스트레스
관리
자기정서
인식
정서조절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
집단 ∘ 분노, 불안 & 우울, 스트레스의 관리방법 이해
∘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전략 찾기
강의
브레인
스토밍
미래의
매시
멜로우
감정신호
읽기
정서조절
목표관리
타인정서
인식
너의
마음을
알아
타인정서
인식
공감 및
존중
강의
개별
∘ 스트레스 관리정도 진단하기
∘ 최근에 나의 스트레스는?
검사
집단
∘ 목표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시간관리
∘ EBS 아이의 사생활-만족지연능력 동영상 시청
강의
∘ 나의 목표 추진력 진단하기
개별 ∘ 미래의 매시멜로우- 현재 유혹 Vs. 미래 목표는?
∘ 과제소개 : 시간일지 작성하기
∘ 타인정서인식의 개념 및 중요성
∘ 예술작품에 담긴 감정 읽기-명화감상
집단
∘ 무언의 협동화
-친구와 함께 감정 느끼면서 그림그리기
개별
9
교수
방법
∘ 타인정서인식 수준 진단하기
∘ 과제소개 : 타인의 감정변화 기록해 보기
∘ 공감의 개념 및 중요성, 공감유형 이해
집단 ∘ 타인의 마음에 감정이입하기
-이럴 때 유아, 친구의 마음은?
개별
∘ 자신의 공감능력 진단하기
∘ 프로그램 중간 평가
검사
워크숍
글쓰기
강의
워크숍
검사
글쓰기
강의
사례연구
검사
글쓰기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1
회
기
주제명
정서역량
내용요소
교육내용
∘ 지각의 자기중심성 : 두 개의 또 다른 그림
∘ 관점차이를 보는 다섯 가지 입장
타인정서
집단 ∘ 같은 동화 다른 이야기
서로
10
인식
-빨간 모자, 오해 받은 늑대 이야기
다른 관점
공감 및 존중
∘ 동상이몽 주제토의 : 어린이집 CCTV설치
개별 ∘ 과제소개 : 갈등성찰일지 쓰기
11
∘ 의사소통의 원리와 기법
공감 및 존중 집단 ∘ 경청의 중요성과 자기표현을 돕는 대화 기술
∘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의사소통
경청과
∘ 일방적 ․ 쌍방적 의사소통 게임
자기표현
개별 ∘ 나의 의사소통능력 진단하기
12 갈등관리
경청과
자기표현
갈등관리
∘ 갈등의 개념 및 유형
∘ 이런 갈등상황에서 나라면?
집단
∘ 신발 바꿔 신기
-갈등상황에서 입장 바꿔 상대 역할 해보기
개별 ∘ 나의 갈등해결유형 진단하기
∘
교사로서 공감 및 존중 집단 ∘
13 유아와
대인관계
∘
관계 맺기
관리
개별 ∘
14
교사로서
성인과
관계 맺기
15 나의 변화
갈등관리
대인관계
관리
프로그램
마무리
교수
방법
강의
사례연구
토의
글쓰기
강의
사례연구
게임
검사
강의
역할극
검사
강의
유아의 정서능력발달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관계 중심적
상호작용하기
사례별 유아-교사의 마음 공감하기
역할극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반응유형 진단
검사
∘ 직장에서의 인간관계와 조직문화
∘ 교사로서 성인과 관계 맺기
집단
∘ 갈등사례에서 문제해결방안 찾기
-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
개별
∘ 대인관계능력 진단하기
∘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자신의 변화
집단
∘ 프로그램 전체 과정 회상하기
∘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소감 나누기
개별 ∘ 교사프로그램 최종평가서 작성하기
강의
사례
토의
검사
글쓰기
강의
발표하기
검사
Ⅳ.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분석
1. 적용
최종으로 개발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A대학과 B대학의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각 1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 19명을 대상으로 전공과목에서 2015년 10월 26일부터 12
42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월 16일까지 총 8주 동안 매주 2회, 매회 1시간 30분~2시간씩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2.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비교
(1)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와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5, 표 6과 같다.
