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ccine & Adjuvant 백혜지, 설혜원, 안현정, 양덕경, 윤두국 Contents 1. Vaccine 2. Adjuvant의 정의 3. Adjuvant의 역사 4. Aluminium Adjuvant Vaccine 의 정의 정의 감염증에 대해 인공면역을 얻기 위해 미생물이 생산한 독소액에 조작을 가한 것. 원리 백신에 의하여 자극을 받으면 형질세포가 감수성을 유지하고 있다가 재감염시 더 많은 항체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음 Vaccine의 종류 약독생균 백신 사균백신 병원균을 죽여서 만든 백신 인체에 해가 없을 정도로 병원균의 독성을 약화시킨 백 신이다. 미생물을 불활성화시킨 후 적당한 농도의 부유액 (浮遊液)으로 만들어 정해진 방부제를 더한 것 즉, 면역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항원성은 보유하고 있는 생균(生菌)이나 바이러스의 부유액을 대상에게 접종시킨 다. 장티푸스-파라티푸스 혼합백신 결핵 예방을 위한 BCG백신 콜레라백신·백일해백신·발진티푸스백신 일본뇌염백신·인플루엔자백신 폴리오(polio)바이러스에 의한 소크(salk)백신 홍역의 K백신 홍역∙볼거리∙풍진의 예방을 위한 MMR백신 천연두의 두묘(痘苗) 폴리(polio)오의 생백신 홍역의 L백신 Vaccine 의 장단점 사균백신 생균백신 장점 장점 -증식의 위험이 없어 감염위험이 없다 -개발 기간이 짧으며, 보관이 용이 -유효한 항원만을 정제, 추출하므로 부작 용이 적음 단점 -면역성의 지속기간이 짧아 반드시 추가 접종을 해주어야 효과가 지속된다. -제조비용이 저렴 -적은 양으로 면역능력을 형성, 면역 지속기간이 김 -냉동 건조되어 냉장고에서 동결이 되어도 사용가능. 단점 -돌연변이에 의한 부작용 Adjuvant 정의 항원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강시켜 항암치료 등에 이용될 수 있는 면역보조제이 다. 필요성 대부분의 단백질들은 단독 투여 시, 매우 약한 면역원성을 가짐. →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adjuvant 가 필요함. Adjuvant 역할 -항원양이 적을 때 면역반응을 신속하고 강력 하게, 장기간 유지 -백신에 사용되는 항원을 상당량 감소시킴 -접종 횟수를 줄일 수 있음 -면역반응이 약한 영아나 노인에게 충분한 백 신 효과 Adjuvant 종류 - Gel type : aluminium hydroxide, aluminium phosphate Microbial adjuvant : Dna, endotoxin, exotoxin Oil-emulsion Particulate : liposomes Synthetic adjuvant Vaccine의 역사 10C - 백신 접종의 개념은 중국에서 처음 사용 18C - 1796년 Edward Jenner에 의해 ‘백신‘ 개념 탄생 - 우두를 앓은 사람은 천연두에도 면역력을 갖게 되는 것을 발견 (우두법) - 직접 감염이 아닌 백신을 통해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증명 Vaccine의 역사 19C - Louis Pasteur에 의해 광견병, 닭 콜레라 백신 발견 닭 콜라레균을 실험실에 방치 시 독성이 약해져 질병을 일으키지 않음 이 균을 이용하면 독성이 있는 동일 균이 질병을 일으키지 않음을 증명 약해진 병균을 ‘백신’ 이라고 명명 Adjuvant의 역사 20C - Gaston Ramon에 의해 면역 증강제 개념 도입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백신 연구 도중 일부 동물들의 접종 부위에 염증이 생김 위 동물들에서 더 많은 항체가 생성됨 염증 유발 물질들 중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물질이 있음을 발견 Adjuvant의 역사 20C - Alexander Glenny에 의해 Aluminum salt의 작용임을 규명 1932년, alum이 첫 면역증강제로 허가 두 번째 면역증강제인 스쿠알렌을 함유한 MF59 개발 AS03, AS04 사용 허가 Adjuvant의 역사 AS03 - Alexander Glenny에 의해 Aluminum salt의 작용임을 규명 AS04 - Alum에 TLR4 agonist인 monophosphoryl lipid A가 첨가된 복합 면역증강제 - Hepatitis B virus(B형 간염)과 Human papilloma virus(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Adjuvant의 역사 - 백신 접종의 