<표 5>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에 대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사전검사
집단(N)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19)
3.91
.53
4.01
.34
통제집단(19)
3.65
.41
3.63
.39
<표 6>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사후 검사 공변량 분석결과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공변량(사전검사)
.04
1
.04
.31
주효과(실험통제)
1.15
1
1.15
8.48**
.14
오차
4.72
35
합계
561.80
38
**
p<.01
표 5에서와 같이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정서지능 사전검사에서
평균 3.91(SD=.53)였으나 사후검사는 평균 4.01(SD=.34)로 증가하였다. 또한 표 6에서와
같이 사전 정서지능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 정서지능 검사 총점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효과는 F=8.48(p<.01)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정서지능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조화에 미치는 효과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조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와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 표 8과 같다.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3
<표 7>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조화에 대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사전검사
집단(N)
사후검사
M
SD
M
SD
실험집단(19)
4.22
.39
4.29
.31
통제집단(19)
3.95
.33
3.91
.37
<표 8>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조화 사후 검사 공변량 분석결과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공변량(사전검사)
.00
1
.00
.03
주효과(실험통제)
1.06
1
1.06
8.90**
.12
오차
4.17
35
합계
645.96
38
**
p<.01
표 7에서와 같이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대인관계조화 사전검사
에서 평균 4.22(SD=.39)였으나 사후검사는 평균 4.29(SD=.31)로 증가하였다. 또한 표 8에
서와 같이 사전 대인관계조화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대인관계조화 검사
총점에 대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효과는 F=8.90(p<.01)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대인관계조화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조화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예비유아교사의 저널분석을 통한 적용효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간과 마지막 회기에 본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이 새롭게 느낀 점과 변화, 성장한 점 등에 대해 개인저널을 작성하
였다. 정서역량 프로그램이 가지는 중요한 의미는 예비유아교사 개개인이 가지는 가치관
과 태도의 내면화된 변화 정도로서 이는 수량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인저
널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가치관과 태도, 타인과의 관계 변화 등을 통해서 정서역
량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정서역량 프로그램의 의
미는 자기 정서에 대한 관심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일상생활 속 타인과의 긍
정적인 관계 변화, 유아교사로서 유아, 교사, 부모 등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필요한 정서역
량을 키울 수 있었던 기회로 나타났다.
(1) 정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정서에 대한 관심
과 함께 부정적 정서에 대해서도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예비유아교
44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사들은 정서적 능력도 교육을 통해 개발이 가능하고 그동안 자기정서에 대해 무관심했다
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그 감정들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되짚어보면서 부정적인 정서를 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대처방법을 생각해보는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사실 정서교육을 받기 전 ‘정서교육은 어떤 것을 배우는 것일까?’ 생각했다. ‘정서
를 교육할 수 있을까? 정서를 교육할 때 가르쳐주실 내용이 있을까?’ 생각을 했는데
정서교육을 받으면서 든 생각은 ‘처음 내가 가지고 있던 정서라는 어떤 막연하고 두
루뭉술한 것을 점차 구체적으로 알아가고 있구나.’이다. 정서의 주체는 나이기 때문
에 가장 처음 나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스트레스
를 관리하는 것까지 정서가 포함된 영역은 너무나 광범위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B예비교사, 1차 저널쓰기, 2015. 11. 9)
막연히 하루하루를 보낼 땐 자세히 들여다보지 못했던 내 감정을 글로 써보고 이
야기 나눠보면서 내가 이렇게 많은 감정을 느끼고 있고 그 감정들이 변화하고 어떠
한 원인에 의해 감정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며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었다.
(E예비교사, 1차 저널쓰기, 2015. 11. 9)
나는 내가 화가 났을 때 그 감정을 인정하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정서조절을 한다
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는 그냥 화를 삼키고 참는 것이 이미 몸에 베여있었던 것 같
다. 화를 분출하는 것이 잘못된 일이라 생각한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내 마음은 살
피지도 않고 그냥 무시하고 참아왔던 것 같다. 하지만 이번 수업을 통해 ‘화는 적절
한 때에 적절한 수준으로 분출하는 것이 맞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A예비교사, 1차 저널쓰기, 2015. 11. 9)
그동안 부정적인 정서는 나쁜 것이고 참아야 한다고 생각한 적이 많았었다. 그러
나 모든 감정은 좋고 나쁨이 없다는 것을 알았으며 그것을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
다는 생각을 하였고 부정적인 감정이 들었을 때 한 발짝 물러나서 생각해 보려는 시
도를 많이 하게 되었다.
(D예비교사, 1차 저널쓰기, 2015. 11. 9)
이와 같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의 정서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노력과 동시에 스스로 부정적인 정서를 억누르고 속에 감추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화,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회피하지 않고 그러한 감정을 수용하고 적절한 대처방
법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순간마다 나타나는 감정을 모니터할
수 있는 자기인식능력은 심리적 통찰력과 자기 이해를 위해 아주 중요한 능력으로
(Goleman, 1995),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정서조절능력을 기르기 위한 발판이 되기 때문에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5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신의 정서에 관심을 갖고 부정적 정서에 대해서도 새로운 인식을 갖
게 된 것은 정서역량 증진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2) 일상생활 속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 변화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습했던 내용과 전략들을 일상생활 속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봄으로써 가족과 또래 등 다른 사람과의 갈등 상황이 줄어들거나 의사소통방
식에 변화가 생기는 등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다고 평가하였다.
평소 엄마에게 말할 때는 벽에 대고 말하는 것 같았고 대화가 안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엄마입장에서 ABC 기법이나 공감들의 방법으로 활용해보니까 훨씬 싸우게
되는 횟수가 줄었다. 또 엄마도 나의 말하는 방법이 바뀌니까 나의 말하는 태도에
맞춰 대화를 해주시는 것 같았다.
(C예비교사, 3차 저널쓰기, 2015. 12. 14)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직접 적용해보기로 하였다. 예를 들어, 학업에 힘들어하는 남자친
구가 나에게 힘들다고 이야기를 했을 때 ‘생각만큼 진도도 잘 나가지 않고 끝이 없는 것 같
아 답답하고 걱정이 많이 되는구나.’라고 말해주자 평소보다 걱정거리에 대해 확연히 많이
이야기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F예비교사, 2차 저널쓰기, 2015. 11. 26)
정서 역량은 단기간에 습득되는 것이 아니며 프로그램 적용 이전에 이미 습득된 사고,
감정, 행동의 습관들을 훈련을 통해 새로운 습관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Cherniss,
Goleman, Emmerling, Cowan & Adler, 1998). 따라서 학습자 스스로 정서역량을 증진시키
려는 노력과 지속적인 연습이 필요한데 본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타인관계
에서 경험한 긍정적 변화는 개선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변화의 의지를 갖게 했다는 측면에
서 프로그램의 긍정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 유아교사로서 정서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기회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로서 교육현장에서 맺게 되는 유아,
교사, 부모 등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필요한 타인이해, 공감, 의사소통, 갈등관리 등의 정
서역량을 키울 수 있었던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정서교육을 받으면서 부끄러움과 안도감을 함께 느끼고 있다. 나 자신을 잘 알고
있다 생각했던 부끄러움과 이제라도 나를 제대로 들여다보는 방법을 알아가고 있는
것 같아 다행이라는 안도감을 느끼고 있다. 나는 교사가 될 사람으로서 나의 감정이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잘 알아야하고 나를 먼저 이해하지 못하는 사
람이 아이들이며 부모님, 동료교사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한다.