개념은 10C 중국에서 처음 사용 - 1796년 Edward Jenner에 의해 ‘백신‘ 개념 탄생 - 면역증강제의 개념은 Gaston Ramon에 의해 처음 발견 - 디프테리아와 파상풍 백신 연구 중 염증이 생긴 동물에서 더 많은 항체 생성 -> 염증 유발 물질 중 면역 증강 물질 존재 Edward Jenner Adjuvant의 역사 - Alexander Glenny에 의해 aluminum salt가 면역 반응 증가시킨다는 것 발견 - 1932년에 첫 면역 증강제로 허가 - 두번째 면역 증강제인 MF59 개발 - 다른 emulsion 형태인 AS03 개발 - Alum에 MPL이 첨가된 복합 면역 증강제 AS04 사용 허가 Alexander Glenny K+ - 고칼륨혈증 증상 -부정맥, 저혈압, 심근 수축의 약화 -설사, 장경련 -불안, 예민함, 근육경련 치료 -K+ 배출 이뇨제 사용 -인슐린 주입 -탄산나트륨 투여 K+ - 저칼륨혈증 정의 -혈청 내 칼륨 농도가 3.5mEq/L 이하인 상태 원인 -구토나 설사로 인한 K+ 소실 -혈액의 알칼리증 -영양불량 -포타슘 손실을 증진시키는 약물 (이뇨제, 스테로이드제) K+ - 저칼륨혈증 증상 -복부팽만, 구토, 변비 -근육허약, 마비, 경련 -심부정맥 치료 -고칼륨식품 섭취 -정맥에 K+ 투입 -칼륨 보존 이뇨제 사용 Ca2+ 역할 -혈액응고 과정 관여 -세포의 투과성 유지 -골격근, 평활근, 심장근의 수축 자극 -경자극의 전도에서 촉매역할 -뼈와 치아 유지 특징 -정상 농도 4.5~5.5mEq/L -칼슘의 99%는 뼈와 치아, 1%는 조직과 혈관 내 체액에 존재 -1%의 반 정도가 단백질과 결합, 나머지 반은 이온상태 Ca2+ - 고칼슘혈증 정의 -혈청 칼슘 농도가 5.5mEq/L 혹은 11mg/dL 이상인 상태 원인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대사성산증 -악성종양 -칼슘, Vit D 과다섭취 Ca2+ - 고칼슘혈증 증상 - 전신적 골량 감소 신경정신계 이상 신석회화증, 신결석증 소화성궤양 치료 -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수분 공급 - 파골세포 기능 억제 - 수술·항암제투여 Ca2+ - 저칼슘혈증 정의 - 혈청 칼슘농도가 4.5mEq/L 혹은 8.5mg/dL 이하인 상태 원인 - 부갑상선 호르몬 부족 대사성 알칼리증 신장 기능 장애 비타민 D 결핍 위장계이상 Ca2+ - 저칼슘혈증 증상 -신경과 근육의 과흥분 -신경학적 또는 심리적 이상 -골연화증 치료 - 칼슘 보충제 - 칼슘과 비타민 D를 투여 - 마그네슘 투여 Mg2+ 역할 - ATPase 보조인자로 ATPase를 도움 -신경 및 근육의 세포막 전위의 유지 -뼈 형성에 관여 -NMDA 수용체 억제 특징 -마그네슘(magnesium, Mg)은 무기질 중 네 번째로 많음. -마그네슘의 혈장농도 : 1.5mEq/L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성인 마그네슘 1일 권장 섭취량은 남자 350㎎, 여자 280㎎ Mg2+ - 고마그네슘혈증 정의 -혈청 마그네슘 2.2mEq/L 이상 원인 -신부전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된 제산제(잔타놀정-산화마그네슘 50 mg함유) -케토산 혈증으로 인한 심한 탈수시 -알도스테론 합성이 감소되는 질병 Mg2+ - 고마그네슘혈증 증상 -근육세포 활동 감소 -고마그네슘혈증이 경미할 시 ECG 에 변화 -고마그네슘혈증이 심할 시 허약, 기면, 졸음 등이 나타남 치료 -이뇨제를 생리식염수와 함께 투여하여 신장에서 배설 촉진 -투석 Mg2+ - 저마그네슘혈증 정의 -혈청 마그네슘 1.5mEq/L 이하 원인 -장기간의 영양실조 -만성소화장애증 -이뇨제 사용자 -알코올 중독 환자 Mg2+ - 저마그네슘혈증 증상 -부갑상선 기능 저해 -근육경련, 근육강직 -저칼슘혈증이 같이 나타남 -협심증, 부정맥, 심장 발작 치료 -마그네슘 매일 6g씩 경구투여 -황산 마그네슘 최대 8~12g까지 정맥 혹은 근육 투여(중증 시) -두부, 맥아 등 고마그네슘 식품 섭취 reference http://www.rmhospital.co.kr/bbs/board.php?bo_table=m636&wr_id=6 서울아산병원-의료정보-고마그네슘혈증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03 『기본간호학 Ⅱ 』, 변영순 역, 서울: 정담미디어, 2007. Perry, Anne Griffin, Potter, Patricia An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http://m.doopedia.co.kr/search/encyber/mobileSearch3.jsp(두산백과 저나트륨혈증)