(A예비교사, 2차 저널쓰기, 2015. 11. 26)
46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나는 내가 스스로를 무척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정서교육을 받으면서
너무 내가 과신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중략) 또 ‘내 기분이라고 해서 나에게만 영
향이 있는 것이 아니라 나를 둘러싼 내 주위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영향을 주는구나.’
느낀 게 가장 인상 깊었다. 그래서 교사가 되었을 때 내 소중한 아이들을 위해 나는 느
끼고 전달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게 얼마나 중요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방향을 잡을
수 있었다.
(C예비교사, 3차 저널쓰기, 2015. 12. 14)
나의 마음을 들여다보는데 서툴렀고 특히나 남의 마음까지 들여다보는 건 더 서
툴렀다. ‘서로 다른 관점’, ‘갈등관리’ 등 남을 이해하는 것에서 많은 것들을 배웠다.
특히 교사가 되려는 나로서는 학부모님의 마음을 먼저 읽고 공감해주는 것의 필요
성과 공감하는 법을 배워 뜻 깊은 시간이었다. 이번 학기에 배운 정서지능강의를 통
해 졸업을 하고 나서 사회생활과 교사로서의 취업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겪
을 다양한 정서들을 받아들이고 관리하는 법을 잘 적용해야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E예비교사, 3차 저널쓰기, 2015. 12. 14)
유아교사는 유아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촉진하며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능
력이 요구된다(이정희, 정계숙, 2006).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로서 유아 뿐 아니라 학부모, 동료 교사 등 구성원들과의 효율적인 인간관
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서역량 기술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본 프로그램을 통해 익힌 다양한 전략들을 교육현장 상황에 적용시킴으로써 유아교사로
서 갖춰야 할 정서역량에 대한 실천의지를 나타내었다.
Ⅴ. 논의 및 제언
대학 시기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여 성숙한 직
업인과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닦는 시기(김민정, 2007)로서, 교직을 선택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미래유아교사로서의 가치관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전문적 자질을 배
우고 길러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최근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잘못된 훈육방식과 비윤리
적 행동이 사회적 논란이 되면서 유아교사의 정서적 역량에 대한 요구가 고조되어 있다.
교사의 역량개발은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이 연계성을 가지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은 ADDIE모형의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개발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먼저 학습자 분석과 요구분석, 과제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7
를 기초로 정서역량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과정 및 방법, 평가에 대한
1차 시안을 설계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ㆍ보완된 프로그램 모형에 기초하여
15회기의 교육주제와 활동지도안을 개발하고 활동자료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통해 자기관리능력
과 사회적 관계관리능력을 기르고 궁극적으로 미래유아교사로서의 전문적 자질을 함양한
다'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자기관리능력 함양과 사회적 관계관리능력 함양을 교육목표
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설정은 정서역량 증진을 위해 자기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능력 함양을 목표로 제시한 선행연구들(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전주영,
2014; Cherniss & Goleman, 2001; Schilling, 2001)과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예비유아교사의 발달적 특성을 반영하여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이해를 기초로 자기관리
능력을 함양하고 교육현장의 유아 및 성인들과의 사회적 관계관리능력을 함양함으로써
미래유아교사로서 자질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이점을 가
진다. 실제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곽윤정, 2010)에서는 청소년기의 정서적 불안정
과 충동적인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정서조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
로 한 연구(Schilling, 2001)는 대학생의 자기관리능력과 대인관계기술 함양을 목표로 하
고 있고,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마혜진, 2014; 이춘복, 2012; 전주영, 2014; Cherniss
& Goleman, 2001)에서는 조직상황에서의 정서역량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서역량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대상의 발달적 과업 및 특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본 연
구에서도 학습자 분석을 통해 자존감 향상, 진로와 관련한 목표관리, 학업 및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 관리, 교직에 대한 이해 및 정체감 형성, 대인관계능력 향상 등 성인초기 대학생
의 발달과업 및 교직을 희망하는 예비유아교사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내용은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관리의 정서역량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조직은 개인적 자기관리역량에
해당하는 자기인식과 자기관리에 관한 내용을 먼저 제시하고 사회적 역량에 해당하는 사
회적 인식과 관계관리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는 요구분석과 과제분석 결과를 반영
한 것으로, Goleman 등(2003)이 사회적 관계관리 능력을 자아인식과 자기관리, 타인인식
이라는 정서역량들이 어우러져 발휘되는 종합능력이라고 한 바와 같이 정서역량 하위구
성요소들 간의 위계를 고려하여 내용을 조직한 것이다. 곽윤정(2005)은 유아대상 정서지
능증진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면서 정서조절을 정서인식, 정서촉진, 정서지식 활용능력
의 하위구성요소의 발달을 통해 발휘되는 상위능력으로 조직하였는데 프로그램 구성요소
들의 위계화는 정서지능의 개념 모형이나 이론체계가 계속해서 연구진행 중이며 연구 자
료가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앞으로 계속해서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할 문제라고 하였다.
따라서 정서역량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위계, 활동배열순서 등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해보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내외적인 변인을 탐색하는 경험연구들을 실
행하면서 추후 논의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48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과정은 도입하기, 진단하기, 학습하기, 적용하기, 마무리하기의
단계를 매회기 반복적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신에 대한 탐색과 진단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
고 정서역량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 후에 이를 토의, 역할극, 워크숍, 브레인스토밍, 저널
쓰기 등의 다양한 교수방법을 통해 연습하고 실생활에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
다. 이는 최근 교사양성교육에서도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이론중심의 교육이 아닌 현장과
연계된 경험을 제공하여 문제 상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면서 교사의 역량을 신장
시키는 수업을 강조하고 있고(손원경 등, 2010) 정서역량교육에서 일상생활과 연계되어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을 강조(이춘복, 2012; 조혜진, 2016)하고 있는 것과 일치하
는 맥락이다.
둘째, 개발된 정서역량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에
서 전공과목 시간에 8주 동안 2시간씩, 15회 실행한 후에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저널에 대
한 질적 분석, 정서지능과 대인관계조화에 대한 사전사후검사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저널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정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일상생활 속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고,
유아교사로서 정서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정서지능 및
대인관계조화에 대한 사전사후검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사후검사에서 정서지
능과 대인관계조화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예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대인관계조화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
이다. 이러한 결과가 단기적 효과이고 다양한 실제 상황 속에서 장기적 효과가 나타날지
단언하기 어렵지만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내용과 전략들
을 일상생활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가족, 또래 등 타인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
험했고 유아교사로서 정서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한 것은 의미가 있다
고 하겠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는 프로그램 상황에서 벗어나 실생활 맥락에서 전이가
일어나는 것에 달려있으므로(곽윤정, 2010)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전교육에서 예비유아교
사들이 갖게 된 정서역량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경험이 현직교사교육과 연계되어 지속적
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대학시기 예비유아교사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정서역량 증
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예비
유아교사 스스로 일상생활과 유아교육현장 맥락에서 정서역량을 연습하고 체득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8주, 15회기라는 단기간
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효과를 검증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추후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양
성과정에서 정서역량교육을 받았던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나 성인들과
의 대인관계나 정서적 문제들을 다룰 때 어떤 경험을 하는지 면담, 관찰 등을 통해 프로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9
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추적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4년제 대학의 특정 학년
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므로 추후 2, 3년제 대학의 학생들과 전 학년을 대상
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할 경우 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서역량이
실생활과 역동적인 교수 상황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므로 직전
교육과 현직교육이 연계된 정서역량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고 실행할 수 있는 연구
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곽윤정 (2005).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333-363.
______ (2010). 청소년을 위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정서지능과 심리적 안녕감
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4), 263-281.
김민정 (2007).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회, 박경희 (2008). 대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9(2), 375-389.
김순환, 박선혜, 남옥선 (2014).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인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8(2), 339-363.
마혜진 (2014).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증진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용린 (2011). 정서지능 강의. 서울: 북스넛.
박동건, 최대정, 이은정 (2006). 조직감성역량 키우기.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손원경, 조혜진, 김옥주, 이현숙 (2010).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30(4), 319-340.
오인수, 한지현, 김영록, 유태용 (2006). 정서역량이 상사-부하간 관계를 통해 상사관련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
직, 19(1), 39-58.
이경민, 최윤정, 박순정 (201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ㆍ인성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73-96.
이정희, 정계숙 (2006). 유아교사용 정서 공감 척도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영유아보육연
구, 12, 25-43.
이진화, 유준호 (2009). 교육실습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정서의 의미. 육아지원연구,
4(1), 47-68.
이춘복 (2012). 유아교사의 정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03).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전주영 (2014). 팀의 사회정서적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부경, 서윤희 (2012).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
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93-115.
조은영, 임정하 (2014).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4), 185-210.
조혜진 (2016).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의 인
식 및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231-255.
조혜진, 김수연 (2011).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
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조혜진, 김수연 (2012). 영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
육연구, 17(5), 189-208.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하은옥, 황해익 (2008. 10). 유아교육기관 조직구성원을 위한 감성역량 프로그램 적용 사
례 연구. 본질적 관점에서의 유보통합의 방향과 과제, 영유아가 행복한 유아교육과
보육.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 269-285. 서울: 서울
교육대학교.
Arin-krupp, J. (1981). Adult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Manchester,
CT: Adult Development and Learning.
Bogdan, R. C., & Biklen, S. K. (1991). 교육연구의 새 접근: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신옥순 역). 서울: 교육
과학사. (원저 1982년 출판)
Caruso, D. R., & Salovey, P. (2009). The Emotionally intelligent Manager: How to
develop and use the four key emotional skills of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Cherniss, C., & Goleman, D. (2001). The Emotionally intelligent workplace: How to
select for, measure, and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in individuals, groups,
and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Cherniss, C., Goleman, D., Emmerling, R., Cowan, K., & Adler, M. (1998). Bring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workplace. New Brunswick, NJ: The Consortium for
Research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s, Rutgers University.
Corcoran, R., & Tormey, R. (2012). How emotionally intelligent ar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5), 750-759.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51
Erikson, E. H. (1980).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Norton.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___________ (1998).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___________ (2008). EQ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한창호 역). 파주: 웅진지식
하우스. (원저 1996년 출판)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3). 감성의 리더십[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장석훈 역). 서울: 청림출판. (원저 2002년
출판)
Gould, R. L. (1972). The phases of adult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9(5), 521-531.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Nelson, D. B., & Low, G. R. (2012). Emotional intelligence: Achieving academic and
career excellence. New York: Prentice Hall.
Palomera, R., Fernandez–Berrocal, P., & Brackett, M. (2008). Emotional intelligence as
a basic competency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Some evidence. Electronic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6(2), 437-454.
Rojas, M. (2012). The missing link: Emotional intelligence in teacher prepa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USA.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Schilling, D. (2001). 고교생과 대학생을 위한 정서지능[50 activities for emotional intelligence].
(조수연, 노성향, 임선빈 역). 서울: 양서원. (원저 1996년 출판)
Weare, K., & Gray, G. (2003). What works in developing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and wellbeing?(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 research
report no. 456). London: DfES.
52 유아교육연구 제 36 권 제 6 호
ABSTRAC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Cho, Hyea-Jin
Kim, Su-Ye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For those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ADDIE model that was gone according to analysis-design-development
-implement-evaluation steps.
An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nalysis of
lean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sub-components of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The designed program model was consulted by five experts for verifying content
validity and then program activities and material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revised program model.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a total of 3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two four-year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1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n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30 hou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test, journal writings. The developed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appeared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new
awareness of emotion and positive chang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daily life,
and improve emotional competence as a teacher in near futu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bo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harmony scores. This results show that the emotional
competence program was positively effective to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